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67B1 -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67B1
KR102235467B1 KR1020190051587A KR20190051587A KR102235467B1 KR 102235467 B1 KR102235467 B1 KR 102235467B1 KR 1020190051587 A KR1020190051587 A KR 1020190051587A KR 20190051587 A KR20190051587 A KR 20190051587A KR 102235467 B1 KR102235467 B1 KR 10223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user
tennis
tennis ball
h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452A (ko
KR102235467B9 (ko
Inventor
허필우
김현세
이종건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4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67B1/ko
Publication of KR10223546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6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는 테니스공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수 마련되어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테니스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MULTIDIRECTIONAL TENNIS TRAINING APPARATUS WITH RECOGNITION FUNCTION OF EFFECTIVE HITTING}
본 발명은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체력 향상이나 취미 생활에서 테니스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으나,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넓은 공간에 테니스 코트를 설치한 별도의 테니스 연습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테니스 코트에서 연습하기 위하여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일반인에게 테니스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타격한 볼을 받아줄 파트너가 필요하므로, 혼자서는 연습을 할 수 없는 불편이 따랐고,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가 타격한 볼을 다시 사용자에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가 제안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테니스 스윙 연습기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와, 상기 받침대(1)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2a)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C1)가 고정된 코트 본체(2)와, 상기 코트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a)에 고정되는 상층코트(C2)와, 상기 코트(C1)와 상기 상층코트(C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로(3b) 및 상기 이동 통로(3b)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 볼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3a)가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테니스공 복귀부(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가 코트 본체(2)를 향해 테니스 볼을 타격하면, 테니스 볼은 코트(C1)를 맞고 이동 통로를 거쳐 테니스공 복귀부(3)를 이루는 밀폐공간 내로 들어간 후, 개방부(3a)를 통해 다시 코트(C1)로 나오게 된다.
상기 코트(C1)로 나온 테니스 볼은 코트(C1) 하부에 배치된 반동판(4)에 의해 튀어 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튀어 오르는 테니스 볼을 라켓으로 스윙하여 연습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니스공 스윙연습기는 테니스공이 천 재질의 코트시트를 충격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감속안내몸체에 의해 테니스공의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송구장치를 이용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송구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하는 속도와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송구되므로 연습이 단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니스 연습용 네트(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623호)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테니스 공을 받아 튕겨내는 네트(20), 상기 프레임(10) 하단에는 배치되어 프레임(10)이 테니스공의 힘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지면과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테니스 연습용 네트는 탄성력을 갖는 네트(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튕겨낼 수 있으므로, 종래의 테니스공 스윙연습기에 비해 역동적인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탄성력을 갖는 네트가 평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테니스공이 네트의 상부에 맞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위쪽으로 떠오르게 되고, 네트의 하부에 맞는 경우에는 네트와 인접한 바닥에 부딪히게 되는 등, 테니스공의 복귀 범위가 넓어 랠리를 지속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테니스 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연습하는 과정에서는 인,아웃 판정이 불가하여 게임처럼 점수를 부과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확도 또는 난이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354922호 (2014년01월22일)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623호 (1999년06월1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력에 따라 탄력부재의 각도를 조절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테니스공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수 마련되어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테니스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탄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탄력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다수의 발광소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막대형 발광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광부는 다수의 수광소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막대형 수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배치간격은 테니스공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정제어부는 다수의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인식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을 인(IN)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의 경사 각도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이 다수의 탄력부재에 의해 튕겨져 사용자에게 다시 복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을 제2방향으로 튕겨내는 제1탄력부재; 및 상기 제1탄력부재로부터 제2방향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을 제3방향으로 튕겨내는 제2탄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 및 제3방향은 상기 제1탄력부재로부터 튕겨나온 테니스공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하는 복귀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제1탄력부재의 출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탄력부재와 둔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5탄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정제어부는 상기 제5탄력부재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제1탄력부재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는 중앙이 개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신된 상태로 지지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력에 따라 탄력부재의 각도를 조절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테니스 연습용 네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탄력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1탄력부재의 입사각과 출사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5탄력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4탄력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탄력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1탄력부재의 입사각과 출사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5탄력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4탄력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는 복수의 탄력부재(110)와, 상기 탄력부재(110)에 각각 배치되어 테니스공(B)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0) 및 판정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탄력부재(110)는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B)을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수 마련되어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탄력부재(110)가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5개의 탄력부재(110)를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제4탄력부재(110d) 및 제5탄력부재(110e)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탄력부재(110)의 개수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이용 환경 등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력부재(110a)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1방향(A1)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B)을 받아 제2방향(A2)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하부 일측에서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경사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탄력부재(110a)는 사용자의 타격력에 비례하는 힘과, 테니스공(B)의 입사각(a1)에 대응하는 출사각(a2)으로 테니스공(B)이 튀어나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니스공(B)의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신된 상태(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의 메쉬망(112)으로 구성된 탄성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입사각(a1)은 테니스공(B)이 입사되는 방향과 메쉬망(112)의 면에 수직인 법선(n)의 사이각을 의미하고, 출사각(a2)은 테니스공(B)이 출사되는 방향과 메쉬망(112)의 면에 수직인 법선(n)의 사이각을 의미하며, 상기 메쉬망(112)의 테니스공(B)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입사각(a1)과 출사각(a2)은 동일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도 7 참조)
상기 제2탄력부재(110b)는 상기 제1탄력부재(110a)로부터 제2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탄력부재(110a)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을 제3방향(A3)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일측에서 경사 배치된다.
상기 제3탄력부재(110c)는 상기 제2탄력부재(110b)로부터 제3방향(A3)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탄력부재(110b)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을 제4방향(A4)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상부 타측에서 경사 배치되며,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비교적 나란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4탄력부재(110d)는 상기 제3탄력부재(110c)로부터 제4방향(A4)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3탄력부재(110c)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을 제5방향(A5)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하부 타측에서 경사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탄력부재(110a)는 상기 제2방향(A2)의 출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탄력부재(1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5탄력부재(110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제5탄력부재(110e)의 사이각을 둔각으로 설정함에 따라 제2방향(A2)으로 튀어나가는 테니스공(B)의 출사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력부재(110a)에 이어 설치되는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테니스공(B)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되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력부재(110a)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단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탄력부재(110a)의 상단에서의 출사각과 하단에서의 출사각이 확대되는 형태가 되므로,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가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탄력부재(110a)에 이어 설치되는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력부재(110a)의 상측에 상기 제1탄력부재(110a)와 둔각을 이루는 제5탄력부재(110e)를 추가로 배치하고, 제1탄력부재(110a)와 제5탄력부재(110e)를 제1방향(A1)의 범위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2방향(A2)의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력부재(110a) 및 제5탄력부재(110e)에서 튕겨나온 테니스공(B)을 받아내는 제2탄력부재(110b)와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의 면적을 점진적으로 크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며,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의 각도가 감소하므로 랠리를 반복하기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회전축(H)에 의해 인접한 탄력부재(110)와 회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탄력부재(110)가 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력 등, 다양한 요건에 따라 탄력부재(11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탄력부재(110d)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제5방향(A5)이 제3탄력부재(110c)를 향하도록 하면, 제4탄력부재(110d)에서 튕겨져 제3탄력부재(110c)로 되돌아간 테니스공(B)이 제3탄력부재(110c)로부터 제1탄력부재(110a)를 향하는 제6방향(A6)으로 이동한 다음, 제1탄력부재(110a)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제7방향(A7)으로 튀어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를 길게 연장하는 경우에는, 테니스공(B)이 사용자에게 복귀될 수 있는 제1방향(A1)의 영역이 축소되므로 타격의 정확도와 난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에는, 일단부가 일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어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사이각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또는, 일단부가 일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 탄력부재(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탄력부재(110)의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20)는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탄력부재(110)의 테니스공(B)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121) 및 상기 탄력부재(110)의 타측에서 상기 발광부(12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수광부(1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광학센서를 이용해 테니스공(B)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진동센서에 비해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테니스공(B)이 주변 탄력부재(110)를 타격하는 과정에서도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진동센서를 통해서는 각각의 탄력부재(110)에서의 타격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 하지만, 광학센서를 통해 테니스공(B)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주변 탄력부재(11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무관하게 테니스공(B)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센서에 비해 타격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테니스공이 복수의 탄력부재(110)를 어떤 순서로 타격하였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121)는 다수의 발광소자(121a)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막대형 발광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광부(122)는 다수의 수광소자(122a)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탄력부재(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막대형 수광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면적의 탄력부재(110)에서도 테니스공(B)의 타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121a) 및 수광소자(122a)의 배치 간격은 테니스공(B)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테니스공(B)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판정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120)를 통해 인식되는 각 탄력부재(110)에서의 타격 결과에 따라 유효타격 여부를 판정하고, 타격의 유효 또는 무효 여부를 별도로 마련되는 스코어보드에 표시할 수 있다.
실제로 테니스 경기를 할 때, 사용자가 타격한 공은 네트에 걸리거나 라인을 벗어나는 등 아웃이 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라인 내에 바운드 됨으로써 랠리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랠리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타격한 공이 복수의 탄력부재(110)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탄력부재(110)들을 순서대로 타격해야만 사용자에게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판정제어부에는 사용자가 제1방향(A1)으로 타격한 공이 사용자에게 복귀되기 위해서 어떤 순서로 탄력부재(110)를 타격해야 하는지 미리 설정되고, 복수의 탄력부재(110)에 각각 설치된 감지센서(120)를 통해 테니스공이 복수의 탄력부재(110)를 타격한 순서를 파악함으로써 인/아웃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아웃 판정의 기준이 되는 타격 순서는 난이도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제1방향(A1)으로 제공된 테니스공(B)이 상기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를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제5방향(A5)으로 튕겨나오는 경우, 즉 복수의 탄력부재(110)에 각각 설치된 감지센서(120)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순서대로 타격이 감지된 경우에는 인(IN)으로 판정하여 유효 타격으로 처리한다.
아울러, 테니스공(B)이 상기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및 제4탄력부재(110d)에 각각 설치된 감지센서(120) 중 일부 감지센서(120)에서만 타격이 감지되거나, 타격 감지 순서가 미리 저장된 순서와 다른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센서(120)에서 타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웃(OUT)으로 판정하여 무효 타격으로 처리한다.
또한,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자가 제1탄력부재(110a) 및 제3탄력부재(110c)를 순서대로 타격하는 것으로 설정한 상태에서는, 테니스공(B)이 상기 제1탄력부재(110a) 및 제3탄력부재(110c)를 순서대로 타격하거나, 상기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및 제3탄력부재(110c)를 순서대로 타격하는 경우 인(IN)으로 판정하여 유효 타격으로 처리한다.
한편, 도 9와 같이 제4탄력부재(110d)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를 연장한 경우, 상기 판정제어부는 각각의 탄력부재(110)에 설치된 감지센서(120)가 상기 제1탄력부재(110a), 제2탄력부재(110b), 제3탄력부재(110c), 제4탄력부재(110d), 제3탄력부재(110c), 제1탄력부재(110a)의 순서로 타격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IN)으로 판정하고, 일부 감지센서(120)에서만 타격이 감지되거나 감지 순서가 다른 경우에는 아웃(OUT)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니스공(B)의 복귀 경로를 길게 연장하는 경우에는, 인(IN)으로 판정되기 위한 제1방향(A1)의 범위가 축소되므로 타격의 정확도와 난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탄력부재(110e)는 제1탄력부재(110a)의 출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탄력부재(110a)와 함께 배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1탄력부재(110a) 대신 제5탄력부재(110e)에서 타격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1탄력부재(110a)에서 타격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탄력부재(11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탄력부재(110) 간의 연결부위로 테니스공(B)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B)이 유효한 방향으로 타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탄력부재(110)의 프레임(111)에 충돌하여 불규칙한 방향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랠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각각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11)과, 테니스공(B)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에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메쉬망(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110)는 지지대에 의해 바닥면이나 벽면과 같은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111)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각도조절부에 의해 탄력부재(1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는 길이가 조절되거나 구조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탄력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111)은 사각 틀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11a)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111a)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11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111a)와 연결부재(111b)에는 상기 메쉬망(112)의 설치를 위해 다수의 통공(111c)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탄력부재(110)는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는 연결부재(111b)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일측 탄력부재(110)의 프레임(111)이 타측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로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측 프레임(111)의 측면부재(111a)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112)는 상기 프레임(111)의 측면부재(111a)와 연결부재(111b)에 형성된 통공(111c)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11)의 중앙 개구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의 교차부위는 회전축(H)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H)은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가 교차한 부위에서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11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가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탄력부재(11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111a)에는 상기 회전축(H)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1d)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11d)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부재(111a)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111a)의 중앙을 향해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110) 서로 중첩하여 배치하면서도, 양측 탄력부재(110)의 메쉬망(112)가 각각 프레임(11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탄성 평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양측 메쉬망(112)가 교차하는 부위에 프레임(111)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경계부위의 프레임(111)에 의해 테니스공(B)이 불규칙하게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공(111c)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테니스공(B)을 받아내는 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111d)은 상기 측면부재(111a)의 단면 내에서 상기 전면의 반대에 위치한 후면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축(H)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1d)이 메쉬망(112)를 설치하기 위한 통공(111c)과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삽입공(111d)에 의해 통공(111c)의 간격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탄력부재, 110a:제1탄력부재, 110b:제2탄력부재,
110c:제3탄력부재, 110d:제4탄력부재, 110e:제5탄력부재,
111:프레임, 111a:측면부재, 111b:연결부재,
111c:통공, 111d:삽입공, 112:메쉬망,
120:감지센서, 121:발광부, 121a:발광소자,
122:수광부, 122a:수광소자, H:회전축, B:테니스공

Claims (10)

  1. 테니스공을 탄력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수 마련되어 사용자의 전방에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탄력부재;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테니스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의 인,아웃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력부재는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중앙이 개구된 사각 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고,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로 상기 측면부재와 연결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메쉬망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복수 회 튕겨내 사용자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측면부재의 단부로부터 측면부재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한 쌍의 탄력부재의 단부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탄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탄력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다수의 발광소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막대형 발광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광부는 다수의 수광소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막대형 수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배치간격은 테니스공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제어부는 다수의 탄력부재에 각각 마련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인식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을 인(IN)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을 제2방향으로 튕겨내는 제1탄력부재;와, 상기 제1탄력부재로부터 제2방향으로 제공되는 테니스공을 제3방향으로 튕겨내는 제2탄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 및 제3방향은 상기 제1탄력부재로부터 튕겨나온 테니스공이 사용자를 향해 복귀하는 복귀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제1탄력부재의 출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탄력부재와 둔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5탄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제어부는 상기 제5탄력부재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제1탄력부재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타격 인식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10. 삭제
KR1020190051587A 2019-05-02 2019-05-02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KR10223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87A KR102235467B1 (ko) 2019-05-02 2019-05-02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87A KR102235467B1 (ko) 2019-05-02 2019-05-02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52A KR20200127452A (ko) 2020-11-11
KR102235467B1 true KR102235467B1 (ko) 2021-04-02
KR102235467B9 KR102235467B9 (ko) 2022-03-15

Family

ID=7345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587A KR102235467B1 (ko) 2019-05-02 2019-05-02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4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8290A1 (de) * 1977-01-06 1978-07-13 Remy Torres Sportgeraet
KR19990020623A (ko) 1997-08-30 1999-03-25 유기범 망동기부의 슬립 발생률 측정 방법
KR100357898B1 (ko) * 1999-07-27 2002-10-25 칠 익 권 테니스 게임 시스템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KR20170115234A (ko) * 2016-04-07 2017-10-17 임동선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52A (ko) 2020-11-11
KR102235467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625B1 (ko) 볼 게임용 훈련 장치
US5573240A (en) Baseball backstop for pitching training
KR100966485B1 (ko) 던지고 잡는 훈련 기구
EP3183041A1 (en) Football training apparatus
US20160213989A1 (en) Ball game and apparatus
US7780540B2 (en) Golf swing practice target panel and method of using
KR20020079741A (ko) 볼 귀환 장치
US9889361B2 (en) Impact sensitive sports rebound wall
KR101766533B1 (ko)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US7479075B2 (en) Pitcher's catcher
KR102235467B1 (ko) 유효타격 인식 기능을 갖춘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WO2007135456A1 (en) Target
KR102066789B1 (ko)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GB2318299A (en) Football target device with rebound boards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EP0319045B1 (en) Apparatus for practice and playing of tennis
KR102333408B1 (ko)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66797B1 (ko) 일체형 다중 경사각을 갖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88578B1 (ko) 가변 경사각을 갖는 저소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20190044266A (ko) 포핸드-백핸드 판별형 고성능 테니스 연습장치
US6602146B1 (en) Putting skill game
KR102577109B1 (ko) 운동용 라켓
AU2017317004B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and practicing skills for sports
KR20210056660A (ko) 경사각을 갖는 투과형 테니스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