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08B1 -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08B1
KR102333408B1 KR1020190176330A KR20190176330A KR102333408B1 KR 102333408 B1 KR102333408 B1 KR 102333408B1 KR 1020190176330 A KR1020190176330 A KR 1020190176330A KR 20190176330 A KR20190176330 A KR 20190176330A KR 102333408 B1 KR102333408 B1 KR 10233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nnis
inclination angles
us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732A (ko
Inventor
허필우
임의수
이종건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공되는 테니스공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력부재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 개구에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메쉬는 프레임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Reduced interface area type of a tennis apparatus with multi tilt angle using none crossed area}
본 발명은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력부재의 교차부를 제외하고 탄력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면서 인접 배치하는 경우에도, 탄력부재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된 프레임에 의해 테니스공이 불규칙하게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체력 향상이나 취미 생활에서 테니스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으나,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넓은 공간에 테니스 코트를 설치한 별도의 테니스 연습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테니스 코트에서 연습하기 위하여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일반인에게 테니스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타격한 볼을 받아줄 파트너가 필요하므로, 혼자서는 연습을 할 수 없는 불편이 따랐고,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가 타격한 볼을 다시 사용자에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가 제안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테니스 스윙 연습기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와, 상기 받침대(1)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2a)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C1)가 고정된 코트 본체(2)와, 상기 코트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a)에 고정되는 상층코트(C2)와, 상기 코트(C1)와 상기 상층코트(C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로(3b) 및 상기 이동 통로(3b)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 볼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3a)가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테니스공 복귀부(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가 코트 본체(2)를 향해 테니스 볼을 타격하면, 테니스 볼은 코트(C1)를 맞고 이동 통로를 거쳐 테니스공 복귀부(3)를 이루는 밀폐공간 내로 들어간 후, 개방부(3a)를 통해 다시 코트(C1)로 나오게 된다.
상기 코트(C1)로 나온 테니스 볼은 코트(C1) 하부에 배치된 반동판(4)에 의해 튀어 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튀어 오르는 테니스 볼을 라켓으로 스윙하여 연습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니스공 스윙 연습기는 테니스공이 천 재질의 코트시트를 충격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감속안내몸체에 의해 테니스공의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송구장치를 이용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송구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하는 속도와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송구되므로 연습이 단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공개특허 제10-2019-0122382호(2019.10.30)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탄력부재를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이 사용자에게 다시 복귀되도록 하여 랠리를 지속할 수 있으나,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연결부위에 프레임이 존재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프레임에 의해 테니스공이 불규칙하게 튕겨나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출원 제10-2018-0088585호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에 따르면,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프레임을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각각의 프레임에 와이어를 종횡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각 탄력부재의 교차면에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와이어의 교체가 매우 어렵고, 탄력부재의 각도를 변경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354922호 (2014년01월22일)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9-0122382호(2019년10월3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력부재의 교차부를 제외하고 탄력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면서 인접 배치하는 경우에도, 탄력부재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된 프레임에 의해 테니스공이 불규칙하게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공되는 테니스공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력부재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 개구에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메쉬는 프레임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탄성메쉬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개구를 가로지르는 와이어의 양단부는 상기 단위부재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일측 단부에 지지되고, 단위부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통공으로 삽입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함몰 깊이는 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의 단면 형상은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의 단면 형상은 와이어가 지지되는 일측 단부에 비해 타측 단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 간의 연결부위에는 양측 단위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력부재의 교차부를 제외하고 탄력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면서 인접 배치하는 경우에도, 탄력부재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된 프레임에 의해 테니스공이 불규칙하게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력부재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A"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단위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탄력부재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따른 탄력부재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력부재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A"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단위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는,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B)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수 마련되어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탄력부재가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탄력부재를 제1탄력부재(10a), 제2탄력부재(10b), 제3탄력부재(10c) 및 제4탄력부재(10d)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탄력부재의 개수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이용 환경 등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탄력부재(10a)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1방향(A1)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B)이 제2방향(A2)으로 튕겨나가도록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사용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탄력부재(10b)는 상기 제1탄력부재(10a)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탄력부재(10a)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이 제3방향(A3)으로 튕겨나가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일측에 경사배치된다.
상기 제3탄력부재(10c)는 상기 제2탄력부재(10b)로부터 제3방향(A3)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2탄력부재(10b)에서 튀어나온 테니스공(B)이 제4방향(A4)으로 튀어나가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타측에 경사배치되며, 상기 제1탄력부재(10a)와 비교적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탄력부재(10d)는 상기 제3탄력부재(10c)로부터 제4방향(A4)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3탄력부재(10c)로부터 튀어나온 테니스공(B)이 제5방향(A5)으로 튀어나가 사용자에게 복귀되도록 수용공간의 하부에 경사배치된다.
한편, 사용자가 테니스공(B)을 타격한 이후로부터 테니스공(B)이 다시 사용자에게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사용자가 다음 타구 자세를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복귀 시간이 충분히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4탄력부재(10d)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제5방향(A5)이 제3탄력부재(10c)를 향하게 하면, 제4탄력부재(10d)에서 튕겨져 제3탄력부재(10c)로 되돌아간 테니스공(B)이 제3탄력부재(10c)로부터 제1탄력부재(10a)를 향하는 제6방향(A6)으로 이동한 다음, 제1탄력부재(10a)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제7방향(A7)으로 튀어나가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 내에서 테니스공(B)의 이동 경로가 증가할수록 테니스공(B)이 사용자에게 복귀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사용자가 테니스공(B)을 타격한 후 다음 타구 자세를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10a,10b,10c,10d)는 가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a)와 세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a)로 구성되어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부에서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배치되어 테니스공(B)을 튕겨내는 탄성메쉬(1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단위부재(110a)는 탄성메쉬(120)를 구성하는 와이어(121)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되고, 상기 단위부재(110a)의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121)가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112)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홈(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 지지된 와이어(121)가 안착홈(112)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121)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홈(112)은 원호형 홈, V자형 홈, 또는 U자형 홈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부재(110a)의 단면 형상은 도 5와 같이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6과 같이 와이어(121)가 지지되는 일측 단부에 비해 타측 단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L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위부재(110a)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110)의 경량화 측면에서는 직사각형 단면이 유리하고, 와이어(121)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L자형 단면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110a) 간의 연결부위에는 양측 단위부재(110a)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메쉬(120)는 와이어(121)가 상기 중앙 개구를 종횡 방향으로 복수 회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되며, 테니스공(B)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 개구를 가로지르는 와이어(121)는 양단부가 상기 단위부재(110a)의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일측 단부의 안착홈(112)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단위부재(110a)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통공(111)으로 삽입 지지됨에 따라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121)는 도 4와 같이 프레임(110)의 중앙 개구를 가로지르는 레인(lane)부(121a)와, 안착홈(112)과 통공(111)을 연결하는 지지부(121b)와, 인접한 한 쌍의 통공(111)을 연결하는 연결부(12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탄력부재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도 8은 본 발명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따른 탄력부재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프레임(110)의 중앙에 마련된 통공(111)에 와이어(121)가 지지되므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0a,10b)의 연결부위에서 테니스공(B)을 튕겨내는 탄성메쉬(120)의 전방으로 프레임(110)의 일부가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테니스공(B)이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0a,10b)의 연결부위를 향하는 경우에는, 테니스공(B)이 프레임(110)에 직접 충돌하여 불규칙한 방향으로 튕겨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메쉬(120)를 구성하는 와이어(121)가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안착홈(112)에 지지됨에 따라, 탄성메쉬(120)가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프레임(110)이 탄성메쉬(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테니스공(B)이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0a,10b)의 연결부위를 향하는 경우에도 프레임(110)의 전면에 배치된 탄성메쉬(120)에서 탄력적으로 튕겨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테니스공(B)이 프레임(1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테니스공(B)이 입사각도에 대응하는 출사각으로 튕겨나가도록 할 수 있어 랠리의 지속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개특허 제10-2019-0122382호와 같이 탄력부재를 독립적으로 배치하면서도, 탄력부재(10a,10b)의 연결부위에 프레임(11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특허출원 제10-2018-0088585호와 같이 탄력부재의 연결부위에서 프레임을 교차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와이어(121)의 교체나 탄력부재(10a,10b)의 각도 변경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a:제1탄력부재, 10b:제2탄력부재, 10c:제3탄력부재,
10d:제4탄력부재, 110:프레임, 110a:단위부재,
111:통공, 112:안착홈, 120:탄성메쉬,
121:와이어, 130:보강부재, B:테니스공,

Claims (7)

  1.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공되는 테니스공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력부재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 개구에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탄성메쉬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은 상기 단위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메쉬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앙 개구를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와이어의 양단부는 상기 단위부재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일측 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부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통공으로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함몰 깊이는 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의 단면 형상은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의 단면 형상은 와이어가 지지되는 일측 단부에 비해 타측 단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 간의 연결부위에는 양측 단위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190176330A 2019-12-27 2019-12-27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33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30A KR102333408B1 (ko) 2019-12-27 2019-12-27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30A KR102333408B1 (ko) 2019-12-27 2019-12-27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32A KR20210083732A (ko) 2021-07-07
KR102333408B1 true KR102333408B1 (ko) 2021-12-03

Family

ID=7686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330A KR102333408B1 (ko) 2019-12-27 2019-12-27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2729A1 (en) * 2020-08-31 2022-03-03 People For Goldfish Ll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game apparatus for bouncing projecti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58Y1 (ko) * 2013-09-02 2014-05-07 양재열 골프 스윙 연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8290A1 (de) * 1977-01-06 1978-07-13 Remy Torres Sportgeraet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KR102066789B1 (ko) 2018-04-20 2020-01-15 한국기계연구원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58Y1 (ko) * 2013-09-02 2014-05-07 양재열 골프 스윙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32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750B1 (en) Ball rebound net
US20080067751A1 (en) Random rebound practice device
CA2546604C (en) Throwing and catching training apparatus
CN1289624A (zh) 球类运动练习装置
US20130072327A1 (en) Rebound Screen
KR102333408B1 (ko)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66789B1 (ko)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JP2009291562A (ja) 遊技盤ユニット、及びパチンコ遊技機
JP5643445B1 (ja) バドミントンのシャトルおよびバドミントン練習用セット
KR101739548B1 (ko) 골프공을 잡는 장치 및 방법
CN105727538A (zh) 一种羽毛球练习辅助装置
KR102066797B1 (ko)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88578B1 (ko)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JP2003062202A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玉の振動吸収装置
KR102235467B1 (ko)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KR102319752B1 (ko) 경사각을 갖는 투과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308862B1 (ko) 유효 영역 확장된 판형 실시간 테니스 연습장치
KR101903656B1 (ko) 당구 연습장치
EP0304317A1 (en) Tennis practice aid
CN212575582U (zh) 一种足球训练器
JP2726230B2 (ja) ラケット
JPH07213653A (ja) ラケット
CN117504259A (zh) 多功能足球训练架
JP2726231B2 (ja) ラケット
KR200211647Y1 (ko) 골프 어프로치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