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79B1 -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079B1
KR102334079B1 KR1020210068072A KR20210068072A KR102334079B1 KR 102334079 B1 KR102334079 B1 KR 102334079B1 KR 1020210068072 A KR1020210068072 A KR 1020210068072A KR 20210068072 A KR20210068072 A KR 20210068072A KR 102334079 B1 KR102334079 B1 KR 10233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rrugated pipe
films
manufactur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채택되는 통풍시트에 냉·난방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차량 내 공조덕트와 통풍시트를 연결해주는 주름관(접이식 송풍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일직경의 관통홀을 갖는 복수의 필름을 적층하여 외측부 및 내측부를 교대로 융착하되, 앞선 공정을 마친 구조물이 후속공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우레탄 소재의 적층 필름 사이에 내열성이 우수한 제1, 2실리콘 부재(필름)을 개입시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금형의 복잡성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진 필름의 내측부 및 외측부의 융착작업이 용이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유연성과 단열성을 가진 실리콘 부재를 활용하여 접이식 송풍관을 제작함으로써, 접이식 송풍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연결커버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다른 차종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금형구조의 단순화와 용이한 제조공정의 표준화로 생산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oldable duct for automobile cooling shee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통풍시트에 냉·난방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 공조덕트와 통풍시트를 연결해주는 주름관(접이식 송풍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는 에어컨과 히터로 이루어진 냉·난방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냉·난방 장치는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주목적일 뿐, 운전자나 동승자의 신체부위와 밀착·접촉이 이루어지는 좌석(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무더운 여름철에는 탑승자들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 시트의 방석과 등받이 부분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도록 구성한 통풍시트가 점차 필수옵션으로 대두되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직은 차량구입 후 사용자가 스스로의 튜닝작업을 통해 통풍시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차량회사에서 미리 기본옵션으로 설치하여 출고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활발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자동차의 통풍시트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기술은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고 있는데, 자동차의 공조시스템과 통풍시트를 직접 연결시켜 냉·온풍을 공급하거나,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포집하여 에어 모터(Air Motor)로 강제 순환시켜 그 실내공기와 같은 온도의 냉·온풍을 통풍시트에 공급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들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통풍시트의 방석과 등받이 부분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설비, 즉, 차량 내 공조덕트 또는 에어 모터로부터 나오는 바람을 통풍시트까지 유도하는 최적화된 송풍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러한 송풍설비에 대한 기술개발이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
특허 제10-1645993호(선행특허 1)에는 통기 홀(hole)을 가진 시트패드의 에어 플레이트와 송풍 덕트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주름관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 1은 주름관이 어댑터에 의해 통풍시트의 공기유입구와 연결된다는 기재만 있을 뿐, 그 주름관의 재질이나 특성 또는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한 기재가 없다는 점에서, 그 주름관은 선행특허 1의 출원 당시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주름관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 이상의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없고, 특히 주름관의 연결구조가 어댑터를 이용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어댑터가 없는 다른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가설비를 준비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20-0125881호(선행특허 2, 2020. 11. 05. 공개)에는 동일한 직경의 내부 관통 홀(hole)이 구비된 통풍시트용 주름관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선행특허 2의 주름관은 복수의 박막 필름을 적층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관통 홀에 인접한 적층필름의 내측부는 동일한 금형(Y)을 통해 융착하는 반면, 적층필름의 테두리부분에 인접한 외측부는 서로 다른 규격의 금형(A, B)을 통해 융착하여 그 주름관의 전체 외관의 중앙부가 볼록한 형상(항아리 형상)이 되도록 제작한다는 기술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 2는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냉·온풍을 안내하는 공조 덕트의 형상이 다르더라도 커넥터 구조만 변경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호환성 측면의 장점은 있으나, 동일직경의 관통 홀을 가진 필름의 내측부 융착을 위해서는 적층된 인접 필름의 비융착 영역을 이격시키는 수단이 금형(Y)에 구비되도록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Y)의 구조적 복잡성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사용빈도가 높은 내측부 융착용 금형(Y)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위 선행특허 2는 유연성을 가진 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인접 필름의 수평상태가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고, 융착의 균일성을 위해서는 적층된 인접 필름의 수평유지에 작업자의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숙련된 고급인력을 투입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도 안고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특허 제10-1645993호 (선행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20-0125881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공조시스템과 통풍시트를 직접 연결하기 위한 주름관을 제조할 때, 유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필름부재를 활용하여 공정관리의 편리성을 제고하고,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금형의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은 외측부 융착용 금형(A)의 원통형 수직돌출부에 제1필름(100)을 장착하고, 그 제1필름(100) 위에 제1 실리콘 필름(600)과 제2필름(2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제1, 2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내측부 융착용 금형(Y)의 수직돌출부에 옮겨 장착하고 그 위에 제3필름(300)을 적층한 후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융착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외측부 융착용 금형(B)의 수직돌출부로 옮겨 장착하고 그 위에 제2 실리콘 필름(700)과 제4필름(400)을 순차로 적층한 후, 금형(B)를 통해 제3, 4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3단계, 제3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금형(Y)으로 옮기고, 그 위에 제5필름을 적층한 후 내측부의 융착으로 제1그룹의 주름관을 완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다시 진행하여 상기 제1그룹의 주름관과 대칭되는 형상의 제2그룹의 주름관을 완성하는 제5단계 및 제1, 2그룹의 주름관에 포함된 제5필름(500)이 서로 면접촉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면접촉된 제5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주름관 제조방법은 상기 제6단계를 거쳐 제조된 주름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제1, 2실리콘 필름(600, 700)을 외부로 꺼내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관 제조방법은 제1, 2필름과 제3, 4필름 및 제5필름의 외부 테두리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규격으로 설정하고, 제1실리콘 필름(600)과 제2실리콘 필름(700)의 관통 홀(800)의 직경은 동일하되, 제2실리콘 필름(700)의 외부 테두리 직경은 제1실리콘 필름(600)의 외부 테두리 직경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주름관은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형 구조가 되도록 대칭형상의 제1, 2그룹 주름관을 서로 접합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아리형 구조로 제작된 주름관의 양쪽 단부에는 내부에 관통홀(800)을 구비한 상부연결커버(901)와 하부연결커버(902)를 접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그 상하부 연결커버(901, 902)를 접합시킨 다음에 주름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제1, 2실리콘 필름(600, 700)을 외부로 꺼내도록 공정단계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금형의 복잡성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진 필름의 내측부 및 외측부의 융착작업이 용이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과 단열성을 가진 실리콘 부재를 활용하여 통풍시트의 주름관을 제작함으로써, 주름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단순한 커넥터 구조의 변경만으로 다른 차종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금형구조의 단순화와 공정관리의 표준화를 통해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현장공정에 투입되는 비숙련자도 단시간에 공정작업을 익힐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선행특허 1)의 차량 내 통풍시트와 공조덕트를 연결해주는 주름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의 (a), (b)는 종래(선행특허 2)의 차량 내 통풍시트용 주름관의 설치위치 및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b), (c), (d), (e)는 종래(선행특허 2)의 차량 내 통풍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부품들을 설명하기 위한 주름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의 (a), (b)는 도 4에 나타낸 부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주름관의 완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크기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도 밝혀둔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선행특허 1)의 차량 내 공조덕트와 통풍시트를 연결해주는 주름관(접이식 송풍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나 동승자의 통풍시트(110)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위치조정이 가능한 구조의 안내레일 위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통풍시트는 차량의 공조덕트(160)와 탑승자 좌석 하면의 공기 유입홀(122)이 주름관(162)과 어댑터(170)를 통해 연결되고, 공조덕트(160)의 냉·온풍은 주름관(162)을 통해 통풍시트로 공급되며, 그러한 냉·온풍은 탑승자의 방석이나 등받이에 형성된 통기 홀(112)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부위에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더위나 추위에 따른 탑승자의 컨디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는 주름관(162)이 통풍시트(110)와 공조덕트(160) 사이에 설치된다는 것만 예시되어 있을 뿐, 그 주름관(162)의 구체적인 재질이나 제조방법 등에 대하여는 어떠한 기재나 추가적인 설명이 없다.
한편, 도 2(a), (b)는 종래(선행특허 2)의 차량 내 통풍시트용 주름관(40)의 설치형태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보듯, 주름관(40)은 일단부가 보조커넥터(30)를 통해 통풍시트(10)의 채널커버(2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보조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덕트(70)에 구비된 메인커넥터(6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다수의 필름을 접착하여 만든 주름관으로 제작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예시된 도 2의 주름관(4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난 제조방법은 ①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금형(A)에 넣고 외측부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도 3의 (b)), ②융착된 제1, 2필름 위에 제3필름을 중첩시킨 후 금형(Y)에 넣고 내측부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도 3의 (c)), ③목표로 하는 융착작업을 마친 제1, 2, 3필름 위에 제4필름을 중첩시킨 후 금형(B)에 넣고 제3, 4필름의 외측부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도 3의 (c)), ④목표로 하는 융착작업을 마친 제1 내지 제4필름 위에 제5필름을 중첩시킨 후 다시 금형(Y)로 옮겨 내측부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도 3의 (e))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각 필름의 규격은, 도 3의 (a)에 나타난 것처럼, 내부 관통 홀(110)의 직경은 동일하지만 외부 테두리의 직경은 다르게 설계된다. 즉, 제1, 2필름과 제3, 4필름은 각각 서로 동일한 규격이지만, 제1, 3, 5필름은 외부 테두리의 직경을 점차 증가시켜 외측부 융착 과정에서 제1, 2필름과 제3, 4필름의 외측부 융착부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 때문에 관통홀(110)에 인접한 제1 내지 제 5필름의 내측부는 동일한 지점에서 융착되지만, 외측부는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지점에서 융착된다.
그리고 위 ① 내지 ④ 단계를 거쳐 제1 그룹의 주름관을 제작하고, 그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그룹의 주름관을 제작한 다음, 그 제2그룹의 주름관을 180도 반전시켜 제1그룹의 주름관에 결합하면,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상’의 주름관이 완성되는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도 3의 제조방법은 상부필름층(제3, 4필름층)의 외측부를 융착할 때 하부필름층(제1, 2필름층)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하부필름층(제1, 2필름층)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융착할 때는 외측부가 융착된 제1, 2필름의 내부를 펼쳐 금형(Y)의 좌우돌출부(도 3의 원형표시 참조)에 끼우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좌우돌출부로 인해 외측부 융착용 금형(Y)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그 제작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외측부가 융착된 제1, 2필름의 내부를 인위적으로 펼쳐 금형(Y)의 좌우돌출부에 끼우는 공정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작업과정이 번거로울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등의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적층 필름의 내측부를 융착하기 위한 금형(Y)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종래 금형(Y)의 좌우돌출부의 기능을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 필름이 대신할 수 있도록 개선한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주름관의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5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제1, 2그룹의 주름관을 서로 결합하여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의 ‘항아리형 주름관’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적층 필름의 수나 주름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수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제1그룹 주름관은 제1 필름(100), 제2필름(200), 제3필름(300), 제4필름(400) 및 제5필름(500)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재질은 우레탄(TPU) 소재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들 각 필름은 모두 내부에 관통홀(800)이 형성된 박막으로 되어 있다. 이들 필름들에 형성된 관통홀(800)의 직경은 모두 동일한 것이며, 외부 테두리의 직경은 제1, 2필름 또는 제3, 4필름이 쌍을 이루어 동일하지만, 그 직경의 크기는 제1, 2필름, 제3, 4필름 및 제5필름의 순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리콘 필름(600)은 제1 내지 제5필름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80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 테두리는 제1, 2필름의 외측부 융착영역을 제외한 규격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되고, 제2실리콘 필름(700) 또한 제1 내지 제5필름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800)을 구비하지만, 그 외부 테두리는 외측부 융착영역을 제외한 규격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들 실리콘 필름(600, 700)의 두께는 제1 내지 제5필름의 두께와 융착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적층된 인접 필름에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수준의 적절한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2개의 실리콘 필름(600, 700)에 대한 규격을 예시하고 있으나, 목표로 하는 주름관의 길이에 맞는 적층 필름의 개수가 정해지면, 이들 실리콘 필름의 개수와 규격은 그 적층필름의 개수에 대응하여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 실리콘 필름(600)은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 그리고 제2 실리콘 필름(700)은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예정된 부분에만 융착이 이루어지고, 그 융착영역이 예정된 부분에만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제1, 2 실리콘 필름(600, 700)의 재질은 우수한 내열특성과 단열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메틸기 성분 계열의 실리콘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2 실리콘 필름(600, 700)은 주름관의 제조공정이 끝나면, 최종적으로는 주름관에서 제1, 2 실리콘 필름이 분리·제거되기 때문에 그 분리·제거 작업을 대비하여 유연성이 유지되는 두께와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금형(Y)는 좌우돌출부의 구조가 없고, 단순히 중앙 관통홀(800)을 통해 각 필름을 끼울 수 있는 원통형의 수직돌출부를 갖춘 단순 구조의 금형(Y)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금형(Y)은 종래기술에 비해 그 구조적 복잡성이 완화되고, 이는 곧 금형(Y)의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각 필름의 외부 테두리를 융착하기 위한 금형(A, B)는 이미 공지된 금형(도면 3 참조)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외부측 융착용 금형(A, B, C)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4, 5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우선 첫 번째 단계로는 제1필름(100)을 금형(A)의 수직돌출부에 끼우고, 그 위에 제1 실리콘 필름(600) 및 제2필름(20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제1, 2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한다(단계①). 이때 제1, 2필름의 외부 테두리부 직경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외측부 융착영역에서 제1, 2필름은 서로 융착되지만, 제1, 2필름 사이에 삽입된 실리콘 필름(600)의 단열특성에 의해 외측부 융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1, 2필름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로는 위 단계①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금형(Y)의 수직돌출부에 옮겨 끼우고 그 위에 제3필름(300)을 마찬가지 방식으로 끼운 다음,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융착한다(단계②).
그리고 위 단계②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금형(B)의 수직돌출부로 옮겨 끼운 후, 그 위에 제2 실리콘 필름(700)과 제4필름(400)을 순차로 적층한 다음, 금형(B)를 통해 제3, 4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한다(단계③). 이때는 금형(B)의 직경이 금형(A)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금형(B)에 의한 융착작업이 단계①의 공정을 거친 제1, 2 필름의 외측부 융착영역과 겹치지 않게 되므로, 단계①, ③은 각각 독립된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그 다음에는 위 단계③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다시 금형(Y)으로 옮기고, 그 위에 제5필름을 적층시킨 다음, 내측부를 융착하여 제1그룹의 주름관을 완성하여 별도로 보관한다(단계④).
그리고 위 단계① 내지 ④와 동일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제2그룹의 주름관을 제작하여 별도로 보관한다(단계⑤).
그 다음 단계로는 위 단계⑤를 통해 보관하고 있는 제2그룹의 주름관을 추출하여 180도 반전시킨 후 제1그룹의 주름관 상면에 위치하는 제5필름(500)과 제2그룹의 주름관 하면에 위치하는 제5필름(500)가 면접촉을 이루도록 정렬한 후 금형(C)를 통해 그 외측부를 융착하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도 5의 ‘항아리형 주름관’이 완성되게 된다(단계⑥).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실리콘 필름(600, 700)들은 위 단계 ④. ⑤를 마친 단계에서 제거할 수도 있으나, 위 실리콘 필름들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이고, 단계⑥에서 완성한 주름관의 상하부에 연결커버(901, 902)를 부착하는 등의 후속공정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마지막까지 공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종 완성품의 성능검사 또는 품질검사 단계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단계⑥에서 완성한 주름관의 상하부에 연결커버(901, 902)를 부착하는 등의 후속공정은 공지된 기술을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이용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적층필름의 내측부를 융착하기 위한 금형(Y)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그로 인해 금형(Y)의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공정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필름층(제1, 2필름층)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융착하기 위해 외측부가 융착된 제1, 2필름의 내부를 인위적으로 펼쳐 금형(Y)의 좌우돌출부에 끼우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규격에 맞춰 유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필름(600, 700)을 재단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전체 제조공정의 표준화가 용이해지고, 그 제조공정의 안정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110 : 통풍시트 20 : 채널커버 30 : 보조커넥터
40, 162 : 주름관 50 : 시트프레임 60 : 메인커넥터
70, 160 : 공조덕트 122: 공기 유입 홀 170 : 어댑터
100 : 제1필름 200 : 제2필름 300 : 제3필름
400 : 제4필름 500 : 제5필름 600 : 제1 실리콘 필름
700 : 제2 실리콘 필름 800: 관통 홀
901 : 상부 연결커버 902 : 하부 연결커버
Y : 내측부 융착용 금형 A, B : 외측부 융착용 금형

Claims (7)

  1. 차량의 통풍시트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 내 공조덕트와 통풍시트의 공기유입 홀(hole)을 연결하는 주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측부 융착용 금형(A)의 원통형 수직돌출부에 제1필름(100)을 장착하고, 상기 제1필름(100) 위에 제1 실리콘 필름(600)과 제2필름(2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제1, 2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내측부 융착용 금형(Y)의 수직돌출부에 옮겨 장착하고 그 위에 제3필름(300)을 적층한 후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융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외측부 융착용 금형(B)의 수직돌출부로 옮겨 장착하고 그 위에 제2 실리콘 필름(700)과 제4필름(400)을 순차로 적층한 후, 금형(B)를 통해 제3, 4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접합한 구조물을 금형(Y)으로 옮기고, 그 위에 제5필름을 적층한 후 내측부의 융착으로 제1그룹의 주름관을 완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다시 진행하여 상기 제1그룹의 주름관과 대칭되는 형상의 제2그룹의 주름관을 완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1, 2그룹의 주름관에 포함된 제5필름(500)이 서로 면접촉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면접촉된 제5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촉된 제5필름의 외측부를 융착한 다음에 주름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제1, 2실리콘 필름(600, 700)을 외부로 꺼내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필름과 제3, 4필름 및 제5필름의 외부 테두리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규격으로 설정된 것이 특징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필름(600)과 제2실리콘 필름(700)의 관통 홀(800)의 직경은 동일하되, 상기 제2실리콘 필름(700)의 외부 테두리 직경은 상기 제1실리콘 필름(600)의 외부 테두리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 것이 특징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형 구조가 되도록 상기 제1, 2그룹의 주름관을 접합시키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리형 구조로 제작된 주름관의 양쪽 단부에는 내부에 관통홀(800)을 구비한 상부연결커버(901)와 하부연결커버(902)를 접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이 특징인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커버(901)와 하부연결커버(902)를 접합시킨 다음에 주름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제1, 2실리콘 필름(600, 700)을 외부로 꺼내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KR1020210068072A 2021-05-27 2021-05-27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KR10233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72A KR102334079B1 (ko) 2021-05-27 2021-05-27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72A KR102334079B1 (ko) 2021-05-27 2021-05-27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079B1 true KR102334079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72A KR102334079B1 (ko) 2021-05-27 2021-05-27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0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056A (ja) * 1992-01-24 1993-08-10 Nippon Purobiimu Kogyo Kk ダイヤフラムベローズの製造法
KR101645993B1 (ko) 2014-08-26 2016-08-09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통풍시트
KR102070024B1 (ko) * 2018-07-27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 시트의 통풍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가변형 통풍시트
KR102113559B1 (ko) * 2019-04-02 2020-05-22 현대트랜시스(주) 시트의 통풍기구용 커넥터 연결구조 및 그 제조장치
KR20200125881A (ko) 2019-04-26 2020-11-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056A (ja) * 1992-01-24 1993-08-10 Nippon Purobiimu Kogyo Kk ダイヤフラムベローズの製造法
KR101645993B1 (ko) 2014-08-26 2016-08-09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통풍시트
KR102070024B1 (ko) * 2018-07-27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 시트의 통풍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가변형 통풍시트
KR102113559B1 (ko) * 2019-04-02 2020-05-22 현대트랜시스(주) 시트의 통풍기구용 커넥터 연결구조 및 그 제조장치
KR20200125881A (ko) 2019-04-26 2020-11-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567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20130089693A1 (en) Laminated plate
US20090088062A1 (en) Vehicle Body Pressure Relief System
JP2002120540A (ja) 空調用ダクト及び空調用ダクトの製造・取付方法
US20120018026A1 (en) Cross-linked polyolefin foam duct for hvac applications
US10556482B2 (en) Vascular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rmal control
KR102334079B1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CN104640685B (zh) 由热塑夹芯板形成管的方法
CN102216108B (zh) 车辆用内部装饰部件以及其制造方法和其成形金属模
US20100240294A1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module
US998779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ing member
CN111196317B (zh) 用于内覆板部件的支架和车身结构
CN207916506U (zh) 一种新型顶棚空调风道结构
CN104943199A (zh) 复合材料的成型方法以及成型装置
CN212796446U (zh) 用于车辆的后排空调风道结构和车辆
CN108482072B (zh) 一种平台化风道
CN201410864Y (zh) 车身风道组件
JP4709624B2 (ja) 車両用成形カーペット、車両用成形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US20130000875A1 (en)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er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918209A (zh) 一种智能调温大巴汽车及其智能调温控制方法
CN204323142U (zh) 一种带承载风管的地毯总成
CN203331888U (zh) 温度可调节的车辆座椅
JP6121346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209257928U (zh) 座椅通风加热结构、座椅及汽车
CN220500441U (zh) 车载空调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