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58Y1 - 골프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58Y1
KR200472558Y1 KR2020130007336U KR20130007336U KR200472558Y1 KR 200472558 Y1 KR200472558 Y1 KR 200472558Y1 KR 2020130007336 U KR2020130007336 U KR 2020130007336U KR 20130007336 U KR20130007336 U KR 20130007336U KR 200472558 Y1 KR200472558 Y1 KR 200472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rame
bending portion
mesh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열
Original Assignee
양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열 filed Critical 양재열
Priority to KR2020130007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합되어 사각형을 형성하는 상면 모서리 폴대와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대응하는 하면 모서리 폴대 및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하면 모서리 폴대의 각 꼭짓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측면 모서리 폴대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의 배면에 위치한 꼭짓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폴대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며 정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그물망의 배면 상단 꼭짓점과 결속되는 상부거치대와, 상기 측면 모서리 폴대 중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한 폴대의 하부에 양 끝단이 고정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고 절곡된 부분이 프레임의 내부 중심을 향하며 그물망의 배면 하단 꼭짓점과 결속되는 경사삼각거치대 및 상기 그물망의 내측 정면에 구비되어 타격된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장치{golf swing practice device}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폴대가 집합되어 육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부에 그물망이 폴대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프레임에 상부거치대와 경사삼각거치대가 카라비너에 의해 그물망과 연결되어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고, 타격된 골프공이 폴대를 맞고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란 그린 상에서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홀컵에 넣기 위한 스포츠 경기로서, 경기시에는 최저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이다. 이러한 골프는 여타 스포츠 경기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자세와 반복적인 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스포츠 경기이다.
골프를 잘하기 위한 대표적 기술로는 스윙(swing)과 퍼팅(putting)을 들 수 있는데, 스윙은 골프공의 이동 방향과 스윙시의 몸동작, 스윙시 몸의 중심축, 스윙시 목표설정, 스윙 템포 및 힘의 분배 등을 고려한 타격기술로서 클럽의 헤드 무게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타격 기술이다.
따라서, 골프의 스윙 연습을 하기 위한 장치로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있다. 일반적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다수의 폴(Pole)대를 연결하여 육면체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을 형성한 뒤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폴대에 그물망을 둘러쳐 사용자는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물망의 내측으로 골프공을 치게 된다. 이를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부와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1)는 육면체를 이루도록 다수의 폴대(11)가 조인트(12)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는데, 폴대(11)를 연결하는 조인트(12)는 육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각 꼭짓점에 위치하여 3방향으로 폴대(11)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여 폴대(11)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육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부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그물망(20)이 폴대(11)에 의해 지지되는데, 그물망(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벨크로(velcro)와 같은 다수의 고정부재(21)가 형성되어 고정부재(21)가 폴대(11)를 감싸 그물망(20)을 폴대(11)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에 지지되는 그물망(2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프레임의 전방에서 그물망(20)의 내측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켓(30)이 설치된다. 이러한 타켓(30)은 골프공이 타켓(30)에 부딪쳤을 때 골프공이 튕겨나가지 않고 그물망(20)의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직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물망(20)의 내측 꼭짓점과 타켓(30)의 모서리가 끈(40)에 의해 묶여 고정된다.
또한, 타켓(30)에 맞고 그물망(20)의 하부로 떨어지는 골프공을 프레임의 전방으로 유도하도록 그물망(20)의 하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물망(20)의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그물망(20) 하부의 경사가 시작되는 부분(그물망 하부의 꼭짓점)과 경사가 끝나는 부분(경사가 끝나는 모서리)에 각각 끈(50)을 매달아 수직하게 세워진 폴대(11)와 수평하게 눕혀진 폴대(11)에 묶어 그물망(20) 하부에 경사면이 유지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그물망(20)의 하부를 제외한 모서리가 폴대(11)와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 골프공이 폴대(11)를 맞고 사용자를 향해 튕겨져 나와 부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물망(20) 하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없어 골프공을 수거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그물망(20) 내측에 설치된 타켓(3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타켓(30)과 그물망(20)을 묶은 끈(40)을 풀고 타켓(30)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묶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폴대(11)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프레임의 너비와 높이를 확장 또는 축소시키려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분해한 뒤 확장된 길이 또는 축소된 길이를 갖는 새로운 폴대를 조인트(12)에 연결하여 프레임을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으로부터 그물망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골프공을 사용자가 타격했을 때 골프공이 빗맞아 폴대를 맞고 사용자를 향해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물망 내에 설치된 타켓의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어 위치가 변경된 타켓을 목표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폴대의 길이를 가변시켜 프레임의 너비와 높이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다수의 사용자가 연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거나 또는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조합되어 사각형을 형성하는 상면 모서리 폴대와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대응하는 하면 모서리 폴대 및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하면 모서리 폴대의 각 꼭짓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측면 모서리 폴대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속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며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개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그물망의 개방부에 대향되는 그물망 타측에 구비되는 타켓;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대향되는 프레임 후방에 인접한 상면 모서리 폴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타측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상부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 후방에 인접한 측면 모서리 폴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타측의 타단부가 결속되는 경사삼각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꼭짓점에 위치하여 폴대와 폴대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심을 향하는 아이볼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거치대 및 경사삼각거치대는 양 끝단에 구비되어 폴대와 결속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상기 폴대의 외면을 감싸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와, 상기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의 기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거치대 또는 경사삼각거치대를 관통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결속 홀이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제 1 밴딩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 및 상기 제 2 밴딩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밴딩부에 형성된 슬롯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병목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삼각거치대는 상기 측면 모서리 폴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서 측면 모서리 폴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사이 그물망 타측의 타단부와 결속되는 아이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타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타켓의 네 꼭짓점과 연결되고 상기 측면 모서리 폴대 중 상기 프레임 후방에 위치한 폴대를 향해 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타켓의 네 꼭짓점에 대응하여 측면 모서리 폴대 중 상기 프레임 후방에 위치한 폴대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권선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축으로 연결되어 풀리를 회전시켜 와이어와 연결된 타켓을 이동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대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조절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 커넥터는 이등분된 폴대가 마주하는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과 폴대의 끝단이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의하면, 폴대와 폴대가 마주하는 각 부분이 아이볼트가 형성된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는 그물망이 카라비너에 의해 상부거치대 및 경사삼각거치대에 의해 연결되어 그물망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다.
또한, 그물망이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될 때 그물망의 배면이 폴대에 설치된 상부거치대 및 경사삼각거치대에 의해 폴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결속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 골프공이 폴대를 맞고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튕겨나 나오는 골프공에 맞고 부상을 당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배면에 타켓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유닛이 설치되어 프레임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 위치가 변경된 타켓을 목표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어 여러 구질의 골프 스윙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폴대에 길이조절 커넥터가 마련되어 폴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어 프레임의 너비와 높이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다수의 사용자가 연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거나 또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설치될 공간에 맞추어 프레임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부, B부를 각각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C부, D부, E부를 각각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거치대와 경사삼각거치대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다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 하면 모서리 폴대(114a~114d),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와, 상기 폴대들이 조합되어 육면체의 프레임(110)을 형성하도록 폴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20)와,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 중 프레임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2a)와 상기 폴대의 양 끝단과 맞닿는 폴대(112b)(112d)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상부거치대(130)와,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에 설치되는 경사삼각거치대(140)와, 상기 프레임(110)의 정면 네 꼭짓점, 상부거치대(130), 경사삼각거치대(140)와 결속되는 그물망(150) 및 그물망(150)의 내측 정면에 구비되는 타켓(16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폴대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강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소정의 길이라 함은 사용자가 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골프채를 휘둘렀을 때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프레임(110)의 너비와 높이를 형성하는 길이를 뜻한다. 이러한 폴대는 도면에서 원형 파이프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기둥 또는 다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폴대가 조합되어 육면체의 프레임(110)을 형성할 때 위치에 따라서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 하면 모서리 폴대(114a~114d),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로 구분된다.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는 폴대들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을 이루며 프레임(110)의 상면에 해당하는 4개의 폴대를 의미한다. 또한, 하면 모서리 폴대(114a~114d)는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와 대응하여 프레임(110)의 하면에 해당하는 4개의 폴대를 의미하며,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는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와 하면 모서리 폴대(114a~114d)의 각 꼭짓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4개의 폴대를 의미한다.
그리고, 폴대가 육면체의 프레임(110)을 형성하기 위해 폴대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 즉, 폴대에 의해 육면체의 프레임(110)이 형성되었을 때 프레임(110)의 각 꼭짓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연결 부재(120)가 위치하여 폴대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120)는 폴대의 외면 지름보다 큰 삽입 홀이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원통의 중심을 기점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되며, 원통의 중심에서 Z축 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되어 3방향으로 폴대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연결 부재(120)는 각 삽입 홀에 폴대가 삽입되었을 때 폴대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120)의 외측에서 삽입 홀을 향해 관통되는 볼트가 조립되어 볼트의 끝단이 삽입 홀에 끼워진 폴대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120)와 폴대에 의해 육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10)이 형성되면 프레임(110)의 내부에 그물망(150)이 마련되는데, 그물망(150)의 고정을 위해 프레임(110)의 정면 네 꼭짓점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120)에는 아이볼트(121)가 구비되어 그물망(150)의 정면 네 꼭짓점이 아이볼트(121)와 결속된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이볼트(121)는 링의 형상을 갖는 헤드와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로드가 연결 부재(120)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연결 부재(120)에 구비되는 아이볼트(121)는 헤드가 프레임(110)의 내부 중심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어 그물망(150)이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프레임(110)의 정면 네 꼭짓점과 그물망(150)의 정면 네 꼭짓점을 이격시켜 결속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볼트(121)가 연결 부재(120)에 나사 체결되면, 아이볼트(121)의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프레임(110)의 정면 네 꼭짓점과 그물망(150)의 정면 네 꼭짓점 간의 이격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의 정면 네 꼭짓점과 그물망(150)의 정면 네 꼭짓점이 결속될 때 카라비너(carabiner)(122)와 같은 결속 부재를 사용하여 그물망(150)을 프레임(110)에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카라비너(122)는 고리와 같은 형상을 갖되, 그 중 일부가 회동되어 고리의 내부와 외부로 그물망(150) 또는 아이볼트(121)의 헤드의 출입을 단속하는 탄지 편이 형성된다. 이때, 탄지 편은 탄성력이 발휘되어 사용자가 탄지 편을 회동시키지 않는 경우 탄지 편이 카라비너(122)의 고리를 닫고 있는 상태가 되어 간편하게 그물망(150)을 프레임(110)에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상면에 해당하는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에는 상부거치대(130)가 설치되어 프레임(110)이 흔들리지 않도록 보강하며 프레임(110)에 그물망(150)이 설치되었을 때 그물망(150)의 배면 상단을 폴대(110)와 이격시켜 결속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거치대(130)는 강재로 이루어진 빔의 형상을 갖고 빔의 양 끝단에 클램프(170)가 설치된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D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거치대(13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으며 양 끝단에 클램프(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거치대(130)는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 중 프레임(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2a)와 상기 폴대(112a)의 양 끝단과 맞닿는 폴대(112b)(112d)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부거치대(130)의 저면 중앙에는 앞서 설명한 아이볼트(121)가 구비되어 그물망(150)의 배면 중 상부에 해당하는 꼭지점과 카라비너(122)에 의해 결속된다.
한편, 상면 모서리 폴대(112a~112d)와 하면 모서리 폴대(114a~114d)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에는 경사삼각거치대(140)가 설치되어 그물망(150)의 배면 하단을 폴대들(114a)(114b)(114d)(116a)(116b)과 이격시켜 결속하게 된다. 이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E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삼각거치대(140)는 수평부(141)와 경사부(142) 및 아이볼트(121)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경사삼각거치대(140)는 강재로 이루어진 빔이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수평부(141)와 경사부(142)로 구분된다.
즉, 수평부(141)는 기단이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에 고정되고, 경사부(142)는 수평부(141)의 자유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수평부(141)의 기단이 고정된 폴대(116a)(116b)와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부(141)와 경사부(142)는 용접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강재로 이루어진 빔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절곡되어 수평부(141)와 경사부(14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평부(141)의 자유단에는 그물망(150)의 배면 하부에 위치한 꼭짓점과 결속되는 아이볼트(121)가 형성되어 그물망(150)의 배면 하단과 폴대(116a)(116b)가 이격된 상태로 결속된다. 이때, 그물망(150)의 배면 하단과 경사삼각거치대(140)의 아이볼트(121)는 카라비너(122)에 의해 결속된다.
이와 같이,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에 경사삼각거치대(140)가 설치되면, 폴대(116a)(116b)를 따라 경사삼각거치대(1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그물망(150) 하부의 경사도를 골프공을 수거하는데 편리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부거치대(130)와 경사삼각거치대(140)의 양 끝단에는 클램프(170)가 구비되어 폴대와의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거치대와 경사삼각거치대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폴대에 상부거치대(130)와 경사삼각거치대(140)를 결속시키는 클램프(170)는 강재로 이루어진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기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절곡부(173), 제 1 밴딩부(171)의 선단과 제 2 밴딩부(172)의 선단에 각각 형성되는 슬롯(171a) 및 체결부(172a)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는 폴대의 외면을 감싸도록 좌우반체로 이루어지는데,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가 결합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내면은 각각 반원의 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기단 각각에는 클램프(170)를 상부거치대(130) 또는 경사삼각거치대(140)에 고정시키는 절곡부(173)가 형성된다. 절곡부(173)는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볼트가 삽입되는 결속 홀(174)이 형성되어 절곡부(173)가 상부거치대(130) 또는 경사삼각거치대(140)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절곡부(173)에 형성된 결속 홀(174)에 볼트가 삽입되어 클램프(170)를 상부거치대(130) 또는 경사삼각거치대(14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밴딩부(171)의 선단과, 제 1 밴딩부(171)의 선단과 마주하는 제 2 밴딩부(172)의 선단에는 각각 슬롯(171a)과 체결부(172a)가 형성되는데, 제 1 밴딩부(171)의 선단에 형성되는 슬롯(171a)은 제 1 밴딩부(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며, 체결부(172a)는 슬롯(171a)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병목(172b)이 형성되어 체결부(172a)가 슬롯(171a)과 조립되었을 때 체결부(172a)가 제 1 밴딩부(171)의 내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밴딩부(171)와 제 2 밴딩부(172)의 선단이 마주하여 조립되었을 때 제 2 밴딩부(172)의 체결부(172a)가 제 1 밴딩부(171)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절곡부(173)를 볼트로 조이게 되면 제 1 밴딩부(171)의 절곡부(173)와 제 2 밴딩부(172)의 절곡부(173) 사이가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체결부(172a)가 슬롯(171a) 내에서 이동하여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내경 지름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처럼 절곡부(173)의 볼트 조임에 따라 제 1 밴딩부(171) 및 제 2 밴딩부(172)의 내경 지름이 감소하는 구조를 갖게 되면 클램프(170)를 폴대에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폴대와 폴대가 마주하는 각 부분이 아이볼트(121)가 형성된 연결 부재(120)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110)을 형성하고, 프레임(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그물망(150)이 카라비너(122)에 의해 상부거치대(130) 및 경사삼각거치대(140)에 의해 연결되어 그물망(150)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다.
또한, 그물망(150)이 프레임(110)의 내부에 마련될 때 그물망(150)의 배면이 상부거치대(130) 및 경사삼각거치대(140)에 의해 폴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결속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 골프공이 폴대를 맞고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튕겨나 나오는 골프공에 맞고 부상을 당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그물망(150)의 내측 정면에 구비되는 타켓(160)의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위치조절 유닛(180)이 마련되거나 또는 폴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조절 커넥터(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에 타켓(16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 유닛(180)이 마련된다.
위치조절 유닛(180)은 타켓(160)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181), 와이어(181)를 권선하여 안내하는 풀리(183), 풀리(183)를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에 지지하는 브라켓(182), 와이어(181)가 권선된 풀리(183)를 회전시켜 타켓(160)의 위치를 그물망(150) 내측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핸들(184)로 구성된다.
와이어(181)는 타켓(160)의 네 꼭짓점과 연결되어 측면 모서리 폴대(116a~116d) 중 프레임(100)의 배면에 해당하는 폴대(116a)(116b)를 향해 인출된다. 이렇게 타켓(160)과 연결된 와이어(181)는 프레임(110)의 배면을 형성하는 수직하게 세워진 폴대(116a)(116b)에 설치된 풀리(183)에 권선 되는데, 풀리(183)는 브라켓(182)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브라켓(182)은 앞서 설명한 상부거치대(130) 및 경사삼각거치대(140)에 구비되는 클램프(170)가 마련되어 브라켓(182)이 폴대(116a)(116b)와 결속되며, 폴대(116a)(116b)와 결속된 클램프(170)의 위치에 따라 타켓(16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브라켓(182)의 외측에는 와이어(181)가 걸리는 풀리(183)를 회전시키는 핸들(184)이 형성되는데, 핸들(184)은 풀리(183)와 축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그물망(150) 내측에 위치한 타켓(160)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핸들(184)과 연결되는 풀리(183)는 연결축(185)에 의해 동일한 폴대(116a)(116b)에 상하로 설치된 풀리(183)와 풀리(183)를 연결시켜 핸들(184)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풀리(183)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풀리(183)가 설치된 브라켓(182)에는 풀리(183)가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래칫(미도시) 및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타켓(160)의 위치조절 이후에는 타켓(16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폴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조절 커넥터(190)가 마련된다.
길이조절 커넥터(190)는 도 10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길이조절 커넥터(190)의 양 끝단에 폴대가 삽입되는 체결 홀(191)이 형성되며, 체결 홀(191)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폴대의 끝단과 나사산 체결된다.
또한, 체결 홀(191)의 내면 중심에는 체결 홀(19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격벽(192)이 형성되어 길이조절 커넥터(190)의 체결 홀(191)에 폴대가 조립되었을 때 폴대가 반대편의 체결 홀(191)을 향해 치우쳐 위치하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길이조절 커넥터(190)는 동일한 축선을 갖고 이등분된 폴대가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조절 커넥터(190)의 양 끝단에 삽입된 폴대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길이조절 커넥터(190)로부터 폴대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킴으로써, 폴대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폴대에 길이조절 커넥터(190)가 마련되면, 프레임의 너비와 높이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다수의 사용자가 연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거나 또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설치될 공간에 맞추어 프레임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10 : 프레임 112 : 상면 모서리 폴대
114 : 하면 모서리 폴대 116 : 측면 모서리 폴대
120 : 연결 부재 121 : 아이볼트
122 : 카라비너 130 : 상부거치대
140 : 경사삼각거치대 141 : 수평부
142 : 경사부 150 : 그물망
160 : 타켓 170 : 클램프
171 : 제 1 밴딩부 171a : 슬롯
172 : 제 2 밴딩부 172a : 체결부
172b : 병목 173 : 절곡부
174 : 결속 홀 180 : 위치조절 유닛
181 : 와이어 182 : 브라켓
183 : 풀리 184 : 핸들
190 : 길이조절 커넥터 191 : 체결 홀
192 : 격벽

Claims (6)

  1. 조합되어 사각형을 형성하는 상면 모서리 폴대와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대응하는 하면 모서리 폴대 및 상기 상면 모서리 폴대와 하면 모서리 폴대의 각 꼭짓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측면 모서리 폴대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속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며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개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그물망의 개방부에 대향되는 그물망 타측에 구비되는 타켓;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대향되는 프레임 후방에 인접한 상면 모서리 폴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타측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상부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 후방에 인접한 측면 모서리 폴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타측의 타단부가 결속되는 경사삼각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꼭짓점에 위치하여 폴대와 폴대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심을 향하는 아이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치대 및 경사삼각거치대는 양 끝단에 구비되어 폴대와 결속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상기 폴대의 외면을 감싸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
    상기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의 기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거치대 또는 경사삼각거치대를 관통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결속 홀이 형성된 절곡부;
    상기 제 1 밴딩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 및
    상기 제 2 밴딩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밴딩부에 형성된 슬롯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병목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삼각거치대는,
    상기 측면 모서리 폴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서 측면 모서리 폴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 타측의 타단부와 결속되는 아이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타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타켓의 네 꼭짓점과 연결되고 상기 측면 모서리 폴대 중 상기 프레임 후방에 위치한 폴대를 향해 인출되는 와이어;
    상기 타켓의 네 꼭짓점에 대응하여 측면 모서리 폴대 중 상기 프레임 후방에 위치한 폴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권선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축으로 연결되어 풀리를 회전시켜 와이어와 연결된 타켓을 이동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조절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 커넥터는,
    이등분된 폴대가 마주하는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과 폴대의 끝단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20130007336U 2013-09-02 2013-09-02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0472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36U KR200472558Y1 (ko) 2013-09-02 2013-09-02 골프 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36U KR200472558Y1 (ko) 2013-09-02 2013-09-02 골프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58Y1 true KR200472558Y1 (ko) 2014-05-07

Family

ID=5357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336U KR200472558Y1 (ko) 2013-09-02 2013-09-02 골프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5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9B1 (ko) * 2015-08-28 2016-12-22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18070560A1 (ko) * 2016-10-12 2018-04-19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46037A (ko) * 2017-10-25 2019-05-07 우현권 스크린 야구장용 프레임 구조체
KR101990901B1 (ko) * 2018-12-21 2019-06-19 주미송 접이가 가능한 포획용 통발
WO2019160313A1 (ko) * 2018-02-14 2019-08-22 (주) 알디텍 골프연습용 네트
KR20210083732A (ko) * 2019-12-27 2021-07-07 한국기계연구원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9B1 (ko) * 2015-08-28 2016-12-22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18070560A1 (ko) * 2016-10-12 2018-04-19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46037A (ko) * 2017-10-25 2019-05-07 우현권 스크린 야구장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45322B1 (ko) * 2017-10-25 2019-11-15 우현권 스크린 야구장용 프레임 구조체
WO2019160313A1 (ko) * 2018-02-14 2019-08-22 (주) 알디텍 골프연습용 네트
KR20190098588A (ko) * 2018-02-14 2019-08-22 (주) 알디텍 골프연습용 네트
KR102038479B1 (ko) * 2018-02-14 2019-10-30 (주) 알디텍 골프연습용 네트
EP3753609A4 (en) * 2018-02-14 2021-11-10 Rd-Tek Co., Ltd GOLF EXERCISE NET
KR101990901B1 (ko) * 2018-12-21 2019-06-19 주미송 접이가 가능한 포획용 통발
KR20210083732A (ko) * 2019-12-27 2021-07-07 한국기계연구원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KR102333408B1 (ko) * 2019-12-27 2021-12-03 한국기계연구원 교차면 없는 다중 경사각을 갖는 경계면 축소형 테니스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58Y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7540814B2 (en) Collapsible ball game goal
EP1086725B1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8100784B2 (en) Lacrosse goal extension net
WO2006086173A1 (en) Portable ball retriever
EP3397362B1 (en) Foldable fielding net
CN102728039B (zh) 乒乓球装置
US20160354662A1 (en) Lacrosse goal extension net
KR20100023698A (ko)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US6716119B1 (en) Sports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EP2243522A1 (en) Training device for tennis players
US20230149790A1 (en) Structure for tennis practice frame
US8322725B2 (en) Half moon type net
US6352480B1 (en) Sports practice net
JP2013184055A (ja)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器具
US9289665B2 (en) Baseball training device
JP6823640B2 (ja) ボール打撃練習用器具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EA00317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атывания ударов по мячу
US11266891B2 (en) Target for sport goal
US20090051116A1 (en) Ball games apparatus
GB2550835A (en) Adaptations and improvements to tethered ball games apparatus
KR100572344B1 (ko) 구기 연습 기구
AU769959B2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