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163B1 -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163B1
KR102337163B1 KR1020140157434A KR20140157434A KR102337163B1 KR 102337163 B1 KR102337163 B1 KR 102337163B1 KR 1020140157434 A KR1020140157434 A KR 1020140157434A KR 20140157434 A KR20140157434 A KR 20140157434A KR 102337163 B1 KR102337163 B1 KR 10233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s
link member
cabinet
air conditioner
parti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049A (ko
Inventor
권형진
전민구
김도연
김현호
박철병
이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163B1/ko
Priority to US14/883,750 priority patent/US10571151B2/en
Priority to EP15858632.1A priority patent/EP3169942B1/en
Priority to PCT/KR2015/011684 priority patent/WO2016076566A1/en
Priority to AU2015347519A priority patent/AU2015347519B2/en
Priority to CN201510769905.XA priority patent/CN105605672B/zh
Publication of KR2016005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049A/ko
Priority to US16/151,575 priority patent/US113268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송풍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재2 캐비닛을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간의 연결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DUCT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SSEMBLING AND DEASSEMBLING METHOD AS THE SAME}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부와 열교환부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송풍부와 열교환부의 연결 시 사용되는 체결나사를 줄이고, 송풍부와 열교환부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열교환기(1)를 내장한 상자형의 제1 캐비닛(3)을 포함하는 열교환부(10)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 조립체(11)와 송풍기 조립체(11)를 내장한 제2 캐비닛(13)을 포함하는 송풍부(20)로 이루어진다.
송풍기 조립체(11)는 제 1및 제2 캐비닛(10)을 구획하는 파티션(30)에 설치되며, 이 파티션(30)의 통풍구(31)에는 한 쌍의 팬케이싱(11a)이 결합되고, 한 쌍의 팬케이싱(11a) 내부에는 각각 송풍팬(11b)이 설치된다. 한 쌍의 송풍팬(11b)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는 한 쌍의 팬케이싱(11a)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송풍기 조립체(11)는 구획패널(30)이 제1 캐비닛(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획패널(3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고정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제1 캐비닛(3)에 고정된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정에 매입 설치한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송풍팬(11b)이나 모터 또는 열교환기(1)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수리를 위해 제1 또는 제2 캐비닛(3,13)의 상판(3a,13a)을 분리하게 되는 데, 이때 상판을 고정할 때 사용되는 고정나사의 개수가 많아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제1 캐비닛(3)의 상판(3a)은 구획패널(30)에 단순히 고정나사(40)에 의해 직접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제1 캐비닛(3)의 상판(3a)과 구획패널(30) 간 연결 부분에 기밀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해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송풍부와 열교환부를 상호 연결 시, 예를 들어 열교환부 측 캐비닛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송풍부 측 캐비닛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연결하기 위해 열교환부 측 캐비닛을 소정 높이로 들어올린 후 열교환부 측 캐비닛의 결합부를 송풍부 측 캐비닛의 결합홈에 끼워 넣는 작업을 행한다.
그런데, 송풍부 및 열교환부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연결 작업을 위해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인원이 필요하였다. 더욱이, 송풍부 및 열교환부 측의 각 캐비닛을 연결하기 위해 많은 수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EP 0034888 B1, JP 2012-233646(EP 2520869 A1)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부 및 열교환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나사의 수를 최소화하고, 연결 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부 및 열교환부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한 덕트형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풍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재2 캐비닛을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간의 연결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구획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제1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각각 밀착하여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홈부에 외접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와인딩 형상으로 다단 절곡되거나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평판 형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은 각각 제1 링크부재와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에 동시에 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하판은 각각 제2 링크부재와 상기 구획패널의 하단부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각 프레임의 걸림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홈부에 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구획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제1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풍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재2 캐비닛을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간의 연결 부분을 각각 다중으로 기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는 양측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또는 하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부에 내접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또는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풍기조립체가 설치되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재2 캐비닛을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캐비닛과 구획패널 간의 연결 부분을 각각 다중으로 기밀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송풍부의 제1 캐비닛과 및 열교환부의 제2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캐비닛의 상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의 제1 및 제2 캐비닛을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Ⅶ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링크부재를 통해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Ⅷ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제1 캐비닛의 상판과 프레임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캐비닛의 상판 분리 시, 제1 캐비닛의 상판과 링크부재 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캐비닛의 상판 분리 시, 제1 캐비닛의 상판과 프레임 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14는 각각 제1 및 제2 캐비닛을 제2 내지 제5 링크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 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송풍부(110) 측을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열교환부(130) 측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송풍부(110) 및 열교환부(1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부(110)는 한 쌍의 송풍기 조립체(111,113)와, 한 쌍의 송풍기 조립체(111,113)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송풍기 조립체(111,113)에 각각 내재된 팬(114)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05)가 포함한다. 또한, 송풍부(110)는 한 쌍의 송풍기 조립체(111,113)와 모터(115)를 감싸는 제1 캐비닛(12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캐비닛(120)은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에 각각 일단부(123a,125a)가 고정나사로 체결되는 좌/우측판(123,125)과, 양단부(127a)가 좌/우측판(123,125)의 하단부에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하판(127)과, 양단부(129a)가 좌/우측판(123,125)의 상단부에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상판(129)을 포함한다. 프레임(121)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연결부(121a)가 형성된다. 좌/우측판(123,125)은 타단부(123b,125b)가 각각 후술하는 구획패널(150)의 양단부(153,154)에 고정나사로 체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캐비닛(120)의 상판(129)은 제1 링크부재(17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 제1 링크부재(170)의 제1 연장부(173)가 삽입되는 제1 홈부(129b)가 형성되고, 프레임(121) 측에 접하는 타단부에는 프레임(121)에 형성된 걸림부(121c, 도 8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홈부(129c)가 형성된다. 각 양단부(129a)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구멍(H)이 각각 3 지점에 관통 형성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캐비닛(120)의 제1 홈부(129b) 및 제2 홈부(129c)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캐비닛(120)의 제1 홈부(129b)는 구획패널(150) 측으로 오픈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다. 즉, 제1 홈부(129b)는 상판(129)의 일단부(1129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일단부(1129a)의 반대측으로 절첩되는 제1 부분(1129b)과, 제1 부분(1129b)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 부분(1129c)과, 제2 부분(1129c)으로부터 연장되어 구획패널(150) 측으로 절곡되는 제3 부분(1129d)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 홈부(129b)는 제1 링크부재(170)의 제1 연장부(173)가 제1 홈부(129b) 내에서 접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홈부(129b)는 제1 링크부재(170)와 함께 제1 캐비닛(120)과 구획패널(150)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캐비닛(120)의 하판(127)의 경우에도 전술한 상판(129)과 같이 일단부(1129a)에 상판(129)의 제1 홈부(129b)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3 홈부가 형성되며, 이 제3 홈부에 제2 링크부재(170a)의 제1 연장부가 접하는 상태로 삽입된다. 또한, 하판(127)은 전술한 상판(129)의 타단부(1129e)와 같이 하판(127)의 타단부에 제4 홈부가 형성된다. 제4 홈부에는 프레임(12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접하는 상태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캐비닛(120)의 상판(129) 및 하판(127)은 구획패널(150)과 연결되는 부분 및 프레임(121)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각각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2 링크부재(170a)가 결합된 J1 부분의 연결 구조는 전술한 도 7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캐비닛(120)의 제2 홈부(129c)는 제1 홈부(129b)와 마찬가지로 다단 절곡되며, 걸림부(121c)가 삽입되도록 프레임(121)의 상단 측으로 오픈된다.
이와 같은 제2 홈부(129c)는 상판(129)의 타단부(1129e)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타단부(1129e)의 반대측으로 절첩되는 제4 부분(1129f)과, 제4 부분(1129f)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5 부분(1129g)와, 제5 부분(1129g)으로부터 연장되어 구획패널(150) 측으로 절곡되는 제6 부분(1129d)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 홈부(129c)는 프레임(121)의 걸림부(121c)가 제2 홈부(129c) 내에서 접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홈부(129c)는 제1 링크부재(170)와 함께 제1 캐비닛(120)과 프레임(121)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129)은 제1 캐비닛(120)에 조립될 때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부분이 상판(129)의 양단부(129a)에 각각 세 지점(총 6개의 고정나사를 사용함)으로 제한됨으로써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고정나사의 사용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110)의 제1 캐비닛(120) 내측에 배치된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 소요되는 상판(129) 분리 및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하판(127) 역시 상판(129)과 동일하게 제1 캐비닛(120)에 조립될 때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부분이 하판(127)의 양단부(127a)에 각각 세 지점(총 6개의 고정나사를 사용함)으로 제한됨으로써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고정나사의 사용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J2, J3, J4 부분의 연결 구조는 전술한 도 8의 구조와 각각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열교환부(130)는 열교환기(131)와 제2 캐비닛(140)을 포함한다. 열교환기(131)는 제2 캐비닛(14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캐비닛(140)은 전술한 제1 캐비닛(120)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2 캐비닛(140)은 프레임(141)과, 프레임(141)에 각각 일단부(143a,145a)가 고정나사로 체결되는 좌/우측판(143,145)과, 양단부(147a)가 좌/우측판(143,145)의 하단부에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하판(147)과, 양단부(149a)가 좌/우측판(143,145)의 상단부에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상판(149)을 포함한다. 프레임(141)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연결부(141a)가 형성된다. 좌/우측판(143,145)은 타단부(143b,145b)가 각각 후술하는 구획패널(150)의 양단부(153,154)에 각각 고정나사로 체결된다.
제2 캐비닛(140)의 상판(149)은 전술한 제1 캐비닛(140)의 상판(149)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판(149)은 제1 링크부재(17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 제1 링크부재(170)의 제2 연장부(175)가 삽입되는 제1 홈부(149b)가 형성되고, 프레임(141) 측에 접하는 타단부에는 프레임(141)에 형성된 걸림부(미도시)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홈부(149c)가 형성된다.
제2 캐비닛(140)의 하판(147) 역시 전술한 제2 캐비닛(140)의 상판()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2 캐비닛(140)의 상판(149) 및 하판(147)은 전술한 제1 캐비닛(120)의 상판(129) 및 하판(127)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41)과의 연결 부분 및 구획부재(150)와의 연결 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고정나사의 사용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은 구획패널(150)에 의해 내부가 구획된다. 이러한 구획패널(150)은 한 쌍의 송풍기 조립체(111,113)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공기배출구(150a,150b)가 형성된다.
구획패널(150)은 상단부(151) 및 하단부(152)에 각각 제1 링크부재(170) 및 제2 링크부재(170a)가 고정나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획패널(150)의 상단부(1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절곡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구획패널(150)의 상단부(151)는 양측에 각각 경사부(1151,1153)가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부(1151,1153) 사이에는 수평부(1152)가 연결 형성된다.
이 경우 수평부(1152)에는 고정나사(S)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152a)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링크부재(170)의 중앙부(171)에도 상기 나사구멍(1152a) 에 대응하는 나사구멍(171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 나사구멍(1152a,171a)은 예를 들면, 3개 정도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각 나사구멍(1152a,171a)은 구획부재(150)와 제1 링크부재(170) 간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면 족하다.
한 쌍의 경사부(1151,1153)는 각각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의 각 상판(129,149)의 제1 홈부(129b,149b)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평부(1152)로부터 각각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획패널(150)의 하단부(152)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통해 제2 링크부재(170a)가 고정되며, 전술한 구획패널(150)의 상단부(15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구획패널(150)은 양단부(153,154)가 각각 고정나사에 의해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의 좌측판(123,143)과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의 우측판(125,145)에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구획판(150)은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링크부재(170)는 중앙부(171)가 구획부재(150)의 상단부(151)를 따라 복수의 고정나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 링크부재(170)는 중앙부(171) 일측에 제1 캐비닛 상판(129)의 제1 홈부(129b)에 기밀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1 연장부(173)가 형성되고, 중앙부(171) 타측에 제2 캐비닛 상판(149)의 제1 홈부(149b)에 기밀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연장부(175)가 형성된다.
제1 연장부(173)는 중앙부(171)로부터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와인딩되는 형상으로 다단 절곡된다. 이 경우 제1 연장부(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홈부(129b)에 삽입 시 다수의 절곡된 부분의 각 모서리가 제1 캐비닛 상판(129)의 제1 홈부(129b)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 캐비닛 상판(129)과 구획부재(150)의 상단부(151) 간의 기밀 지점을 다중으로 형성할 수 있 있어, 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연장부(175)는 전술한 제1 연장부(173)와 마찬가지로 중앙부(171)로부터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와인딩되는 형상으로 다단 절곡된다. 제2 연장부(175) 역시 제2 캐비닛 상판(149)의 제1 홈부(149b)에 삽입 시 다수의 절곡된 부분의 각 모서리가 제1 홈부(149b)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2 캐비닛 상판(149)과 구획부재(150)의 상단부(151) 간의 기밀 지점을 다중으로 형성할 수 있어, 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및 제2 연장부(173,175)를 3단 절곡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2단 또는 4단 이상 절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홈부(129b,149b)와 다중 지점에서 밀착됨으로써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170a)는 구획부재(150)의 하단부(152)에 체결되며 전술한 제1 링크부재(170)와 마찬가지로 중앙부(171a)의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연장부(173a,175a)가 와인딩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연장부(173a,175a)는 제2 캐비닛 하판(127,147)의 각 제1 홈부(127b,147b)에 기밀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는 각 캐비닛(120,140)의 상판(129,149) 및 하판(127,147)과 구획부재(150) 간 연결부분, 각 캐비닛(120,140)의 상판(129,149) 및 하판(127,147)과 각 프레임(121,141) 간 연결부분에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캐비닛(120,140)의 상판(129,149) 및 하판(127,147)은 제1 및 제2 링크부재(170,170a) 간 연결구조와, 각 프레임(121,141) 간 연결구조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나사의 개수를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캐비닛(120)으로부터 상판(129)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판(129)의 양단부(129a)에 각각 체결된 복수의 고정나사를 풀고, 제1 링크부재(170)에 체결된 복수의 고정나사를 푼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상판(129)의 제1 홈부(129b)를 A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이와 연동하여 제1 링크부재(170)는 제2 연장부(175)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상판(129)의 제1 홈부(129b)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링크부재(170)의 제1 연장부(173)는 제1 홈부(129b)로부터 이탈한 후 자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제1 링크부재(170)의 제1 연장부(173)가 제1 홈부(129b)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에서, 상판(129)을 제2 캐비닛(140) 측으로 당기면 상판(129)의 제2 홈부(129c)가 프레임(121)의 걸림부(121c)와 분리되면서 상판(129)가 제1 캐비닛(120)으로부터 분리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판(129)의 제1 홈부(129b) 측이 A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10과 같이, 상판(129)의 제2 홈부(129c)에 삽입된 프레임(121)의 걸림부(121c)는 상판(129)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시간 내에 간단한 작업을 통해 제1 캐비닛(120)으로부터 상판(129)을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상판(129)을 제1 캐비닛(120)에 장착하는 경우, 제1 캐비닛(120)으로부터 상판(129)을 분리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판(129)의 제2 홈부(129c)에 프레임(121)의 걸림부(121c)를 삽입한 후, 프레임(121)의 걸림부(121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9에 표시된 A방향의 역방향으로 상판(129)의 제1 홈부(129b)를 제1 링크부재(170) 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판(129)의 제1 홈부(129b)를 제1 링크부재(170)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링크부재(170)의 제1 연장부(173)를 들어 올려 상판(129)의 제1 홈부(129b)에 삽입한 후, 상판(129)의 제1 홈부(129b)를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단부(129a)가 좌/우측판(123,125)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그 후, 제1 링크부재(170)를 구획패널(150) 상단부(151)에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상판(129)의 양단부(129a)를 각각 좌/우측판(123,125)에 고정나사로 각각 체결하여, 상판(129)을 제1 캐비닛(120)에 결합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의 상하 구조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송풍부(110) 및 열교환부(130)를 상호 연결할 때 어느 한쪽을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을 연결할 때,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캐비닛(120,140)의 각 좌/우측판(123,125;143,145)을 구획패널(150)의 양단부(153,154)에 고정나사로 체결함으로써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110) 및 열교환부(130)를 상호 연결 및 분리할 때, 작업자를 1인만 투입하여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70.170a)에 대응하는 다앙한 형태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270,370,470,57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270,370,470,570)에 대해서는 구획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획부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링크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는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170,170a)와 유사하게 구획부재(250)의 상단부(1251)를 따라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중앙부(271)와, 중앙부(271)의 양측으로 각각 제1 및 제2 연장부(273,275)가 와인딩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273,275)는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170,170a)와 달리,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연장부(273,275)는 외측이 제1 및 제2 캐비닛의 각 상판(229,249)의 제1 홈부(229b,249b)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각 제1 홈부(229b,249b)에 삽입된다. 이처럼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는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170,170a)와 마찬가지로 제1 홈부(229b,249b)의 내측면과 각각 3지점에서 외접하는 상태로 밀착됨에 따라 기밀 지점이 다중으로 형성된다.
도 11에서는 제1 및 제2 연장부(273,275)를 대략 원형에 가깝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물결 모양과 같이 곡률을 가지는 요철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제1 및 제2 연장부(273,275) 제1 홈부(229b,249b)의 내측에 외접하면서 다중 지점에서 밀착되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는 중앙부(271)와 구획패널(250)의 상단부(1251)에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각각 적어도 2개의 나사구멍(271a,125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는 상판(229,249)을 제1 및 제2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시,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170.170a)와 마찬가지로 상판(229,249)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돕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상판(229,249)의 후단부는 각각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홈부가 형성되고, 각 홈부에는 제1 및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각 걸림부가 외접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각 걸림부는 각 홈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3곳의 기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는 구획패널(250)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 링크부재(미도시)를 통해 구획패널(25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링크부재는 전술한 링크부재(27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추가 링크부재와 접하는 각 하판(미도시)의 일단부 역시 전술한 링크부재(270) 및 상판(229,249) 간의 형성되는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 하판의 타단부는 전술한 상판(229,249)의 후단부와 프레임 간의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를 적용하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그 조립 및 분해과정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링크부재(170)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링크부재(370)는 중앙부(371)와 중앙부(371)의 양측에 각각 평판 형상의 제1 및 제2 연장부(373,375)가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구획부재(350)의 상단부(351)는 링크부재(370)의 중앙부(371)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는 수평부(1352)와, 수평부(1352)의 양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제1 및 제2 경사부(1351,1353)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329,349)은 각각 링크부재(370) 측으로 절곡부(1329,1349)가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캐비닛 상판(329)의 절곡부(1329)는 링크부재(370)의 제1 연장부(373)에 밀착되는 제1 부분(1329a)과, 제1 부분(1329a)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부재(350)의 상단부(351)의 제2 경사부(1353)와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제2 부분(1329b)을 형성한다. 또한, 제2 캐비닛 상판(349)의 절곡부(1349)는 링크부재(370)의 제2 연장부(375)에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제2 부분(1349a)과, 제2 부분(1349a)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부재(350)의 상단부(351)의 제1 경사부(1351)와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제2 부분(1349b)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의 링크부재(370)를 적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상판(329,349)의 각 절곡부(1329,1349)와 구획부재(350)의 상단부(351) 간의 기밀 지점이 다중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상판(329,349)의 후단부는 각각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홈부가 형성되고, 각 홈부에는 제1 및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각 걸림부가 외접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각 걸림부는 각 홈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3곳의 기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링크부재(370)는 구획패널(350)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 링크부재(미도시)를 통해 구획패널(35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링크부재는 전술한 링크부재(37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추가 링크부재와 접하는 각 하판(미도시)의 일단부 역시 전술한 링크부재(370) 및 상판(329,349) 간의 형성되는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 하판의 타단부는 전술한 상판(329,349)의 후단부와 프레임 간의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링크부재(370)가 적용되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조립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제1 및 제2 캐비닛 중 어느 하나의 캐비닛에 고정나사로 구획패널(350)을 체결한다.
이어서 나머지 캐비닛을 구획패널(350)과 마주하도록 구획패널(350)이 체결된 캐비닛을 향해 동일 평면을 따라 이동시킨 후, 나머지 고정나사를 통해 캐비닛을 구획패널(350)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329,349)을 각각 제1 및 제2 캐비닛의 좌우측판의 상단에 각각 체결한다. 이때,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의 일단부는 구획패널(350)과 각각 면 접촉상태로 밀착되어 기밀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링크부재(370)를 구획패널(350)의 상단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체결한다. 이때, 링크부재(370)의 제1 및 제2 연장부(373,375)는 구획패널(350)에 체결 시 자연스럽게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의 일단부에 면 접촉상태로 밀착됨에 따라 기밀이 이루어진다.
또한, 추가 링크부재를 사용하여 구획패널(350)의 하단부에 체결하며, 이때 제1 및 제2 캐비닛의 하판의 일단부가 구획패널(350)에 면 접촉상태로 밀착되어 기밀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판(329,349)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는 경우, 먼저 링크부재(370)를 구획패널(350)의 상단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상판을 좌우측판으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하게 상판의 분리작업이 완료된다. 이처럼 상판(329,349)은 종래에 비해 적은 수의 고정나사를 사용하므로 상판 분리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470)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주변의 연결부분들과 면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다중 기밀지점을 형성한다.
즉,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470)는 중앙부(471)가 3부분(471a,471b,471c)으로 절곡되어 홈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471)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부(473,475)가 평판 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중앙부(471)의 일부(471a)는 구획패널(450)의 상단부(451)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적어도 2이상의 고정나사(S)에 의해 체결된다.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429,449)은 각각 링크부재(370) 측으로 절곡부(1429,1449)가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캐비닛 상판(429)의 절곡부(1429)는 링크부재(470)의 제1 연장부(373)에 밀착되는 제1 부분(1429a)과, 제1 부분(1429a)에 연장 형성되어 링크부재(470)의 중앙부(471)의 일부(471b)에 밀착되는 제2 부분(1429b)과, 제2 부분(1429b)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부재(450)의 상단부(451)와 밀착되는 제3 부분(1329b)을 형성한다.
또한, 제2 캐비닛 상판(449)의 절곡부(1449)는 링크부재(470)의 제2 연장부(375)에 밀착되는 제1 부분(1449a)과, 제1 부분(1449a)에 연장 형성되어 링크부재(470)의 중앙부(471)의 일부(471c)에 밀착되는 제2 부분(1449b)과, 제2 부분(1449b)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부재(450)의 상단부(451)와 밀착되는 제3 부분(1349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470)를 적용하는 경우도, 전술한 제3 실시예와 같이 기밀 지점이 다중으로 확보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상판(429,449)의 후단부는 각각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홈부가 형성되고, 각 홈부에는 제1 및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각 걸림부가 외접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각 걸림부는 각 홈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기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470)는 구획패널(450)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 링크부재(미도시)를 통해 구획패널(45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링크부재는 전술한 링크부재(47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추가 링크부재와 접하는 각 하판(미도시)의 일단부 역시 전술한 링크부재(470) 및 상판(429,449) 간의 형성되는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 하판의 타단부는 전술한 상판(429,449)의 후단부와 프레임 간의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캐비닛 내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누출되면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1 및 제2 캐비닛 가운데 제1 캐비닛에서의 공기 누출보다 열교환기(131)가 내재된 제2 캐비닛에서의 공기 누출을 차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를 덕트형 공기조화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470)를 적용하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그 조립 및 분해과정이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링크부재(370)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는 중앙부(571)와, 중앙부(571)의 양측으로 제1 및 제2 연장부(573,575)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연장부(573)는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270)의 제1 연장부(273)와 같이 소정 곡률을 갖도록 와인딩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다.
제2 연장부(575)는 평판 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캐비닛의 상판(549)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캐비닛의 상판(529)은 제1 연장부(573)가 삽입되는 제1 홈부(529b)를 구비하지만, 제2 캐비닛의 상판(549)은 제1 홈부가 생략된다.
한편, 링크부재(570)의 중앙부(571)와 구획패널(550)의 상단부(551)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각각 적어도 2개의 나사구멍(571a,55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131)가 배치되는 제2 캐비닛의 상판(549)과 링크부재(570)의 제2 연장부(575)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제2 캐비닛의 공기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를 사용하는 경우 링크부재(570)의 제1 연장부(573)와 제1 캐비닛 상판(529)에 형성된 제1 홈부(529b) 간에 기밀 지점이 다중으로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상판(529,549)의 후단부는 각각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홈부가 형성되고, 각 홈부에는 제1 및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각 걸림부가 외접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각 걸림부는 각 홈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3곳의 기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는 구획패널(550)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 링크부재(미도시)를 통해 구획패널(55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링크부재는 전술한 링크부재(57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추가 링크부재와 접하는 하판(미도시)의 일단부 역시 전술한 링크부재(570) 및 상판(529,549) 간의 형성되는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 하판의 타단부는 전술한 상판(529,549)의 후단부와 프레임 간의 기밀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가 적용되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조립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제1 및 제2 캐비닛 중 어느 하나의 캐비닛에 구획패널(550)을 고정나사로 체결한다.
이어서 나머지 캐비닛을 구획패널(550)과 마주하도록 구획패널(550)이 체결된 캐비닛을 향해 동일 평면을 따라 이동시킨 후, 나머지 고정나사를 통해 캐비닛을 구획패널(550)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529,549)을 각각 제1 및 제2 캐비닛의 좌우측판의 상단에 각각 체결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525,549) 중 하나(525)는 링크부재(570)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달리 링크부재의 체결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570)가 적용되는 공기조화장치는 상판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링크부재(570)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상판()의 일단부와 밀착하게 되면서 다중 지점에서 기밀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캐비닛의 하판 역시 전술한 상판(525,549)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좌우측판에 각각 체결한다.
한편, 상판(529,549) 중 링크부재(570)가 일체로 구비된 상판(529)을 분리하는 경우, 상판(529)을 좌우측판으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하게 상판의 분리작업이 완료된다.
아울러, 링크부재(570)를 구비하지 않는 상판(549)를 분리하는 경우, 먼저 링크부재(570)를 구비한 상판(529)을 분리한 후 제2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동일한 링크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170,270,370,470,570)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장치(100)를 천정에 매입 설치한 후, 유지 보수를 위해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상판의 경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170,270)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판에 비해 자주 열지 않는 하판은 제3 내지 제5 실시예의 링크부재(370,470,570)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프레임과 기밀구조를 형성하는 상판 및 하판의 타단부는 홈부와 각 프레임의 걸림부를 통한 기밀 구조 대신에 제3 및 제4 실시예의 링크부재(370,470), 상판 및 구획부재 간의 면 접촉을 통해 다중 기밀 지점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송풍부
120: 제1 캐비닛
130: 열교환부
140: 제2 캐비닛
150,250,350,450,550: 구획패널
170,270,370,470,570: 링크부재

Claims (29)

  1.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간의 연결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구획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제1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캐비닛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각각 밀착하여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홈부에 외접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와인딩 형상으로 다단 절곡되거나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평판 형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은 각각 제1 링크부재와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에 동시에 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하판은 각각 제2 링크부재와 상기 구획패널의 하단부에 동시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각 프레임의 걸림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홈부에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에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간의 연결 부분을 각각 다중으로 기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는 양측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또는 하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부에 내접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는 양측이 와인딩 형상으로 다단 절곡되거나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는 양측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또는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송풍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재2 캐비닛을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캐비닛과 구획패널 간의 연결 부분을 각각 다중으로 기밀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은 각각 상기 제2 캐비닛의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삭제
  18.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 및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 또는 하판의 일단부에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각 제1 홈부에 외접하여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 또는 하판의 타단부에 각각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각 프레임에는 상기 제2 홈부에 외접하여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양단부는 각각 와인딩 형상으로 다단 절곡되거나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을 구획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2. 구획패널를 제1 및 제2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구획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을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상판 및 하판의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의 홈부에 각각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양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을 상기 구획패널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양단부는 상판 및 하판의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에 형성된 홈부에 각각 외접하도록 삽입되어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조립방법.
  23. 삭제
  24. 제1 및 제2 캐비닛 중 어느 하나의 상판을 제1 캐비닛으로부터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
    체결이 해제된 상기 상판의 양단부 중 링크부재에 삽입된 일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상판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는 제2 캐비닛의 양단부 중 상기 제1 캐비닛의 상판에 마주하는 일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상판의 일단부로부터 이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분해방법.
  25.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된 구획패널; 및
    상기 구획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 또는 하판의 일단부에 각각 면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에 면 접촉하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일단부는 상기 구획패널에 면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일단부는 서로 면 접촉하는 지점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면 접촉하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타단부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각 프레임에는 상기 홈부에 외접하여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8. 제1 및 제2 캐비닛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 및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캐비닛 상판 또는 하판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도록 삽입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나머지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면 접촉하는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타단부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캐비닛의 각 프레임에는 상기 홈부에 다중기밀지점을 형성하도록 삽입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40157434A 2014-11-12 2014-11-12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KR10233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34A KR102337163B1 (ko) 2014-11-12 2014-11-12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US14/883,750 US10571151B2 (en) 2014-11-12 2015-10-15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EP15858632.1A EP3169942B1 (en) 2014-11-12 2015-11-03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PCT/KR2015/011684 WO2016076566A1 (en) 2014-11-12 2015-11-03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AU2015347519A AU2015347519B2 (en) 2014-11-12 2015-11-03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CN201510769905.XA CN105605672B (zh) 2014-11-12 2015-11-12 管道式空调装置及其装配和拆卸方法
US16/151,575 US11326806B2 (en) 2014-11-12 2018-10-04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34A KR102337163B1 (ko) 2014-11-12 2014-11-12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049A KR20160057049A (ko) 2016-05-23
KR102337163B1 true KR102337163B1 (ko) 2021-12-09

Family

ID=5591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434A KR102337163B1 (ko) 2014-11-12 2014-11-12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71151B2 (ko)
EP (1) EP3169942B1 (ko)
KR (1) KR102337163B1 (ko)
CN (1) CN105605672B (ko)
AU (1) AU2015347519B2 (ko)
WO (1) WO2016076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9717B2 (ja) * 2016-04-21 2018-01-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
KR102479090B1 (ko) * 2017-12-14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WO2021089121A1 (en) * 2019-11-05 2021-05-14 Mahle International Gmbh Fan apparatus and fan
CN114076350A (zh) * 2020-08-18 2022-02-22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风管机及其风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573A (ja) 2004-09-08 2006-04-20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EP2224184A1 (en) 2007-12-27 2010-09-0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2011122810A (ja) 2009-11-12 2011-06-23 Nojima Kakusei Seisakusho:Kk ダクト補強取付用金具並びにダクト補強具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2373A (en) * 1938-12-01 1942-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3630549A (en) * 1970-01-22 1971-12-28 John A Grimm Frame and cleat joint connector for ducts
DK145586C (da) 1980-02-21 1983-05-09 Nordisk Ventilator Kantsamling til sammenfoejning af praefabrikerede kanalsektioner og/eller apparatkabinetter
DE3131519C2 (de) * 1981-08-08 1985-04-25 Bergham Export GmbH, 2050 Hamburg An Gehäusezellen, kastenförmigen Gerätegehäusen, Kabelschächten o.dgl. vorgesehene Verbindung eines lösbaren Wandungsteils
JPS5916914A (ja) 1982-07-15 1984-01-28 Nippon Kokan Kk <Nkk> 2層冷却帯からなる高炉炉壁の冷却構造
JPS5916914U (ja) * 1982-07-21 1984-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一体形空気調和機のベ−ス構造
GB8510909D0 (en) * 1985-04-30 1985-06-05 Vickers Plc Office screens & partitions
US5112024A (en) * 1988-08-22 1992-05-1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Modular room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056290A (en) 1989-11-15 1991-10-15 Ac Corporation Method, assembly and apparatus for joining panels
JPH07324805A (ja) 1994-05-30 1995-12-12 Nippon P-Mac Kk ウォールスルー形マルチ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とその運転方法
KR0123022B1 (ko) 1995-03-20 1997-12-01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조립구조
KR200225294Y1 (ko) 2000-12-15 2001-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6758502B2 (en) * 2001-01-17 2004-07-06 Lindab Ab Coupling ring for ventilation ducts, and method of connecting ventilation ducts
KR100405982B1 (ko) 2001-02-12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조기의 유로 구조
KR20050019444A (ko) 2003-08-19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263850B2 (en) 2003-11-24 2007-09-04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429216B2 (ja) 2005-06-20 2010-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組み立て方法
JP5036203B2 (ja) 2006-03-31 2012-09-26 株式会社クボタ 空気調和機
US8167152B1 (en) * 2007-02-08 2012-05-01 3Form, Inc. Variable height and angle panel mount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9046212B2 (en) * 2007-02-08 2015-06-02 3Form, Llc Panel mounting system
JP2008261541A (ja) 2007-04-11 2008-10-30 Kimura Kohki Co Ltd 天井設置形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JP2011094817A (ja) 2009-10-27 2011-05-12 Fujitsu General Ltd ダクト型空気調和機
US8549804B2 (en) * 2010-10-21 2013-10-08 Kimball International, Inc. Office partition electrical system
JP5832135B2 (ja) 2011-05-06 2015-1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EP2722609B1 (en) 2011-06-20 2019-05-01 Sanyo Electric Co., Ltd Built-in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JP5761097B2 (ja) 2012-03-26 2015-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201876B1 (ko) 2012-04-27 2012-11-1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CN203797797U (zh) 2014-04-18 2014-08-27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风管式空调室内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573A (ja) 2004-09-08 2006-04-20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EP2224184A1 (en) 2007-12-27 2010-09-0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2011122810A (ja) 2009-11-12 2011-06-23 Nojima Kakusei Seisakusho:Kk ダクト補強取付用金具並びにダクト補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9942B1 (en) 2021-03-24
KR20160057049A (ko) 2016-05-23
AU2015347519A1 (en) 2017-02-16
EP3169942A4 (en) 2018-08-01
US10571151B2 (en) 2020-02-25
US20160131390A1 (en) 2016-05-12
CN105605672B (zh) 2020-03-27
WO2016076566A1 (en) 2016-05-19
CN105605672A (zh) 2016-05-25
EP3169942A1 (en) 2017-05-24
AU2015347519B2 (en) 2018-12-06
US11326806B2 (en) 2022-05-10
US20190030662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163B1 (ko)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CN1014622B (zh) 清洁室建筑结构
US10001285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711459B2 (en) Interior panel and interior panel structure
KR2016008422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2799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20204463A (ja) 架台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US20140091692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8267727A (ja) 冷凍空調装置
WO2019151313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4148292A (ja) 車両用空気調和機
CN107906706A (zh) 全热交换器
WO2022110984A1 (zh) 壳体组件、空调室外机和空调设备
EP1682829B1 (en) Ventilator
WO2021218351A1 (zh) 风管机室内机和风管机
CN219934223U (zh) 转轮除湿机固定框结构
JP202111932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5939612U (zh) 空调室内机面板及具有其的空调器
KR100511281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유니트의 컨트롤 박스 체결 구조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10602107U (zh) 新风机
CN211714759U (zh) 一种便于拆装和检修的提升机竖向周侧板结构
CN220728379U (zh) 一种双侧出风冷风机
KR102249861B1 (ko) 차량용 그릴
JP201204742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