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535Y1 -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 Google Patents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535Y1
KR200430535Y1 KR2020060022594U KR20060022594U KR200430535Y1 KR 200430535 Y1 KR200430535 Y1 KR 200430535Y1 KR 2020060022594 U KR2020060022594 U KR 2020060022594U KR 20060022594 U KR20060022594 U KR 20060022594U KR 200430535 Y1 KR200430535 Y1 KR 20043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locking rod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범준
Original Assignee
(주)삼화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자동화 filed Critical (주)삼화자동화
Priority to KR2020060022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차장 내지 기타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소에서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장치의 차단봉에 발광장치(LED)를 구비하여 주야간에 출입시 차단봉의 작동상태를 차량의 운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은 차량출입 차단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재된 차단장치본체와, 상기 차단장치본체가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은 상/하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부결합홈이 절개 형성된 차단봉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본체의 상단에는 LED 모듈의 반복적인 점멸을 통해 차단봉의 개폐 상태를 운행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발광장치부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장치, 차단장치, 차단봉

Description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A Lifting Bar With LED Device}
도 1은 종래의 차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이 설치된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의 사시도; 및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단장치 110: 차단장치본체
120: 베이스부 130: 차단봉
131: 차단봉본체 132: 안전부재
140: 발광장치부 141: 모듈커버
142: LED모듈 142a: LED도트
본 고안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차장 내지 기타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소에서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 장치의 차단봉에 발광장치(LED)를 구비하여 주야간에 출입시 차단봉의 작동상태를 차량의 운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진입로 또는 특정지역의 차량을 통제하도록 하기 위해서 수동 또는 기계적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차단장치가 구비되며, 이 차단장치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단봉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적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차단장치에 있어서, 차단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이 고정부재에 차단봉을 고정 설치하여 사용자가 전동기를 동작시켜 전동기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고정부재가 동시에 회전토록 하면서 차단봉을 직립 또는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진입하는 차량을 잠시 멈추게 하거나 통과하도록 하여 차량이나 보행자 등을 통제하였다.
예컨대,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차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기계식 차단장치(10)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 가능한 개폐문(12)과, 상기 본체(11)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기설치공(13)과, 상기 차단기설치공(13)에 삽입 결합되며, 운행자에게 차단봉(14)의 개폐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점등되는 수 개의 램프(14a)가 구비된 차단봉(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단장치는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차단봉(14)이 상/하 구동하면서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단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자에게 차단봉의 개폐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설치되는 램프가 교류220 V의 고전압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운행자의 부주의로 차단봉에 충돌할 경우, 운행자가 고전압에 직접 노출되어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차단봉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 운행자에게 그 램프의 발광 상태만으로 차단봉의 단순한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장치의 차단봉의 상단면에 발광수단인 LED 모듈을 구비하여 LED 모듈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를 달리하여 외부로 표현함으로써, 야간 차량의 운행자에게 차단봉의 차후 작동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은 차량출입 차단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재된 차단장치본체와, 상기 차단장치본체가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은 상/하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부결합홈이 절개 형성된 차단봉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본체의 상단에는 LED 모듈의 반복적인 점멸을 통해 차단봉의 개폐 상태를 운행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발광장치부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장치부는 상부결합홈에 결합되는 모듈커버, 및 상기 모듈커버의 내부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LED도트가 결합된 LED모듈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커버는 상부결합홈과 결합을 위해 커버 하부에 형성된 커버결합턱, 및 상기 커버결합턱과 일체로 형성되되 관통형성되는 내부 상하면에 모듈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LED모듈은 차단봉의 정지/구동의 동작 상태에 따라 LED도트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단봉은 차단봉본체의 하부에 차단봉의 하강작동시 충돌에 의한 차량의 외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이 설치된 차단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이 설치된 차단장치(100)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내재된 차단장치본체(110)와, 상기 차단장치본체(110)가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 봉(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장치본체(1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에 대한 기술적 구성 및 작동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실로서, 이하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차단봉(130)이 구동되는 메카니즘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축에 구동기어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에는 감속기어가 맞물린다. 상기 감속기어는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독립된 축에 설치된 것으로, 이 축에는 2단계의 감속을 행하기 위하여 감속기어보다 작은 회동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감속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감속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축이 감속회전하면서 회동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기어의 감속된 회전력이 차단봉(130)을 작동시키게 되어, 결국 상기 차단봉(130)이 차량의 통행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차단장치(100)를 구성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13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130)은, 차량출입 차단장치에 있어서 차단장치본체에 내설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이는 차단봉본체(131)와, 안전부 재(132), 및 발광장치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차단봉(130)은 전체 형상이 원형 형태, 타원형 형태, 또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차단봉본체(131)의 상/하단에는 발광장치부(140)와 안전부재(132)가 결착될 수 있는 결합홈(131a, 131b)이 각각 절개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차단봉본체(131)와, 안전부재(132), 및 발광장치부(140)로 구성되는 차단봉(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봉본체(131)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부결합홈(131a)을 형성하며, 상부는 안전부재결합턱(132a)이 형성되고 하부는 반달형상을 하는 안전부재(132)가 상기 하부결합홈(131a)에 결합된다. 상기 안전부재(132)는 갑작스런 차단봉(130)의 작동에 의해 차단봉(130)과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외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기 안전부재(132)는 탄성과 내마모성이 있는 합성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광장치부(140)는 모듈커버(141)와, 하나 이상의 LED도트(142a)가 결합된 LED모듈(142)로 이루어져, LED도트(142a)의 반복적인 점멸을 통해 차단봉(130)의 개폐 상태를 운행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다.
또한, 상기 모듈커버(141)는 차단봉본체(131)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부결합홈(131b)과 결합되는 커버결합턱(141a)과, 상기 커버결합턱(141a)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관통형성된 내부의 상하면에 모듈결합홈(141b)이 형성되는 커버(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41)는 내부에 구비되는 LED도트(142a)의 발광시, 외부로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모듈(142)이 모듈커버(14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모듈결합홈(141b)에만 결합되어 있지만, 모듈커버(141)의 상단부에 동시에 구비되거나 하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모듈커버(141)에 결합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LED모듈(142)은 차단봉(130)의 정지/구동의 동작 상태에 따라 LED도트(142a)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가 변화한다. 예컨대, 상기 차단봉(130)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LED도트(142a)가 적색(닫힌상태), 녹색(열린상태)으로 1초에 0.5~2회 정도 점멸하도록 구성되며, 반면 상기 차단봉(130)이 구동을 하는 상태에서는 LED도트(142a)가 녹색(열림구동시),적색(닫힘구동시)으로 1초에 1~5회 정도 점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야간에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는 상기 LED모듈(142)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차단봉(130)이 정지되어 있는지 또는 움직이고 있는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차단봉(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모듈(142)을 구성하는 LED도트(142a)는 발광다이오드로서,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반도체의 일종이다. 상기 LED도트(142a)에서 방출하는 빛의 색깔은 반도체 칩 구성원소의 배합에 따라 파장을 만들며 이러한 파장이 빛의 색깔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LED도트(142a)는 일반 백열전구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1/20밖에 되지 않고, 반응시간은 일반 백열전구보다 100만배 이상 빠르며, 수명은 반영구적 이다. 그 동안 각종 분야에서 현저히 발달/향상되어 전자 표시판, 전광판 및 각종 교통 안전 신호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LED도트(142a)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은 RED(R),BLUE(B),GREEN(G)이며, 상기 R.B.G의 색상비율에 따라 LED도트(142a)에서 표출되는 전체적인 색상이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R.B.G의 색상비율은 Red:Greeen:Blue = 2 : 1: 1의 비율로 사용된다.
상기 LED모듈(142)은 차단장치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며, 유선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에 의해 직류12V의 저전압으로 작동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교류고전압이 차단봉(130)을 따라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과 차단봉(130) 사이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감전 등에 의해 운행자가 다치게 되는 위험이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차단장치(100)를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차단봉(13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출입을 위하여 관리자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차단장치본체(110)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미도시) 등을 작동시키거나, 차량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장치(100)가 구동을 하면, 차단장치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러가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축이 회전하여 구동기어가 감속기어를 회전시키고, 이 감속기어의 회전에 따라 축이 감속회전되면서 회동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감속된 회동기어의 회전력이 차단봉(130)을 작동하게 된다.
상기 차단봉(130)이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단봉(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LED도트(142a)가 설계자의 셋팅(Setting)상태에 따라 적색(닫힌상태),녹색(열림상태)으로 LED도트(142a)가 1초에 0.5~2회 반복적인 점멸을 하게 되고, 상기 차단봉(130)이 구동을 하는 상태에서는 LED도트(142a)가 녹색(열림 구동시), 적색(닫힘 구동시)으로 1초에 1~5회 반복적인 점멸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에 의하면, 차단봉의 작동상태에 따라 LED모듈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를 달리하여 이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야간 차량의 운행자에게 차단봉의 차후 작동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봉에 구비되는 LED모듈의 작동전원이 직류12V의 저 전압으로 이루어져, 차량과 차단봉 사이에 충돌 사고가 발생할지라도 감전 등에 의해 운행자가 다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출입 차단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재된 차단장치본체와, 상기 차단장치본체가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은 상/하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부결합홈이 절개 형성된 차단봉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봉 본체의 상단에는 LED모듈의 반복적인 점멸을 통해 차단봉의 개폐 상태를 운행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발광장치부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부는 상부결합홈에 결합되는 모듈커버, 및 상기 모듈커버의 내부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LED도트가 결합된 LED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상부결합홈과 결합을 위해 커버 하부에 형성된 커버결합턱, 및 상기 커버결합턱과 일체로 형성되되 관통형성되는 내부 상하면에 모듈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차단봉의 정지/구동의 동작 상태에 따라 LED도트의 발광색상 및 발광주기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은 차단봉본체의 하부에 차단봉의 하강작동시 충돌에 의한 차량의 외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KR2020060022594U 2006-08-23 2006-08-23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KR200430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94U KR200430535Y1 (ko) 2006-08-23 2006-08-23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94U KR200430535Y1 (ko) 2006-08-23 2006-08-23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535Y1 true KR200430535Y1 (ko) 2006-11-13

Family

ID=4177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94U KR200430535Y1 (ko) 2006-08-23 2006-08-23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535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34B1 (ko) 2007-04-20 2008-01-15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차량 안전 차단기
KR100887282B1 (ko) * 2007-06-15 2009-03-06 주식회사 한국이미지 발광다이오드가 구성된 차량 차단장치
KR100915186B1 (ko) * 2009-04-16 2009-09-02 주식회사 대영산전 안전바
KR100919455B1 (ko) * 2009-03-26 2009-09-28 파크너(주) 차량 안전 차단기용 2색 led 바
KR100964101B1 (ko) 2008-02-28 2010-06-16 한국도로공사 도로용 차단바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95337B1 (ko) *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0461362Y1 (ko) 2011-09-08 2012-07-11 홍준표 시선유도용 주차 차단기
KR101181486B1 (ko) * 2009-05-15 2012-09-10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량 차단기
KR101339287B1 (ko) * 2012-01-12 2013-12-09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KR101451175B1 (ko) * 2014-01-06 2014-10-15 주식회사 라이크텍 차량용 차단바
KR102157900B1 (ko) * 2020-03-12 2020-09-18 주식회사 동성에이치 차단기바의 하강에 따라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주차차단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34B1 (ko) 2007-04-20 2008-01-15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차량 안전 차단기
KR100887282B1 (ko) * 2007-06-15 2009-03-06 주식회사 한국이미지 발광다이오드가 구성된 차량 차단장치
KR100964101B1 (ko) 2008-02-28 2010-06-16 한국도로공사 도로용 차단바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19455B1 (ko) * 2009-03-26 2009-09-28 파크너(주) 차량 안전 차단기용 2색 led 바
KR100915186B1 (ko) * 2009-04-16 2009-09-02 주식회사 대영산전 안전바
KR100995337B1 (ko) *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181486B1 (ko) * 2009-05-15 2012-09-10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량 차단기
KR200461362Y1 (ko) 2011-09-08 2012-07-11 홍준표 시선유도용 주차 차단기
KR101339287B1 (ko) * 2012-01-12 2013-12-09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KR101451175B1 (ko) * 2014-01-06 2014-10-15 주식회사 라이크텍 차량용 차단바
KR102157900B1 (ko) * 2020-03-12 2020-09-18 주식회사 동성에이치 차단기바의 하강에 따라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주차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535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차단봉
KR100794734B1 (ko) 차량 안전 차단기
KR20040101010A (ko) 자동차 도어핸들 모듈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CA2733717A1 (en) Hazard light for a vehicle
KR200413023Y1 (ko) 착탈식 주차장 차단기
US20180201184A1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car belt molding
US6466128B1 (en) Vehicle door step equipped with warning indicator devices
KR100919455B1 (ko) 차량 안전 차단기용 2색 led 바
KR200420047Y1 (ko)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KR101805151B1 (ko) 차량용 비상 신호장치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200188358Y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100058110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105488B1 (ko)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JP5455537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確認装置
KR200342746Y1 (ko) 전선권취구
KR200461362Y1 (ko) 시선유도용 주차 차단기
KR101044705B1 (ko) 도로의 정지선 발광장치
JP2014226989A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KR102260837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JP2004098844A (ja) 車両用ドア開放操作表示装置
KR200439095Y1 (ko) 차량용 게이트 차단기 및 게이트 바
KR200201084Y1 (ko) 발광 시선 유도 표지의 제어장치
KR200247493Y1 (ko) 차량용 보조범퍼의 점멸식 신호표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