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668B1 - 블로어용 레지스터 - Google Patents

블로어용 레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668B1
KR102332668B1 KR1020180001949A KR20180001949A KR102332668B1 KR 102332668 B1 KR102332668 B1 KR 102332668B1 KR 1020180001949 A KR1020180001949 A KR 1020180001949A KR 20180001949 A KR20180001949 A KR 20180001949A KR 102332668 B1 KR102332668 B1 KR 10233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resistors
resistor
electricity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066A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18105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8105225A1/de
Priority to US15/928,313 priority patent/US10879833B2/en
Priority to CN201810407983.9A priority patent/CN109667779B/zh
Publication of KR2019004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6Resistor networ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많은 설계변경과 구조변경 및 많은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단자와, 가동단자와 선택적으로 온(ON)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들 및, 고정단자들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있어서,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고정단자들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세분화하여,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고정단자들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는 전기 흐름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블로어용 레지스터{REGISTER FOR BLOWER}
본 발명은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설계변경과 구조변경 및, 많은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Blower)(1)를 구비한다.
블로어(1)는, 스크롤 케이싱(3)과, 스크롤 케이싱(3)의 송풍실(3a)에 설치되는 블로어 팬(Blower Fan)(5)과, 블로어 팬(5)을 회전시키는 블로어 모터(Blower Motor)(7)를 포함한다.
블로어 모터(7)는, 인가되는 전기에 따라 작동되면서 블로어 팬(5)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블로어 팬(5)이 차실내,외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외 공기를 차실내로 송풍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블로어 모터(7)는, 레지스터(Resister)(10)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며, 회전속도가 조절된 블로어 모터(7)는, 블로어 팬(5)의 "회전단수"를 조절한다.
레지스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와,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30) 및, 각 고정단자(3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저항(40)들을 포함한다.
고정단자(30)들은, 블로어(1)의 각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온(ON)되며, 이렇게 온(ON)된 고정단자(30)는 하류측의 해당 저항(40)에 배터리(50)의 전류를 인가한다(본 발명에서는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4단인 것을 일례로하여 설명하며, 따라서, 고정단자(30)는 블로어의 회전단수 4단에 대응하여 4개로 구성된다. 이하, 각 고정단자(30)를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라 칭한다).
저항(40)들은(이하,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이라 칭함), 블로어(1)의 각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은 블로어(1)에 대해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블로어(1)의 최고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제 4저항(40d)은 블로어(1)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은,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은, 가동단자(20)를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 중 어느 하나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고정단자의 하류측 것으로부터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동단자(20)를 제 1고정단자(30a)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제 1고정단자(30a)의 하류측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가동단자(20)를 제 2고정단자(30b)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제 2고정단자(30b)의 하류측 제 2 및 제 3저항(40b, 40c)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가동단자(20)를 제 3고정단자(30c)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제 3고정단자(30c)의 하류측 제 3저항(40c)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1단 내지 3단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하고자, 가동단자(20)를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 중 어느 하나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고정단자측의 배터리(50) 전기는 하류측 저항(40a, 40b, 40c)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전류값이 조절되고, 전류값이 조절된 전기는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동단자(20)와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들을 통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1단 내지 3단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할 시에는, 블로어(1)의 회전단수에 따라 배터리(50)의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의 개수를 가변시킴으로써, 블로어(1)에 인가되는 배터리(50)의 전류값을 조절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한다.
제 4저항(40d)은,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비해 낮은 저항값을 갖는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4단으로 조절하고자, 가동단자(20)를 제 4고정단자(30d)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제 4고정단자(30d)의 해당 제 4저항(40d)은,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비해 높은 전류의 전기를 블로어(1)에 인가한다. 따라서, 블로어(1)가 최고단수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지스터(10)는,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예를 들면, 4단에서 8단으로 증가시키고자할 경우, 증가된 회전단수에 맞춰 고정단자(30)와 저항(40) 등을 추가해야 하고, 이에 대응하여 레지스터(10) 자체를 재설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부품이 소모되고, 회로구조가 복잡해지는 등, 비용적인면과 시간적인면에서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레지스터(10)의 회로 상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블로어(1)의 인가 전류를 가변 제어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키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고가(高價)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여전히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단자와 저항의 추가 설치 및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블로어용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단자와 저항의 추가 설치 및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용부담없이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블로어용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는,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와 선택적으로 온(ON)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들 및, 상기 고정단자들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고정단자들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세분화하여, 상기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상기 고정단자들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는 전기 흐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저항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저항들은 상기 블로어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어, 상류측의 해당 고정단자로부터 인가된 배터리의 전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블로어의 인가 전류값을 조절하며; 상기 전기 흐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고정단자에 전기가 인가될 시, 전기가 인가된 특정 고정단자의 하류측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도록 전기 흐름을 제어함에 따라,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의 개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의 인가 전류값을 세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최후단의 고정단자는 상기 블로어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기 흐름 제어부는, 전기가 인가된 특정 고정단자의 하류측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전기 흐름을 제어하여,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의 개수를 가변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다른 특징은,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와 선택적으로 온(ON)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들 및, 상기 고정단자들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들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를 근거로 상기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최소 상기 저항들의 개수보다 많게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상기 저항들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제어하는 회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저항들 중, 직렬로 연결된 n개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를 아래의 [식 1]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와, 상기 블로어에 직결된 저항 r개를 아래의 [식 2]로 연산 처리하여, 모든 저항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를 근거로 상기 블로어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최소 상기 저항들의 개수보다 많게 제어하는 회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B = (2^n)-1
[식 2]
A = {(2^n)-1} + r
(A: 모든 저항들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B: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n: 블로어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 저항 개수, r: 블로어에 직결된 저항 개수)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의하면, 바이패스 스위치와 마이콤을 통해, 복수의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여 블로어의 인가 전류를 세분화하는 구조이므로,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정단자와 저항의 추가 설치 및, 고가의 트랜지스터 설치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단자와 저항의 추가 설치 및, 고가의 트랜지스터 설치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부담없이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로어용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주요 특징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회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작동예들을 나타내는 작동도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블로어용 레지스터는, 가동단자(20)와,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 및,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들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들은,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온(ON)되며, 이렇게 온(ON)된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들은 하류측의 해당 저항(40a, 40b, 40c, 40d)에 배터리(50)의 전류를 인가한다.
여기서, 가동단자(20)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 스위치로서, 인가되는 제어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운동하면서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온(ON)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이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고, 제 4저항(40d)이 블로어(1)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은,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항값이 큰 순서대로 상기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은, 가동단자(20)를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 중 어느 하나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고정단자의 하류측 것으로부터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고자, 가동단자(20)를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 중 어느 하나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고정단자측의 배터리(50) 전기는 하류측 저항(40a, 40b, 40c)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전류값이 조절되고, 전류값이 조절된 전기는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한다.
여기서, 가동단자(20)와 온(ON)된 고정단자(30a, 30b, 30c)가 낮은 것일수록,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30a, 30b, 30c)의 개수가 증가되고, 가동단자(20)와 온(ON)된 고정단자(30a, 30b, 30c)가 높은 것일수록,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30a, 30b, 30c)의 개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가동단자(20)와 온(ON)된 고정단자(30a, 30b, 30c)가 낮은 것일수록, 배터리(50)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a, 40b, 40c)들의 개수가 증가되면서 전류값이 낮아지고, 가동단자(20)와 온(ON)된 고정단자(30a, 30b, 30c)가 높은 것일수록, 배터리(50)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a, 40b, 40c)들의 개수가 감소되면서 전류값이 높아진다.
그 결과, 저단의 블로어(1) 회전단수측 고정단자(30a)가 온(ON)될 수록, 블로어(1)로 인가되는 전류값이 낮아지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낮게 제어하고, 고단의 회전단수측 고정단자(30c)가 온(ON)될 수록, 블로어(1)로 인가되는 전류값이 높아지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높게 제어한다.
제 4저항(40d)은,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비해 낮은 저항값을 갖는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4단으로 조절하고자, 가동단자(20)를 제 4고정단자(30d)에 온(ON)시킬 시에, 온(ON)된 제 4고정단자(30d)의 해당 제 4저항(40d)은,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비해 높은 전류의 전기를 블로어(1)에 인가하다. 따라서, 블로어(1)가 최고단수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4고정단자(30d)와 블로어 모터(7)를 연결하는 도선(導線)에 일정 크기의 저항이 있는 것으로 설정하여, 상기 도선을 제 4저항(40d)으로 표시하였으나, 도선의 저항을 감안하지 않을 경우, 제 4고정단자(30d)와 블로어 모터(7)의 사이에 저항이 없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동단자(20)측에 배터리가 연결되고, 블로어 모터(7)측이 접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가동단자(20)측이 접지되고, 블로어 모터(7)측에 배터리가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지스터는,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여, 블로어(1)의 인가 전류값을 고정단자(30)들의 개수보다 많게 세분화하고, 이를 통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키는 전기 흐름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전기 흐름 제어부(60)는,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 중 어느 하나의 고정단자에 배터리(50)의 전기가 인가될 시, 전기가 인가된 고정단자의 하류측 저항(40a, 40b, 40c)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a, 40b, 40c, 40d)의 개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스위치(70)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스위치(70)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 스위치로서,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 중 하나 이상의 특정 저항의 상류측과 다른 저항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바이패스 스위치(70)는, 하나 이상의 특정 저항의 상류측과 다른 저항의 상류측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개폐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특정 저항에 인가되는 배터리(50)의 전기를 다른 저항들로 바이패스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고자, 가동단자(20)를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 중 어느 하나의 특정 고정단자에 온(ON)시켜, 특정 고정단자에 배터리(50)의 전기를 인가시킬 시에, 전기가 인가된 고정단자의 하류측 저항(40a, 40b, 40c, 40d)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한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에 대응하여 배터리(50)의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a, 40b, 40c, 40d)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세분화되면서 상기 블로어(1)의 단수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스위치(70)가, 제 2저항(40b)의 상류측과 제 3저항(40c)의 상류측 사이 및, 제 3저항(40c)의 상류측과 제 4저항(40d)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 2저항(40b)측에 인가되는 배터리(50) 전기를 제 3저항(40c)측으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제 3저항(40c)측에 인가되는 배터리(50) 전기를 제 4저항(40d)측으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제 2저항(40b)측에 인가되는 배터리(50) 전기를 제 4저항(40d)측으로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제 2저항(40b)의 상류측과 제 3저항(40c)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치(70)를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라 칭하고, 제 3저항(40c)의 상류측과 제 4저항(40d)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치(70)를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라 칭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 흐름 제어부(60)는, 가동단자(20)와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을 제어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는 마이콤(Micom)(80)을 더 포함한다.
마이콤(80)은, 가동단자(20)와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이 전자식 스위치일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에 대한 가동단자(20)의 위치와,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따라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1단으로 조절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1고정단자(30a)에 온(ON)시키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제 1고정단자(30a)의 하류측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이 모두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1고정단자(30a)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을 모두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높은 저항값을 갖는 3개의 저항(40a, 40b, 40c)을 통과하면서 전류값이 최저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최저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1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2단"으로 조절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1고정단자(30a)에 온(ON)시키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는 오프(OFF)시키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는 온(ON)시킨다.
따라서, 제 1고정단자(30a)의 하류측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 중, 제 2저항(40b)이 제 4저항(40d)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1고정단자(30a)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1저항(40a)과 제 2저항(40b)들을 통과한 후, 최저 저항값의 제 4저항(40d)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1고정단자(30a)측 전기가, 높은 저항값을 갖는 2개의 저항(40a, 40b)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하면서 도 4의 "1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2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3단"으로 조절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1고정단자(30a)에 온(ON)시키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는 온(ON)시키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는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제 1고정단자(30a)의 하류측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 중, 제 1저항(40a)이 제 3저항(40c)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1고정단자(30a)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1저항(40a)을 통과한 후, 제 3저항(40c)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1고정단자(30a)측 전기가, 높은 저항값을 갖는 2개의 저항(40a, 40c)을 통과하면서 도 5의 "2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3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4단"으로 조절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1고정단자(30a)에 온(ON)시키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모두 온(ON)시킨다.
따라서, 제 1고정단자(30a)의 하류측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 중, 제 1저항(40a)이 제 4저항(40d)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1고정단자(30a)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1저항(40a)을 통과한 후, 최저 저항값의 제 4저항(40d)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1고정단자(30a)측 전기가, 최고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a)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하면서 도 6의 "3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4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5단"으로 조절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2고정단자(30b)에 온(ON)시키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제 2고정단자(30b)의 하류측 제 2 및 제 3저항(40b, 40c)들은 모두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2고정단자(30b)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2저항(40b)과 제 3저항(40c)을 모두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2고정단자(30b)측 전기가, 중간 저항값을 갖는 2개의 저항(40b, 40c)을 통과하면서 도 7의 "4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5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6단"으로 조절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2고정단자(30b)에 온(ON)시키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는 오프(OFF)시키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는 온(ON)시킨다.
따라서, 제 2고정단자(30b)의 하류측 제 2 및 제 3저항(40b, 40c)들 중, 제 2저항(40b)이 제 4저항(40d)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2고정단자(30b)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2저항(40b)을 통과한 후, 최저 저항값의 제 4저항(40d)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2고정단자(30b)측 전기가, 중간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b)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하면서 도 8의 "5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6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7단"으로 조절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3고정단자(30c)에 온(ON)시키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제 3고정단자(30c)의 하류측 제 3저항(40c)만의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3고정단자(30c)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3저항(40c)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3고정단자(30c)측 전기가, 중간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c)을 통과하면서 도 9의 "6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7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80)은,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조절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20)를 제 4고정단자(30d)에 온(ON)시키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제 4고정단자(30d)의 하류측 제 4저항(40d)만의 "전기 흐름 경로"를 갖게 한다. 이로써, 제 4고정단자(30d)에 인가된 배터리(50)의 전기가 제 4저항(40d)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4고정단자(30d)측 전기가,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하면서 도 10의 "7단 전기 흐름 경로"에 비해 높은 전류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전류값의 전기는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동단자(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 중 어느 하나를 온(ON)시키거나, 모두를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1단에서 8단까지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지스터에 의하면, 바이패스 스위치(70)들과 마이콤(80)을 통해,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여 블로어(1)의 인가 전류를 세분화하는 구조이므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단자(30)와 저항(40)의 추가 설치 및, 고가(高價)의 트랜지스터 설치 없이도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단자(30)와 저항(40)의 추가 설치 및, 고가의 트랜지스터 설치 없이도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구조변경과 비용증가 없이도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부담없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11에는,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가, 제 3저항(40c)의 상류측과 제 4저항(40d)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가, 제 3저항(40c)의 상류측과 블로어(1)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는, 제 3저항(40c)측에 인가되는 배터리(50) 전기를 블로어(1)측으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를 통해 인가되는 제 2저항(40b)의 상류측 배터리(50) 전기를 블로어(1)측으로 직접 바이패스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제어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의 온,오프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제 1 내지 제 4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다양하게 가변 제어하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 저항(40a, 40b, 40c)의 개수가 "n"개이고, 블로어(1)에 직결된 저항(40d)이 "r"개라고 가정할 시에,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하면, 아래의 [식 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 "n"개 저항(40a, 40b, 40c)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와, 블로어(1)에 직결된 저항(40d)의 "전기 흐름 경로" "r"개를 아래의 [식 2]로 연산 처리하면, 모든 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근거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저항(40a, 40b, 40c, 40d)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식 1]
B = (2^n)-1
[식 2]
A = {(2^n)-1} + r
(A: 모든 저항들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B: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n: 블로어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 저항 개수, r: 블로어에 직결된 저항 개수)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 저항(40a, 40b, 40c)의 개수가 "3"개이고, 블로어(1)에 직결된 저항(40d)이 "1"개라고 가정할 시에,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하면, 아래의 [식 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 "3"개 저항(40a, 40b, 40c)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 "7"개를 얻을 수 있다.
[식 1]
B = (2^3)-1 = 7
그리고 이렇게 얻은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 "7"개와, 블로어(1)에 직결된 저항(40d)의 "전기 흐름 경로" "1"개를 아래의 [식 2]로 연산 처리하면, 모든 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산출할 수 있다.
[식 2]
A = {(2^3)-1} + 1 = 8
이때, [식 2]를 통해서 얻어진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는, "8"개인데, 이렇게 얻어진 "경우의 수(A)" "8"개를 근거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최대 "8"개에서부터 최소, 저항(40a, 40b, 40c, 40d)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 즉, "4"개보다 많은 단수로 가변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하면, 저항(40a, 40b, 40c, 40d)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다양하게 가변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전기 흐름 경로"의 가변 제어를 통해서,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 이내에서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용 레지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블로어용 레지스터는, 가동단자(20)와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이 기계식 스위치일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도 3참조), 가동단자브러쉬(20-1)와 고정단자트랙(30-1)을 구비한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90)를 포함한다.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90)는, 가동단자브러쉬(20-1)와 고정단자트랙(30-1)들의 기계식 접촉과, 이에 의한 접점간의 온(ON), 오프(OFF)에 의해 블로어의 단수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90)는, 전자식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도 3참조)와 마이콤(80)을 통해 블로어 단수가 조절되는 상기 일실시예와는 달리, 고정단자트랙(30-1)과 가동단자브러쉬(20-1)들의 개수와 길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구현한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고정단자트랙(30-1)과 가동단자브러쉬(20-1)들 사이의 접점위치를 통해 구현한다.
특히, 로터리 노브(Rotary Knob)(92)의 회전 시에, 고정단자트랙(30-1)들에 대한 가동단자브러쉬(20-1)들의 접점위치를 가변 제어하고, 이러한 접점위치를 가변 제어를 통해, 특정 고정단자트랙(30-1)의 하류측 저항(40)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블로어용 레지스터는, 사용자가 블로어(1)의 회전단수 조절을 위해, 로터리 노브(Rotary Knob)(92)의 회전시킬 시에, 로터리 노브(92)의 회전각도에 따라 고정단자트랙(30-1)과 가동단자브러쉬(20-1) 접점간의 온(ON), 오프(OFF)를 제어함으로써,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제어한다.
특히, 고정단자트랙(30-1)과 가동단자브러쉬(20-1) 접점간의 온(ON), 오프(OFF) 조합을 통해,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8단으로 제어한다.
이하,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90)를 사용하여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90)를 사용하는 방식은, 상기한 전자식과 달리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고정단자트랙(30-1)에 대한 가동단자브러쉬(20-1)의 접점위치를 가변시키는 구조이지만, 편의상 상기한 전자식 스위치 도면(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1단으로 조절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1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가 모두 오프(OFF)된다. 따라서, 3개의 저항(40a, 40b, 40c)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1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2단으로 조절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1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가 오프(OFF)되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가 온(ON)된다. 따라서, 2개의 저항(40a, 40b)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2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3단으로 조절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1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가 온(ON)되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가 오프(OFF)된다. 따라서, 2개의 저항(40a, 40c)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3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4단으로 조절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1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가 모두 온(ON)된다. 따라서, 1개의 저항(40a)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4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5단으로 조절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2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가 모두 오프(OFF)된다. 따라서, 2개의 저항(40b, 40c)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5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6단으로 조절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2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가 오프(OFF)되며,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가 온(ON)된다. 따라서, 1개의 저항(40b)과,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6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7단으로 조절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3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가 모두 오프(OFF)된다. 따라서, 1개의 저항(40c)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7단"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92)를 회전시켜 블로어(1)를 8단으로 조절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브러쉬가 제 4고정단자트랙에 온(ON)되고,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가 모두 오프(OFF)된다. 따라서, 최저 저항값을 갖는 1개의 저항(40d)을 통과한 전기가 블로어(1)로 인가되면서 상기 블로어(1)를 "8단"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의하면, 기계식 스위치의 접점구조를 통해 블로어의 단수를 세분화하는 구조이므로, 솔레노이드식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와 마이콤(80)을 통해 블로어 단수를 조절하는 상기 일실시예와는 달리, 고가의 부품 사용이 적다.
따라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더욱 더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저가의 차량에 비용부담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블로어(Blower) 3: 스크롤 케이싱(Scroll Casing)
5: 블로어 팬(Blower Fan) 7: 블로어 모터(Blower Motor)
10: 레지스터(Resister) 20: 가동단자
20-1: 가동단자브러쉬(Brush) 30: 고정단자
30-1: 고정단자트랙(Track) 30a: 제 1고정단자
30b: 제 2고정단자 30c: 제 3고정단자
30d: 제 4고정단자 40: 저항
40a: 제 1저항 40b: 제 2저항
40c: 제 3저항 40d: 제 4저항
50: 배터리(Battery) 60: 전기 흐름 제어부
70: 바이패스 스위치(Bypass Switch)
70a: 제 1바이패스 스위치 70b: 제 2바이패스 스위치
80: 마이콤(Micom) 90: 기계식 로터리 스위치
92: 로터리 노브(Rotary Knob)

Claims (13)

  1. 삭제
  2. 가동단자(20)와, 상기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온(ON)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30)들 및, 상기 고정단자(30)들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복수의 저항(40)들을 포함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고정단자(30)들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세분화하여,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상기 고정단자(30)들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40)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는 전기 흐름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항(40)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저항(40)들은 상기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어, 상류측의 해당 고정단자(30)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블로어(1)의 인가 전류값을 조절하며;
    상기 전기 흐름 제어부(60)는,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30)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고정단자에 전기가 인가될 시, 전기가 인가된 특정 고정단자(30)의 하류측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40)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도록 전기 흐름을 제어함에 따라,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의 개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1)의 인가 전류값을 세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3. 제 2항에 있어서,
    최후단의 고정단자(30)는 상기 블로어(1)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기 흐름 제어부(60)는, 전기가 인가된 특정 고정단자(30)의 하류측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40)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전기 흐름을 제어하여,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의 개수를 가변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스위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는,
    상기 복수의 저항(40)들 중 하나 이상의 특정 저항의 상류측과 다른 저항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저항들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ON),오프(OFF)함에 따라 상기 특정 저항으로 인가된 전기를 다른 저항으로 바이패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30)들은,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40)들은, 상기 제 1 내지 제 3고정단자(30a, 30b, 30c)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들은 상기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어 상류측의 해당 고정단자(30a, 30b, 30c)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하류측으로 순차 통과시키면서 상기 블로어(1)에 인가하고, 상기 제 4고정단자(30d)는 인가된 전기를 상기 블로어(1)에 직접 인가하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는,
    상기 제 2저항(40b)의 상류측과 제 3저항(40c)의 상류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 1바이패스 스위치(70a)와, 상기 제 3저항(40c)의 상류측과 상기 블로어(1)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 중 어느 하나를 온(ON)시키거나, 모두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에 대한 상기 가동단자(20)의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의 온,오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가 특정 단수로 선택될 시에, 상기 가동단자(20)를 상기 제 1 내지 제 4고정단자(30a, 30b, 30c, 30d) 중 특정 고정단자에 온(ON)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바이패스 스위치(70a, 70b)들의 온,오프를 특정 상태로 조합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저항(40a, 40b, 40c)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특정 단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8. 삭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20)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식이며;
    상기 고정단자(30)들에 대한 상기 가동단자(20)의 위치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70)의 온,오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저항(40)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조절하는 마이콤(Micom)(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10. 제 2항 내지 제 7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40)들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11. 삭제
  12. 가동단자(20)와, 상기 가동단자(20)와 선택적으로 온(ON)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단자(30)들 및, 상기 고정단자(30)들의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복수의 저항(40)들을 포함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40)들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근거로 상기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최소 상기 저항(40)들의 개수보다 많게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1)의 회전단수를 상기 저항(40)들의 개수보다 많은 단수로 제어하는 회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저항(40)들 중, 직렬로 연결된 n개 저항(40a, 40b, 40c)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를 아래의 [식 1]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B)와, 상기 블로어(1)에 직결된 저항(40d) r개를 아래의 [식 2]로 연산 처리하여, 모든 저항(40a, 40b, 40c, 40d)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산출하며;
    산출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A)를 근거로 상기 블로어(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최소 상기 저항(40)들의 개수보다 많게 제어하는 회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식 1]
    B = (2^n)-1
    [식 2]
    A = {(2^n)-1} + r
    (A: 모든 저항들에 대한 총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B: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에 대한 전기 흐름 경로 경우의 수, n: 블로어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 저항 개수, r: 블로어에 직결된 저항 개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40a, 40b, 40c)들 중 하나 이상의 저항을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전기 흐름 경로를 제어함에 따라,
    전기가 통과하는 저항(40)의 개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1)의 인가 전류값을 최소 상기 저항(40)들의 개수보다 많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용 레지스터.

KR1020180001949A 2017-10-17 2018-01-05 블로어용 레지스터 KR10233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5225.1A DE102018105225A1 (de) 2017-10-17 2018-03-07 Gebläseregister
US15/928,313 US10879833B2 (en) 2017-10-17 2018-03-22 Blower register
CN201810407983.9A CN109667779B (zh) 2017-10-17 2018-05-02 鼓风机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582 2017-10-17
KR20170134582 201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66A KR20190043066A (ko) 2019-04-25
KR102332668B1 true KR102332668B1 (ko) 2021-12-01

Family

ID=6628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49A KR102332668B1 (ko) 2017-10-17 2018-01-05 블로어용 레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6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344A1 (en) * 2001-05-04 2003-05-15 Richard Vogt Drive unit
KR100503896B1 (ko) 2002-11-05 2005-07-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송풍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1601B1 (en) * 1999-02-24 2002-02-26 Micrel Incorporated Fan speed control system having an integrated circuit fan controller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344A1 (en) * 2001-05-04 2003-05-15 Richard Vogt Drive unit
KR100503896B1 (ko) 2002-11-05 2005-07-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송풍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66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203B2 (en) Reconfigurable memristor-based computing logic
US20080048746A1 (en) Hysteresis Comparator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Width
KR102332668B1 (ko) 블로어용 레지스터
US7508146B2 (en) Multi-speed dual fan module system for engine cooling applications
JP2004519997A (ja) 駆動装置
US10879833B2 (en) Blower register
CN100424987C (zh) 风扇转速控制电路
JP4127115B2 (ja) 車両用送風制御装置
KR10049774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스위치
KR20010065593A (ko) 자동차 실내공조 송풍제어 스위치
JPS61202915A (ja) 空調用フアンモ−タ制御回路
KR102632063B1 (ko) 블로어용 레지스터
US20060022620A1 (en) Series speed manipulation for dual fan module
JPH1086629A (ja) ブロアファンモータ制御装置
KR102517132B1 (ko) 블로어용 레지스터
KR0115358Y1 (ko) 이중 블로위 휀 모터장치
JPH01177103A (ja) 空気調和機用制御装置
KR0121096B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장치
JPH0456557B2 (ko)
KR100661492B1 (ko) 송풍모터 속도조절장치
JP291905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9946Y1 (ko) 로타리 스위치
JPS5823297A (ja) 送風機制御装置
KR0123840Y1 (ko) 모터 액츄에이터의 다단 정지 위치 제어 장치
JPH0677220B2 (ja) モ−タアクチュエ−タの多段停止位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