KR102337720B1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20B1
KR102337720B1 KR1020150041277A KR20150041277A KR102337720B1 KR 102337720 B1 KR102337720 B1 KR 102337720B1 KR 1020150041277 A KR1020150041277 A KR 1020150041277A KR 20150041277 A KR20150041277 A KR 20150041277A KR 102337720 B1 KR102337720 B1 KR 10233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over
contact
cover mount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850A (ko
Inventor
와타루 즈츠미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커버 부재를 릴 본체에 덜걱거림 없이 장착하는 것이다.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후방부에 설치된 커버 장착부(20)와, 커버 장착부(20)에 장착되고 릴 본체(1)의 후방부를 덮는 커버 부재(10)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10)는, 커버 장착부(20)에 후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커버 장착부(20)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통해 커버 장착부(20)에 커버 부재(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릴 본체(1)의 좌우 측면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a, 20b)과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b2, 11c2)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S1, S2)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릴 본체의 후방부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릴 본체의 후방부를 커버 부재로 덮은 낚시용 스피닝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커버 장착부에 커버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의 하부에는, 훅 형상의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부에 커버 부재의 전단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에는, 결합부와의 접촉으로 커버 부재를 릴 본체의 경계 부분에 치우치게 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커버 부재를 고정할 때에, 커버 부재의 전단부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나사로 체결한다. 그렇게 하면, 안내면이 결합부에 압박되어, 커버부가 릴 본체의 좌우 측면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부의 경계 부분을 향해 치우쳐 진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의 측부 테두리부가 릴 본체의 경계 부분에 근접하고, 측부 테두리부와 경계 부분의 간극이 저감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가 릴 본체에 고정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6-1347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커버 부재의 측부 테두리부의 대부분이 경계 부분(릴 본체)을 따라 릴 본체에 맞추어지는 구조이므로, 경계 부분에 대해 커버 부재의 측부 테두리부를 고정밀도로 맞대는 것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맞댐 부분에 단차나 간극이 발생하기 쉽고, 릴 본체에 대해 커버 부재가 덜걱거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커버 부재를 릴 본체에 덜걱거림 없이 장착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커버 장착부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의 후방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장착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통해 상기 커버 장착부에 상기 커버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릴 본체의 좌우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커버 장착부의 경계 부분과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에 의해, 릴 본체의 후방부에 2개의 방향으로부터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는, 커버 장착부의 경계 부분에 대해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가 홈 형상의 간극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2개소를 커버 장착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을 커버 장착부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는,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커버 부재에 낚시줄이 접촉하였을 때의 실 얽힘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커버 장착부에 접촉함으로써 커버 부재가 위치 결정되므로, 커버 부재의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 부재는, 릴 본체의 후방부에 2개의 방향으로부터 접촉되어 위치 결정되므로, 덜걱거림이 적절하게 억제된 상태에서 릴 본체에 장착된다.
또한, 커버 장착부의 경계 부분에 대해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가 홈 형상의 간극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장착되므로, 경계 부분에 대해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가 맞대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커버 부재를 릴 본체에 덜걱거림 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에 의해,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2개소를 커버 장착부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부에 의해,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을 커버 장착부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좌우 방향의 덜걱거림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의 모따기에 의해, 커버 부재에 낚시줄이 접촉하였을 때의 실 얽힘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실 얽힘에 의한 조작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시 조작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릴 본체의 후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조도.
도 3의 (a)는 릴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동일하게 릴 본체의 후방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의 (a)는 릴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b)는 동일하게 릴 본체의 후방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5는 커버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방면도, (d)는 하면도.
도 6의 (a)는 커버 부재의 장착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설명도, (b)는 커버 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의 (a)는 도 6의 (a)의 A-A선 확대 단면도, (b)는 도 6의 (a)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8의 (a)는 도 6의 (a)의 C-C선 확대 단면도, (b)는 도 6의 (a)의 D-D선 단면도.
도 9의 (a)는 도 6의 (a)의 E-E선 확대 단면도, (b)는 도 6의 (a)의 F-F선 단면도, (c)는 도 6의 (a)의 G-G선 단면도.
도 10은 커버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릴 본체의 후방부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상하」를 말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도 3, 도 4, 도 6의 (a)에 있어서, 핸들축 및 그 지지 구조는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3)와, 이 로터(3)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4)을 갖고 있다. 릴 본체(1)의 후방부에는, 릴 본체(1)의 하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넓게 덮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커버 부재(10)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는, 경량화가 도모되는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이나, ABS 수지, PA 수지 등의 고강도 수지나, CFRP, GFRP 등의 섬유 강화 수지 등에 의해 강성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1)에는,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식층이 실시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일측에 개구되는 내부 공간 SP(도 2 참조)가 형성되는 릴 바디(1a)와, 이 내부 공간 SP를 폐쇄하는 덮개(1b)를 갖고 있다.
릴 바디(1a)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1c)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1c)의 선단부(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에 고정되는 장대 장착부(1d)가 전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1b)는, 릴 바디(1a)의 개구 단부에 배치된 적절한 위치 결정 부재를 통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나사(1e)(도 1 참조)를 체결함으로써 덮개(1b)가 릴 바디(1a)에 고정된다. 릴 바디(1a) 및 덮개(1b)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부재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 부재를 통해 핸들축(2a)(도 2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2a)의 돌출 단부에는, 핸들(2)이 장착되어 있다.
내부 공간 SP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2a)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2b)가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2b)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권취 구동 기구의 피니언 기어를 통해 로터(3)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이것에 동기하여, 스풀 왕복 이동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연동 기어(5a)가 회전되고, 이 연동 기어(5a)의 편심 위치에 설치한 핀(도시 생략)이 미끄럼 이동체(5b)의 캠 홈(도시 생략) 내를 이동하면서 미끄럼 이동체(5b) 및 스풀축(5)을 왕복 이동한다. 이 스풀축(5)은, 릴 바디(1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 SP 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5c, 5d)에 의해 안내되면서, 선단에 배치한 스풀(4)(도 1 참조)과 함께 전후 이동한다. 각 부재는, 강성 구조의 릴 바디(1a) 및 덮개(1b)에 의해, 매끄러운 동작이 확보된다.
이러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핸들(2)을 회전 조작하면, 핸들축(2a)이 회전되고, 스풀 왕복 이동 장치를 통해 스풀(4)이 전후로 왕복 이동함과 함께, 권취 구동 기구를 통해 로터(3)가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풀(4)의 권회 몸통부(4a)에는, 낚시줄 안내부를 통해, 낚시줄이 균등하게 권회된다. 핸들(2)은, 도면에 도시하는 좌측 위치로부터, 필요에 따라 반대측으로 교체할 수 있다.
릴 본체(1)의 후방부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장착부(20)에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 부재(10)는, 전체적으로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커버 부재(10)는, 릴 본체(1)의 후방부 하부에 장착되는 기부(11)와, 기부(11)의 후단부로부터 릴 본체(1)의 후단부를 따라 경사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상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10)는, 기부(11)에 형성된 나사 구멍(110)(도 2 참조)을 통해 삽입 관통되는 고정 나사(111)(도 2 참조)에 의해, 커버 장착부(20)에 장착된다.
기부(11)는,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후방부 하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기부(11)는, 도 5의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전단부(10b)는, 커버 장착부(20)의 하부 전방벽(22)[도 3의 (a)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커버 부재(10)의 장착 시에 하부 전방벽(22)에 대해 후방(후방 경사 하방)으로부터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전단부(10b)에는, 전방 경사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 돌기(10c)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0c)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전방벽(22)[도 3의 (a) 참조]에 형성된 결합 구멍(22a)에 결합 가능하다.
기부(11)의 후단부에는, 도 2, 도 4의 (b), 도 5의 (a),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1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0)의 장착 시에, 커버 장착부(20)에 설치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23)에 대해 외부 끼움된다[도 7의 (b) 참조]. 나사 구멍(110)의 입구 테두리에는, 보스부(23)에 나사 장착되는 고정 나사(111)의 헤드부가 접촉되고, 고정 나사(111)를 체결함으로써, 커버 부재(10)가 커버 장착부(20)에 고정된다. 나사 구멍(110)의 입구 테두리부는, 나사(111)의 헤드부가 기부(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1)의 내면에는, 도 5의 (a),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리브(11c3, 11c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리브(11c3)는, 기부(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도 6의 (a),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하면(1f)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리브(11c3)는, 하면(1f)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되고, 하면(1f)에 대해 접촉하는 일 없이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리브(11c3)는, 하면(1f)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기부(11)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1c2, 11c2)는, 도 3의 (b),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b)(단차 부분)과의 사이에 홈 형상의 간극부(S2)를 개재하여 각각 대향 배치된다. 즉, 커버 장착부(20)에 커버 부재(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 측부 테두리부(11c2, 11c2)가 경계 부분(20b)에 각각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입상부(12)는, 도 3의 (a), (b),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호를 그리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입상부(12)는, 상부(12a)와 하부(12b)로 이루어진다.
상부(12a)는, 다리부(1c)에 연속하여 커버 장착부(20)를 덮는 부분이다. 상부(12a)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좌우 측부(12a1, 12a1)가 입상부(12)의 중간 부분에 근접함에 따라 좌우 방향[핸들축(2a) 방향]으로 넓어지고, 그 후, 협폭부(12c, 12c)에서 좌우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협폭부(12c, 12c)는, 커버 장착부(20)에 커버 부재(10)를 장착할 때에 손가락으로 집는 부분으로 되는 손잡이부(파지부)로서 기능한다.
상부(12a)의 상단부(10a)는, 커버 장착부(20)의 상부벽(21)[도 3의 (a), 도 6의 (a)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커버 부재(10)의 장착 시에 상부벽(21)에 대해 후방(후방 경사 하방)으로부터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단부(10a)의 내측에는, 도 5의 (a),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상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오목 홈(10e)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10e)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상부벽(21)의 근방에 형성된 돌출 형상부(1h)에 결합 가능하다.
상부(12a)는, 도 9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삼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부(12a)의 내면에는, 도 5의 (a), 도 9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리브(12a3, 12a3)와, 이 한 쌍의 리브(12a3, 12a3)에 연속하는 리브(12a5, 12a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리브(12a3) 및 리브(12a5)는, 상부(12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커버 장착부(20)의 상부 후방면(1g)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리브(12a3) 및 리브(12a5)는, 상부 후방면(1g)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되고, 상부 후방면(1g)에 대해 접촉하는 일 없이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리브(12a3) 및 리브(12a5)는, 상부 후방면(1g)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상부(12a)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a2)는, 도 3의 (b), 도 9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a)(단차 부분)과의 사이에 홈 형상의 간극부(S1)를 개재하여 각각 대향 배치된다. 즉, 커버 장착부(20)에 커버 부재(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a2)가 경계 부분(20a)에 각각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12a1, 12a1)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폭부(12c, 12c)를 통해, 하부(12b)의 좌우 측부(12b1, 12b1)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12a3, 12a3)와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a2) 사이에는, 내측 리브(12a4, 12a4)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리브(12a4, 12a4)는,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계 부분(20a)에 통하는 경사부(20a1, 20a1)에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커버 장착부(20)의 상부 후방면(1g)은,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에 오목 형성되어 있고, 하부(12b)가 장착되는 하부 후방면(1f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후방면(1g)은,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벽(24)을 통해 하부 후방면(1f1)에 연속하고 있다. 중간벽(24)은,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도면에서는 좌측만 도시)으로부터 협폭부(12c, 12c)로 덮여 있다.
하부(12b)는, 상부(12a)에 연속하여 커버 장착부(20)를 덮는 부분이다. 하부(12b)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좌우 측부(12b1, 12b1)가 좌우 측방으로 완만하게 팽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하부(12b)의 하단부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후단부에 연속하고 있고, 또한 하부(12b)의 좌우 측부(12b1, 12b1)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좌우 측부(11c1, 11c1)에 연속하고 있다.
하부(12b)의 내면에는, 도 5의 (a), 도 7의 (a),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리브(12b3, 12b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리브(12b3)는, 하부(12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하부 후방면(1f1)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리브(12b3)는, 하부 후방면(1f1)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되고, 하부 후방면(1f1)에 대해 접촉하는 일 없이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리브(12b3)는, 하부 후방면(1f1)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하부(12b)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b2, 12b2)는, 도 3의 (b), 도 7의 (a),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b)(단차 부분)과의 사이에 홈 형상의 간극부(S2)를 개재하여 각각 대향 배치된다. 즉, 커버 장착부(20)에 커버 부재(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 측부 테두리부(12b2, 12b2)가 경계 부분(20b)에 각각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홈 형상의 간극부(S2)는, 하부(12b)로부터 기부(11)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홈 형상의 간극부(S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좌우 측부 테두리부(12b2, 12b2)의 내측에는, 도 7의 (a),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12b5, 12b5)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2b5, 12b5)는, 하부 후방면(1f1)의 코너부(20b1, 20b1)에 대향하고 있고, 커버 부재(10)의 장착 시에 코너부(20b1, 20b1)에 대해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도록(끼움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12b5)는, 코너부(20b1)에 대해 접촉하는 일 없이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단차부(12b5)는, 코너부(20b1)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단차부(12b5, 12b5)는,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에 상당한다.
또한, 하부(12b)의 내면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d)는, 릴 본체(1)의 후방부에 형성된 지지 구멍(5c1)에 삽입 관통된다. 지지 구멍(5c1)에는, 스풀축(5)의 지지 부재(5c)(도 2 참조)가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구멍(5c1)의 측방에는, 경계 부분(20b)에 연속하는 접촉면(20b2, 20b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면(20b2, 20b2)에는, 좌우 측부(12b1, 12b1)의 내면이 대향하고 있다. 좌우 측부(12b1, 12b1)의 내면은, 커버 부재(10)의 장착 시에 접촉면(20b2, 20b2)에 대해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도록(끼움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입상부(12)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이 커버 장착부(20)에 대해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계 부분(20b, 20b)에는, 좌우 측부 테두리부(12b2, 12b2)가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측부(12b1, 12b1)의 전단부가 릴 본체(1)의 좌우 측면(1k)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커버 부재(10)의 장착 형태에 변형을 가지게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좌우 측부(12b1, 12b1)의 내면은,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에 상당한다.
커버 부재(10)의 상기한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b2, 12c2)의 코너부(R)는,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따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부(R)를 둥근 형상으로 모따기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면 형상으로 모따기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커버 부재(10)를 커버 장착부(20)에 장착할 때에는, 커버 장착부(20)의 후방 하방으로부터 커버 부재(10)를 커버 장착부(20)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커버 부재(10)의 입상부(12)의 상단부(10a)를 커버 장착부(20)의 상부벽(21)에 후방으로부터 접촉함과 함께, 기부(11)의 전단부(10b)를 커버 장착부(20)의 하부 전방벽(2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접촉한다. 그렇게 하면,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상부(12)의 단차부(12b5, 12b5)가, 커버 장착부(20)의 하부 후방면(1f1)의 코너부(20b1, 20b1)에 대해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된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상부(12)의 좌우 측부(12b1, 12b1)의 내면이 커버 장착부(20)의 접촉면(20b2, 20b2)에 대해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10)는, 릴 본체(1)의 후방부의 커버 장착부(20)에 상기한 2개의 방향으로부터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a)과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S1)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b)과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b2, 11c2)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S2)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10)는, 홈 형상의 간극부(S1, S2)가 형성된 상태에서, 기부(11)의 나사 구멍(110)을 통해 삽입 관통되는 고정 나사(111)에 의해, 커버 장착부(20)에 고정된다.
또한, 홈 형상의 간극부(S1, S2)의 전체 길이는, 경계 부분(20a, 20b)의 전체 길이의 약 70%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상기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릴 본체(1)의 후방부의 커버 장착부(20)에 접촉함으로써 커버 부재(10)가 위치 결정되므로, 커버 부재(10)의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 부재(10)는, 릴 본체(1)의 후방부에 2개의 방향으로부터 접촉되어 위치 결정되므로, 덜걱거림이 적절하게 억제된 상태에서 릴 본체(1)에 장착된다.
또한, 커버 장착부(20)의 경계 부분(20a, 20b)에 대해, 홈 형상의 간극부(S1, S2)를 형성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10)가 장착되므로, 경계 부분(20a, 20b)에 대해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b2, 12c2)가 맞대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커버 부재(10)를 릴 본체(1)에 덜걱거림 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홈 형상의 간극부(S1, S2)를 갖는 구성이므로, 커버 부재(10)의 성형용 금형이나 프레스형을 새롭게 일으켰을 때에는, 맞댐을 위한 형 수정이 필요 최소한의 형 수정이면 된다. 따라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접촉부에 의해, 커버 부재(10)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2개소를 커버 장착부(20)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커버 장착부(20)에 대해 안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0)의 입상부(12)의 상단부(10a)와, 기부(11)의 전단부(10b)의 2개소를 제1 접촉부로서 커버 장착부(20)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이것 이외의 부분의 2개소를 제1 접촉부로서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2 접촉부에 의해, 커버 부재(10)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을 릴 본체(1)의 후방부의 커버 장착부(20)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좌우 방향의 덜걱거림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커버 장착부(20)에 대해 안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b2, 11c2)의 코너부(R)가 모따기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10)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이 접촉하였을 때의 실 얽힘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 얽힘에 의한 조작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낚시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 부재(10)는, 릴 본체(1)의 후단부의 좌우 측면(1k)에 커버 부재(10)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12a2, 12b2, 11c2)가 각각 걸리는 상태(측면에서 볼 때 오버랩하는 상태)로 장착되므로, 릴 본체(1)의 후방부를 적절하게 덮을 수 있어, 후방부가 손상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릴 본체(1)의 후방부의 표면 처리층이 박리되거나,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 등에 의한 릴 본체(1)에의 충격을 커버 부재(10)로 적절하게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홈 형상의 간극부(S1, S2)에 티끌이나 먼지가 저류되기 어렵고, 해수가 밀려왔을 때에도 해수를 체류시키는 요인으로 되지 않으므로, 부식의 발생을 유발해 버릴 우려도 없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본체(1)의 후방부 코너부에 커버 장착부(2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장착부(20A)에는, 커버 부재(10A)가 장착된다. 커버 부재(10A)는, 양단부(10f, 10g)를 커버 장착부(20A)의 경계 부분(20c)에 맞댄 상태에서 장착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경계 부분(20c)과 커버 부재(10A)의 좌우 양 측부 테두리부(10h)(편측만 도시)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S3)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커버 부재(10A)를 릴 본체(1)에 덜걱거림 없이 장착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형상의 간극부(S1, S2, S3)는, 커버 부재(10, 10A)의 치수 오차에 의한 경계 부분과의 맞댐의 문제를 흡수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되고, 임의의 전체 길이, 임의의 폭을 구비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 10A)의 상하 방향의 2개소를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 : 릴 본체
1k : 좌우 측면
10 : 커버 부재
10a : 상단부(제1 접촉부)
10b : 전단부(제2 접촉부)
11c2 : 좌우 측부 테두리부
12a2 : 좌우 측부 테두리부
12b2 : 좌우 측부 테두리부
20 : 커버 장착부
20a, 20b : 경계 부분
R : 코너부
S1 : 간극부
S2 : 간극부
S3 : 간극부

Claims (4)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커버 장착부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의 후방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장착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통해 상기 커버 장착부에 상기 커버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핸들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의 상하 방향의 전체가 상기 커버 장착부에 씌워져 있고, 또한 상기 릴 본체의 좌우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커버 장착부의 경계 부분과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 사이에는, 홈 형상의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좌우 한 쌍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커버 장착부의 좌우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코너부에 대하여 좌우 양 측방으로부터 접촉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 측부 테두리부는,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좌우의 한 쌍의 단차부 사이에는 한 쌍의 리브가 상기 커버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150041277A 2014-03-28 2015-03-25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337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9468 2014-03-28
JP2014069468A JP6389370B2 (ja) 2014-03-28 2014-03-28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850A KR20150112850A (ko) 2015-10-07
KR102337720B1 true KR102337720B1 (ko) 2021-12-10

Family

ID=5258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277A KR102337720B1 (ko) 2014-03-28 2015-03-25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4007B2 (ko)
EP (1) EP2926654B1 (ko)
JP (1) JP6389370B2 (ko)
KR (1) KR102337720B1 (ko)
CN (1) CN1049384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29168S (ko) * 2014-12-04 2015-07-21
JP1530362S (ko) * 2015-01-06 2015-08-03
JP1551421S (ko) * 2015-01-29 2016-06-13
JP1569321S (ko) * 2016-06-29 2017-02-13
JP6709152B2 (ja) * 2016-12-27 2020-06-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170226A (ja) * 2018-03-28 2019-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05642B2 (ja) * 2018-07-20 2022-07-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02421B2 (ja) * 2018-08-22 2022-01-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11297813B2 (en) * 2019-10-09 2022-04-12 Ricky Karr Fishing reel cover
JP1677855S (ko) * 2020-05-21 2021-01-25
JP1677854S (ko) * 2020-05-21 2021-01-25
JP1705293S (ja) * 2021-05-12 2022-01-18 釣用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544A (ja) 2003-01-29 2004-08-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262729A (ja) * 2005-03-22 2006-10-05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654384B1 (ko) 1999-10-27 2006-12-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우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71A (ja) 1992-05-29 1994-01-21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573312Y2 (ja) 1992-07-27 1998-05-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40107Y2 (ja) * 1992-11-09 1997-07-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GB2280581B (en) * 1993-08-04 1996-12-11 Shimano Kk Spinning reel
JP3392237B2 (ja) * 1994-11-11 2003-03-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3355063B2 (ja) * 1995-06-13 2002-12-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SG104324A1 (en) * 2001-05-22 2004-06-2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SG114660A1 (en) * 2003-04-16 2005-09-28 Shimano Kk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4250035B2 (ja) * 2003-05-13 2009-04-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4314108B2 (ja) * 2003-08-20 2009-08-1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7066419B2 (en) * 2003-09-10 2006-06-27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US6857588B1 (en) * 2003-10-27 2005-02-22 Okuma Fishing Tackle Co., Ltd. Spinning reel having cover for decoration
SG127795A1 (en) * 2005-05-31 2006-12-29 Shimano Kk Spinning reel
JP5236883B2 (ja) * 2007-02-13 2013-07-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7802744B2 (en) * 2007-09-14 2010-09-28 Shimano Inc. Spinning reel
TW200939953A (en) * 2008-03-20 2009-10-01 wen-xiang Li Reel with decorative cover
CN101933499B (zh) * 2009-06-29 2013-08-14 大和精工株式会社 钓鱼用旋转卷线器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KR101930538B1 (ko) * 2010-08-27 2018-12-1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JP5371911B2 (ja) * 2010-08-27 2013-12-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749215B2 (ja) * 2012-04-27 2015-07-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384B1 (ko) 1999-10-27 2006-12-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우터
JP2004229544A (ja) 2003-01-29 2004-08-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262729A (ja) * 2005-03-22 2006-10-05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2102A1 (en) 2015-10-01
US9314007B2 (en) 2016-04-19
KR20150112850A (ko) 2015-10-07
JP2015188409A (ja) 2015-11-02
EP2926654A3 (en) 2015-10-28
EP2926654A2 (en) 2015-10-07
CN104938448A (zh) 2015-09-30
JP6389370B2 (ja) 2018-09-12
EP2926654B1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72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5944804B2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201503598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5001929B2 (ja) 魚釣用リール
JP654703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920789B2 (ja) 複数の部品からなるスライドを有するボビンケースを備えた本縫いミシン用フック
JP67382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576820B2 (ja) 魚釣用リール
KR101131803B1 (ko) 낚싯대
JP5780564B2 (ja) ワイパーアーム
JP537191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462482B1 (ko) 핸들 조립체
JP200719543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031381B2 (ja) 魚釣用リール
JP7049090B2 (ja) ロータ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5483998B2 (ja) 高枝切鋏の把手構造
JP200721541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77529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3079022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067206A5 (ko)
JP5649442B2 (ja) 部品取付け構造
JP202015636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169877A (ja) 金属材質のフロントカバ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JP5044532B2 (ja) 魚釣用リール
JP6121936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