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9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393B1 KR102334393B1 KR1020140166440A KR20140166440A KR102334393B1 KR 102334393 B1 KR102334393 B1 KR 102334393B1 KR 1020140166440 A KR1020140166440 A KR 1020140166440A KR 20140166440 A KR20140166440 A KR 20140166440A KR 102334393 B1 KR102334393 B1 KR 102334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voltage
- extension
- electrode
- seal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393 encaps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6—Series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마주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변을 가지는 봉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밀봉재,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전달선,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압 전달선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전압 전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제1 확장부 및 상기 제1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비확장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전기장 생성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러한 데이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여러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는 자체 발광형으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으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 시야각 및 대비비(contrast ratio)도 우수하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및 백색 화소 등의 복수의 화소(pixel)를 포함하며, 이들 화소를 조합하여 풀 컬러(full color)를 표현할 수 있다. 각 화소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는 화소 전극, 대향 전극, 그리고 두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 중 한 전극은 애노드 전극이 되고 다른 전극은 캐소드 전극이 된다.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대향 전극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공통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경우 주변 환경으로부터 수분이나 산소 등의 불순물이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전극의 산화, 박리 등이 일어나 소자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발광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발광색의 변질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내부의 소자를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수분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sealing) 처리가 진행된다. 이러한 밀봉 처리 방법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완성된 하부 기판 상부에 PET(polyester) 등의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진 층을 라미네이팅하거나 봉지 기판으로 커버 또는 캡(cap)을 형성하고 덮개 하부 기판 및 봉지 기판의 가장자리를 밀봉재로 봉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밀봉재로는 방습도가 우수한 프릿(frit)이 사용될 수도 있고 유기 실런트와 흡습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전극의 불량 없이 밀봉 영역의 접착 신뢰성을 높여 강도를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좁은 베젤 영역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마주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변을 가지는 봉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밀봉재,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전달선,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압 전달선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전압 전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제1 확장부 및 상기 제1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비확장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 상기 제2변, 그리고 상기 제3변 각각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비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부가 상기 전압 전달선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2 비확장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비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제2변과 상기 제3변을 연결하는 제4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의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의 제2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밀봉재의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전압 전달선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전달선과 상기 전압 전달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을 포함하는 보호막, 상기 전압 전달 전극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정의막, 그리고 상기 화소 정의막 위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 전극은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전압 전달 전극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의 끝부분을 덮는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은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2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 각각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3변 각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비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은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2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비확장부가 상기 제2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3변에 각각 인접하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2변 각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비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부가 상기 전압 전달선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전극의 불량 없이 밀봉 영역의 접착 신뢰성을 높여 강도를 향상할 수 있고,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좁은 베젤 영역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밀봉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압 전달선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밀봉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압 전달선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밀봉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전달 배선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평면 구조로 볼 때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의 주변 영역(PA1, PA2)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PA1, PA2)은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단면 구조로 볼 때 서로 마주하는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10)은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의 주변 영역(PA1)을 포함하고, 봉지 기판(210)은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의 주변 영역(PA2)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신호선(signal line)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선은 하부 기판(110) 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1-Gn)과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할 수 있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화소(PX)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선(G1-Gn)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선(D1-Dm, 17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Qd), 스위칭 소자(Qd)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1), 그리고 화소 전극(191)과 함께 발광 소자 등의 전기 광학 활성층을 형성하는 대향 전극(2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 전극(191)과 대향 전극(270) 사이에는 발광층(373)이 위치하여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d)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향 전극(270)은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할 수 있다.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들 기본색의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 또는 사원색을 들 수 있다. 각 화소(PX)는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며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발광층(373)이 유색 발광층일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는 하부 기판(110) 위에 버퍼층(111)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2), 산질화규소(SiOxN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11) 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이 위치한다.
반도체층은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154b)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154b)는 채널 영역(152b)과 채널 영역(152b)의 양 옆에 위치하며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53b) 및 드레인 영역(155b)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하부 기판(110)의 주변 영역(PA1)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비정질 규소,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 위에는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규소(SiO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복수의 게이트 도전체가 위치한다.
게이트 도전체는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제1 제어 전극(124b)을 포함한다. 제1 제어 전극(124b)은 제1 반도체(154b)의 일부, 특히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 전극(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전극(120)은 제2 반도체(150)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테스트 신호선(12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신호선(12T)은 제2 제어 전극(120)보다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게이트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열전달층(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및 게이트 도전체 위에는 제1 보호막(180a)이 위치한다. 제1 보호막(180a) 및 게이트 절연막(140)은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반도체(154b)의 소스 영역(153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3b), 그리고 드레인 영역(155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a) 위에는 복수의 데이터 도전체가 위치한다.
데이터 도전체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제1 출력 전극(175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압선은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제1 제어 전극(124b)을 향하여 뻗은 복수의 제1 입력 전극(17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극(175b)은 제1 반도체(154b) 위에서 제1 입력 전극(173b)과 마주한다. 제1 입력 전극(173b) 및 제1 출력 전극(175b)은 각각 접촉 구멍(183b, 185b)을 통해 제1 반도체(154b)의 소스 영역(153b) 및 드레인 영역(155b)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전압 전달선(1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전달선(177)은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한다.
데이터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출력 전극(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도전체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테스트 신호선(17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신호선(17T)은 제2 입력/출력 전극(170)보다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어 전극(124b), 제1 입력 전극(173b) 및 제1 출력 전극(175b)은 제1 반도체(154b)와 함께 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Qd)를 이룬다. 스위칭 소자(Qd)의 구조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제2 제어 전극, 제2 입력/출력 전극(170), 그리고 제2 반도체(150)는 함께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411)를 이룰 수 있다.
데이터 도전체 위에는 무기 절연 물질 및/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제2 보호막(180b)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제1 출력 전극(175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c)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주변 영역(PA1)에서 전압 전달선(177)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보호막(180b)은 주변 영역(PA1)에서 전압 전달선(177) 상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 위에는 화소 전극층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층은 화소(PX)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191)을 포함한다.
각 화소 전극(191)은 제2 보호막(180b)의 접촉 구멍(185c)을 통해 제1 출력 전극(175b)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층은 주변 영역(PA1, PA2)에서 전압 전달 전극(1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적어도 일부는 전압 전달선(177)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할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구체적인 평면 모양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화소 전극층은 반투과성 도전 물질 또는 반사성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기판(110)의 위의 층, 예를 들어 버퍼층(111)부터 제2 보호막(180b)까지의 층을 함께 트랜지스터층(TFL)이라 한다.
제2 보호막(180b) 및 화소 전극층 위에는 화소 정의막(격벽이라고도 함)(360)이 위치한다. 화소 정의막(360)은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어 각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화소 정의막(360)은 주변 영역(PA1, PA2)에서 전압 전달 전극(197)을 덮는 주변부(360H)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부(360H)의 높이는 표시 영역(DA)의 화소 정의막(36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화소 정의막(360)의 주변부(360H)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끝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주변부(360H)는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멍(365)을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360) 및 화소 전극(191) 위에는 발광 부재(370)가 위치한다. 발광 부재(370)는 차례대로 적층된 제1 유기 공통층(371), 복수의 발광층(373), 그리고 제2 유기 공통층(3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공통층(371)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공통층(371)은 화소(PX)가 배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DA)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화소(PX)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층(373)은 각각 대응하는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373)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기본색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내는 복수의 유기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색을 나타내는 화소(PX)의 제1 유기 공통층(371) 위에는 적색 유기 발광층이 적층되고, 녹색을 나타내는 화소(PX)의 제1 유기 공통층(371) 위에는 녹색 유기 발광층이 적층되고, 청색을 나타내는 화소(PX)의 제1 유기 공통층(371) 위에는 청색 유기 발광층이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기본색을 나타내는 유기 발광층은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는 화소(PX)에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층(373)은 백색을 나타내는 백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유기 공통층(375)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공통층(371) 및 제2 유기 공통층(375)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발광 부재(370) 위에는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하는 대향 전극(270)이 위치한다. 대향 전극(270)은 대부분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며, 주변 영역(PA1, PA2)으로 확장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정의막(360)의 주변부(360H)의 접촉 구멍(365)을 통해 전압 전달 전극(197)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통 전압(ELVSS)을 전달받을 수 있다.
대향 전극(270)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전극(270)이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은(Ag)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층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발광 부재(370) 및 대향 전극(270)은 발광 소자를 이루며, 화소 전극(191) 및 대향 전극(270) 중 하나가 캐소드(cathode)가 되고 나머지 하나가 애노드(anode)가 된다.
대향 전극(270) 상부에는 대향 전극(27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38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보호층(38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380) 위에는 하부 기판(110)과 마주하는 봉지 기판(210)이 위치한다.
봉지 기판(210)은 발광 부재(370) 및 대향 전극(270)을 밀봉(encapsulation)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봉지 기판(210)은 하부 기판(110)의 주변 영역(PA1)의 일부를 드러낼 수 있으며 이 드러난 부분을 패드부라 한다. 패드부에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00)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부(500)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printed circuit film, FPC) 또는 인쇄 회로판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패드부에 부착되거나, 하부 기판(110) 위에 집적되어 있을 수도 있다. 패드부에는 표시 영역(DA)의 데이터선(D1-Dm) 등의 신호선이 연장되어 끝 부분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500)는 데이터선(D1-Dm)의 끝 부분과 연결되어 데이터선(D1-Dm)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압 전달선(177)은 패드부를 통해 공통 전압(ELVSS)을 전달받을 수 있다.
봉지 기판(210)으로 덮인 하부 기판(110)의 주변 영역(PA1)에도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0)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하부 기판(110) 위에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PC) 또는 인쇄 회로판 위에 장착되어 TCP의 형태로 하부 기판(110)에 부착되거나, 하부 기판(110) 위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부(400)는 게이트선(G1-Gn)과 연결되어 게이트선(G1-Gn)에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구동부일 수 있다.
구동부(400)가 하부 기판(110) 위에 집적되어 있는 경우 구동부(400)는 주변 영역(PA1)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411)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 위에는 터치 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배선(7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 사이에는 밀봉재(seal)(310)가 위치한다. 밀봉재(310)는 하부 기판(110)의 주변 영역(PA1) 및 봉지 기판(210)의 주변 영역(PA2)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재(310)는 하부 기판(110) 및 봉지 기판(210)을 결합시켜 고정하며 외부의 수분 및 산소 등의 불순물이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발광 소자 등의 전기 광학 활성층을 밀봉한다.
밀봉재(310)는 방습도가 우수한 프릿(frit)을 포함할 수도 있고 유기 실런트와 흡습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밀봉재(310)는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 사이에 위치된 후 열이 가해지면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을 융착시킬 수 있는 밀봉 물질(sealan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은 적외선 램프 또는 레이저 등을 이용해 밀봉재(310)에 가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밀봉재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 등을 흡수할 수 있는 광흡수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프릿은 유리 분말에 산화물 분말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페이스트 상태로 만들기 위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 사이에 도포된 프릿에 열을 가하여 용융하면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은 소성된 프릿을 통해 서로 합착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내부 소자는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
밀봉재(310)는 하부 기판(110) 위의 열전달층(23)과 중첩하여 제조 공정 중 열전달층(23)을 통해 용이하게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포함하는 봉지 기판(210)의 가장자리 변(edge)은 평면상 위를 향하는 상측변(E1), 아래를 향하는 하측변(E2), 우측을 향하는 우측변(E3), 그리고 좌측을 향하는 좌측변(E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 변(E1-E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원 등을 이룰 수도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밀봉재(310)는 주변 영역(PA2)에서 봉지 기판(210)의 네 변(E1-E4)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310)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310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310c)를 포함한다.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310b)의 폭(d1)은 비확장부(310c)의 폭(d2)보다 크다.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할 수 있고, 비확장부(310c)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310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310c)는 봉지 기판(210)의 네 변(E1-E4) 중 적어도 한 변(E1-E4)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는 요철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의 톱니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도 3 및 도 5는 밀봉재(310) 중 상측변(E1), 우측변(E3), 그리고 좌측변(E4)을 따라 형성된 부분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310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310c)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측변(E1)의 길이가 우측변(E3) 또는 좌측변(E4)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측변(E1)을 따라 형성된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의 수가 우측변(E3) 또는 좌측변(E4)을 따라 형성된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하나의 변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에 대해, 확장부(310b)의 길이(A1)는 비확장부(310c)의 길이(A2)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길이(A1, A2)의 방향은 폭(d1, d2)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밀봉재(310) 중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은 대체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뻗는 연장부(3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드부가 위치하는 쪽에 위치하는 하측변(E2) 주변에 위치하는 밀봉재(310)는 연장부(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0a)의 폭은 비확장부(310c)의 폭(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장부(310a)의 폭은 비확장부(310c)의 폭(d2)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확장부(310b)의 폭(d1)보다 클 수도 있다.
전압 전달선(177)은 주 전달부(177a)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끝부분(177b)을 포함한다. 주 전달부(177a)는 표시 영역(DA)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 우측변(E3) 및 좌측변(E4)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끝부분(177b)은 하측변(E2) 가까이 위치하며 하부 기판(110)의 패드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끝부분(177b)은 주 전달부(177a)의 양 쪽 끝에 각각 위치하며 하측변(E2) 근처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압 전달선(177)의 폭은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압 전달 전극(197)은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DA)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전달 전극(197)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은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197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197c)를 포함한다.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197b)의 폭(d3)은 비확장부(197c)의 폭(d4)보다 크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는 전압 전달선(177) 쪽으로 확장되어 일부가 전압 전달선(177)과 접촉하여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촉 부분을 접촉부(Cnt)라 한다. 도 5에서 접촉부(Cnt)는 타원형의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197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197c)는 봉지 기판(210)의 네 변(E1-E4) 중 적어도 한 변(E1-E4)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요철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의 톱니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압 전달 전극(197) 중 상측변(E1), 우측변(E3), 그리고 좌측변(E4)을 따라 형성된 부분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197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197c)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측변(E1)의 길이가 우측변(E3) 또는 좌측변(E4)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측변(E1)을 따라 형성된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의 수가 우측변(E3) 또는 좌측변(E4)을 따라 형성된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하나의 변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에 대해, 확장부(197b)의 길이(A3)는 비확장부(197c)의 길이(A4)보다 짧을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는 밀봉재(310)의 비확장부(310c)와 마주하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와 마주한다.
전압 전달 전극(197) 중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은 대체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뻗는 연장부(197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드부가 위치하는 쪽에 위치하는 하측변(E2) 주변에 위치하는 전압 전달 전극(197)은 연장부(197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97a)의 폭은 확장부(197b)의 폭(d3)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장부(197a)의 폭은 확장부(197b)의 폭(d3)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비확장부(197c)의 폭(d4)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는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와 마주하며 이에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연장부(197a)의 적어도 일부는 전압 전달선(177)과 접촉하여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Cnt)를 이룰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197a)는 봉지 기판(210)의 하측변(E2) 근처에서 전압 전달선(177)과 연결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하측변(E2) 근처에서 연장부(197a)와 전압 전달선(177)의 한 쌍의 접촉부(Cnt)는 전압 전달선(177)의 한 쌍의 끝부분(177b) 근처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압 전달 전극(197)은 밀봉재(310)와 표시 영역(DA) 사이에 위치하며 밀봉재(310)와 중첩하지 않는다. 즉, 전압 전달 전극(197)은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 안쪽에 위치하며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이 중첩할 경우 밀봉재(310)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 전압 전달 전극(197)이 쉽게 깨질 수 있고, 깨진 전압 전달 전극(197)과 다른 전극과의 숏(short)에 의해 표시 영역(DA)에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이 중첩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압 전달 전극(197)의 깨짐 및 그에 의한 여러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서로 마주하는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 사이의 이격 거리는 대체로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이 가까이 위치하는 봉지 기판(210)의 변(E1-E4)의 위치에 따라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 사이의 이격 거리는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와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 사이의 이격 거리(S1)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와 밀봉재(310)의 비확장부(310c) 사이의 이격 거리(S2)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격 거리(S1)는 이격 거리(S2)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 기판(210)의 어느 한 변(E1-E4)을 따라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와 비확장부(310c)가 교대로 배치되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와 비확장부(197c)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나란히 뻗을 수 있으며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의 요철과 이와 마주하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요철은 서로 맞물려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밀봉재(310)에서 확장부(310b)의 길이(A1)의 길이가 비확장부(310c)의 길이(A2)보다 길수록 이에 대응하여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의 길이(A3)가 비확장부(197c)의 길이(A4)보다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의 폭이 커질수록 이와 마주하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의 폭은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기판(110)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쪽, 즉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상측변(E1),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근처의 주변 영역(PA1, PA2)에서, 전압 전달선(177)과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접촉부(Cnt)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지만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역에서 접촉부(Cnt)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위치하여 밀봉재(310)의 전체 면적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봉지 기판(210)의 어느 한 변(E1-E3) 근처에 국한되어 배치되지 않고 적어도 두 변(E1-E4)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한 변(E1-E4)에 배치된 확장부(310b)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패드부가 위치하는 변(E2) 근처에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접촉부(Cnt)는 평면상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와 교대로 배치된다. 특히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상측변(E1),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근처의 주변 영역(PA1, PA2)에 복수의 이격된 접촉부(Cnt)가 존재할 경우 접촉부(Cnt)와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변(E1, E3, E4) 근처에 복수의 접촉부(Cnt)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과 마주하여 전압 전달 전극(197)과 중첩하지 않으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전달 전극(197)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전달 전극(197)의 불량 발생을 차단하면서 밀봉재(310)를 여러 확장부(310b)를 통해 확장하여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접착 신뢰성을 높이고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의 면적 및/또는 개수를 늘이거나 주변 영역(PA1, PA2)에서 확장부(310b)의 배치를 고르게 하여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역(PA1, PA2)에서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 및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접촉부(Cnt)를 교대로 배치하므로 접착 신뢰성 향상을 위해 밀봉재(310)의 면적을 단순히 넓힐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밀봉재(310)의 면적 확장을 위해 표시 장치(1)의 주변 영역(PA1, PA2)을 키울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표시 장치의 베젤 영역의 면적을 줄여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달리 봉지 기판(210)의 하측변(E2)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밀봉재(310)가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310b) 및 비확장부(310c)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도 이에 대응하여 교대로 배치된 확장부(197b) 및 비확장부(197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각각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나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의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하나의 확장부(310b)가 위치하고, 봉지 기판(210)의 좌측변(E4)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하나의 확장부(310b)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가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 및 좌측변(E4)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의 폭은 일정할 수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비확장부(310c) 및 이와 마주하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가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는 전압 전달선(177)과 함께 접촉하여 접촉부(Cnt)를 이룬다.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밀봉재(310)의 비확장부(310c)의 폭은 일정할 수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하측변(E2)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 및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가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도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의 일부 는 전압 전달선(177)과 함께 접촉하여 접촉부(Cnt)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기판(110)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쪽, 즉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근처의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하나씩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변(E3, E4) 근처에 형성된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해당 변(E3, E4)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의 좌측변 및 우측변 근처에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길게 위치하므로 밀봉재(310)의 전체 면적을 높일 수 있고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의 접착력을 고르게 강화시켜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전달선(177)과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접촉부(Cnt)가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 및 하측변(E2)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변(E1) 주변에 위치하는 접촉부(Cnt)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나 밀봉재(310)와 전압 전달 전극(197)의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하나의 확장부(310b)가 위치하고, 봉지 기판(210)의 좌측변(E4)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하나의 확장부(310b)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가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우측변(E3) 및 좌측변(E4)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 위치하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의 폭은 일정할 수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310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310c)가 상측변(E1)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측변(E1) 주변의 주변 영역(PA1, PA2)에서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는 요철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의 톱니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197b)와 적어도 하나의 비확장부(197c)가 상측변(E1)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측변(E1) 주변의 주변 영역(PA1, PA2)에서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요철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의 톱니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는 전압 전달선(177) 쪽으로 확장되어 일부가 전압 전달선(177)과 접촉하여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Cnt)를 이룬다.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는 전압 전달선(177)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서 전압 전달 전극(197)의 확장부(197b)는 밀봉재(310)의 비확장부(310c)와 마주하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비확장부(197c)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와 마주한다.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나란히 뻗을 수 있으며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밀봉재(310)의 안쪽 가장자리의 요철과 이와 마주하는 전압 전달 전극(197)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요철은 서로 맞물려 형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210)의 하측변(E2)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 및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가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의 연장부(310a)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전압 전달 전극(197)의 연장부(197a)도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기판(110)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쪽, 즉 봉지 기판(210)의 변(E1-E4) 중 우측변(E3) 및 좌측변(E4) 근처의 주변 영역(PA1, PA2)에는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하나씩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변(E3, E4) 근처에 형성된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는 해당 변(E3, E4)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재(310)의 전체 면적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에 인접한 주변 영역(PA1, PA2)에소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복수 개 위치하므로 밀봉재(310)의 전체 면적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밀봉재(310)의 확장부(310b)가 하부 기판(110) 상에서 고르게 배치되므로 하부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의 접착력을 고르게 강화시켜 표시 장치(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전달선(177)과 전압 전달 전극(197)의 접촉부(Cnt)가 봉지 기판(210)의 상측변(E1) 및 하측변(E2)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변(E1) 주변에 위치하는 접촉부(Cnt)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도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여러 특징 및 효과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표시 장치
110: 하부 기판
111: 버퍼층
140: 게이트 절연막
154b: 반도체
177: 전압 전달선
180a: 제1 보호막
180b: 제2 보호막
197: 전압 전달 전극
210: 봉지 기판
310: 밀봉재
360: 화소 정의막
411: 트랜지스터
711: 터치 배선
110: 하부 기판
111: 버퍼층
140: 게이트 절연막
154b: 반도체
177: 전압 전달선
180a: 제1 보호막
180b: 제2 보호막
197: 전압 전달 전극
210: 봉지 기판
310: 밀봉재
360: 화소 정의막
411: 트랜지스터
711: 터치 배선
Claims (20)
-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마주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변을 가지는 봉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밀봉재,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전달선,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압 전달선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전압 전달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제1 확장부 및 상기 제1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비확장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 상기 제2변, 그리고 상기 제3변 각각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비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부가 상기 전압 전달선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2 비확장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비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와 마주하는
표시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제2변과 상기 제3변을 연결하는 제4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밀봉재의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의 제2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7항에서,
상기 밀봉재의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전압 전달선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전압 전달선과 상기 전압 전달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을 포함하는 보호막,
상기 전압 전달 전극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정의막, 그리고
상기 화소 정의막 위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 전극은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전압 전달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9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의 끝부분을 덮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은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2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확장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 각각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3변 각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1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비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부가 상기 전압 전달선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 제13항에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2 비확장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비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와 마주하는
표시 장치. - 제12항에서,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제2변과 상기 제3변을 연결하는 제4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6항에서,
상기 봉지 기판의 상기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비확장부가 상기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7항에서,
상기 복수의 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변, 제2변, 그리고 제3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은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2변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비확장부가 상기 제2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3변에 각각 인접하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제1 확장부가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2변 각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8항에서,
상기 전압 전달 전극은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비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부가 상기 전압 전달선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 제19항에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2 비확장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비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와 마주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440A KR102334393B1 (ko) | 2014-11-26 | 2014-11-26 | 표시 장치 |
US14/877,802 US9773854B2 (en) | 2014-11-26 | 2015-10-07 | Display device |
CN201910394888.4A CN110265434B (zh) | 2014-11-26 | 2015-11-24 | 显示装置 |
CN201910394895.4A CN110233164B (zh) | 2014-11-26 | 2015-11-24 | 显示装置 |
CN201510824905.5A CN105633298B (zh) | 2014-11-26 | 2015-11-24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440A KR102334393B1 (ko) | 2014-11-26 | 2014-11-26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3483A KR20160063483A (ko) | 2016-06-07 |
KR102334393B1 true KR102334393B1 (ko) | 2021-12-01 |
Family
ID=5601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6440A KR102334393B1 (ko) | 2014-11-26 | 2014-11-26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773854B2 (ko) |
KR (1) | KR102334393B1 (ko) |
CN (3) | CN10563329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89521B2 (en) * | 2014-11-20 | 2017-03-07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wire-on-array structure |
KR102289934B1 (ko) * | 2014-11-28 | 2021-08-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561709B1 (ko) * | 2016-07-25 | 2023-07-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636565B1 (ko) * | 2016-09-30 | 2024-02-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
CN109427996A (zh) * | 2017-08-31 | 2019-03-05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及制备方法 |
KR102524346B1 (ko) * | 2018-01-03 | 2023-04-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KR102537444B1 (ko) * | 2018-05-31 | 2023-05-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8735869B (zh) * | 2018-06-25 | 2024-01-30 | 厦门三安光电有限公司 | 一种发光二极管 |
CN109300938B (zh) * | 2018-08-30 | 2021-01-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KR102628847B1 (ko) * | 2019-06-12 | 2024-0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MX2020000612A (es) * | 2019-08-01 | 2021-02-22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Sustrato de pantalla y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
CN110993817B (zh) * | 2019-11-26 | 2020-12-25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 |
CN114207829B (zh) * | 2020-05-19 | 2023-12-0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
CN111769213B (zh) * | 2020-07-31 | 2023-05-23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33537B2 (en) * | 2001-09-28 | 2005-08-23 |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Sealing for OLED devices |
JP2004027404A (ja) * | 2002-06-24 | 2004-01-29 | Hitachi Chem Co Ltd | 防湿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実装体、防湿封止材の製造方法及び防湿封止材を用いた実装体の製造方法 |
CN1640203A (zh) * | 2002-09-12 | 2005-07-13 | 东芝松下显示技术有限公司 | 有机el显示器 |
KR100529071B1 (ko) | 2002-11-26 | 2005-1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소음을 저감시킨 봉착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US7205716B2 (en) * | 2003-10-20 | 2007-04-1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device |
KR101014172B1 (ko) * | 2004-09-13 | 2011-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KR100641738B1 (ko) | 2004-12-29 | 200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255288B1 (ko) * | 2005-02-14 | 2013-04-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KR100634111B1 (ko) * | 2005-06-24 | 2006-10-1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0673765B1 (ko) | 2006-01-20 | 2007-01-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4555258B2 (ja) * | 2006-01-26 | 2010-09-29 |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
JP4883526B2 (ja) * | 2006-08-30 | 2012-02-22 |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電気泳動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119163A (ko) | 2010-04-26 | 2011-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KR101394540B1 (ko) * | 2010-07-29 | 2014-05-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1757810B1 (ko) * | 2010-11-19 | 2017-07-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밀봉 기판의 제조 방법 |
KR101858182B1 (ko) * | 2011-04-11 | 2018-05-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1463650B1 (ko) * | 2011-08-30 | 2014-11-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TW201707202A (zh) * | 2011-11-29 | 2017-02-16 |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密封結構,發光裝置,電子裝置,及照明裝置 |
KR101927942B1 (ko) * | 2012-02-09 | 2018-12-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
2014
- 2014-11-26 KR KR1020140166440A patent/KR1023343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10-07 US US14/877,802 patent/US9773854B2/en active Active
- 2015-11-24 CN CN201510824905.5A patent/CN105633298B/zh active Active
- 2015-11-24 CN CN201910394888.4A patent/CN110265434B/zh active Active
- 2015-11-24 CN CN201910394895.4A patent/CN110233164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773854B2 (en) | 2017-09-26 |
KR20160063483A (ko) | 2016-06-07 |
CN105633298B (zh) | 2019-06-07 |
CN110265434A (zh) | 2019-09-20 |
CN110265434B (zh) | 2023-07-11 |
CN110233164B (zh) | 2023-09-19 |
CN105633298A (zh) | 2016-06-01 |
US20160148562A1 (en) | 2016-05-26 |
CN110233164A (zh) | 2019-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4393B1 (ko) | 표시 장치 | |
US11164925B2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388711B1 (ko) | 표시 장치 | |
KR102325171B1 (ko) | 표시 장치 | |
KR102287424B1 (ko) | 발광 장치 | |
KR102253531B1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35252B1 (ko) |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9853249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reflecting layer | |
KR102178796B1 (ko) | 표시 장치 | |
KR20160130921A (ko) | 표시 장치 | |
CN103811675A (zh) | 柔性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 |
US11069755B2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electrochromic part | |
US9678378B2 (en) | Display device | |
TWI685829B (zh) | 顯示裝置 | |
KR20110067366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230052363A (ko) | 곡면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