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199B1 -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199B1
KR102333199B1 KR1020200022117A KR20200022117A KR102333199B1 KR 102333199 B1 KR102333199 B1 KR 102333199B1 KR 1020200022117 A KR1020200022117 A KR 1020200022117A KR 20200022117 A KR20200022117 A KR 20200022117A KR 102333199 B1 KR102333199 B1 KR 10233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lifting
honeycomb
honeycomb mem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309A (ko
Inventor
윤희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패널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패널
Priority to KR102020002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1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3/00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 B31D3/0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 B31D3/029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involving auxiliary operations, e.g. expanding, moistening, glue-applying, joi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7/00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니컴부재를 자동으로 육각 형태가 되게 펼쳐서 심재를 형성한 후 상기 심재를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심재의 파손율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저감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여 소비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패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AUTOMATIC FORMING DEVICE FOR CORE MATERIAL FOR PANEL}
본 발명은 패널에 사용되는 허니컴 형태의 심재를 자동으로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착상태의 허니컴부재를 자동으로 육각 형태가 되게 펼쳐서 심재를 형성한 후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심재의 파손율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저감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패널은 실내외의 벽면 및 천장 등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스티로폼의 양면에 동일 면적의 금속판체를 일체로 접착시킨 일명 샌드위치 패널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단열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대부분 조립식 공장이나 식당 등을 건축할 때 내외장제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경량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경량패널의 일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특허등록 제10-1832399호의 칸막이용 경량패널은 석고보드와 보호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판의 양측을 소정 형태로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설치시 연결부분의 틈새가 없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자체 하중이 무거워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내고 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한 경량패널을 대체하여 최근에 제안된 바 있는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은 허니컴 구조의 심재에 상측과 하측에 충격흡수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허니컴 구조의 심재는 연속된 육각형 셀의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패널은 보다 나은 충격흡수 효과를 얻기 위해 충격흡수판과 심재를 교번 구성하여 2단 또는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다층구조의 샌드위치 패널은 열차의 전두부(Front), 차량의 범퍼(Bumper) 및 항공기 등에 충격흡수용(Absorber)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081770호의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은 충격을 완화시키는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판상(Laminate)으로 되며 상하 일정거리 이격되는 충격흡수판(10); 상기 충격흡수판(10) 사이에 접합되며 횡단면이 내부가 중공된 육각기둥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허니컴 구조로 되고 상기 육각기둥의 중심축이 상기 충격흡수판(1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상기 육각기둥의 옆면이 경사진 심재(Core)(2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흡수판(10)과 상기 심재(20)는 교번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나의 심재(20)의 육각 기둥 중심축과 상기 충격흡수판(10)이 이루는 각도가 +θ라고 하면, 인접한 심재(20a)의 육각 기둥 중심축과 상기 충격흡수판(10)이 이루는 각도는 -θ인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압착된 상태의 허니컴부재가 제공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된 상태의 허니컴부재를 허니컴 형태가 되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펼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패널용 심재로 사용하고 있어서, 패널의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상기 심재를 수작업에 펼치는 과정에서 심재의 상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폐기 및 처리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912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81770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52848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허니컴부재를 자동으로 육각 형태가 되게 펼쳐서 심재를 형성한 후 상기 심재를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심재의 파손율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저감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여 소비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패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부 충격흡수판과 상기 상,하부 충격흡수판 사이에 설치되는 심재를 허니컴 형태가 되도록 가공 및 절단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파이프와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심재로 가공되기 전 상태인 허니컴부재의 상부를 눌러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 사이에 상기 지지부를 통과한 허니컴부재가 인입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회전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허니컴부재를 잡아당겨 펼치면서 허니컴 형태의 심재로 형성하는 펼침부와; 상기 펼침부를 통과하여 허니컴 형태로 된 허니컴부재를 일정 길이가 되도록 이동하면서 절단하여 심재로 형성하는 절단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과 상기 절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사각파이프 형태의 설치파일과, 상기 설치파일의 후방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상기 허니컴부재의 상부를 탄성에 의해 눌러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설치파일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금속판 형태의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이 내부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을 각각 관통한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과 결합되며, 상단부는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연결대를 각각 관통하여 핸들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부의 구동롤러와 회동롤러는 그 자체를 우레탄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봉의 표면에 우레탄을 코팅하여 상기 허니컴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여 허니컴 형태의 심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 승강실린더가 각각 하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블럭과, 상기 한쌍의 고정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횡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봉과, 상기 승강봉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하는 한쌍의 승강몸체와,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허니컴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이동컷팅부와, 상기 이동컷팅부가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컷팅부는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고정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에는 상기 고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동풀리가 축설되며, 전방에는 상기 허니컴부재를 절단하는 컷팅날이 일체로 고정된 연동축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 중 어느 하나의 승강몸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정역모터와,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 중 다른 하나의 승강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지지축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연동스프로킷을 연결할 수 있도록 권취되되, 그 양단은 상기 이동몸체의 전방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체인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압착상태의 허니컴부재를 자동으로 육각 형태가 되게 펼쳐서 심재를 형성한 후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심재의 파손율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저감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 및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패널에 사용되는 허니컴부재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패널에 사용되는 심재가 허니컴 형태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패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요부인 지지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 및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요부인 펼침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 및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요부인 절단부 전체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요부인 절단부의 고정블럭과 승강몸체의 작동 전과 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요부인 절단부의 이동컷팅부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도시해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은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부 충격흡수판(1)(2)과 상기 상,하부 충격흡수판(1)(2) 사이에 설치되는 심재(3)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는 상기 심재(3)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허니컴부재(10)를 육각형의 허니컴 형태가 되도록 자동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프레임(100)과 지지부(200), 펼침부(300), 절단부(400) 및 제어부(5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다수의 파이프와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틀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10)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200)와 펼침부(300)와 절단부(400)가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심재(3)가 형성되기 전 상태인 허니컴부재(10)의 상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사각파이프 형태의 설치파일(210)과, 상기 설치파일(210)의 후방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상기 허니컴부재(10)의 상부를 탄성에 의해 눌러 지지하는 판스프링(220)과, 상기 설치파일(210)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금속판 형태의 승강판(230)과, 상기 승강판(230)이 내부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42)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판(240)과, 상기 지지판(240)의 상부 중앙을 각각 관통한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230)과 결합되며, 상단부는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연결대(252)를 각각 관통하여 핸들(254)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볼트(2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200)는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한쌍의 지지판(240)이 대칭으로 설치되고, 한쌍의 지지판(240)에 형성된 가이드홈(242)에 각각 승강판(230)을 삽입,결합시킨 후 상단에 핸들(254)이 일체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높이조절볼트(250)의 하단부가 상기 연결대(252)와 지지판(24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다음 상기 승강판(230)의 상부에 일체가 되게 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230)의 내측으로 다수의 판스프링(220)이 설치된 설치파일(210)을 위치시켜 일체가 되게 체결,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지지부(200)는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투입되는 허니컴부재(10)의 높이에 알맞게 상기 핸들(254)을 회전시켜 승강판(230)을 지지판(240)에 형성된 가이드홈(242)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상기 설치파일(210)과 다수의 판스프링(2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2개 이상 설치하여 상기 허니컴부재(1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펼침부(300)는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신장시켜 육각형의 허니컴 형태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모터(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310)가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310)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320) 사이에 상기 지지부(200)를 통과한 허니컴부재(10)가 인입되어 상기 구동롤러(310)와 회전롤러(320)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잡아당겨 펼치면서 허니컴 형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3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상기 지지부(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펼침부(300)의 구동롤러(310)와 회동롤러(320)는 그 자체를 우레탄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봉의 표면에 우레탄을 코팅함으로써, 상기 허니컴부재(10)와의 마찰력을 높여 허니컴부재(10)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허니컴부재(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400)는 상기 펼침부(300)를 통과하여 허니컴(육각형) 형태로 된 허니컴부재(10)를 일정 길이가 되도록 이동하면서 절단하여 심재(3)로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복수의 승강봉(410)과 한쌍의 고정블럭(420), 다수의 연결봉(430), 한쌍의 승강몸체(440), 다수의 가이드봉(450), 이동컷팅부(460) 및 구동부(47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단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봉(410)과, 상기 승강봉(410)의 상단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 승강실린더(422)가 각각 하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블럭(420)과, 상기 한쌍의 고정블럭(420)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횡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봉(430)과, 상기 승강봉(4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422)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하는 한쌍의 승강몸체(440)와,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44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봉(450)과, 상기 가이드봉(450)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이동컷팅부(460)와, 상기 이동컷팅부(460)가 가이드봉(45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440)에 설치되는 구동부(4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컷팅부(460)는 상기 가이드봉(450)에 결합되는 이동몸체(462)와, 상기 이동몸체(462)의 상부에 설치되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고정풀리(F1)를 회전시키는 모터(464)와, 상기 이동몸체(46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에는 상기 고정풀리(F1)와 벨트(V)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동풀리(F2)가 축설되며, 전방에는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절단하는 컷팅날(468)이 일체로 고정된 연동축(46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470)는 상기 절단부(400)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440) 중 어느 하나의 승강몸체(440)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S1)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정역모터(472)와, 상기 절단부(400)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440) 중 다른 하나의 승강몸체(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는 연동스프로킷(S2)이 일체로 축설된 지지축(474)과, 상기 구동스프로킷(S1)과 연동스프로킷(S2)을 연결할 수 있도록 권취되되, 그 양단은 상기 이동몸체(462)의 전방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정역모터(472)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이동몸체(4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체인(4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100) 상의 모터(110)와 절단부(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 부품이 일체로 체결, 조립되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의 작용은 먼저,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에 허니컴부재(10)를 올려놓고 그 단부를 잡고 늘려서 상기 지지부(200)의 설치파일(210)에 설치된 다수의 판스프링(220) 밑으로 통과시켜 허니컴부재(10)의 상부를 눌러주도록 한 후에 상기 펼침부(300)의 구동롤러(310)와 회동롤러(320) 사이로 끼워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모터(110)를 구동시켜 펼침부(300)의 구동롤러(310)를 회동시키면,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허니컴부재(10)가 허니컴 형태로 연속적으로 펼쳐져 상기 절단부의 하부로 일정 길이가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가 모터(110)의 구동을 중지시켜 구동롤러(310)의 회전이 중지되면서 구동롤러(310)와 회동롤러(320) 사이에 끼어있는 허니컴부재(10)의 상,하부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절단부(400)를 가동시키게 되는데, 먼저 상기 한쌍의 고정블럭(420)에 각각 설치된 승강실린더(422)의 로드를 동시에 하향되게 신장시키면 이와 결합된 한쌍의 승강몸체(440)가 복수의 승강봉(410)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을 함에 따라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440)를 연결하는 가이드봉(450)과 상기 가이드봉(450)에 결합된 이동컷팅부(460)와 구동부(470) 또한 동시에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500)에서 이동컷팅부(460)의 이동몸체(462) 상에 설치된 모터(464)를 구동시켜 고정풀리(F1)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풀리(F1)와 벨트(V)로 연결되는 연동풀리(F2)가 축설된 연동축(466)이 회전을 하여 상기 연동축(466) 전방에 일체로 고정된 컷팅날(468)이 고속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464)의 구동에 의해 컷팅날(468)이 회전하게 되면 동시에 상기 구동부(470)가 작동하여 이동컷팅부(46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허니컴부재(10)를 일정 길이로 절단을 하여 심재(3)를 형성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제어부(500)에서 한쌍의 승강몸체(440) 중 어느 하나의 승강몸체(440)에 설치된 정역모터(47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구동스프로킷(S1)을 회전시키면 체인(476)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킷(S2)이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S1)과 연동스프로킷(S2)을 경유하여 권취된 체인(476)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이동컷팅부(460)의 이동몸체(462)가 상기 가이드봉(45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컷팅날(468)이 허니컴부재(10)의 길이 전체를 절단하여 패널용 심재(3)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허니컴부재(10)가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심재(3)가 형성되면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고정블럭(420)에 설치된 승강실린더(422)를 작동시켜 로드가 축소되도록 하면, 한쌍의 승강몸체(440)가 승강봉(410)을 따라 동시에 안정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가이드봉(450)에 결합된 이동컷팅부(460)와 구동부(47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구동부(470)가 작동하여 정역모터(47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구동스프로킷(S1)을 역으로 회전시키면 체인(476)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킷(S2)이 역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체인(476)의 양단이 고정된 이동컷팅부(460)의 이동몸체(462)가 상기 가이드봉(450)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이동컷팅부(460)이 원상복귀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500)에서 모터(110)를 구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310)가 회전하여 허니컴부재(10)를 펼쳐지게 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반복해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허니컴부재(10)는 일정 길이로 제공되므로, 양면 접착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허니컴부재(10)를 연결하여 연속적인 펼침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는 상기 지지부(200)와 펼침부(300)에 의해 허니컴부재(10)가 허니컴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절단부(400)의 하부로 일정 길이가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절단부(400)의 작동이 자동으로 반복, 실시되어 일정하고 정확한 길이의 심재(3)를 대량으로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심재(3)의 파손율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패널의 품질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3 : 심재 10 : 허니컴부재
100 : 프레임 110 : 모터
200 : 지지부 210 : 설치파일
220 : 판스프링 230 : 승강판
240 : 지지판 242 : 가이드홈
250 : 높이조절볼트 252 : 연결대
254 : 핸들 300 : 펼침부
310 : 구동롤러 320 : 회동롤러
400 : 절단부 410 : 승강봉
420 : 고정블럭 422 : 승강실린더
430 : 연결봉 440 : 승강몸체
450 : 가이드봉 460 : 이동컷팅부
462 : 이동몸체 464 : 모터
466 : 연동축 468 : 컷팅날
470 : 구동부 472 : 정역모터
474 : 지지축 476 : 체인
500 : 제어부

Claims (6)

  1.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부 충격흡수판과 상기 상,하부 충격흡수판 사이에 설치되는 심재를 허니컴 형태가 되도록 가공 및 절단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파이프와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심재로 가공되기 전 상태인 허니컴부재의 상부를 눌러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사각파이프 형태의 설치파일과, 상기 설치파일의 후방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상기 허니컴부재의 상부를 탄성에 의해 눌러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설치파일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금속판 형태의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이 내부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을 각각 관통한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과 결합되며, 상단부는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연결대를 각각 관통하여 핸들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 사이에 상기 지지부를 통과한 허니컴부재가 인입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회전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허니컴부재를 잡아당겨 펼치면서 허니컴 형태의 심재로 형성하되, 상기 구동롤러와 회동롤러는 그 자체를 우레탄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봉의 표면에 우레탄을 코팅하여 상기 허니컴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여 허니컴 형태의 심재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펼침부와;
    상기 펼침부를 통과하여 허니컴 형태로 된 허니컴부재를 일정 길이가 되도록 이동하면서 절단하여 심재로 형성하는 절단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과 상기 절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 승강실린더가 각각 하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블럭과,
    상기 한쌍의 고정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횡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봉과,
    상기 승강봉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하는 한쌍의 승강몸체와,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허니컴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이동컷팅부와,
    상기 이동컷팅부가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승강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컷팅부는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고정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에는 상기 고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동풀리가 축설되며, 전방에는 상기 허니컴부재를 절단하는 컷팅날이 일체로 고정된 연동축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 중 어느 하나의 승강몸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정역모터와,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승강몸체 중 다른 하나의 승강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지지축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연동스프로킷을 연결할 수 있도록 권취되되, 그 양단은 이동몸체의 전방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 이동하여 이동몸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체인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KR1020200022117A 2020-02-24 2020-02-24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KR10233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17A KR102333199B1 (ko) 2020-02-24 2020-02-24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17A KR102333199B1 (ko) 2020-02-24 2020-02-24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09A KR20210107309A (ko) 2021-09-01
KR102333199B1 true KR102333199B1 (ko) 2021-11-30

Family

ID=7778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17A KR102333199B1 (ko) 2020-02-24 2020-02-24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5020A (zh) * 2023-11-23 2024-01-30 南通通智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蜂窝封边成型用可调式机械手及其成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968A (ja) * 1993-08-02 1995-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17719B1 (ko) * 2008-06-04 2013-01-02 김광수 우레탄 발포용 허니콤 제조장치
KR101202290B1 (ko) * 2008-06-04 2012-11-16 김광수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KR101069129B1 (ko) 2008-10-30 2011-09-30 이재준 허니컴판넬과 난방판넬이 결합된 방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081770B1 (ko) 2009-03-26 2011-11-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
KR101596310B1 (ko) * 2014-04-11 2016-02-22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하니컴 코팅장치
KR102052848B1 (ko) 2019-03-13 2019-12-05 강두현 경량성, 단열성, 내후성 및 불연성이 향상된 고강도 허니컴 코어구조를 갖는 복합패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09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071B2 (en)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metal wall frame members and assembly of wall frames therefrom, and foldable wall frame structures
CA2626838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ellular board, cellular board, method for producing cellular board element of steel plate strip, and production line
US8033068B2 (en) Mobile partitioning wall
KR102333199B1 (ko)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CN112809076A (zh) 一种装配式建筑钢结构加工用切割方法
CN110883559A (zh) 一种卷料切割装置
AT511132A2 (de) Verfahren zum fortlaufenden Herstellen von Verbundschalungs-Plattenelementen
ES2263302B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en continuo de paneles estratificados y panel asi obtenido.
CN101304826B (zh) 蜂窝板制造方法、蜂窝板、由钢板带构成的蜂窝板元件生产方法及生产线
DE10201004623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ammenfügen von stabförmigen losen Ausgangsprodukten zu mehrlagigen Holztafelelementen
CN219053538U (zh) 一种锯铣加工中心
CN2933862Y (zh) 复合装置移动型双幅壁纸拼缝复合机
CN112573213A (zh) 一种彩钢瓦轧制成型方法
KR20200081007A (ko) 건축패널의 복합가공장치
CN100379502C (zh) 移动式辊轧成型机设备
RU239894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дуль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панели
CN106739059A (zh) Pp蜂窝板的包边机
CN114289645A (zh) 一种预制叠合楼板钢网构架生产设备及生产工艺
CN219668917U (zh) 一种平行轻便异形超长窗
CN220052221U (zh) 一种免拆保温模板的组装设备
US4909889A (en) Wood laminating fixture
CN216858743U (zh) 一种钢结构梁加工用批量型限位夹具
CN220521671U (zh) 一种装配式墙板
CN105880907A (zh) 自动调节楼承板框架焊接工作台
CN216942077U (zh) 一种瓦楞纸用的智能调控压痕、装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