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729B1 - 싸인보드 - Google Patents

싸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729B1
KR102336729B1 KR1020210033775A KR20210033775A KR102336729B1 KR 102336729 B1 KR102336729 B1 KR 102336729B1 KR 1020210033775 A KR1020210033775 A KR 1020210033775A KR 20210033775 A KR20210033775 A KR 20210033775A KR 102336729 B1 KR102336729 B1 KR 10233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plate
outer arm
lower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21003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 주변을 통과하거나 위치한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각종 광고 목적으로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는 싸인보드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프레임(2);
상기 프레임(2) 전방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램프가 발광하는 전광판(3);
상기 전광판(3) 후방의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되고 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양단부를 따라 출몰(出沒)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해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되어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가 발광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아암(4); 및
상기 아암(4)이 프레임(2) 내,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아암(4)을 왕복 이동시키는 출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싸인보드{Sign board}
본 발명은 각종 공사현장 주변을 통과하거나 위치한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각종 광고 목적으로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는 싸인보드에 관한 것이다.
싸인보드는 주의를 환기시킬 목적으로 보는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여 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광고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싸인보드는 야간에도 사람의 시선을 쉽게 유도할 수 있도록 시인성 확보를 위해 발광램프가 장착되고, 설치장소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이동식으로 사용된다. 특히 도로확장 공사와 같이 공사 진척도에 따라 공사현장이 자주 변경되는 곳에는 싸인보드를 차량에 장착하여 변경된 공사현장에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종래 싸인보드에 관한 특허문헌은 공개특허 제10-2019-0052393호의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이 2019년 05월 16일 공개되었다. 이 특허문헌은 도로공사안내표시장치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센서(22)와, 각종 도로공사관련 싸인보드 표출용 안내정보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설정입력부(12)와, 상기 GPS센서 및 설정입력부 기반 도로공사관련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도로공사관련 안내정보에 따른 LED드라이브(16)의 LED 제어출력에 따라 주행방향 지시신호와 문자안내 정보를 표출하는 LED어레이 블록으로 구성된 전광판 내장 싸인보드(18)와, 상기 싸인보드를 탑재한 도로공사 안내차량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문헌은 싸인보드(18)의 양측에 위치한 화살표가 붙박이 형태로 고착되어 있으므로 사용 시 전체 길이를 그 보다 더 길게 연장시킬 수 없는 형태이고, 또한 불사용 시 전광판(19)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차량에 탑재하여 안전한 장소에 정차된 상태로 사용 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없으므로 상시 차량폭 내부의 위치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시인성을 높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싸인보드(18)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광판(19)에 설치된 투명한 LED램프가 비, 눈, 태양광에 상시 노출되어 방치되므로 단시간에 누렇게 변색되어 선명도가 약화되어 시인성이 떨어지고 이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싸인보드에 관한 다른 특허문헌은 등록특허 제10-2110959호의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가 2020년 05월 14일에 공고되었다. 이 특허문헌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받침부재; 상기 고정받침부재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인보드부재; 상기 사인보드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고정받침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기립용 구동부재; 상기 사인보드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받침부재에 설치되는 접철용 구동부재; 상기 고정받침부재와 상기 사인보드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록킹부재와 상기 고정받침부재와 상기 사인보드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록킹부재로 이루어진 록킹부재;를 마련하여, 도로공사 현장 주변에 차량의 운행을 안내하는 방향 표시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공사가 완료되면 방향 표시장치의 사인보드부재를 접어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었다.
이 특허문헌의 경우도 비록 불사용 시 방향 표시장치의 사인보드부재를 접어 필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안전한 장소에 주차하여 사용 시 길이를 차량폭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시키고 차량 주행 시 길이를 차량폭 내부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시 외부에 노출 방치되므로 발광램프가 변색되어 시인성이 떨어지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싸인보드에 관한 또 다른 특허문헌은 등록특허 제10-1719099호의 "싸인보드승강장치"가 2017년 03월 23일 공고되었다. 이 특허문헌은 싸인보드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을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는 다단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특허문헌의 경우도 앞선 2개의 종래 특허문헌과 동일하게 시인성이 저하되고 상시 노출에 의해 발광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23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09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9099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싸인보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싸인보드 사용 시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발광램프가 장착된 아암을 사용 시 프레임의 길이방향 외부로 노출시켜 길이를 연장하여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싸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싸인보드 불사용 시 발광램프가 장착된 아암을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켜 비, 눈, 태양광 등으로부터 아암을 보호함으로써 단시간에 발광램프가 변색되어 선명도가 약화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싸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싸인보드 불사용 시 발광램프가 장착된 아암을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켜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아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싸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싸인보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이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양단부를 따라 출몰(出沒)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해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어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가 발광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이 프레임 내,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아암을 왕복 이동시키는 출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싸인보드는 프레임 전방에 전원공급에 의해 램프가 발광하는 전광판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각 접면부 근처에 형성된 레일에 결속브래킷이 끼워져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 머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암은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출몰수단의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아암은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출몰수단의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이들 중 중앙부분에 위치한 내부아암은 출몰시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내부에 수용되게 고정되고, 상기 내부아암 외측에 위치한 상외부아암 또는 하외부아암 또는 상,하외부아암은 출시(出時) 모드일 때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후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몰수단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때 샤프트가 정,역회전하는 모터;
상기 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함께 구동하는 볼스크류;
상기 아암이 장착되고, 볼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에 체결된 볼스크류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를 왕복이동 가능하게 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외부아암이 출몰할 때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외부아암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1힌지축;
상외부아암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힌지축 근처의 상외부아암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1스토퍼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상외부아암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1레버;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상외부아암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제1,2감지센서가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여기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상외부아암은 자중에 의해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된다.
본 발명은 하외부아암이 출몰할 때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하외부아암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2힌지축;
하외부아암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
상기 제2힌지축 근처의 하외부아암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2스토퍼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하외부아암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2레버;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하외부아암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하외부아암을 잡아당겨 프레임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2감지센서가 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출몰수단은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볼스크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봉;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관통되게 수용하여 아암 출몰시 가이드봉에 구속된 상태로 왕복이동하여 플레이트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감지센서는 리미트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레버는 그와 대응되는 상,하외부아암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하외부아암이 벌어진 후 정지될 때 각각 대응되는 제1,2스토퍼에 면접촉 상태로 걸림 정지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싸인보드는 아암이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의 샤프트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아암이 프레임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노출된 후 내부아암 측면에 위치한 외부아암이 외측으로 벌어져 방사상 형태로 펼쳐지므로 전체 싸인보드는 사용 전 본래의 프레임 길이보다 측면으로 노출된 아암의 길이만큼 더 돌출되므로 야간에 발광램프가 발광하면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레임 외부로 아암이 노출되면 싸이보드의 길이는 사용 전보다 연장되므로, 중앙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된 전광판과 이 전광판 양측으로 노출되고 벌어진 아암에서 각각 발광램프가 발광하므로 전체 발광면적이 증가하여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의 샤프트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노출된 아암이 프레임 내부로 이동하여 보이지 않게 되므로 사용 시보다 길이가 줄어들어 된다. 따라서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할 경우 싸인보드의 전체 길이는 프레임 길이와 같으므로 프레임 길이를 차량폭과 같거나 좁게 하면 법규상 문제가 되지 않아 차량 주행에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이 아암이 프레임 내부로 이동하면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가 비, 눈, 태양광 등에 노출되지 않아 발광램프의 투명부분은 단시간에 변색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은 싸인보드 취급시 아암이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물리적인 함에 파손 등의 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싸인보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싸인보드의 전광판을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양측에 설치된 아암이 별도로 구동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아암이 프레임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배면을 보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일체로 조립된 측단면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암이 노출된 것을 확대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아암 설치상태를 확대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볼스크류와 가이드봉 설치상태를 보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배면을 보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감지세서가 아암이 노출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정지위치를 감지한 것을 보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아암이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아암이 프레임의 덮개를 밀치면서 노출되기 시작한 초기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아암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외부아암이 벌어지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아암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외부아암이 완전히 벌어진 상태를 보인 사진
도 16은 도 15의 아암을 확대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싸인보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싸인보드(1)는 프레임(2); 상기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되고 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양단부를 따라 출몰(出沒)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전원스위치(미도시) 조작에 의해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되어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41)가 발광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불사용 시 원위치로 복원되고 발광램프(41)가 소등하는 아암(4); 및 상기 아암(4)이 프레임(2) 내,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아암(4)을 왕복 이동시키는 출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은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데,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내부에 아암(4)을 수납할 수 있는 함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프레임(2)은 아암(4)이 출몰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개방된다. 개방된 측면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덮개(21)에 의해 폐쇄된다. 프레임(2)의 전방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폐쇄될 경우에는 그 노출된 부분에 자동차의 조명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미도시) 또는 후술하는 전광판(3)이 장착될 수 있다. 반사시트는 자동차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의 전방이 개방될 경우에는 이 부분에 전광판(3)을 장착하여 전방을 폐쇄하여 내부에 수납된 아암(4)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덮개(21)는 아암(4)이 노출될 때 이동하는 아암(4)에 밀려 개방되고, 아암(4)이 원위치로 복원될 때 탄성부재(21a)의 탄성력에 닫히게 된다. 상기 덮개(21)를 개폐하는 탄성부재(21a)는 일단부가 프레임(2)에 타단부가 덮개(21)에 각각 고정되어 덮개(21)가 개방될 때 늘어나 탄성을 축적한 상태에서 아암(4)이 프레임(2) 내부로 복원될 때 축적된 탄성력으로 덮개(21)를 강제로 닫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은 비교적 부피가 크므로,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게 구성하여, 분리된 각 접면부 근처에 형성된 레일(22)에 결속브래킷(23)을 끼워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과 같이 프레임(2) 2개를 대칭형태로 분리 제작하여 이들을 결속브래킷(23)을 이용하여 일체로 조립하였다.
상기 프레임(2)은 설치장소에 볼트(B)로 체결할 수 있도록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B) 머리를 삽입하는 슬롯(24)이 형성된다. 이 슬롯(24)은 수용된 볼트(B) 머리가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볼트(B) 머리를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2) 전방에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램프(31)가 발광하는 전광판(3)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광판(3)은 노출된 프레임(2) 전방에 스크류 등으로 체결 고정되어 프레임(2) 전방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전광판(3)은 무수히 많은 발광램프(31)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콘트롤러(65)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된 발광램프(31)가 발광하여 조명을 제공하거나 필요한 조명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 사용된 발광램프(31)는 싸인보드(1)의 크기를 감안하여 엘이디(LED)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전광판(3)은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이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암(4)은 프레임(2)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프레임(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덮개(21)를 통해 출몰(出沒)한다. 이 아암(4)에는 도면과 같이 발광램프(41)로 사용하는 엘이디(LED)모듈이 장착되어 전원이 공급될 때 조명을 발하여 야간에 높은 시인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아암(4)은 도면과 같이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출몰수단의 플레이트(82)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아암(4)은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이들 중 중앙부분에 위치한 내부아암(42)은 출몰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에 수용되게 고정되고, 상기 내부아암(42) 외측에 위치한 상외부아암(43) 또는 하외부아암(44) 또는 상,하외부아암(43)(44)은 출시(出時) 모드일 때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후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2개의 내부아암(42) 양외측에 상,하외부아암(43)(44)을 갖추어 이들이 출시(出時) 모드에 벌어지게 하여 내부아암(42)과 협력하여 전체 아암(4)이 방사상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였다.
중앙부분에 위치한 내부아암(42)은 도 3과 같이 출몰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에 상시 위치하므로 회전할 필요가 없어 플레이트(82)에 고착되게 고정하는 것이 좋다. 이들은 플레이트(82)에 고정되는 일단부는 서로 근접되게 타단부는 벌어지게 고정하여 출시(出時) 모드에 상,하외부아암(43)(44)과 협력하여 방사상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아암(4)은 본 발명에서 4개가 사용됨을 예시로 보이고 있으며, 싸인보드(1)의 크기에 따라 그 수량을 가감할 수 있다. 출시(出時) 모드에 방사상 형태로 벌어진 복수 개의 아암(4)이 각 발광램프(41)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면, 이는 마치 사람이 아암(4)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흔드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이 빈번하게 주행하는 도로 작업현장에 설치하면 운전자들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내부아암(42) 외측에 위치한 상외부아암(43) 또는 하외부아암(44) 또는 상,하외부아암(43)(44)은 구동수단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 구동수단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외부아암(43)을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상외부아암(43)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1힌지축(60);
상외부아암(43)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2)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61);
상기 제1힌지축(60) 근처의 상외부아암(43)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1스토퍼(61)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상외부아암(43)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1레버(62);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상외부아암(43)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될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63);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64); 및
상기 제1,2감지센서(63)(64)가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31)(41)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5);를 포함하고,
여기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상외부아암(43)은 자중에 의해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된다.
상기 제1힌지축(60)은 상외부아암(43)이 회전하여 벌어짐과 오므림 할 수 있도록 1개가 사용되며, 상외부아암(4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끼워진다.
상기 제1스토퍼(61)는 도 16과 같이 프레임(2) 상부의 상외부아암(43) 이동 경로상에 고정되어 출시(出時) 모드 말기에 상외부아암(43)에 장착된 제1레버(62)를 걸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1레버(62)가 제1스토퍼(61)에 걸림 정지된 상태에서 플레이트(82) 이동에 따라 상외부아암(43)이 플레이트(82)를 따라 약간 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 정지된 제1레버(62)에 의해 상외부아암(43)은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가 제1스토퍼(61)를 축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제1힌지축(60)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의 자유단부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1레버(62)는 제1힌지축(60) 근처의 상외부아암(43)에 장착되고 그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제1스토퍼(61)에 걸림정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제1레버(62)는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1스토퍼(61)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상외부아암(43)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한다.
또한, 제1레버(62)는 상외부아암(43)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외부아암(43)이 벌어진 후 정지될 때 제1스토퍼(61)에 면접촉 상태로 걸림 정지될 수 있도록 절곡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레버(62)에 의해 벌어진 상외부아암(43)은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내부아암(42)과 협력하여 방사상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싸인보드(1)의 길이를 연장시키게 되므로 전광판(3)과 함께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63)는 출시(出時) 모드일 때 벌어지는 상외부아암(43)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될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63)는 도 11과 같이 근접센서를 사용하였다. 제1감지센서(63)는 출시(出時) 모드일 때 이동하는 플레이트(82) 저면에 돌출된 대상물(82a)이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하여 플레이트(82)를 정지시킨다. 상기 플레이트(82)를 정지시키는 시점은 상외부아암(43)이 제1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의 자유단부가 벌어짐이 완료된 시각이다. 이 시점에서 플레이트(82) 이동을 정지되므로 상외부아암(43)은 더 이상 벌어지지 않고 정지되어 내부아암(42)과 협력하여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2감지센서(64)는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1감지센서(63)와 동종의 것을 사용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감지센서(63)(64)는 리미트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82) 저면에 돌출된 대상물(82a)이 리미트스위치를 터치하면 콘트롤러(65)의 제어에 의해 모터(80)의 구동이 정지되어 플레이트(82)도 정지된다.
상기 콘트롤러(65)는 상기 제1,2감지센서(63)(64)가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콘트롤러(65)는 발광램프(31)(41)가 입력된 시간과 순서에 따라 발광할 수 있도록 발광램프(31)(41)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외부아암(43)을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출시(出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정회전하여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된 상외부아암(43)을 벌어지게 하고,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를 원위치로 복귀킨다. 플레이트(82)가 복귀하면 이 과정에서 제1레버(62)가 스토퍼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상외부아암(43)은 자중에 의해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되어 도 12와 같이 내부아암(4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하외부아암(44)이 출몰할 때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하외부아암(44)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2힌지축(70);
하외부아암(44)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2)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71);
상기 제2힌지축(70) 근처의 하외부아암(44)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2스토퍼(71)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하외부아암(44)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2레버(72);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하외부아암(44)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될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63);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64);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하외부아암(44)을 잡아당겨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73); 및
상기 제1,2감지센서(63)(64)가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31)(41)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힌지축(70), 제2스토퍼(71), 제2레버(72), 제1감지센서(63), 제2감지센서(64) 및 콘트롤러(65)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상외부아암(43)을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73)는 하외부아암(44)이 내부아암(42) 하부에 위치하므로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가 원위치로 복귀되어도 벌어진 하외부아암(44)이 중력 때문에 복원되지 않을 때 도 8 및 도 12와 같이 하외부아암(44)을 잡아당겨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73)는 힘의 크기에 따라 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개를 사용하여 복원에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한편, 아암(4)을 프레임(2)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상기 출몰수단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때 샤프트가 정,역회전하는 모터(80);
상기 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함께 구동하는 볼스크류(81);
상기 아암(4)이 장착되고, 볼스크류(81)의 정,역회전에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82); 및
상기 플레이트(82)에 고정되고 그에 체결된 볼스크류(81)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82)를 왕복이동 가능하게 하는 너트(8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80)는 아암(4)을 프레임(2) 내,외부로 출몰시켜야 하므로 정,역회전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볼스크류(81)는 플레이트(82)에 장착된 너트(83)에 체결되어, 모터(80)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하여 너트(83), 이 너트(83)를 장착한 플레이트(82), 상기 플레이트(82)에 장착된 아암(4)을 통체로 왕복이동시켜 아암(4)을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스크류(81)와 너트(83)는 관련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요소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82)는 너트(83)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볼스크류(81)가 정회전할 때 프레임(2)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그에 장착된 아암(4)을 프레임(2) 외부로 노출시켜 출시(出時) 모드가 되게 하고, 볼스크류(81)가 역회전할 때 원위치로 복원하여 아암(4)을 프레임(2) 내부로 이동시켜 몰시(沒時) 모드가 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출몰수단은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82)를 안내할 수 있도록 볼스크류(81)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봉(84); 및
상기 플레이트(82)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84)을 관통되게 수용하여 아암(4) 출몰시 가이드봉(84)에 구속된 상태로 왕복이동하여 플레이트(82)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84)은 프레임(2)에 고정되고, 플레이트(82)에 고정된 가이드블록(85)은 가이드봉(84)을 관통되게 내부에 수용하게 되므로, 결국 플레이트(82)는 가이드봉(84)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플레이트(82)는 모터(80)가 정,역회전할 때 볼스크류(81)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가이드봉(84)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그를 따라 직선운동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모터(80)에 구동에 따라 아암(4)이 출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아암(4)이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모터(80)를 정회전 시키면, 모터(80)의 구동에 따라 볼스크류(81)가 회전하므로 볼스크류(81)에 체결된 너트(83)에 의해 플레이트(82)가 프레임(2)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82)에 고정된 아암(4)은 도 13과 같이 덮개(21)를 밀치면서 프레임(2)은 외부로 노출되어 출시(出時) 모드가 된다. 계속해서 가이드봉(84)의 안내에 따라 플레이트(82)가 이동하면 제1,2레버(62)(72)가 제1,2스토퍼(61)(71)에 걸려 정지된다. 이후 플레이트(82) 이동에 의해 상,하외부아암(43)(44)이 약간 더 이동하면 정지된 제1,2레버(62)(72)에 의해 상,하외부아암(43)(44)은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가 제1,2스토퍼(61)(71)를 축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제1,2힌지축(60)(70)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힌지축(60)(7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벌어지게 되므로 도 14와 같이 방사상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후 플레이트(82) 저면에 돌출된 대상물(82a)이 제1감지센서(63)와 일치되면 콘트롤러(65)의 제어에 의해 모터(80)의 구동이 정지되어 아암(4)은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어 출시(出時) 모드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출시(出時) 모드가 완료되면, 전광판(3)과 아암(4)에 장착된 발광램프(31)(41)에서 조명이 발생하여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광판(3)과 아암(4)에 장착된 발광램프(31)(41)는 출시(出時) 모드를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출시(出時) 모드 상태로 사용을 완료한 다음,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몰시(沒時)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모터(8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에 따라 플레이트(82)는 원상태로 복원되기 시작한다. 플레이트(82)가 복귀하기 시작하면 제1,2레버(62)(72)가 제1,2스토퍼(61)(71)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상외부아암(43)은 자중에 의해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되어 도 12와 같이 내부아암(4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레버(72)가 제2스토퍼(71)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탄성부재(73)가 하외부아암(44)을 잡아당기므로 하외부아암(44)은 내부아암(4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후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80)에 의해 플레이트(82)는 이동하여 그의 저면에 돌출된 대상물(82a)이 제2감지센서(64)와 일치되면 콘트롤러(65)의 제어에 의해 모터(80)의 구동이 정지되어 아암(4)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몰시(沒時) 모드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은 출시(出時) 모드일 때 아암(4)이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되어 싸인보드(1)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므로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몰시(沒時) 모드일 때 싸인보드(1)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암(4)이 프레임(2)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아암(4)과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41)가 비, 눈, 태양광 등에 노출되지 않아 발광램프(41)의 투명부분은 단시간에 변색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싸인보드(1) 취급시 아암(4)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파손 등의 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진보성을 갖춘 발명이라 하겠다.
1 : 싸인보드 2 : 프레임
3 : 전광판 4 : 아암
42: 내부아암 43 : 상외부아암
44 : 하외부아암 60 : 제1힌지축
61 : 제1스토퍼 62 : 제1레버
63 : 제1감지센서 64 : 제2감지센서
65 : 콘트롤러 70 : 제2힌지축
71 : 제2스토퍼 72 : 제2레버
73 : 탄성부재 80 : 모터
81 : 볼스크류 82 : 플레이트
83 : 너트

Claims (12)

  1. 프레임(2);
    상기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되고 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양단부를 따라 출몰(出沒)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해 프레임(2) 외부로 노출되어 그에 설치된 발광램프(41)가 발광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아암(4); 및
    상기 아암(4)이 프레임(2) 내,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아암(4)을 왕복 이동시키는 출몰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아암(4)은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출몰수단의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이들 중 중앙부분에 위치한 내부아암(42)은 출몰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에 수용되게 고정되고, 상기 내부아암(42) 외측에 위치한 상외부아암(43) 또는 하외부아암(44)은 출시(出時) 모드일 때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후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 전방에 전원공급에 의해 램프(31)가 발광하는 전광판(3)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2)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각 접면부 근처에 형성된 레일(22)에 결속브래킷(23)이 끼워져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B) 머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4)은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일단부가 출몰수단의 플레이트(8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몰수단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때 샤프트가 정,역회전하는 모터(80);
    상기 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함께 구동하는 볼스크류(81);
    상기 아암(4)이 장착되고, 볼스크류(81)의 정,역회전에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82); 및
    상기 플레이트(82)에 고정되고 그에 체결된 볼스크류(81)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82)를 왕복이동 가능하게 하는 너트(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외부아암(43)이 출몰할 때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상외부아암(43)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1힌지축(60);
    상외부아암(43)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2)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61);
    상기 제1힌지축(60) 근처의 상외부아암(43)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1스토퍼(61)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상외부아암(43)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1레버(62);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상외부아암(43)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63);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64); 및
    상기 제1,2감지센서(63)(64)가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31)(41)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5);를 포함하고,
    여기서,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상외부아암(43)은 자중에 의해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외부아암(44)이 출몰할 때 벌어짐과 오므림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플레이트(82)에 장착되고 하외부아암(44)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제2힌지축(70);
    하외부아암(44) 이동 경로 주변의 프레임(2)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71);
    상기 제2힌지축(70) 근처의 하외부아암(44)에 장착되고,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제2스토퍼(71)에 걸림 정지되어 직선운동하는 하외부아암(44)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를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제2레버(72);
    출시(出時) 모드일 때 상기 벌어지는 하외부아암(44)이 지정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63);
    몰시(沒時) 모드일 때 원위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64);
    몰시(沒時) 모드일 때 모터(80)가 역회전하여 플레이트(8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외부로 벌어진 하외부아암(44)을 잡아당겨 프레임(2)의 폭방향 영역 내부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2감지센서(63)(64)가 플레이트(82)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면 정,역회전하는 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램프의 조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몰수단은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82)를 안내할 수 있도록 볼스크류(81)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봉(84); 및
    상기 플레이트(82)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84)을 관통되게 수용하여 아암(4) 출몰시 가이드봉(84)에 구속된 상태로 왕복이동하여 플레이트(82)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8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2감지센서(63)(64)는 리미트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1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2레버(62)(72)는 그와 대응되는 상,하외부아암(43)(44)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하외부아암(43)(44)이 벌어진 후 정지될 때 각각 대응되는 제1,2스토퍼(61)(71)에 면접촉 상태로 걸림 정지될 수 있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
KR1020210033775A 2021-03-16 2021-03-16 싸인보드 KR10233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75A KR102336729B1 (ko) 2021-03-16 2021-03-16 싸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75A KR102336729B1 (ko) 2021-03-16 2021-03-16 싸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729B1 true KR102336729B1 (ko) 2021-12-06

Family

ID=7890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75A KR102336729B1 (ko) 2021-03-16 2021-03-16 싸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7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283A (ko) * 2006-02-09 2007-06-08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0804577B1 (ko) * 2007-10-04 2008-02-20 장규원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1719099B1 (ko) 2016-04-05 2017-03-23 이윤규 싸인보드승강장치
KR20180064689A (ko) * 2016-12-06 2018-06-15 (주)예스안전 사인보드
KR20190052393A (ko) 2017-11-08 2019-05-16 국윤민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KR102110959B1 (ko) 2019-02-07 2020-05-14 김영한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283A (ko) * 2006-02-09 2007-06-08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0804577B1 (ko) * 2007-10-04 2008-02-20 장규원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1719099B1 (ko) 2016-04-05 2017-03-23 이윤규 싸인보드승강장치
KR20180064689A (ko) * 2016-12-06 2018-06-15 (주)예스안전 사인보드
KR20190052393A (ko) 2017-11-08 2019-05-16 국윤민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KR102110959B1 (ko) 2019-02-07 2020-05-14 김영한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4660B1 (ko)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KR200430535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KR101305435B1 (ko) 차량용 삼각대
KR101852385B1 (ko) 전동 그늘막 시스템
EP0352386A1 (en) Foldable warning distress sign
KR101308606B1 (ko)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US6246314B1 (en) Vehicle locator device
KR102018275B1 (ko) 차량 비치용 led 자동 안전삼각대
US7164352B2 (en) Safety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487818B1 (en) Lighted parking gate
KR102336729B1 (ko) 싸인보드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2409589B1 (ko) 교체설치가 용이한 도로안내표지판
ITTO20030989A1 (it) Dispositivo a barriera aerodinamica a scomparsa predisponibile sotto il pianale di un autoveicolo, ed autoveicolo di tale dispositivo.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CN113216030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道路交通标志识别系统
ES2549792T3 (es) Dispositivo de visión trasera para un vehículo
KR102450920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JP3574852B1 (ja) ドアミラー
KR20010077509A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CN106274666A (zh) 一种自动展开式机动车用三角警告牌
KR20220032239A (ko) 광고판이 구성된 접이식 벤치
KR101259722B1 (ko) 접이식 안전표지 삼각대용 발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