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683B1 -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683B1
KR102335683B1 KR1020190141911A KR20190141911A KR102335683B1 KR 102335683 B1 KR102335683 B1 KR 102335683B1 KR 1020190141911 A KR1020190141911 A KR 1020190141911A KR 20190141911 A KR20190141911 A KR 20190141911A KR 102335683 B1 KR102335683 B1 KR 10233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acne
mixed extract
allev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455A (ko
Inventor
최소라
김태양
이춘몽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9014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6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또는 지질 합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CNE COMPRISING ROSA RUGOSA EXTRACT AND SALVIA PLEBEIA EXTRACT}
본 발명은 해당화 추출물과 곰보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똔느 지질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이란 가장 흔한 피부 질환 중 하나로 주로 얼굴, 목, 가슴 등에 발생하는 만성 피지선 비염증성 또는 염증 질환이다. 여드름 발병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남성호르몬 영향에 따른 피지 분비의 증가, 모낭 표피의 과각화증(hyperkeratosis), 여드름균의 과다 증식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여겨진다.
남성호르몬은 피지선의 피지 분비를 자극한다.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혈액을 타고 피부 내의 피지선에 전달되면 피부 조직이 가지고 있는 효소인 5α-리덕테이즈(5-reductase)에 의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환원된다. 환원된 남성호르몬은 피지선 자극 능력이 약 20배 높아 피지의 과도한 생산을 촉진시킨다. 또한 남성호르몬은 지질 합성 관련 인자인 스테롤조절인자(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의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질합성효소인 지방산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FAS), 스쿠알렌합성효소(Squalene synthase) 등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지 합성을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모공 안에 피지가 가득 채워지게 된다. 피지 분비 촉진과 더불어 남성호르몬은 모낭 상피의 과각화증을 일으켜 모공의 입구가 더욱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모공 내의 피지가 많아지면, 피지선 내에 상주하고 있는 균인 여드름균(Cutibacterium acnes ; C. acnes)에 의해 여드름이 악화된다. 여드름균은 지방분해효소를 분비하여 피지를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분해한다. 이에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이 형성되고 이것이 모낭을 자극하여 염증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여드름을 완화시키기 위해 여성 호르몬, 레티노이드-항생제 사용 등 여러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내성이 생기거나 색소침착, 우울증,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도 피지조절,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여드름에 효과적인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최근, 화학물질의 피부 부작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975951호는 해당화 추출물 및 장미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84427호는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여드름 완화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화 및 곰보배추 혼합 추출물이 여드름균(C.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고, 지질 합성에 주요 역할을 하는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 단백질(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SREBP-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포함한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여드름균인 큐티박테리움 아크네(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 또는 지질 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고 지질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여드름균(C.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지질 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해당화(Rosa rug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주로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1.5m이고 잎은 타원형으로 줄기에는 작은 가시가 존재하며 줄기와 가시에 잔털이 많다. 꽃은 홍자색이고 향이 진하게 나며, 꽃잎에는 방향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향수의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이명은 매괴화, 해당나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해당화 추출물은 식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뿌리, 줄기 및 가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꽃봉오리를 사용할 수 있다.
곰보배추(Salvia plebeia)는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잎의 모양이 얼굴에 난 곰보처럼 울퉁불퉁하게 생겼다고 하여 곰보배추라 부른다. 약간 습기 있는 들판이나 논둑, 개울가 등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30-70cm까지 자라고 잔털이 많이 난다. 이명으로 배암차즈기라 주로 불리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곰보배추 추출물은 식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뿌리, 줄기 및 가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잎과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해당화와 곰보배추는 단일 성분으로 하여 단일 추출물을 제조한 후 혼합할 수 있으며, 또 따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해당화와 곰보배추를 혼합한 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 수 1-4개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해당화 : 곰보배추의 함량이 1-4 : 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해당화 : 곰보배추 함량이 1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해당 비율에 따라 각각의 천연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단일 추출물을 얻어 혼합해 혼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당 비율에 따라 각각의 원료 분말을 혼합하여 이를 추출해 혼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해당화( Rosa rugosa ) 추출물의 제조
해당화 꽃봉오리 100g을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세절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에 넣어 5일간 냉침 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해당화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곰보배추 ( Salvia plebeia R. Brown) 추출물의 제조
곰보배추 잎과 뿌리 100g을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세절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에 넣어 5일간 냉침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해당화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해당화 및 곰보배추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씻어 건조시킨 해당화 꽃봉오리 100g, 곰보배추 잎과 뿌리 100g(중량비 = 1:1)을 세절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5일간 냉침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해당화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항여드름균 활성 측정
제조한 추출물들의 여드름균(C.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을 이용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을 50% 에탄올에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0 μ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배양된 여드름균을 평판 배지에 초기 균수를 동일하게 하여 100 μl씩 도말하였다. 준비한 페이퍼 디스크를 평판 배지 위에 올린 후, 적정 온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고 생육 저지환(Clea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 (ppm) 초기 균 수 생육 저지환 (mm)
제조예 1 10,000 1.2 x 107 17
5,000 13
제조예 2 10,000 14
5,000 11
제조예 3 10,000 28
5,000 2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추출물들이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농도 의존적으로 clear zone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제조예 3의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지질 생합성 억제 효과
피지형성세포(human sebocytes)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sebomed(biochrom 사) 배지가 담긴 100mm 배양 접시(culture plate)에 1x106 cells/well 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a)로 바꿔준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지질 합성 유도인자로 알려진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만 처리(대조군)하거나 상기 제조예 1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들을 같이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지질 합성 관련 인자인 SREBP-1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고 스캐너(scanner)를 이용해 수치화하여 IGF-1 처리군의 수치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IGF-1 (-) IGF-1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농도 (ppm) - 0.5 50 50 50
SREBP-1 발현율 (%) 31.7 100.0 76.2 82.4 54.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IGF-1 처리함으로써 SREBP-1의 발현이 증가한 것이 제조예 1 내지 3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제조예 3이 비교적 높은 발현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지질 생성량 측정
피지형성세포(human sebocytes)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sebomed(biochrom 사) 배지가 담긴 24well culture plate에 5x104 cells/well 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a)로 바꿔준 후, 지질 합성 유도인자로 알려진 IGF-1과 상기 제조예 1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들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지질 염색 시약인 Oil Red O를 이용하여 세포 내 지질을 염색하였다. 동량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어 염색된 지방을 녹인 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GF-1 처리군(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IGF-1 (-) IGF-1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농도 (ppm) - 0.5 50 50 50
세포 내 지질 생성량 (%) 24.3 100.0 75.1 79.5 61.8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IGF-1을 처리하여 세포 내 지질 합성이 증가한 것이 제조예 1 내지 3에 의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처방예 1: 크림
제조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 제형예 1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1
제조예 1 3 - - -
제조예 2 - 3 - -
제조예 3 - - 3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2 2 2
세테아릴알콜 2.2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1.5
밀납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0.6
경화식물유 1.0 1.0 1.0 1.0
스쿠알란 3.0 3.0 3.0 3.0
광물유 5.0 5.0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디메치콘 1.0 1.0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5.0
베타인 3.0 3.0 3.0 3.0
트리에타올아민 1.0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4: 여드름 완화 효과 실험
상기 처방예 1에 따라 제조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 제형예 1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드름이 발생한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각 그룹별 10명씩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 제형예 1를 아침, 저녁 세안 후 4주간 얼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2주 간격으로 피지 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각 그룹별 평균)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기 피지량 (μg/cm2)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1
초기 209.4 212.5 215.9 213.1
2주 199.2 203.0 195.5 213.6
4주 180.1 190.8 169.4 210.7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 내지 3의 크림은 비교 제형예 1의 크림과 비교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지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제형예 3은 우수한 피지량 감소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해당화와 곰보배추가 1~4 :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지질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여드름균인 큐티박테리움 아크네(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41911A 2019-11-07 2019-11-07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911A KR102335683B1 (ko) 2019-11-07 2019-11-07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911A KR102335683B1 (ko) 2019-11-07 2019-11-07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455A KR20210055455A (ko) 2021-05-17
KR102335683B1 true KR102335683B1 (ko) 2021-12-07

Family

ID=761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911A KR102335683B1 (ko) 2019-11-07 2019-11-07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17A (ko) 2022-01-04 2023-07-11 영동군 일라이트분말 및 편백잎분말과 일라이트추출물, 편백추출물 및 한방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52B1 (ko) * 2022-07-26 2022-12-2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28B1 (ko) * 2009-12-31 2012-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n et al,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8, 18:307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17A (ko) 2022-01-04 2023-07-11 영동군 일라이트분말 및 편백잎분말과 일라이트추출물, 편백추출물 및 한방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455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3787566B2 (ja) 男性の皮膚および毛髪を手入れするための化粧品組成物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43717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42176B1 (ko) 와송 추출물 또는 와송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2490B1 (ko) 야로우, 보리지, 에버라스팅, 레이디스맨틀 및 유칼립투스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7088B1 (ko) 동백 오일, 아르간 오일, 및 모링가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3597B1 (ko)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3966B1 (ko)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18B1 (ko) 만병초와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6799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8716B1 (ko) 천연 식물 추출물과 pha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042B1 (ko)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