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90B1 -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 Google Patents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90B1
KR101202290B1 KR1020080052451A KR20080052451A KR101202290B1 KR 101202290 B1 KR101202290 B1 KR 101202290B1 KR 1020080052451 A KR1020080052451 A KR 1020080052451A KR 20080052451 A KR20080052451 A KR 20080052451A KR 101202290 B1 KR101202290 B1 KR 10120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core material
adhesive
processing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397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08005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3/00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 B31D3/0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7/00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66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onforming the layers or laminate to a convex or concave prof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니콤의 심재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다수 형성함으로서, 표면지들과의 접착을 위하여 도포되는 접착제가 상기 홈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와 이러한 구조를 만드는 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허니콤, 허니콤심재, 허니콤보드

Description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A honeycomb with porous surface for gluing}
본 발명은 허니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허니콤의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다수 형성하여, 도포되는 접착제를 홈에 수용하여 부착되는 표면지들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허니콤과 이의 제조공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나 문짝 또는 가구의 내장재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는 허니콤보드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허니콤심재(1)는, 도 1a에서와 같이 사각형태의 판지를 2장을 마주보게 할 때 판지(2)(2')들의 각 일면에 일정간격(t)과 일정 폭(l)으로 도포하는 접착제(3)(3')의 도포위치가 서로 중간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하여 다수를 겹쳐서 부착한 다음에 도 1b에서와 같이 필요한 넓이(m)로 절단하여 여러 벌을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허니콤심재(1)로 허니콤보드를 제조할 때에는 겹쳐있는 다수의 판지(2)(2')들을 당겨서 간격을 벌려주면 서로 엇갈리게 도포한 접착제(3)(3')에 의해 각기 엇갈리게 부착된 부분(4)들의 사이가 구부러지면서 도 1c에서와 같이 벌어지기 때문에 허니콤 모양의 공간부(5)가 다수 형성되며, 이렇게 벌려준 다음에 상기 각 판지의 양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표면지를 각각 부착하여 제조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렇게 접착된 표면지가 제대로 접착되지 않거나, 접착 후에 다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제조과정에서 버려지는 자재나 완성 후 버려지는 불량품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작업인력과 시간 및 생산비용의 낭비, 그리고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허니콤보드를 제조할 때 허니콤심재를 벌려주는 작업과 그 양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표면지를 부착하는 작업 등을 각기 별도의 장치나 인력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각 장치들 간의 이동 및 각 장치의 작동에 따른 많은 작업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허니콤의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다수 형성하고, 도포되는 접착제를 홈에 수용하여 부착되는 표면지들이 충분한 접착제의 양으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허니콤 구조와 이를 수행하는 공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은 크게 향상시켜 주며, 생산비용은 대폭 절감되게 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도에 맞는 규격으로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현장에서 별도의 재단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이에 따라 폐기물의 발생도 방지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표면지와 부착되는,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양 단면에 다수의 미세한 홈이 형성된 허니콤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니콤이 상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며 연속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허니콤의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니콤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니콤의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양 단면에 접촉하며,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들이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상?하부 가공롤러를 구비하는 허니콤 홈 가공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이어지게 부착한 허니콤심재를 기체의 적재판에 겹쳐서 적재한 다음 이송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벌집 모양으로 펼쳐지는 각 판지의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다수 가공하는 홈 가공기와 상기 홈 가공기를 통과하면서 다수의 홈이 형성된 양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기와 기체의 전방에 설치된 표면지의 공급기로부터 기체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이송공급되는 상?하부 표면지를 접착제가 도포된 양 단면에 각각 부착시켜 주는 접착기를 포함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에 따르면, 허니콤심재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펼쳐서 각 판지의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다수 형성하고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양 단면에 접착제가 골고루 도포되어 표면지들이 접착기에 의해 균일하고도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허니콤심재를 이동시키면서 펼쳐서 홈을 형성하고 양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표면지를 각각 부착시켜 주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기의 후방에 건조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기가 내부 전방에 수용된 건조기를 설치하여 허니콤심재의 양 단면에 표면지들이 부착된 허니콤부재를 통과시키면서 도포한 접착제를 건조시켜 줌으로써 단시간에 건조 및 단단히 부착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허니콤 및 허니콤의 제조방법, 허니콤 홈 가공기, 허니콤 보드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허니콤심재의 양 단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한 다음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고, 이후 표면지를 각각 부착하여 건조하는 모든 제조공정들이 단일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일관하여 연속수행하기 때문에, 접착불량 및 각 공정 불량에 의한 작업인력 및 시간이 절약되고, 생산비용이 대폭 절감됨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게 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홈 가공기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홈 가공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3은 홈이 가공된 허니콤 심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a에서, 상부 가공롤러(31)를 적정 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허니콤심재(1)의 선단부가 하부 가공롤러(31')의 상면을 지나가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 가공롤러를 하강시켜주어 허니콤심재의 선단부 상?하면이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사이에 물려지게 한다.
이때, 상부 가공롤러(31)는, 양측 전?후 지주(32)(32')들 사이의 상부에 개재되는 양측의 각 승강판(33)에 상기 상부 가공롤러(31) 축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각 승강판(33)의 상단부에 지주(32)(32')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부착한 지지대(34)의 나사공을 관통하게 체결한 조절나사(36)의 하단을 결속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양측의 승강판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한 상태에서 도2b와 같이 가동시켜 주면, 상기 홈 가공기의 상?하부 가공롤러(31)(31')들의 각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31a)들에 의해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물려있는 허니콤심재의 펼쳐진 각 판지(2)(2')의 양단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미세한 홈(2a)들이 다수 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판지(2)(2')들을 펼쳐 준 상태에서 그 양단면에 미세한 홈(2a)을 가공하면, 단일 면적에 더욱 많은 홈이 가공됨에 따라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됨에 따라 표면지(6)(6')는 더욱 단단히 부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인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이동판과 홈 가공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6a와 6b는 도포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적재판과 이동 판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홈 가공기(30)와 그 후방에 차례로 설치되어 있는 접착제의 도포기(40) 및 접착기(50)와 기체(10)의 전방에 설치된 공급기(20)를 동시에 가동시켜 주면, 상기 홈 가공기의 상?하부 가공롤러(31)(31')들의 각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31a)들에 의해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물려있는 허니콤심재의 펼쳐진 각 판지(2)(2')의 양 단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미세한 홈(2a)들이 다수 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포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인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는, 기체(10)의 전방에는 롤 상태로 감긴 표면지(6)(6')를 각각 걸어주는 걸이대(21)(21')를 구비하는 공급기(20)를 설치하며, 상기 기체의 전방 측에 구비된 적재판(11)에는 여러 벌을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달아 이어지게 부착한 다수의 허니콤심재(1)를 겹쳐서 적재한 다음 벨트(12)를 걸어서 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적재된 허니콤심재(1)는 선단을 적재판(11)의 직 후방에 부설한 이동판(13)의 상면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당겨 이동시켜 주며, 이렇게 하면 상기 허니콤심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판지(2)(2')들의 각 접착된 각 부분(4)(4')들의 사이는 후단으로 갈수록 벌어져서 허니콤 모양의 공간부(5)가 다수 형성되게 펼쳐진다.
한편, 이동판(13)의 상면 양쪽에는 이동하는 허니콤심재(1)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편(13a)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다(도5참조).
이러한 안내편(13a)들은, 이동판(13)의 상면에 설치할 때 가공대상인 허니콤 심재의 좌?우 폭 크기의 차이를 감안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상기 이동판의 상면 양쪽에는 횡 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다수의 체결공(13b)들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편들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해당 체결공에 볼트(13c)를 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간격조절을 위해 다수의 체결공(13b)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공 대신에 횡 방향으로 길게 장공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안내편(13a)에 의해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판지(2)(2')들의 사이가 벌어진 허니콤심재(1)의 선단부는, 이동판(13)의 후방에 설치된 홈 가공기(30)의 상?하부 가공롤러(31)(31')들의 사이에 물린다.
즉, 상부 가공롤러(31)를 적정 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허니콤심재(1)의 선단부가 하부 가공롤러(31')의 상면을 지나가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 가공롤러를 하강시켜주어 허니콤심재의 선단부 상?하면이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사이에 물려지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 가공롤러(31)는 양측 전?후 지주(32)(32')들 사이의 상부에 개재되는 각 승강판(33)에 상기 상부 가공롤러 축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각 승강판의 상단부에 지주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부착한 지지대(34)의 나사공을 관통하게 체결한 조절나사(36)의 하단을 결속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양측의 승강판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한 상태에서, 홈 가공기(30)와 그 후방에 차례로 설치되어 있는 접착제의 도포기(40) 및 접착기(50)와 기체(10)의 전방에 설치된 공급기(20)를 동시에 가동시켜 주면, 상기 홈 가공기의 상?하부 가공롤러(31)(31')들의 각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31a)들에 의해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물려있는 허니콤심재의 펼쳐진 각 판지(2)(2')의 양 단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미세한 홈(2a)들이 다수 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 가공롤러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포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지(2)(2')들을 펼쳐 준 상태에서 그 양 단면에 미세한 홈(2a)을 가공하면, 단일 면적에 더욱 많은 홈이 가공됨에 따라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됨에 따라 표면지(6)(6')는 더욱 단단히 부착되는 것이다.
도포기(40)는 상?하부 도포롤러(41)(41')와 상기 상부 도포롤러(41)의 전방에 근접하게 나란히 고정설치하는 지지롤러(4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도포롤러(41)와 지지롤러(42)의 상부 사이에는 접착제(b)를 직접 공급하고 상기 하부 도포롤러는 접착제 공급판(43)에 의해 접착제를 일정한 두께로 직접 공급받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하부 도포롤러(41)(4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승강시킬 수 있게 설치하므로 접착제(b)를 도포할 허니콤심재(1)의 두께에 비례하여 서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반면에 지지롤러(42)는 상부 도포롤러(41)와는 물론 하부를 통과하는 허니콤심재(1)의 상면과도 직접 접촉하지 않게 설치하고, 상기 접착제는 점성이 높은 것을 사용함에 따라 서로 근접하게 설치하는 상부 도포롤러와 지지롤러의 상부 사이에 접착제를 직접 공급하여도 이들 사이로 접착제가 그대로 흘러내리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반면에 상기 상부 도포롤러와 지지롤러의 양단의 상부에는 차단판(44)을 부설하여 상부에 공급된 상기 접착제가 양단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렇게 설치하는 상?하부 도포롤러(41)(41')의 사이로 양 단면에 미세한 홈(2a)이 다수 형성된 허니콤심재(1)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도포롤러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 단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면서 후방에 설치된 접착기(50)로 이동한다.
접착기(50)는 상?하부 접착롤러(51)(51')를 구비하며, 기체(10)의 전방에 설치된 공급기(20)의 걸이대(21)(21')로부터 상기 기체의 상?하부에 각각 부설되어 있는 다수의 안내롤러(14)(14')들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표면지(6)(6')가 도포기(40)의 위 아래로 통과하면서 접착제가 도포된 허니콤심재(1)의 양 단면에 근접하게 안내되어 상기 상?하부 접착롤러(51)(51')들 사이를 통과할 때 허니콤심재(1)의 양 단면에 표면지들을 부착시켜 줌으로써 허니콤부재(1a)를 만들게 된다.
그리고, 접착기(50)의 후방에는 건조기(60)를 설치하여 허니콤부재(1a)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허니콤심재(1)의 양 단면에 표면지(6)(6')들을 부착하기 위해 도포한 접착제를 히터나 열풍으로 신속히 건조시켜 줌으로써 건조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주게 하며, 이렇게 건조되어 나오는 상기 허니콤부재를 사용할 용도에 맞게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면 허니콤보드(1b)가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접착기(50)를 건조기(60)의 전방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착기를 건조기의 전단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건조기(60)의 후방에서는 건조되어 나오는 허니콤부재(1a)를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도 1a는 허니콤심재를 제조하는 판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의 판지들을 다수 접착하여 절단시켜 이루어지는 허니콤심재의 사시도.
도 1c는 도 2의 허니콤심재를 일부분 발췌하여 일부를 펼친 확대 사시도.
도 2a는 홈 가공기의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홈 가공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
도 3은 홈이 가공된 허니콤심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허니콤 보드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이동판과 홈 가공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평면도.
도 6a는 도 4에서 도포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도포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
도 7은 도 4에서 적재판과 이동판을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4에서 접착기와 건조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허니콤 심재 2, 2': 판재
2a : 홈 3, 3' : 접착제
4 : 엇갈리게 부착된 부분 5 : 허니콤 모양의 공간부
10 : 기체 11 : 적재판
13 : 이동판 15 : 레일
20 : 공급기 21, 21' : 걸이대
30 : 홈 가공기 31, 31' : 홈 가공롤러
40 : 도포기 41, 41' : 상?하부 도포롤러
42 : 지지롤러 43 : 접착제 공급판
50 : 접착기 51, 51' : 상?하부 접착롤러
60 : 건조기

Claims (7)

  1. 다수의 판지의 일면이 일정간격으로 엇갈리게 접착되어 허니콤 모양의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심재로 이루어진 허니콤에 있어서,
    상기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상기 접착된 일면과 직교하는 양 단면에 다수의 미세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2. 다수의 판지의 일면이 일정간격으로 엇갈리게 접착되어 허니콤 모양의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심재로 이루어진 허니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이 상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며 연속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허니콤의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상기 접착된 일면과 직교하는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니콤의 제조방법.
  3. 다수의 판지의 일면이 일정간격으로 엇갈리게 접착되어 허니콤 모양의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심재로 이루어진 허니콤 홈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의 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상기 접착된 일면과 직교하는 양 단면에 접촉하며,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들이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상?하부 가공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가공롤러는, 양측 전?후 지주들 사이의 상부에 개재되는 양측의 각 승강판에 상기 상부 가공롤러 축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각 승강판의 상단부에 상기 지주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부착한 지지대의 나사공을 관통하게 체결한 조절나사의 하단을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홈 가공기.
  4. 다수의 판지의 일면이 일정간격으로 엇갈리게 접착되어 허니콤 모양의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허니콤심재로 이루어진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이어지게 부착한 상기 다수의 허니콤심재를 겹쳐서 적재하는 적재판과, 상기 허니콤심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이동판을 구비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전방에 설치하며, 롤 상태로 감긴 표면지들을 각각 걸어주는 한 쌍의 걸이대를 구비하는 공급기와;
    상기 이동판의 후방에 설치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펼쳐지는 상기 허니콤심재를 형성하는 각 판지들의 상기 접착된 일면과 직교하는 양 단면에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가공핀들이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상?하부 가공롤러를 구비하는 홈 가공기와;
    상기 홈 가공기의 후방에 설치하며, 미세한 홈이 다수 형성되어 이동하는 허니콤심재의 양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상?하부 도포롤러를 구비하는 도포기와;
    상기 도포기의 후방에 설치하며, 상기 한 쌍의 공급기로부터 기체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후방으로 이송되는 표면지들을 접착제가 도포된 허니콤심재의 양 단면에 부착시켜 주는 상?하부 접착롤러를 구비하는 접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접착기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허니콤심재의 양 단면에 표면지를 부착하여 된 허니콤부재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건조시켜 주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
  6.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이동판 상면 양쪽에는, 상기 허니콤심재가 이동할 때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안내하는 안내편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
  7.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는, 상기 상부 도포롤러의 전방에 근접하게 나란히 고정설치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하부 도포롤러에 밀착하여 접착제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보드의 제조장치.
KR1020080052451A 2008-06-04 2008-06-04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KR10120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51A KR101202290B1 (ko) 2008-06-04 2008-06-04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51A KR101202290B1 (ko) 2008-06-04 2008-06-04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397A KR20090126397A (ko) 2009-12-09
KR101202290B1 true KR101202290B1 (ko) 2012-11-16

Family

ID=416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451A KR101202290B1 (ko) 2008-06-04 2008-06-04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46B1 (ko) * 2012-10-02 2014-06-12 안성철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복합패널
KR102333199B1 (ko) * 2020-02-24 2021-11-30 (주)에이치에스패널 패널용 심재 자동성형장치
CN114103270A (zh) * 2021-12-28 2022-03-01 铜陵星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蜂窝纸板纸芯拉伸成型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735U (ja) 1982-04-27 1983-11-02 西川紙器株式会社 パネル用ペ−パコア
JPH1046781A (ja) * 1996-08-06 1998-02-17 Itoki Crebio Corp 間仕切用パネル等の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366606B1 (ko) * 1999-09-03 2003-01-06 김광수 하니콤 내장재와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735U (ja) 1982-04-27 1983-11-02 西川紙器株式会社 パネル用ペ−パコア
JPH1046781A (ja) * 1996-08-06 1998-02-17 Itoki Crebio Corp 間仕切用パネル等の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366606B1 (ko) * 1999-09-03 2003-01-06 김광수 하니콤 내장재와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397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186B2 (ja) 裁断可能な新旧smt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の接着機
WO2007059805A1 (de) BESCHICHTUNGSANLAGE MIT FLIEßFÄHIGEM BESCHICHTUNGSMATERIAL FÜR GLATTE ODER STRUKTURIERTE OBERFLÄCHEN
KR101202290B1 (ko) 접착홈이 성형된 허니콤
EP179272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Leichtbauplatte
JP2019524484A (ja) 新旧smt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の接着機
SK238392A3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honeycombed core from a band foil and method for its executing
JP2010058440A (ja) 糊付装置
CN111389665B (zh) 涂布机及涂布方法
CN109928183B (zh) 用于木质纤维板的运输设备和用于运输木质纤维板的方法
CN110936696A (zh) 蜂窝板复合机
KR20070034139A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CN203157228U (zh) 一种蜂窝纸托盘包边装置
KR101217719B1 (ko) 우레탄 발포용 허니콤 제조장치
KR101219569B1 (ko) 매트형 유리섬유 단열재 성형장치
DE102018207446A1 (de) Wellpappeanlage
EP1951968B1 (en)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wallboard
JP2010042606A (ja) ラッピング装置およびラッピング方法
CN211138332U (zh) 自动化控制瓦楞纸板生产系统
US8356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wallboard
EP1561387A2 (de) Kaschiervorrichtung
DE3503156C1 (en) Process and device for feeding short-cycle presses
CN214819375U (zh) 一种平贴开槽装置
KR101710027B1 (ko) 시트 혹은 필름용 광폭 점착장치
KR200264823Y1 (ko) 양면접착 화장합판의 제조장치
FI87548B (fi)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ett cellstruktur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