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578B1 -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578B1
KR102088578B1 KR1020180106500A KR20180106500A KR102088578B1 KR 102088578 B1 KR102088578 B1 KR 102088578B1 KR 1020180106500 A KR1020180106500 A KR 1020180106500A KR 20180106500 A KR20180106500 A KR 20180106500A KR 102088578 B1 KR102088578 B1 KR 102088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astic member
members
frame
tenn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필우
임의수
이성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는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인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 및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탄력부재가 다른 하나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부재의 사이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LOW NOISE TYPE TENNIS TRAINING APPARATUS WITH VARIABLE SLOPE}
본 발명은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부재로부터 튕겨져나가는 테니스공의 출사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체력 향상이나 취미 생활에서 테니스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으나,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넓은 공간에 테니스 코트를 설치한 별도의 테니스 연습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테니스 코트에서 연습하기 위하여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일반인에게 테니스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타격한 볼을 받아줄 파트너가 필요하므로, 혼자서는 연습을 할 수 없는 불편이 따랐고,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가 타격한 볼을 다시 사용자에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가 제안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테니스 스윙 연습기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와, 상기 받침대(1)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2a)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C1)가 고정된 코트 본체(2)와, 상기 코트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a)에 고정되는 상층코트(C2)와, 상기 코트(C1)와 상기 상층코트(C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로(3b) 및 상기 이동 통로(3b)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 볼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3a)가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테니스공 복귀부(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가 코트 본체(2)를 향해 테니스 볼을 타격하면, 테니스 볼은 코트(C1)를 맞고 이동 통로를 거쳐 테니스공 복귀부(3)를 이루는 밀폐공간 내로 들어간 후, 개방부(3a)를 통해 다시 코트(C1)로 나오게 된다.
상기 코트(C1)로 나온 테니스 볼은 코트(C1) 하부에 배치된 반동판(4)에 의해 튀어 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튀어 오르는 테니스 볼을 라켓으로 스윙하여 연습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니스공 스윙연습기는 테니스공이 천 재질의 코트시트를 충격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감속안내몸체에 의해 테니스공의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송구장치를 이용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송구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하는 속도와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송구되므로 연습이 단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니스 연습용 네트(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623호)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테니스 공을 받아 튕겨내는 네트(20), 상기 프레임(10) 하단에는 배치되어 프레임(10)이 테니스공의 힘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지면과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테니스 연습용 네트는 탄성력을 갖는 네트(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튕겨낼 수 있으므로, 종래의 테니스공 스윙연습기에 비해 역동적인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탄성력을 갖는 네트가 평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테니스공이 네트의 상부에 맞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위쪽으로 떠오르게 되고, 네트의 하부에 맞는 경우에는 네트와 인접한 바닥에 부딪히게 되는 등, 테니스공의 복귀 범위가 넓어 랠리를 지속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354922호 (2014년01월22일)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623호 (1999년06월1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탄력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부재로부터 튀어나가는 테니스공의 출사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탄력부재 간의 경계에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테니스공이 탄력부재 간의 경계 부위에 부딪히더라도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인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 및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탄력부재가 다른 하나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부재의 사이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서로 인접하여 교차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에는 회전축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측면부재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메쉬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프레임의 단면 내에서 테니스공을 튕겨내는 전면을 향해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재에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측면부재의 단면 내에서 상기 통공과 반대쪽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탄력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부재로부터 튀어나가는 테니스공의 출사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탄력부재 간의 경계에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테니스공이 탄력부재 간의 경계 부위에 부딪히더라도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테니스 연습용 네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5탄력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탄력부재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5탄력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4탄력부재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는 복수의 탄력부재(110)와,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120)을 포함한다.
상기 탄력부재(110)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B)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수 마련되어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탄력부재가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5개의 탄력부재를 제1탄력부재 내지 제5탄력부재(110a,110b,110c,110d,110e)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탄력부재(110)의 개수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이용 환경 등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탄력부재(110a)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1방향(A1)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B)이 제2방향(A2)으로 튀어나가도록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사용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탄력부재(110b)는 상기 제1탄력부재(110a)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탄력부재(110a)에서 튀어나온 테니스공(B)이 제3방향(A3)으로 튀어나가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일측에 경사배치된다.
상기 제3탄력부재(110c)는 상기 제2탄력부재(110b)로부터 제3방향(A3)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2탄력부재(110b)에서 튀어나온 테니스공(B)이 제4방향(A4)으로 튀어나가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타측에 경사배치되며,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비교적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탄력부재(110d)는 상기 제3탄력부재(110c)로부터 제4방향(A4)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3탄력부재(110c)로부터 튀어나온 테니스공(B)이 제5방향(A5)으로 튀어나가 사용자에게 복귀되도록 수용공간의 하부에 경사배치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상기 제2방향(A2)의 출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탄력부재(1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5탄력부재(110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제5탄력부재(110e)의 사이각은 둔각으로 설정됨에 따라 제2방향(A2)으로 튀어나가는 테니스공(B)의 출사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탄력부재(110a)에 이어 설치되는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테니스공(B)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되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력부재(110a)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단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탄력부재(110a)의 상단에서의 출사각과 하단에서의 출사각이 확대되는 형태가 되므로,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의 범위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탄력부재(110a)에 이어 설치되는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도 4의 (b)와 같이 제1탄력부재(110a)의 상측에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둔각을 이루는 제5탄력부재(110e)를 추가로 배치하고, 제1탄력부재(110a)와 제5탄력부재(110e)를 제1방향(A1)의 범위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2방향(A2)의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력부재(110a) 및 제5탄력부재(110e)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을 받아내는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을 점진적으로 크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며,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의 범위가 감소되므로 랠리를 반복하기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력부재 내지 제5탄력부재(110a,110b,110c,110d,110e)는,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탄력부재(110) 간의 연결부위에 테니스공(B)이 빠져나갈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테니스공(B)이 불필요하게 이탈하여 랠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력부재(110)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11)과, 테니스공(B)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에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메쉬(11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1)은 사각 틀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11a)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111a)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11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111a)와 연결부재(111b)에는 상기 메쉬(112)의 설치를 위해 다수의 통공(111c)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측 프레임(111)의 측면부재(111a)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한 쌍의 메쉬(112)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교차 배치된 한 쌍의 탄력부재(110)는 양측 프레임(111)의 연결부재(111b)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는 일측 탄력부재(110)의 프레임(111)이 타측 탄력부재(110)의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로 삽입된 형태로 교차하게 된다.
상기 메쉬(112)는 상기 프레임(111)의 측면부재(111a)와 연결부재(111b)에 형성된 통공(111c)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0)은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탄력부재(110)가 교차한 부위에서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11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탄력부재(11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111a)에는 상기 회전축(12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1d)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11d)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부재(111a)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111a)의 중앙을 향해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를 서로 중첩하여 배치하면서도, 양측 탄력부재(110)의 메쉬(112)가 각각 프레임(11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평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양측 메쉬(112)가 교차하는 부위에 프레임(111)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경계부위의 프레임(111)에 의해 테니스공(B)이 불규칙하게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공(111c)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테니스공(B)을 받아내는 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111d)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상기 전면의 반대에 위치한 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축(12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1d)이 메쉬(112)를 설치하기 위한 통공(111c)과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삽입공(111d)에 의해 통공(111c)의 간격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회전축(12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체격이나 사용 환경 등, 다양한 요건에 따라 탄력부재(11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탄력부재(110d)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테니스공(B)이 제4탄력부재(110d)에 의해 튕겨나가는 제5방향(A5)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면, 테니스공(B)이 수용공간 내에서 4번 튕겨 사용자에게 복귀되므로, 타격 후 테니스공(B)이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 경력이 오래된 사용자의 경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랠리를 지속할 수 있지만, 운동 경력이 미흡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랠리를 지속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복귀 시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탄력부재(110d)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제5방향(A5)이 제3탄력부재(110c)를 향하도록 하면, 제4탄력부재(110d)에서 튕겨져 제3탄력부재(110c)로 되돌아간 테니스공(B)이 제3탄력부재(110c)로부터 제1탄력부재(110a)를 향하는 제6방향(A6)으로 이동한 다음, 제1탄력부재(110a)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제7방향(A7)으로 튀어나가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 내에서 테니스공(B)이 이동하는 경로가 증가하게 되어 테니스공(B)이 사용자에게 복귀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사용자가 테니스공(B)을 타격한 후 다음 타구 자세를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에는, 일단부가 일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어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사이각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또는, 일단부가 일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탄력부재(110)의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어 제1방향(A1)으로 이동하는 테니스공(B)은 제1탄력부재(110a)에 충돌한 이후 탄력적으로 튀어올라 제2방향(A2)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2방향(A2)으로 이동한 테니스공(B)은 제2탄력부재(110b)에 의해 제3방향(A3)으로, 제3탄력부재(110c)에 의해 제4방향(A4)으로, 제4탄력부재(110d)에 의해 제5방향(A5)으로 이동하고, 제3탄력부재(110c)에 의해 제6방향(A6)으로 이동한 다음, 제1탄력부재(110a)에 의해 제7방향(A7)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A2)으로 이동하는 테니스공(B)의 속도는 사용자의 타격력에 의해 결정되고, 제2방향(A2)의 각도는 제1탄력부재(110a)에 제공되는 제1방향(A1)의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사용자의 타격 방향, 즉 사용자의 타격 자세나 타격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제1방향(A1)의 각도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향하게 되는 테니스공(B)의 제7방향(A7) 각도가 결정되고, 사용자가 테니스공(B)을 타격한 힘에 따라서 제7방향(A7)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B)의 속도가 결정되므로, 단조로운 공이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종래의 연습장치에 비해 실제 경기와 같은 상황을 사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력부재 내지 제5탄력부재(110a,110b,110c,110d,110e)에 각각 마련된 메쉬(112)는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와이어로 구성되어 테니스공(B)을 탄력적으로 튕겨내므로, 테니스공(B)이 탄력부재(11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탄력부재(110b)와 제3탄력부재(110c)는 개구부와 제1탄력부재(110a) 사이에서 수용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4탄력부재(110d)는 개구부와 제1탄력부재(110a) 사이에서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탄력부재 내지 제4탄력부재(110a,110b,110c,110d)의 기울기는, 사용자가 제1탄력부재(110a)를 향해 타격한 테니스공(B)이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되돌아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테니스공(B)이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1)의 교차부위가 측면부재(111a)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111a)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메쉬(112) 간의 경계에 프레임(111)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테니스공(B)이 메쉬(112) 간의 경계에 부딪히더라도 종래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튀어나가 랠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111c)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테니스공(B)을 받아내는 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축(120)이 결합되는 삽입공(111d)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상기 전면의 반대에 위치한 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메쉬(112)를 설치하기 위한 통공(111c)이 삽입공(111d)과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삽입공(111d)에 의해 메쉬(112)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설치 간격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탄력부재, 110a:제1탄력부재, 110b:제2탄력부재,
110c:제3탄력부재, 110d:제4탄력부재, 110e:제5탄력부재,
111:프레임, 111a:측면부재, 111b:연결부재, 111c:통공,
111d:삽입공, 112:메쉬, 120:회전축, B:테니스공

Claims (6)

  1.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 개구에 배치되고,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로 테두리가 상기 측면부재와 연결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력부재; 및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측면부재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한 쌍의 메쉬의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탄력부재가 다른 하나의 탄력부재의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부재의 사이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서로 인접하여 교차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메쉬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프레임의 단면 내에서 테니스공을 튕겨내는 전면을 향해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측면부재의 단면 내에서 상기 통공과 반대쪽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180106500A 2018-09-06 2018-09-06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88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00A KR102088578B1 (ko) 2018-09-06 2018-09-06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00A KR102088578B1 (ko) 2018-09-06 2018-09-06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578B1 true KR102088578B1 (ko) 2020-03-13

Family

ID=6993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00A KR102088578B1 (ko) 2018-09-06 2018-09-06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57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235A (en) * 1977-01-06 1980-12-16 Torres Remy G Training device for football or for all games using a small or large ball
JPH0340392U (ko) * 1989-08-28 1991-04-18
JPH09253259A (ja) * 1996-03-21 1997-09-30 Katsuyoshi Asahara 球技用ネット、屋外球技用ネット及び返球変化方法
KR19990020623A (ko) 1997-08-30 1999-03-25 유기범 망동기부의 슬립 발생률 측정 방법
KR20000002733U (ko) * 1998-07-10 2000-02-07 이창호 복합체육기구
JP3150962U (ja) * 2009-03-23 2009-06-04 二仁 村田 テニスのボレー練習用具
KR20110011999U (ko) * 2010-06-23 2011-12-29 장성한 네트의 반발력을 이용한 공놀이 운동구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US20160175682A1 (en) * 2014-12-19 2016-06-23 Christopher Todd Patton Training apparatus for developing proper tennis swing techniqu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235A (en) * 1977-01-06 1980-12-16 Torres Remy G Training device for football or for all games using a small or large ball
JPH0340392U (ko) * 1989-08-28 1991-04-18
JPH09253259A (ja) * 1996-03-21 1997-09-30 Katsuyoshi Asahara 球技用ネット、屋外球技用ネット及び返球変化方法
KR19990020623A (ko) 1997-08-30 1999-03-25 유기범 망동기부의 슬립 발생률 측정 방법
KR20000002733U (ko) * 1998-07-10 2000-02-07 이창호 복합체육기구
JP3150962U (ja) * 2009-03-23 2009-06-04 二仁 村田 テニスのボレー練習用具
KR20110011999U (ko) * 2010-06-23 2011-12-29 장성한 네트의 반발력을 이용한 공놀이 운동구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US20160175682A1 (en) * 2014-12-19 2016-06-23 Christopher Todd Patton Training apparatus for developing proper tennis swing techniqu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40392 UR
JP03150962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7791B2 (ja) 球技用の練習装置
EP1086725B1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JP6818044B2 (ja) 返球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4508112A (ja) 球技用の練習用具
JP2007512930A (ja) 投球および捕球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49519Y1 (ko) 테니스 스윙 연습기
KR102088578B1 (ko)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US7163474B1 (en) Portable backstop and sport equipment set, baseball related game, and playing field
US939916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tching a golf ball
KR102066789B1 (ko)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CN114699755B (zh) 一种多角度调节智能网球训练器
US6306050B1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2333408B1 (ko)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66797B1 (ko)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
KR200465136Y1 (ko) 테니스 연습기
US20230036541A1 (en) Racket Sports Rebounder with Side Shields
US3158373A (en) Competitive paddle projectile game
KR102235467B1 (ko)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JP3146079U (ja) 打撃練習装置
HU192533B (en) Bouncing net for ball-games
KR101903656B1 (ko) 당구 연습장치
KR102308862B1 (ko) 유효 영역 확장된 판형 실시간 테니스 연습장치
KR102319752B1 (ko) 경사각을 갖는 투과형 테니스 연습장치
GB2566799A (en) Sports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