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099B1 - 싸인보드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싸인보드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099B1
KR101719099B1 KR1020160041368A KR20160041368A KR101719099B1 KR 101719099 B1 KR101719099 B1 KR 101719099B1 KR 1020160041368 A KR1020160041368 A KR 1020160041368A KR 20160041368 A KR20160041368 A KR 20160041368A KR 101719099 B1 KR101719099 B1 KR 10171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air
shaped
frame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규
김요한
이다인
Original Assignee
이윤규
김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규, 김요한 filed Critical 이윤규
Priority to KR102016004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Abstract

싸인보드승강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보드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을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는 다단실린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싸인보드승강장치{LIFTING APPARATUS OF SIGNBOARD}
본 발명은 싸인보드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싸인카는 도로상에서 차선의 변경을 유도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차선변경을 유도하고, 도로의 공사 및 시설물 유지 보수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의 공사 현장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선의 방향을 지시하여 안전한 운행을 유도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싸인카가 도시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싸인카는 화물용 차량(0)의 화물수용석에 싸인보드(9)가 고정 구조체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구조체는, 싸인보드(9)가 장착되는 장착부(3), 장착부(3)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대(2), 지지대(2)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4) 및 일단은 수직부(4)에 연결되고, 타단은 장착부(3)에 고정되는 실린더(1)를 포함하며, 실린더(1)의 구동에 의해 장착부(3)가 지지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됨으로써, 싸인보드(9)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싸인카는, 화물수용석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고, 실린더(1)가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는바, 실린더(1)의 손상 가능성이 커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싸인보드(9)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에 한계가 있어 싸인보드(9)의 시인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092호
본 발명은 간명한 구조로 싸인보드의 다단 승하강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싸인보드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싸인보드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다단실린더부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한 싸인보드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ㄷ형장착프레임의 ㄷ형외측프레임에 대한 승하강 구동에도 불구하고 ㄷ형장착프레임이 ㄷ형외측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싸인보드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차량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승강부; 승강부에 설치되어서 승강부(6)의 작동시 상하로 승강되는 싸인보드로 이루어지며, 싸인보드가 하나의 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보드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을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는 다단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1상하구동가이드부;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2상하구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 각각의 내측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ㄴ형수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상기 싸인보드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편 및 상기 절곡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ㄴ형수용구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상기 싸인보드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절곡편을 포함하되, 상기 절곡편과 상기 외측절곡편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 각각의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한 상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3상하구동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단실린더부가 ㄷ형장착프레임을 ㄷ형외측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시키고, ㄷ형외측프레임을 ㄷ형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간명한 구조로, 싸인보드가 다단으로 승강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싸인보드승강장치가 구현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ㄷ형장착프레임의 ㄷ형외측프레임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1 상하구동가이드부 및 ㄷ형외측프레임의 ㄷ형지지프레임에 대한 상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2상하구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ㄷ형장착프레임 및 ㄷ형외측프레임의 승하강 구동시 다단실린더부의 부담을 줄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ㄷ형장착프레임의 ㄴ형수용구와 ㄷ형외측프레임의 맞물림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ㄷ형장착프레임의 ㄷ형외측프레임에 대한 승하강 구동에도 불구하고 ㄷ형장착프레임이 ㄷ형외측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ㄷ형지지프레임의 외측절곡편과 ㄷ형외측프레임의 절곡편 사이에 제3상하구동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ㄷ형지지프레임과 ㄷ형외측프레임의 상호 결합성이 향상되면서, ㄷ형외측프레임의 ㄷ형지지프레임에 대한 승하강 구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싸인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싸인카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단실린더부가 개략적인 도시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제2 및 제3상하구동가이드부가 구비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첩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첩부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절첩부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0의 절첩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첩부를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절첩부를 D-D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0의 절첩부의 전선과 전선 트레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하측, 좌측, 우측 등)는 도면에 나타난 구성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좌측,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우측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이하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싸인카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싸인카는 차량(0)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승강부(6)와, 승강부(6)에 설치되어서 승강부(6)의 작동시 상하로 승강되는 싸인보드(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싸인카는 싸인보드(9)가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싸인카는, 승강부(6)가 하나의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telescopic cylinder)이루어질 수 있다.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 하부를 차량(0)의 적재함(5)에 설치하고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단부에 싸인보드(9)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싸인보드(9)를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부(6)의 구조는 하나의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싸인보드(9)를 승강시키기 위해 제1단(6a), 제2단(6b), 제3단(6c), 제4단(6d), 제5단(6e)이 길이방향을 따라 접철되도록 구비되고, 제1단(6a) 내지 제5단(6e)이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승강부(6) 내부에 별도의 실린더(도시안됨)가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전후진되면 이에 연결된 제1단(6a) 내지 제5단(6e)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승강부(6)가 싸인보드(9)를 승강시키기 위해 제1단(6a), 제2단(6b), 제3단(6c), 제4단(6d), 제5단(6e)이 길이방향을 따라 접철되도록 구비되고, 제1단(6a) 내지 제5단(6e)이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이들에 구동모터(도시안됨)와, 구동모터와 제1단(6a) 내지 제5단(6e)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의 구동시 제1단(6a) 내지 제5단(6e)을 펼치거나 겹쳐지도록 하는 와이어(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보드(9)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하여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이 상대적으로 승강 구동함으로써, 1차적으로 싸인보드(9)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하여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이 상대적으로 승강 구동함으로써, 2차적으로 싸인보드(9)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구동은 다단실린더부(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다단실린더부(8)가 개략적인 도시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다단실린더부(8)를 포함한다.
다단실린더부(8)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ㄷ형장착프레임(11) 및 ㄷ형외측프레임(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단실린더(8)의 구동에 의해, ㄷ형외측프레임(21)이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구동할 수 있고, 다단실린더(8)의 구동에 의해, ㄷ형장착프레임(11)이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제2 및 제3상하구동가이드부가 구비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1상하구동가이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하구동가이드부(31)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과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상하구동가이드부(31)는 ㄷ형외측프레임(21)의 내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ㄷ형장착프레임(11)의 외면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과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는 ㄷ형지지프레임(41) 의 내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ㄷ형외측프레임(21)의 외면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의하면, ㄷ형장착프레임(11) 및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다단실린더부(8)에 의한 승하강 구동시, ㄷ형장착프레임(11)은 제1 상하구동가이드부(31)에 가이드될 수 있고, ㄷ형외측프레임(21)은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다단실런더부(8) 구동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ㄷ형장착프레임(11) 및 ㄷ형외측프레임(21)이 용이하게 승하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내측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ㄴ형수용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싸인보드(9)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편(211) 및 절곡편(211)으로부터 절곡되어 ㄴ형수용구(111)와 맞물리는 맞물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ㄷ형장착프레임(11)의 ㄴ형수용구(111)와 ㄷ형외측프레임(21)의 맞물림부(212)의 맞물림에 의해, ㄷ형장착프레임(11)과 ㄷ형외측프레임(21)의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ㄷ형장착프레임(11)의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한 승하강 구동에도 불구하고 ㄷ형장착프레임(11)이 ㄷ형외측프레임(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상기 싸인보드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어 절곡편(21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절곡편(4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곡편(211)과 외측절곡편(411) 사이에는 제3상하구동가이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ㄷ형지지프레임(41)과 ㄷ형외측프레임(21)의 상호 결합성이 향상되면서, ㄷ형외측프레임(21)의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한 승하강 구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싸인보드승강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측면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차량에 구비됨으로써, 싸인카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가 발휘하는 효과를 다시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의하면, 다단실린더부(8)가 ㄷ형장착프레임(11)을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시키고, ㄷ형외측프레임(21)을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간명한 구조로, 싸인보드(9)가 다단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의하면, ㄷ형장착프레임(11)의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1 상하구동가이드부(31) 및 ㄷ형외측프레임(21)의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한 상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ㄷ형장착프레임(11) 및 ㄷ형외측프레임(21)의 승하강 구동시 다단실린더부(8)의 부담이 줄어,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의하면, ㄷ형장착프레임(11)의 ㄴ형수용구(111)와 ㄷ형외측프레임(21)의 맞물림부(21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ㄷ형장착프레임(11)의 ㄷ형외측프레임(21)에 대한 승하강 구동에도 불구하고 ㄷ형장착프레임(11)이 ㄷ형외측프레임(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ㄷ형지지프레임(41)의 외측절곡편(411)과 ㄷ형외측프레임(21)의 절곡편(211) 사이에 제3상하구동가이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ㄷ형지지프레임(41)과 ㄷ형외측프레임(21)의 상호 결합성이 향상되면서, ㄷ형외측프레임(21)의 ㄷ형지지프레임(41)에 대한 승하강 구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이하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와 다단실린더부(8)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히 설명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보드(9)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다단실린더부(8)를 포함한다.
다단실린더부(8)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단실린더부(8)는 베이스부(84), 베이스부(84)로부터 상하 구동하는 1단부(82) 및 1단부(82)로부터 상하 구동하는 2단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단부(81)와 ㄷ형장착프레임(11)은 연결프레임(8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이하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및 이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히 설명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싸인보드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싸인보드승강장치는, 싸인보드(9)의 하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절첩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절첩부(830) 각각은, 싸인보드(9)의 좌측부의 하측 및 우측부의 하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절첩부(8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절첩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절첩부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절첩부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절첩부(830)는 싸인보드(9)를 승강 구동 또는 하강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다단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830)는 다단계로 상승하면서 강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첩부(830)는 기부(840)와, 기부(840)에 결합되어 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841)와, 기부(840)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850)와, 제1실린더(850)에 내접하는 제2실린더(860)와, 제2실린더(860)에 내접하는 제3실린더(870)를 포함한다.
제2실린더(860)는 제1실린더(850)의 내측에서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실린더(870)는 제2실린더(860)의 내측에서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절첩부(830)는 제2실린더(860)와 제3실린더(870)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상승하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이라는 함은, 제1실린더(850), 제2실린더(860), 제3실린더(870)의 공통적인 길이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각 실린더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은 실직적으로 각 실린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절첩부(83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부(830)는 기부(840)와, 기부(840)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850)와, 제1실린더(850)에 내접하며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실린더(860)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는 막대기어(853)와, 막대기어(853)에 치합되어 막대기어(853)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기어(863)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는 제1스크류(852)와, 제1스크류(852)와 스크류 결합하는 제1너트(862)를 포함한다.
기부(84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넓은 판 형태의 부재로서, 절첩부(830)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기부(840)는 일 측에 제1실린더(850)와 구동모터(84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실린더(850)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850)는 일 측이 기부(840)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타 측은 제2실린더(860)가 내접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실린더(850)의 일 측은 기부(840)에 결합되어 밀폐되고, 타 측은 제2실린더(860)가 내접하며 제1실린더(850) 의 길이 방향으로 연통되거나 중첩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1실린더(850)는 하단부에 고정블록(851)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블록(85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부재로, 고정블록(851)은 하단부가 기부(840)에 부착되어 제1실린더(850)를 밀폐할 수 있다. 고정블록(851)은 고정블록(851)을 완전히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851)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은 각각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을 수용할 수 있다.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는 고정블록(851)을 관통하여 기부(840)에 결합될 수 있다.
막대기어(853)는 외측에 기어치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환봉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막대기어(853)은 일단부가 고정블록(851)을 완전히 관통하여 기부(8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는 구조이다. 막대기어(853)은 기부(840)의 내부에 결합된 제2구동기어(843)와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구동모터(841)는 기부(840)에 일 측에 부착되며, 모터로 형성되어 절첩부(830)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모터(841)는 모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절첩부(8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구동모터(841)는 제1구동기어(842)와 제2구동기어(8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기어(842)와 제2구동기어(843)는 외측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제1구동기어(842)의 기어치와 제2구동기어(843)의 기어치는 서로 치합할 수 있다.
구동모터(841)는 기부(840)를 관통하여 기부(840)의 내부에 형성된 제1구동기어(842)와 결합된다. 구동모터(841)를 작동시켜 제1구동기어(842)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제1구동기어(842)는 제2구동기어(843)와 치합하여 제2구동기어(843)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막대기어(853)은 구동력을 전달받은 제2구동기어(84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막대기어(853)의 외측에는 이송기어(863)가 치합될 수 있다. 이송기어(863)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치와 막대기어(853)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치가 치합함으로써, 이송기어(863)는 막대기어(85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송기어(863)는 기어봉(853)을 따라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송기어(863)는 제2실린더(8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스크류(852)는 외측에 스크류가 형성된 환봉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크류(852)는 일 측이 고정블록(851)을 관통하여 기부(84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 측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는 구조이다. 제1스크류(852)는 막대기어(853)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스크류(852)에는 제1너트(86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너트(862)는 내측이 제1스크류(22)의 스크류와 결합되어 제1스크류(852)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1너트(862)는 제2실린더(8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너트(862)는 제2실린더(860)에 결합된 이송기어(86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너트(862)가 제1스크류(852)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면,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실린더(860)는 제1실린더(85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부재로, 제1실린더(850)에 내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860)는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실린더(850)를 이탈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제2실린더(860)의 하단부에는 제1이송블록(861)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린더(860)의 하단부는 제1이송블록(86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제1이송블록(86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부재로, 제2실린더(860)와 함께 제1실린더(85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이송블록(861)에는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돌기(86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861a)가 형성됨으로써 제1실린더(850)에 형성된 고정블록(21)의 구멍의 위치와 제2실린더(860)에 형성된 제1이송블록(861)의 구멍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구멍의 위치가 일치함으로써,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는 고정블록(851)과 제1이송블록(86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는 단면 형상이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의 단면형상을 비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가 회전하여 고정블록(851)에 형성된 구멍과 제1이송블록(861)에 형성된 구멍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의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경우, 제1돌기(861a)는 불필요할 수 있다.
제1이송블록(861)의 내부에는 막대기어(853)와 치합하는 이송기어(863)와, 제1스크류(852)과 결합하는 제1너트(8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블록(861)의 내부 중앙에는 미들기어(8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미들기어(864)는 이송기어(863)와 제1너트(862) 사이에 개재되며, 외측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미들기어(864)의 기어치는 이송기어(863)의 기어치와 치합하여 제1너트(86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84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은 제2구동기어(843)에 전달되어 막대기어(853)을 회전시킨다. 막대기어(853)의 외측에 치합된 이송기어(863)는 미들기어(864)를 통해 제1너트(86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스크류너트(862)는 회전하며 제1스크류(852)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이송블록(861)이 상승한다. 미들기어(864)는 내측에 제2 스큐류봉(865)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스크류(865)는 외측에 스크류가 형성된 환봉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크류(865)는 일 측이 제1이송블록(861)에 형성된 미들기어(864)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제2스크류(865)는 미들기어(864)에 결합되어, 미들기어(86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스크류(865)에는 제2너트(87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너트(872)는 내측이 제2스크류(865)의 스크류와 결합되어, 제2스크류(865)가 회전하면 제2스크류(865)의 외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스크류 너트(872)는 제3실린더(87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너트(872)가 제2스크류(865)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 제3실린더(870)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3실린더(870)는 제2실린더(8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부재로, 제2실린더(860)에 내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린더(870)는 제2실린더(86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2실린더(860)를 이탈할 수 없다. 이러한 제3실린더(870)의 하단부에는 제2이송블록(871)이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린더(870)의 하단부는 제2이송블록(87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제2이송블록(87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부재로, 제3실린더(870)와 함께 제2실린더(86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이송블록(871)의 내부에는 제2스크류(865)과 결합하는 제2너트(87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너트(872)가 제2스크류(865)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 제2이송블록(871)이 상승한다. 제2이송블록(871)에는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과 제2스크류(865)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실린더(860)와 제3실린더(87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실린더(860)와 제3실린더(8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돌기(87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871a)가 형성됨으로써 제2실린더(860)에 형성된 제1이송블록(861)의 위치와 제3실린더(870)에 형성된 제2이송블록(871)의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구멍의 위치가 일치함으로써, 막대기어(853)와 제1스크류(852)는 제1이송블록(861)과 제2이송블록(87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고, 제2스크류(865)도 제2이송블록(871)을 관통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157을 참조하여 절첩부(830)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0의 절첩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첩부를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절첩부를 D-D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부(830)는 구동모터(841)를 작동하여 각각의 실린더를 다단계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절첩부(830)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는 제2 실린더(860)가 내접하며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제1실린더(850)에 형성된 고정블록(851)과 제2실린더(860)에 형성된 제1이송블록(861)은 중첩될 수 있다. 즉, 고정블록(851)의 상부와 제1이송블록(861)의 하부가 접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는 제3실린더(870)가 내접하며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제3실린더(870)가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제1이송블록(861)의 상부와, 제3실린더(870)에 형성된 제2이송블록(871)의 하부는 접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막대기어(853)은 일 측이 기부(840)의 내부에 회전 결합되고, 타 측은 고정블록(851)과 제1이송블록(861)과 제2이송블록(871)을 관통하며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크류(852)는 일 측이 기부(840)에 고정되고, 타 측은 고정블록(851)과 제1이송블록(861)과 제2이송블록(871)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크류(865)는 일 측이 제1이송블록(861)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2이송블록(871)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절첩부(830)를 상승시키는 경우일 수 있다. 구동모터(841)를 작동시키면 기부(840)의 내부에 형성된 제1구동기어(842)가 회전한다. 제1구동기어(842)가 회전하면, 제2구동기어(843)가 회전하고, 제2구동기어(843)에 결합된 막대기어(853)가 회전한다. 막대기어(853)가 회전하면, 막대기어(853)와 치합하는 이송기어(863)가 막대기어(853)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며 상승한다. 이송기어(863)의 회전에 의해 미들기어(864)가 회전하고, 미들기어(864)에 결합된 제2스크류(865)과 미들기어(864)의 외측에 접하는 제1너트(864)가 회전한다. 제1너트(864)는 회전하며 제1스크류(865)의 외측을 따라 상승한다. 이송기어(863)와 제1너트(864)가 상승함으로써, 이송기어(863)와 제1너트(864)가 결합된 제1이송블록(861)이 상승하게 된다. 제1이송블록(861)이 상승함에 따라 제2실린더(86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너트(872)는 미들기어(864)에 의해 회전하는 제2스크류(865)의 외측을 따라 상승한다. 제2스크류 (872)가 상승함으로써, 제2너트(872)가 결합된 제2이송블록(871)이 상승하게 된다. 제2 이동블록(871)에 의해 제3실린더(870)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승하게 된다.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3실린더(870)가 제2실린더(86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절첩부(830)는 단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제1실린더(850)와 제2실린더(860) 및 제3실린더(870)는 제1돌기(861a)와 제2돌기(871a)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여 도 10의 절첩부(830)의 전선(881)과 전선안내구(88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절첩부(830)는 전선(881)과 전선안내구(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첩부(830)는 전선(881)과 전선안내구(880)에 의해 제2실린더(860)와 제3실린더(870)를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다단계로 상승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0의 절첩부의 전선과 전선안내구(88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절첩부(830)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는 제2실린더(860)가 내접하며 완전히 수용된다.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제1실린더(850)의 형성된 고정블록(851)의 상부는 제2실린더(860)에 형성된 제1이송블록(861)의 하부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는 제3실린더(870)가 내접하며 완전히 수용되고, 제1이송블록(861)의 상부와 제3실린더(870)에 형성된 제2이송블록(871)의 하부는 접하게 된다.
한편, 전선안내구(880)는 일단부가 고정블록(851)을 관통하여 기부(84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선안내구(880)는 중첩된 고정블록(851)과 제1이송블록(861)및 제2이송블록(871)을 관통하여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이송블록(861)에는 전선안내구(880)가 관통할 수 있는 제1관통구멍(도 12의 86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블록(871)에는 전선안내구(880)와 전선(881)이 관통할 수 있는 제2관통구멍(도13의 87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멍(873)는 제1관통구멍(836)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관통구멍(873)가 제1관통구멍(836)보다 넓은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관통구멍(873)와 제1관통구멍(836)는 크기가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선안내구(880)의 타단부에는 전선(881)이 고정될 수 있다. 전선(881)은 일단부가 전선안내구(88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3실린더(87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881)은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에 수용되고, 제3실린더(870)가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중첩된 채로 제3실린더(8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9를 참조하면, 절첩부(830)가 상승된 경우일 수 있다. 제2실린더(860)는 제1실린더(85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3실린더(870)는 제2실린더(86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절첩부(830)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제1이송블록(861)은 제1관통구멍(836)를 통해 전선안내구(88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이송블록(871)은 제2관통구(873)를 통해 전선안내구(88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절첩부(830)가 완전히 연장되어 상승하면, 제3실린더(870)의 내부에 중첩되어 있던 전선(881)의 일부가 펴지면서, 제1실린더(8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원의 일, 이 및 삼 구현예에 따른 싸인보드승강장치에 있어서,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은, 노듈러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노듈러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노듈러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은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노듈러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노듈러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노듈러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이 노듈러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팅층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ㄷ형장착프레임 111: ㄴ형수용구
21: ㄷ형외측프레임 211: 절곡편
212: 맞물림부 31: 제1상하구동가이드부
32: 제2상하구동가이드부 33: 제3상하구동가이드부
41: ㄷ형지지프레임 411: 외측절곡편
8: 다단실린더부 9: 싸인보드
81: 2단부 82: 1단부
88: 연결프레임 84: 베이스부
830: 절첩부 840: 기부
841: 구동모터 842: 제1구동기어
843: 제2구동기어 850: 제1실린더
851: 고정블록 852:제1스크류
853: 막대기어 860: 제2실린더
861: 제1이송블록 861a: 제1돌기
862: 제1너트 863: 이송기어
864: 미들기어 865: 제2스크류
866: 제1관통구 870: 제3실린더
871: 제2이송블록 871a: 제2돌기
872: 제2너트 873: 제2관통구멍
880: 전선안내구 881: 전선

Claims (5)

  1. 차량(0)의 적재함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싸인보드(9);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고 싸인보드(9)에 연결되어서 싸인보드(9)가 승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절첩부(830)를 포함하며;
    절첩부(830)는,
    기부(840)와, 기부(8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구동기어(842)에 연결되어서 제1구동기어(842)에 치합된 제2구동기어(84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841)와, 기부(840)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850)와, 제1실린더(850)에 내접하며 제1실린더(8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실린더(860)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고 제2구동기어(843)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84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막대기어(853)와, 막대기어(853)에 결합되어 막대기어(853)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기어(863)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실장되는 제1스크류(852)와, 제1스크류(852)와 스크류 결합되어 제1스크류(852)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고 이동하며 제2실린더(860)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이송블록(861)을 이송시키는 제1너트(862)와, 제1실린더(85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2실린더(860)와 함께 제1실린더(85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이송블록(861)과, 제1이송블록(861)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기어(863) 및 제1너트(862)에 치합되며 제1너트(86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미들기어(864)와, 일측이 미들기어(864)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실린더(8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실린더(860)의 내부에 위치하며 미들기어(864)와 함께 회전하는 제2스크류(865)와, 제2스크류(865)와 결합되어서 제2스크류(865)가 회전하면 제2스크류(86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너트(872)와, 제2실린더(860)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2실린더(860)에 내접하며 제2실린더(86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3실린더(870)와, 제3실린더(870)와 함께 제2실린더(86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너트(872)가 결합되며 제2너트(872)와 함께 제2스크류(86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송블록(871)으로 이루어지며;
    싸인보드(9)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과,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어서 ㄷ형장착프레임(1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과,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어서 ㄷ형외측프레임(2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은, 노듈러주철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고;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표면에는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의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승강장치.
  2. 싸인보드(9)의 좌측부(91) 및 우측부(92)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을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을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는 다단실린더부(8)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1상하구동가이드부(31); 및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2상하구동가이드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ㄷ형장착프레임(11) 각각의 내측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ㄴ형수용구(111)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상기 싸인보드(9)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편(211) 및 상기 절곡편(21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ㄴ형수용구(111)과 맞물리는 맞물림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내측 단부는, 그로부터 상기 싸인보드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21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절곡편(411)을 포함하되, 상기 절곡편(211)과 상기 외측절곡편(411)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ㄷ형외측프레임(21) 각각의 상기 한 쌍의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에 대한 상하 구동을 가이드하는 제3상하구동가이드부(33)가 구비되며;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은, 노듈러주철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고;
    ㄷ형장착프레임(11), ㄷ형외측프레임(21) 및 ㄷ형지지프레임(41) 각각의 표면에는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의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보드승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1368A 2016-04-05 2016-04-05 싸인보드승강장치 KR10171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68A KR101719099B1 (ko) 2016-04-05 2016-04-05 싸인보드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68A KR101719099B1 (ko) 2016-04-05 2016-04-05 싸인보드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099B1 true KR101719099B1 (ko) 2017-03-23

Family

ID=5849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368A KR101719099B1 (ko) 2016-04-05 2016-04-05 싸인보드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0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78B1 (ko) 2018-08-03 2018-12-20 이윤규 이동식 교통신호장치
KR20190052393A (ko) * 2017-11-08 2019-05-16 국윤민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US10762809B1 (en) 2012-09-12 2020-09-01 Delorean, Llc Vehicle-mounted, motion-controlled sign
KR102225157B1 (ko) 2020-03-03 2021-03-10 주식회사 진코치 싸인보드 탑제 드론 및 그 드론을 이용한 도로 통제 시스템
US10957227B2 (en) 2012-09-12 2021-03-23 Delorean, Llc Vehicle-mounted, location-controlled sign
CN113740162A (zh) * 2021-09-15 2021-12-03 武汉源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刚度的测试方法及应用
KR102336729B1 (ko) 2021-03-16 2021-12-06 김정훈 싸인보드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US11798444B2 (en) 2012-09-12 2023-10-24 Delorean, Llc Controlling display of variable content sign
KR20240018897A (ko) 2022-08-03 2024-02-14 박재실 싸인보드의 승하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23Y1 (ko) * 2000-04-20 2000-09-15 주식회사인풍 광고차
KR200272617Y1 (ko) * 2002-01-08 2002-04-18 김영복 차량정비용 리프터의 수직프레임 보강구조
KR20040011092A (ko) 2002-07-27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1552711B1 (ko) * 2015-05-06 2015-09-11 신도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23Y1 (ko) * 2000-04-20 2000-09-15 주식회사인풍 광고차
KR200272617Y1 (ko) * 2002-01-08 2002-04-18 김영복 차량정비용 리프터의 수직프레임 보강구조
KR20040011092A (ko) 2002-07-27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1552711B1 (ko) * 2015-05-06 2015-09-11 신도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2809B1 (en) 2012-09-12 2020-09-01 Delorean, Llc Vehicle-mounted, motion-controlled sign
US10957227B2 (en) 2012-09-12 2021-03-23 Delorean, Llc Vehicle-mounted, location-controlled sign
US11798444B2 (en) 2012-09-12 2023-10-24 Delorean, Llc Controlling display of variable content sign
KR20190052393A (ko) * 2017-11-08 2019-05-16 국윤민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KR102012095B1 (ko) * 2017-11-08 2019-10-21 국윤민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KR101931178B1 (ko) 2018-08-03 2018-12-20 이윤규 이동식 교통신호장치
KR102225157B1 (ko) 2020-03-03 2021-03-10 주식회사 진코치 싸인보드 탑제 드론 및 그 드론을 이용한 도로 통제 시스템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381321B1 (ko) * 2020-09-23 2022-04-01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336729B1 (ko) 2021-03-16 2021-12-06 김정훈 싸인보드
CN113740162A (zh) * 2021-09-15 2021-12-03 武汉源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刚度的测试方法及应用
KR20240018897A (ko) 2022-08-03 2024-02-14 박재실 싸인보드의 승하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099B1 (ko) 싸인보드승강장치
CN201065317Y (zh) 一种框架式雷达天线升降装置
US20090090810A1 (en) Compact Steering Device For The Landing Gear Of An Aircraft
KR101705175B1 (ko) 승강 가능한 차량용 웨이스트바 구동 장치
CN206644716U (zh) 车辆运输车
CN110642192A (zh) 双向伸缩升降rgv货叉
CN104278868A (zh) 无避让立体车库的驱动装置
US20050161656A1 (en)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semitrailers or the like
CN103603517A (zh) 一种悬臂式停车库
CN209667142U (zh) 一种自动化小车
CN205299000U (zh) 二级复合可伸缩支腿
CN105905761A (zh) 一种基于蜗杆蜗母条机构驱动的电梯
AU2014225233B2 (en) Drop-down utility rack for vehicles
CN117342469A (zh) 液压升降机的安全限位组件及应急安全防护工艺
CN218260390U (zh) 一种搬运rgv升降装置
CN204186104U (zh) 无避让立体车库的驱动装置
CN205367602U (zh) 电动叉车
US20120317769A1 (en) Steering box mounting method
CN108657057A (zh) 车辆运输车
CN208665244U (zh) 一种新型多功能建材输送推车
CN212374793U (zh) 双滚珠丝杠升降机构
CN104806052A (zh) 无避让可独立设置的空中停车装置
CN211496752U (zh) 一种链传动提升装置及穿梭车
CN105644317A (zh) 一种汽车车窗的卷帘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ITRE20120083A1 (it) Dispositivo per il sollevamento di veic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