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966B1 -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966B1
KR102513966B1 KR1020220137885A KR20220137885A KR102513966B1 KR 102513966 B1 KR102513966 B1 KR 102513966B1 KR 1020220137885 A KR1020220137885 A KR 1020220137885A KR 20220137885 A KR20220137885 A KR 20220137885A KR 102513966 B1 KR102513966 B1 KR 10251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nanoliposome
inflammator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봉
이민기
김청룡
김석용
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바이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13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복합으로 함유하여 단일 추출물 대비 NO 생성 억제 및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항염증 및 피부진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skin surpression comprising nanoliposome}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과 같은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신장형, 지름 2-5cm,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4-20cm이다. 꽃은 홍자색, 잎겨드랑이에 3-4송이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머리 모양이다. 암술대는 2갈래이며, 열매는 분과의 편원형이다.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적설초라고도 불리며 병풀에는 마데카식산,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한의학에서 항염증 및 진정, 혈액순환, 부종 제거 등에 사용되어져 왔다. 실제 제약회사에서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치료제를 개발해서 판매하고 있으며 화장품 업계에서도 항염증 물질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병풀은 과거 중국이나 인도의 전통치료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인삼과 유사한 성질이 있는 것으로 여겼다. 이는 호랑이가 상처를 입었을 때 병풀 밭에서 몸을 굴려 상처를 치유했다는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화과 (Ficus carical)는 무화과 나무의 열매로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이집트에서 약 4000년 전에 심은 기록이 있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과수로 알려져 있다. 높이는 2~4m이다. 가지는 굵으며 성기게 옆으로 퍼지고 갈색 또는 녹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10~20cm로서 넓은 달걀꼴이고 3~5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둔하고 잎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거칠고 잎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5개의 잎줄이 있고 상처를 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단백질 분해효소가 있어 육식 후 무화과를 먹으면 소화가 잘되고 변비에 효과적이다. 한방에서 무화과 열매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을 맑게 하며, 옹저(癰疽, 종기의 총칭)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는 효능이 있다. 피부 미용에도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어 여성분들이 즐겨 먹는 과일이기도 하다. 무화과에 들어있는 페놀산, 클로로겐산, 플라본 및 플라보놀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체내 활성 산소를 억제시켜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막고 활성산소로 인해 생기는 피부트러블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생활습관의 변화, 화학물질에 대한 빈번한 노출, 환경오염의 증가 및 현대인의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 염증 질환의 발병이 늘어나고 있다. 피부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항상성을 유지하고, 가장 표면층에 해당하는 표피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인자를 생산하여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이러한 피부 염증 질환의 치료에는 면역계 염증반응 조절을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가 주로 사용되지만, 사용에 따라 내성이 생기고 피부장벽을 약화시켜 장기간 치료가 어렵고, 혈관을 확장시켜 이차 감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이에, 부작용이나 역효과가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부 상태 개선용 제제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피부는 다층구조를 가지며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표피의 가장 바깥쪽에는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알려진 피부 장벽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각질층은 세포들이 지질 이중층(세포 간 지질)의 고차원적인 배열로 이루어짐으로써, 피부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 및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질층의 세포 간 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자유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각질층(피부 장벽)은 피부에 적용되는 활성 성분들의 피부 흡수율을 감소시키고, 활성 성분들이 면역세포가 있는 진피층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활성 성분들을 실제 피부 치료제로 사용하였을 때, 그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효성분을 피부속으로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피부 친화적인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이 기존 제형에 비해 피부 흡수율 증진 활성이 있으며, 항염증 및 피부진정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0-2018-0103656 10-2011-0141508
일 양상은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합추출물은 이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또는 정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 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9 : 1 내지 1 : 9일 수 있다. 예를들면, 9 : 1, 7 : 1, 5 : 1, 3 : 1, 1 : 1, 1 : 3, 1 : 5, 1 : 7, 1 : 9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병풀 추출물과 무화과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 대비 항염 효과 및 피부진정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각 추출물의 혼합비가 상기 기재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저하되어 항염증 활성 및 피부진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나노리포좀"은 미세한 구형 막으로 둘러싸인 약 50-2000 nm 직경의 소포(vesicle)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싸인 모든 구획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레시틴 나노리포좀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통상적으로 리포좀에 사용되는 인지질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일 수 있다.
일 구체예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마이드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 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NDS, 글루코실세라마이드,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NP일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레시틴, 세라마이드 외에도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용매로 글리세린,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 양상에 따른 나노리포좀은 용매, 레시틴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매 10.0 내지 90.0 중량비, 레시틴 2.0 내지 4.0 중량비 및 세라마이드 0.01 내지 0.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항염증"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염증반응의 조절은 대단히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그 결과로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된다. 이처럼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 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주요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및 IL-8 등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관련인자인 TNF-α발현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진정"은 자극받은 피부의 열감이나 통증 따위를 가라앉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붉은기 완화율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점증제,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기능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 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 아미드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복합으로 함유하여 단일 추출물 대비 NO 생성 억제 및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항염증 및 피부진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나노리포좀 제형에 적용함으로써 안정성 증진 및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병풀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병풀을 70% Ethanol 용액 1L로 초음파에서 3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 (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은 rotary evaporator (R-100, Buchi, 1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병풀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추출물은 멸균 처리 (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제조예 2. 무화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무화과를 70% Ethanol 용액 1L로 초음파에서 3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 (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은 rotary evaporator (R-100, Buchi, 1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무화과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추출물은 멸균 처리 (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병풀추출물 및 무화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최적의 혼합비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고,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구분 중량비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비교예 1 1 -
비교예 2 - 1
실시예 1 1 9
실시예 2 1 7
실시예 3 1 5
실시예 4 1 3
실시예 5 1 1
실시예 6 3 1
실시예 7 5 1
실시예 8 7 1
실시예 9 9 1
실험예 1: NO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9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인 RAW 264.7 세포를 2 X 106 cells/dish density로 60mm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염증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1㎍/㎖ 농도의 LPS(lipopolysaccharide)와 시험물질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를 통한 항염 활성 평가는 griess A, B reagent를 이용한 방법으로, 1% sulfanilamide, 0.1% N-(1-napht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과 2를 처리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된 배지의 상등액을 griess (A+B) reagent와 1:1 비율로 각각 50㎕씩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보관한 후 540nm에서 ELISA 측정을 통해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율 (%)은 대조군(100 %)을 기준으로 NO 생성률 (%)을 100 %에서 뺀 값을 말한다.
구분 NO 생성 억제율 %
비교예 1 42.9
비교예 2 21.6
실시예 1 43.1
실시예 2 45.2
실시예 3 52.9
실시예 4 62.1
실시예 5 65.2
실시예 6 50.3
실시예 7 40.5
실시예 8 29.7
실시예 9 22.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샘플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2 대비 NO 생성 억제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NO 생성 억제율을 기준으로 콜비식 (Colby's equation) 예측치를 계산하면, 55.2 %가 나오는데, 실시예 4, 5의 실측치는 모두 콜비식 예측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발현 억제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9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Х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12시간 동안 기아상태를 유지시킨 후, LPS 10ng/mL와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과2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해 TNF-α의 발현율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TNF-α 발현 억제율은 100 %에서 TNF-α 발현율을 뺀 값을 말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TNF-α 발현율(%)=(시료 TNF-α 발현양/대조군 TNF-α 발현양)Х100
구분 TNF-α 발현 억제율 (%)
비교예 1 29.2
비교예 2 17.6
실시예 1 33.1
실시예 2 33.2
실시예 3 42.9
실시예 4 52.1
실시예 5 55.2
실시예 6 40.2
실시예 7 30.5
실시예 8 29.4
실시예 9 22.7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샘플은 모두 비교예 1, 2 대비 TNF-α 발현 억제율 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TNF-α 발현 억제율을 기준으로 콜비식(Colby's equation) 예측치를 계산하면, 41.7%가 나오는데, 실시예 3 내지 5의 실측치는 모두 콜비식 예측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 4, 5의 샘플은 TNF-α 발현 억제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제조예 3-1 내지 3-13. 병풀, 무화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80℃까지 가열하고 Homo-Mixer를 사용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50℃ 1000 bar의 조건으로 고압유화기 (Microfluidizer M-110F)에 2회 통과시킨 후 냉각하여 복합추출물(병풀, 무화과)을 포함한 나노리포좀을 얻었다.
Figure 112022112338680-pat00001
실험예 3: 리포좀의 입자 분포 측정
제조예 3-1에서 3-13까지 비율로 제조된 리포좀의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평균 입자 크기를 표 5와 같이 확인하였다.
구분 입자크기 (nm)
제조예 3-1 178.3±15.9
제조예 3-2 151.6±6.3
제조예 3-3 189.3±11.8
제조예 3-4 163.1±7.3
제조예 3-5 131.0±6.2
제조예 3-6 187.3±7.1
제조예 3-7 208.7±15.0
제조예 3-8 301.6±16.1
제조예 3-9 N.S.
제조예 3-10 142.2±16.3
제조예 3-11 126.4±2.0
제조예 3-12 N.S.
제조예 3-13 N.S.
실험예 4. 세포 독성 확인
가장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낸 실시예 5를 최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조예 3-11에 적용한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S86)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1 x 104개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
Figure 112022112338680-pat00002
에서 배양하였다. 0.1%(w/v), 0.5%(w/v) 및 1%(w/v)의 복합 발효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일간 배양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처리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형성된 포마르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DMSO에 녹인 후 96-웰 플레이트에 200㎕씩 넣고 540 ㎚에서 ELISA 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복합 발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식 1]
세포생존율(%) = 100 - (나노리포좀을 처리한 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상기 식 1을 사용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하고, 대조군의 세포생존율(%)을 100이라고 할 때의 상대적인 세포증식효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0.1%(w/v) 0.5%(w/v) 1%(w/v)
나노리포좀 100 100 10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나노리포좀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피부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피부자극 완화 효과
상기 나노리포좀의 자극 완화 효과를 인체 첩포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투명 점성 액상이고, 하기 제조예 3-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20-55세의 성인 여성 11명의 시험 대상자를 대상으로(-1일, 시험 시작일), 시험 부위를 세정한 뒤 30분 간 피부안정을 취한 다음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기 평가 후 SLS 1.0%를 함침한 Chamber를 시험 부위에 24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시험 부위에 부착된 Chamber를 제거한 후 시험 부위의 상태를 확인하였다(제품 사용 전, 0일). 홍반 유도 후 기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을 끝낸 시험 대상자들에게 FC CALMING SOME AL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고 시험 제품을 도포하였으며, 제품 사용 24시간, 48시간 후, 시험 대상자를 대상으로 안전성 평가 및 기기 평가를 실시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a vlaue를 측정한 결과, 나노리포좀을 사용 24시간 후부터 *a value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도 1).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을 첩포한 경우에는 24시간 후부터 시험 대상자 전원 피부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 제품 사용 부위의 붉은기 완화율은 24시간 후에 7.43%, 48시간 후에 12.39%, 72시간 후에는 18.50%로 나타내었다.
이하, 제형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형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형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형예 1. 보습 크림의 제조
일 양상에 따른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보습 크림을 하기 표 7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노리포좀 2.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미량
글리세린 6.0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1.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0
다이메티콘 0.5
카보머 미량
알지닌 미량
1,2-헥산다이올 2.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 세럼의 제조
일 양상에 따른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영양 세럼을 하기 표 8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노리포좀 2.0
글리세린 0.1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미량
소듐시트레이트 미량
비즈왁스 0.5
폴리솔베이트80 1.5
카보머 미량
알지닌 미량
알코올 5.0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
1,2-헥산다이올 2.0
정제수 To 100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으로,
    상기 조성물의 병풀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1 : 1 내지 1 : 3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또는 정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레시틴 나노리포좀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O 생성 및 TNF-α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37885A 2022-10-25 2022-10-25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85A KR102513966B1 (ko) 2022-10-25 2022-10-25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85A KR102513966B1 (ko) 2022-10-25 2022-10-25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966B1 true KR102513966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885A KR102513966B1 (ko) 2022-10-25 2022-10-25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9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1508A (ja) 2009-02-13 2011-07-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光性平版印刷版材料
KR20180103656A (ko) 2017-03-09 2018-09-19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의 부착구조 및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제조방법
KR20190081126A (ko) * 2017-12-29 2019-07-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병풀 추출물 함유 파이토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8547A (ko) * 2018-09-06 2020-03-17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투명한 리포좀 조성물
KR20200068967A (ko) * 2018-12-06 2020-06-16 (주)진셀팜 청호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1508A (ja) 2009-02-13 2011-07-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光性平版印刷版材料
KR20180103656A (ko) 2017-03-09 2018-09-19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의 부착구조 및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제조방법
KR20190081126A (ko) * 2017-12-29 2019-07-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병풀 추출물 함유 파이토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8547A (ko) * 2018-09-06 2020-03-17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투명한 리포좀 조성물
KR20200068967A (ko) * 2018-12-06 2020-06-16 (주)진셀팜 청호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CU스킨 : 클린업 선크림 - 클린업 블리미쉬 선 로션/ 클린업피부과 화장품 추천",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passionuping/222742173947, pp. 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2965B1 (ko)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13966B1 (ko)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8904B1 (ko) 강황, 하고초, 참마 및 뽕나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6118B1 (ko)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561330B1 (ko)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진정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7502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