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667B1 -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667B1
KR102331667B1 KR1020187033983A KR20187033983A KR102331667B1 KR 102331667 B1 KR102331667 B1 KR 102331667B1 KR 1020187033983 A KR1020187033983 A KR 1020187033983A KR 20187033983 A KR20187033983 A KR 20187033983A KR 102331667 B1 KR102331667 B1 KR 10233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weight
skin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174A (ko
Inventor
아르멜 베르제
래티시아 캣투자토
샌디 듀몬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Publication of KR2019000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E), 및 조성물(C1)의 중량 100%에 대하여, (a) - 조성물(C2)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3 중량% 내지 25 중량%의 화학식 I의 폴리올: [화학식 I] HO-CH2-(CHOH)m-CH2-OH; (2) -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30 중량% 내지 72 중량%의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조성물(CA): [화학식 II] HO-CH2-(CHOH)m-CH2-O-(G)x-H, (4) - 물로 구성되는 100 중량%의 나머지로 이루어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C2); 및 (b) -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HO-[CH2-CH(OH)-CH2-O]p-H로 이루어진 조성물(C1)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C1)에서,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10 이상이고 1/2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는,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개선을 위한 방법; 조성물(C1) 및 또한, 갈라짐 및/또는 버짐 및/또는 균열 및/또는 아토피 피부염 및/또는 비듬증,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병적 상태, 예컨대 습진을 수반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건조 상태를 감소시키고/거나 제거하고/거나 막고자 하는 치료학적 처리에서의 그의 용도.

Description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본 발명의 주제는, 피부의 단기간 보습을 위한, 폴리올 글리코시드 및 글리세롤 및/또는 글리세롤 올리고머를 기재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폴리올 글리코시드 및 글리세롤 올리고머를 기재로 하는 신규한 국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주로 화장품 및 피부약학 분야에서 응용되지만, 또한 직물 산업 분야에서, 예를 들어 제직 또는 편직 합성 또는 천연 직물 섬유의 처리를 위해, 또는 제지 산업 분야에서, 예를 들어 위생용 또는 가정용 종이 제조를 위해 응용된다.
피부는, 그의 범위의 관점에서 극히 미세한 인체의 이례적 기관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장 방대한 기관이다. 피부의 특징 중 하나는, 이것이 내부 환경(인체)과 외부 환경 사이의 계면 기관, 제한 기관이라는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피부는, 또한 피부를 덮고 있으며 피부 상에서 생존하는 식물군과 함께, 인간의 기관을 보호하기 위한 첫 번째 장벽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접하는 그의 위치로 인해, 예를 들어 의복과의 접촉, 온도 변화, 습도측정치 변화, 압력 변화,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매우 산성, 또는 매우 염기성, 또는 자극성을 갖거나 가질 수 있는 특정 화학 제품과의, 또는 오염제로 여겨지는 화학 제품과의 접촉과 같은 공격 등의 수많은 일상적 스트레스에 놓인다.
피부는 하기와 같은 상이한 조직의 층으로 구성된다:
- 피부의 최외 부분인, 케라티노사이트로 구성된 표피,
- 그에 이어지는, 주로 섬유아세포 및 세포외 매트릭스로 구성된 연결 조직인 진피, 및
-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장 멀리 그리고 가장 깊이 있는, 지방세포로 이루어진 피하.
피부는 피부가 보호하는 전체 시스템의 중요 부분에서 다양한 기능을 보장하며, 이들 중,
- 기관의 내부 환경의 온전함을 보장하기 위한 물리적 장벽 기능,
- 물, 염 및 산 폐기물을 기재로 하는 땀을 분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배출기 기능,
- 체온 조절 기능
이 유지될 수 있고, 많은 다른 조절 메커니즘, 예를 들어 피부의 자외선에 대한 적응 및 보호 메커니즘(멜라민 생성을 통한 적응성 안료 착색), 예를 들어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존재에 대한 면역 감시 시스템을 함유한다.
인간의 피부는 또한 다른 관점에서 제공되는 최초 이미지를 구성한다. 그 결과, 외관의 개선은 인간에게 지속적인 몰두 대상이다. 피부는, 종종 젊음과, 또한 역으로는 피로 및/또는 노화 상태와 관련되는, 안녕한 상태의 반영이다. 그 결과, 피부의 최외층, 즉 표피의 상태의 보존, 개선은 화장품 산업에 의해 수행되는 연구에 있어 주요 관심사의 중심을 이룬다.
표피의 주변부에는, 외부 기후 조건(온도, 압력, 습도측정치) 변동과 같은 외부 유래의 스트레스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에 놓이는 표피의 제1 층인 상부 각질층("stratum corneum"이라 불림)이 존재한다. 그 결과, 인간 피부의 외관을 개선시키거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각질층의 보습 상태를 최적 및 만족스런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추가로 피부의 건조 상태와 관련된 미적 및 생리적 결점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각질층은, 낮은 습도에 노출되는 경우 또는 연장된 그리고 빈번한 세제 용액과의 접촉에 놓이는 경우 탈수되고 건조되는 경향을 갖는다.
각질층의 탈수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의 건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용액이, 구체적으로는 보습 조성물의 개발에 의해 이미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가 지나치게 빠르게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손, 입술 및 얼굴이 피부의 빠른 건조를 유도하는 기후 조건(강렬한 저온, 바람)에 노출되는 경우, 단기간의 시간 내에 작용하는, 피부의 단기간 보습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피부의 "양호한 건강", 및 피부의 "양호한 기능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보습"을 평가하고 설명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하기 두 가지 측정이 그의 신뢰성 및 강건성으로 인해 사용된다:
각질층 내의 보습도, 다시 말해서 그 안의 수분 함량의 측정, 및
무감각 수분 손실(또는 IWL), 다시 말해서 피부의 최심층으로부터 외부 환경으로의 물의 수동적 확산으로 인한, 그리고 피부의 표면에서 언제든지 감지될 수 있는 발한으로 인한, 각질층을 통한 피부로부터의 물 증발의 유동의 측정.
피부의 보습도는 생물계측 기술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커패시턴스 또는 피부의 임피던스의 측정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장비의 다양한 상업적 품목을 이용할 수 있다. 임피던스 또는 커패시턴스의 증가는 피부 보습도의 증가를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각질층 내의 수분 함량의 증가를 나타낸다.
무감각 수분 손실(또는 IWL)은, 프로브가 동력학적으로 물 증발 유동을 측정하는 개방실린더로 이루어진 기기를, 표준화된 조건 하에서, 피부의 표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생물계측 기술에 의해 측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개방 실린더 기술에 추가로, 폐쇄 실린더(폐쇄 챔버) 기술에 기초한 유사한 기기가 보다 최근에 개발되었고, 이것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각질층의 표면에서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감소는 함유된 물의 증발에서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들 이전 정의의 관점에서, 피부, 보다 구체적으로 각질층의 보습의 개선은, 피부를 "보습 효과"를 갖는 화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구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상, 용어 "보습 효과"는,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 상의 화학 물질 또는 화학 조성물의 국소 도포에 의해 발생된 각질층의 보습도의 증가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목적상, 용어 "단기간 보습 효과"는, 3 내지 8시간의 기간 내에 측정되고 관찰된, 그리고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 상의 화학 물질 또는 화학 조성물의 단일 국소 도포에 의해 발생된 각질층의 보습도의 증가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목적상, 용어 "장기간 보습 효과"는 하기를 의미하고자 한다:
- 24시간 이상의 기간 내에 측정된,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 상의 화학 물질 또는 화학 조성물의 단일 도포에 의해 발생된 각질층의 보습도의 증가, 또는
- 수일 또는 수주에 걸친, 동일한 물질 또는 조성물의 반복 적용에 의해 발생된, 각질층의 보습도의 측정된 증가. 이 증가는, 적용된 물질 또는 조성물로 인한 직접적 보습 작용, 및 물질 또는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피부에서 일어난 생화학적 및 구조적 변형(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효과)으로 얻어지는 간접적 작용의 조합을 통해 얻어지는 효과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상, 용어 "폐색 효과"는, 각질층의 수준에서 피부의 표면에서 측정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감소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목적상, 용어 "즉각적 폐색 효과"는,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 상의 화학 물질 또는 화학 조성물의 국소 적용 후 단기간, 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의 기간 내에 효과가 나타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감소를 의미하고자 한다.
피부의 보습, 및 그에 따른 관련된 조사 연구의 과제는, 상당한 폐색 효과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보습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물질 또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고, 상기 폐색 효과는 "비-병적" 피부, 즉 10 g/m2/h 초과의 무감각 수분 손실을 나타내지 않는 피부의 자연적 작용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목표에 반하는 것으로 판명된다.
피부-보습제, 보다 구체적으로 매우 건조한 파괴된 피부를 보습하기 위한 작용제로서, 하기의 것들이 존재한다:
- 피부의 표면에 불투과성 막을 형성하여, 표피의 표면에서 물의 증발을 크게 감소시키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폐색 작용제. 이러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예컨대 바셀린 또는 파라핀 오일, 글리세롤, 시어 버터(부티로스퍼멈 파르키(Butyrospermum parkii) 버터), 비즈왁스(세라 알바(Cera alba)), 특정 식물성 오일, 예컨대 밀배아 오일, 코코넛 오일, 카카오 버터, 라놀린 및 실리콘 유도체이다;
- 각질세포(표피의 각질층의 세포) 사이에 있는 세포내 공간을 충전시키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연화제(emollient); 이들 또한 표피로부터 물의 증발을 제한하지만, 폐색 작용제보다는 낮은 정도이다. 이러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세라미드, 리놀레산 및 특정 식물성 오일, 예컨대 감편도유 또는 호호바 오일이다;
- 물과 조합되어 반투과성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막-형성제; 따라서 이들은 각질층으로부터의 물 증발을 조절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콜라겐, 엘라스틴, DNA, 펙틴, 젤라틴, 키토산, 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이다;
- 강한 흡습력, 즉 물을 유지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물질인 습윤제. 따라서 이들은 각질층이 함유하는, 화장품 조제에 의해 제공된 물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우레아, 글리세롤, 락트산, 아미노산, 나트륨 락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파-히드록시 산 또는 소르비톨이다. 글리세롤, 우레아 및 락트산이 보습 화장품 조성물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습윤제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매우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인해 글리세롤이다.
그러나, 글리세롤과 같은 일부 습윤제는 또한, 장벽 기능이 부족하지 않은 정상 피부에 바람직하지 않은 즉각적 폐색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또한 글리세롤과 같은 이들 중 일부는, 특히 민감성 개인에서 피부 및 점막에 대해 일부 자극을 야기한다.
글리세롤에 비해 보다 잘 용인되는 새로운 보습 물질의 연구는, 구체적으로는, 특정 글리세롤 유도체, 구체적으로는 환원 당과의 축합으로부터 유래한 글리세롤 아세탈을 사용하게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 번호 EP 0 770 378로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에 개시된, 글리세롤과 글루코스의 축합으로부터 유래한 아세탈; 이들은 글리세롤에 비해 보다 양호한 피부 용인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보다 낮은 보습능을 가짐;
- 효소적 제조 방법에 따라 얻어지고, 피부 보습-유지 활성에 대해 알려진, 번호 JP 63063390 A2로 공개된 일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만노실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및 다른 폴리올의 아세탈 중, 번호 FR 2 839 447 A1로 공개된 프랑스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또는 소르비톨의 아세탈화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코시드를 언급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글리세롤 아세탈화 생성물에 비해 보다 양호한 보습 특성을 나타내었다.
단기간 내에, 인간 피부의 표층의 보습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으로서, 풀룰란 또는 그의 유도체와 히알루론산 및/또는 알긴산 및/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의 상승작용 조성물이 번호 WO 2014/027163으로 공개된 국제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번호 EP 2011476 A2로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에는, 우레아, 베타인, 글리세롤, 및 임페라타 실린드리카(Imperata cylindrica) 추출물, 이스트 추출물 및 크실리틸 글리코시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개선 작용제를, 가변적이고 한정된 비율로 함유하는 보습 조성물, 및 또한 피부의 장기간 보습을 위한 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피부 보습의 개선과 관련된 본 발명자들의 연구 맥락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표층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피부의 표피의 각질층의 단기간 보습도를, 상기 각질층의 무감각 수분 손실 증가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올 글리코시드 및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올리고머를 기재로 하는 특정 조성물의 사용에 기초하여 새로운 기술적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제1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주제는,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E), 및
조성물(C1)의 중량 100%에 대하여,
(a) - 조성물(C2)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3 중량% 내지 25 중량%의 화학식 I의 폴리올:
[화학식 I]
HO-CH2-(CHOH)m-CH2-OH;
(화학식 I에서, m은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냄);
(2) -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30 중량% 내지 72 중량%의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조성물(CA):
[화학식 II]
HO-CH2-(CHOH)m-CH2-O-(G)x-H,
(화학식 II에서, G는 환원 당의 잔기를 나타내고, m은 화학식 I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잔기 G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x는, 1 초과 및 5 이하의 소수를 나타냄), 및
(4) - 물로 구성되는 100 중량%의 나머지
로 이루어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C2); 및
(b) -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HO-[CH2-CH(OH)-CH2-O]p-H ,
(화학식 III에서, p는 1 이상이고 6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로 이루어진 조성물(C1)
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C1)에서,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10 이상이고 1/2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는,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이다.
용어 "화학식 I의 폴리올의 무수물"은 구체적으로는,
- m이 2인 경우에는, 화학식 B11의 화합물:
[화학식 B1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1
- m이 3인 경우에는, 화학식 B12의 화합물:
[화학식 B1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2
, 및
- m이 4인 경우에는, 화학식 B13 및 화학식 B14의 화합물:
[화학식 B1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3
[화학식 B1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4
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목적상,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이라는 표현은,
-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표면에 상기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한 후 3시간 내지 8시간의 기간 내에 측정되고 관찰된 인간 피부 표피의 상기 각질층의 보습도가, 처리하려는 인간 피부 표피의 상기 각질층의 표면에 상기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되고 관찰된 보습도에 비해 40% 이상으로 증가함, 및
-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처리하려는 표면에 상기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한 후 30분 내지 60분의 기간 내에 측정되고 관찰된 인간 피부 표피의 무감각 수분 손실이, 처리하려는 인간 피부 표피의 표면에 상기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되고 관찰된 무감각 수분 손실에 비해 10% 이하로 감소함
을 의미하고자 한다.
용어 "유효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의 정의에서,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피에 적용한 후 얻어진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가,
- 처리하려는 피부 표피의 표면에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한 후 3시간 내지 8시간의 기간 후, 처리된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도가, 처리하려는 표피의 상기 표면에 상기 조성물(C)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된 보습도에 비해 40% 초과로 증가함, 및
- 처리하려는 피부 표피의 표면에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한 후 30분 내지 60분의 기간 후, 처리된 인간 피부 표피의 무감각 수분 손실이, 처리하려는 표피의 상기 표면에 상기 조성물(C)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값에 비해 10% 이하로 감소함
을 나타내도록 하는 양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의 정의에서 사용된 "국소용"이라는 표현은,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조성물(C)이 직접 적용되는지(화장품, 피부화장품, 피부제약 또는 제약 조성물의 경우) 또는 간접 적용되는지(예를 들어, 직물 품목, 예를 들어 와이프, 또는 종이 품목, 예를 들어 위생용 종이의 형태인, 신체 위생 제품 또는 피부 케어 또는 보호 제품의 경우)에 관계 없이, 피부, 두피 또는 점막에 적용함으로써 사용됨을 의미한다.
용어 "환원 당"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에서, 참조 문헌: ["Biochemistry", Daniel Voet/Judith G. Voet, p. 250, John Wyley & Sons, 1990]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아세탈 기의 산소와 아노머 탄소 사이에 설립된 임의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그의 구조에서 나타내지 않는 사카라이드 유도체를 나타낸다. 올리고머 구조(G)x는, 광학 이성질현상이든, 기하 이성질현상이든 또는 위치 이성질현상이든, 이성질현상의 임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또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나타낼 수 있다.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p가 1인 경우에는 글리세롤, p가 2인 경우에는 디글리세롤, p가 3인 경우에는 트리글리세롤, p가 4인 경우에는 테트라글리세롤, p가 5인 경우에는 펜타글리세롤, 그리고 p가 6인 경우에는 헥사글리세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C1)은, 100 중량%에 대하여,
(a) - 20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35 중량%의 상기 조성물(C2),
(b) - 60 중량%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65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C2)은, 그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폴리올;
(2) -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45 중량% 내지 70 중량%의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조성물(CA), 및
(4) - 물로 구성되는 100 중량%의 나머지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C1)에서,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1/7 이상이고 1/4 이하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은,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프룩토스, 이도스, 굴로스, 갈락토스, 말토스, 이소말토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스, 셀로비오스, 만노스, 리보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릭소스, 알로스, 알트로스, 덱스트란 또는 탈로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는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구체적으로 G는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낸다.
용어 "화학식 II HO-CH2-(CHOH)n-CH2-O-(G)x-H"는, 상기 조성물(CA)가, 합계 a1 + a2 + a3 + a4 + a5는 1이고, 합계 a1 + 2a2 + 3a3 + 4a4 + 5a5는 x가 되는 각각의 몰 비율 a1, a2, a3, a4 및 a5로, 화학식 II1, 화학식 II2, 화학식 II3, 화학식 II4 및 화학식 II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화학식 II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5
,
[화학식 II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6
,
[화학식 II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7
,
[화학식 II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8
,
[화학식 II5]
Figure 112018116984574-pct00009
.
용어 "본질적으로"는, 상기 정의에서, w가 5 초과인 화학식 IIw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가 조성물(CA)에서 배제되지는 않지만, 이것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CA)의 특성의 임의의 실질적인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최소 비율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에서, 기 HO-CH2-(CHOH)n-CH2-O-는 사카라이드 잔기의 아노머 탄소에 의해 (G)x에 결합되어, 아세탈 관능기를 형성한다.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에서, x가 1.05 이상이고 3 이하, 가장 구체적으로는 1.15 이상이고 2.5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로 표시되고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A)의 정의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x가 1.05 이상이고 3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15 이상이고 2.5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2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4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이고, 가장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2이고,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이고,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4이고,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조성물(C1)의 중량 100%에 대하여,
(a) - 조성물(C2)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3 중량% 내지 25 중량%의 화학식 I의 폴리올:
[화학식 I]
HO-CH2-(CHOH)m-CH2-OH;
(화학식 I에서, m은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냄);
(2) -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30 중량% 내지 72 중량%의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조성물(CA):
[화학식 II]
HO-CH2-(CHOH)m-CH2-O-(G)x-H,
(화학식 II에서, G는 환원 당의 잔기를 나타내고, m은 화학식 I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잔기 G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x는, 1 초과 및 5 이하의 소수를 나타냄), 및
(4) - 물로 구성되는 100 중량%의 나머지
로 이루어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C2); 및
(b) -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HO-[CH2-CH(OH)-CH2-O]p-H ,
(화학식 III에서, p는 1 이상이고 6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로 이루어지고,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10 이상이고 1/2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인 조성물(C1)이다.
용어 "화학식 I의 폴리올의 무수물"은 구체적으로는,
- m이 2인 경우에는, 화학식 B11의 화합물:
[화학식 B1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0
- m이 3인 경우에는, 화학식 B12의 화합물:
[화학식 B1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1
, 및
- m이 4인 경우에는, 화학식 B13 및 화학식 B14의 화합물:
[화학식 B1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2
[화학식 B1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3
을 나타낸다.
용어 "환원 당"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에서, 참조 문헌: ["Biochemistry", Daniel Voet/Judith G. Voet, p. 250, John Wyley & Sons, 1990]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아세탈 기의 산소와 아노머 탄소 사이에 설립된 임의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그의 구조에서 나타내지 않는 사카라이드 유도체를 나타낸다. 올리고머 구조(G)x는, 광학 이성질현상이든, 기하 이성질현상이든 또는 위치 이성질현상이든, 이성질현상의 임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또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프룩토스, 이도스, 굴로스, 갈락토스, 말토스, 이소말토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스, 셀로비오스, 만노스, 리보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릭소스, 알로스, 알트로스, 덱스트란 또는 탈로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는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구체적으로 G는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낸다.
용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p가 1인 경우에는 글리세롤, p가 2인 경우에는 디글리세롤, p가 3인 경우에는 트리글리세롤, p가 4인 경우에는 테트라글리세롤, p가 5인 경우에는 펜타글리세롤, 또한 p가 6인 경우에는 헥사글리세롤을 나타낸다.
더욱 더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에서, p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C1)은, 100 중량%에 대하여,
(a) - 20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35 중량%의 상기 조성물(C2),
(b) - 60 중량%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65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C2)는, 조성물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폴리올;
(2) -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45 중량% 내지 70 중량%의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조성물(CA), 및
(4) - 물로 구성되는 100 중량%의 나머지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C1)에서,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1/7 이상이고 1/4 이하이다.
용어 "화학식 II HO-CH2-(CHOH)n-CH2-O-(G)x-H"는, 상기 조성물(CA)가, 합계 a1 + a2 + a3 + a4 + a5는 1이고, 합계 a1 + 2a2 + 3a3 + 4a4 + 5a5는 x가 되는 각각의 몰 비율 a1, a2, a3, a4 및 a5로, 화학식 II1, 화학식 II2, 화학식 II3, 화학식 II4 및 화학식 II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화학식 II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4
,
[화학식 II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5
,
[화학식 II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6
,
[화학식 II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7
,
[화학식 II5]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8
.
용어 "본질적으로"는, 상기 정의에서, w가 5 초과인 화학식 IIw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가 조성물(CA)에서 배제되지는 않지만, 이것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CA)의 특성의 임의의 실질적인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최소 비율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에서, 기:
HO-CH2-(CHOH)n-CH2-O-
는, 사카라이드 잔기의 아노머 탄소에 의해 (G)x에 결합되어, 아세탈 관능기를 형성한다.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에서, x가 1.05 이상이고 3 이하, 가장 구체적으로 1.15 이상이고 2.5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또 다른 보다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x가 1.05 이상이고 3.0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2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4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이고, 가장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2)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2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4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 보다 구체적으로 1인,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본 발명의 주제인 조성물(C1)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 합성 경로는, 구성성분, 조성물(CA), 화학식 I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무수물 및 화학식 III의 화합물 각각을, 바람직한 중량비에 따라 반응기 내로 도입하고, 이 혼합물을, 그의 균질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온도 조건 하에,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효과적인 기계적 교반으로 교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인 조성물(C1)에 대한 제2 합성 경로는, 바람직한 화학량론적 비율에 따라, 반응기 내에서 그의 융점보다 적어도 5℃ 더 높은 온도(T1)로 미리 만들어진, 화학식 I의 폴리올, 예컨대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또는 소르비톨 상에 환원 당을 분산시키고, 이 혼합물을 산 촉매 시스템의 존재 하에 미리 정해진 온도 및 부분적 진공 조건 하에 아세탈화 반응기에 넣는 것이다. 이 산 촉매 시스템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황산, 염산, 인산, 질산, 차아인산, 메탄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및 산성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선택될 것이다. 아세탈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70℃ 내지 130℃의 온도(T2)에서, 300 x 102 내지 20 x 102 Pa(300 내지 20 mbar)의 진공 하에 수행될 것이다.
화학식 I의 폴리올이 크실리톨 또는 소르비톨인 경우, 온도(T1)는 95℃ 이상이고 13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95℃ 이상이고 115℃ 이하이며, 온도(T2)는 95℃ 이상이고 13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05℃ 이상이고 120℃ 이하이다.
화학식 I의 폴리올이 에리트리톨인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온도(T1) 및 (T2)는, 120℃ 이상이고 135℃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30℃ 이하이다.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의 단계(a 2 )에는,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경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이용한 중화, 및/또는 여과, 및/또는 탈색, 및/또는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매질을 이용한 선택적 추출에 의한 잔류 폴리올 제거가 후속 작업으로 보충될 수 있다.
제2 단계(b2) 동안,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균질한 조성물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교반 시스템에 의해, 단계(a2) 동안 얻어진 반응 생성물에 첨가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무수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시클릭 유도체의 형성을 제공하는 산 매질 중에서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탈수로부터 발생한 부산물로서 방법의 단계(a2) 동안 형성된다.
- 화학식 I의 폴리올이 에리트리톨(n = 2)인 경우, 이는 산 매질 중에서 탈수되어 화학식 B11의 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이 된다:
[화학식 B1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19
- 화학식 I의 폴리올이 크실리톨(n = 3)인 경우, 이는 산 매질 중에서 화학식 B12의 3,4-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또는 1,4-안히드로크실리톨)으로 탈수된다:
[화학식 B1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0
- 화학식 I의 폴리올이 소르비톨(n = 4)인 경우, 이는 산 매질 중에서 탈수되어 화학식 B13의 2-(1,2-디히드록시에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또는 1,4-안히드로소르비톨) 및 화학식 B14의 1,5-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3,7-디올(또는 이소소르비드)이 된다:
[화학식 B1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1
[화학식 B1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2
필요한 경우, 제3 단계(c 2 )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무수물을 첨가하고, 균질한 조성물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인 조성물(C1)에 대한 제3 합성 경로는, 제1 단계(a 3 ) 동안, 90℃ 내지 105℃의 온도에서, 부분적 진공 하에, 산 촉매 시스템의 존재 하에 부탄올과 글루코스를 반응시켜 부틸 글리코시드를 제조하면서, 반응 동안 형성된 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며; 사용되는 산 촉매 시스템은 제2 합성 경로에 대해 이전에 언급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단계(b 3 ) 동안, 화학식 I의 폴리올을 단계(a 3 )의 종료 시에 얻어진 반응 매질에 첨가하며, 잔류 부탄올, 트랜스-아세탈화 반응 동안 형성된 부탄올, 및 상기 폴리올의 분자내 재배열 동안 생성될 수 있는 물을 진공 증류에 의해 배출시키고; 필요한 경우, 제3 단계(c 3 )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무수물을 첨가하고, 균질한 조성물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다.
후속 단계(d 3 ) 동안,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균질한 조성물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교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계(b 3 ) 동안 얻어진 반응 생성물에 첨가하거나, 제3 단계(c 3 )의 종료 시에 얻어진 생성물과 함께 첨가한다.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은, 국소용으로 의도된, 화장품, 피부화장품, 피부제약 또는 제약일 수 있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국소용 조성물(C) 내에, 또는 피부와 접촉되도록 의도된 임의의 유형의 지지체(종이, 와이프, 직물, 경피 기구 등) 내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인 조성물(C1)이 혼입된, 그리고 본 발명의 주제인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국소용 조성물(C)은, 구체적으로는 수성 또는 오일상 용액, 유-중-수(W/O) 또는 수-중-유(O/W) 유형의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이거나, 수-중-유-중-수(W/O/W) 또는 유-중-수-중-유(O/W/O) 유형의 다중 에멀젼, 겔, 비누 또는 합성세제, 밤, 하이드로분산액, 크림, 포움, 에어로졸의 형태 또는 분말과 같은 무수물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국소용 조성물(C)은, 얼굴, 손 및 신체의 케어 또는 보호를 위해, 예를 들어 저온까지 연장된 노출 후, 태양 방사선에 연장된 노출 후 표피 상에의 단기간 보습 효과를 위해; 인간 피부 노화의 외부 징후의 발현(예컨대 주름, 미세선, 미세기복의 변형, 탄력 및/또는 톤(tone)의 부족, 인간 피부의 밀도 및/또는 견고성의 부족의 발현을 통한 것)을 막거나 느리게 하기 위한 단기간 보습 효과를 위해; 얼굴 면도 후 단기간 보습 효과를 위해; 두피의 세정 및/또는 트리트먼트 동안 단기간 보습 효과를 위해, 크림으로서, 밀크로서, 버블 배쓰로서, 샴푸로서, 컨디셔너로서 또는 로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은, 국소용 제제, 구체적으로는 국소용 화장품, 피부화장품, 제약 또는 피부제약 제제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활성 성분, 예컨대 포밍 및/또는 세제 계면활성제, 농후화 및/또는 겔화 계면활성제, 농후화제 및/또는 겔화제, 안정화제, 막-형성 화합물, 용매 및 공용매, 굴수제(hydrotropic agent), 가소제, 지방, 오일 및 왁스, 유화제 및 공-유화제, 유백제, 진주광택제, 오버팻팅제(overfatting agent), 격리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착향료, 에센셜 오일, 보존제, 컨디셔닝제, 체모 및 피부의 탈색을 위해 의도된 화이트닝제,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한 트리트먼트 및/또는 보호 작용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활성 성분, 선스크린, 미네랄 충전제 또는 안료, 가시적인 효과를 제공하거나 활성제의 캡슐화를 위해 의도된 입자, 각질제거 입자, 텍스쳐링제, 형광 증백제, 및 방충제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포밍 및/또는 세제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이러한 활성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용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 포밍 및/또는 세제 계면활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포밍 및/또는 세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암모늄 염, 아민 염,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의 아미노 알코올 염, 알킬 술페이트, 알킬아미도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파라핀 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아미드 술포네이트,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알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아세탈, 알킬 사르코시네이트, 아실이소티오네이트, N-아실타우레이트, 아실락틸레이트, 아미노산의 N-아실화 유도체, 펩티드의 N-아실화 유도체, 단백질의 N-아실화 유도체, 또는 지방산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포밍 및/또는 세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 베타인, 알킬아미도 베타인, 술타인, 알킬아미도알킬 술포베타인, 이미다졸린 유도체, 포스포베타인, 암포폴리아세테이트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포밍 및/또는 세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특히, 4급 암모늄 유도체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포밍 및/또는 세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소르베이트, 코코넛 아미드 및 N-알킬아민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포밍 및/또는 세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C3) 또는 조성물(C3)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C3)은 화학식 IV로 표시되고:
[화학식 IV]
R2-O-(G2)p-H
(여기서, R2는 8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G2는 환원 당의 잔기를 나타내고, p는 1.05 이상이고 5 이하의 소수를 나타냄), 상기 조성물(C3)은, 합계 a1 + a2 + a3 + a4 + a5는 1이고, 합계 a1 + 2a2 + 3a3 + 4a4 + 5a5는 p가 되는 각각의 몰 비율 a1, a2, a3, a4 및 a5로, 화학식 IV1, 화학식 IV2, 화학식 IV3, 화학식 IV4 및 화학식 IV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IV1]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3
,
[화학식 IV2]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4
,
[화학식 IV3]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5
,
[화학식 IV4]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6
,
[화학식 IV5]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7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농후화 및/또는 겔화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선택적으로 알콕실화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지방 에스테르, 또한 가장 구체적으로 에톡실화된 메틸 폴리글루코시드 에스테르, 예컨대 PEG 120 메틸 글루코스 트리올레에이트 또는 PEG 120 메틸 글루코스 디올레에이트(각각 명칭 GlucamateTM LT 및 GlumateTM DOE 120으로 판매됨); 알콕실화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PEG 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명칭 CrothixTM DS53으로 판매됨), 또는 PEG 55 프로필렌 글리콜 올레에이트(명칭 AntilTM 141로 판매됨); 지방쇄 폴리알킬렌 글리콜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PPG 14 라우레트 이소포릴 디카르바메이트(명칭 ElfacosTM T211로 판매됨), 또는 PPG 14 팔메트 60 헥실디카르바메이트(명칭 ElfacosTM GT2125로 판매됨)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유화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유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소르비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MontaneTM 80, MontaneTM 85 및 MontaneTM 60;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코올의 조성물(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알킬 사슬은 14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기로 이루어짐), 예를 들어 MontanovTM, EasynovTM 및 FluidanovTM; 폴리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IsolanTM GI34 및 PlurolTM 디이소스테아리퀴; 에톡실화 피마자유 및 에톡실화 수소화 피마자유, SimulsolTM 989;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5 mol 내지 150 mol의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에톡실화 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135 mol의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에톡실화 스테아르산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명칭 SimulsolTM 165로 판매됨); 폴리글리콜 또는 폴리글리세롤의 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예를 들어 HypermerTM B246, ArlacelTM P135, DehymulsTM PGPH 또는 DecaglynTM 5HS; 폴리에틸렌 글리콜/알킬 글리콜 공중합체, 예를 들어 PEG-45 도데실글리콜 공중합체, 예컨대 ElfacosTM ST 9; 에톡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 예를 들어 MontanoxTM; 만니탄 에스테르; 에톡실화 만니탄 에스테르; 수크로스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유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데실 포스페이트, 세틸 포스페이트(명칭 AmphisolTM로 판매됨),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세테아릴 술페이트; 아라키딜/베헤닐 포스페이트 및 아라키딜/베헤닐 알코올의 조성물(명칭 SensanovTM WR로 판매됨); 비누, 예를 들어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스테아레이트, 염화된 아미노산의 N-아실화 유도체, 예를 들어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유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아민 산화물, QuaterniumTM 82 및 번호 WO 96/00719로 공개된 국제 출원에 기재되고 주로 지방 사슬이 적어도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유백제 및/또는 진주광택제의 예로서, 나트륨 팔미테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텍스쳐링제의 예로서, 아미노산의 N-아실화 유도체, 예를 들어 라우로일 리신(명칭 AminohopeTM LL로 판매됨), 옥테닐 스타치 숙시네이트(명칭 DryfloTM로 판매됨), 미리스틸 폴리글루코시드(명칭 MontanovTM 14로 판매됨), 셀룰로스 섬유, 면 섬유, 키토산 섬유, 활석, 견운모 및 운모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용매 및 공용매의 예로서, 물,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수용성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및 물과 상기 용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오일의 예로서, 미네랄 오일, 예컨대 파라핀 오일, 액체 바셀린, 이소파라핀 또는 화이트 미네랄 오일; 동물 원료의 오일, 예컨대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 식물성 오일, 예컨대 파이토스쿠알란, 감편도유, 코코넛 오일, 피마자유,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평지씨유, 땅콩유, 해바라기유, 밀배아유, 옥수수배아유, 대두유, 면실유, 알팔파 오일, 양귀비씨유, 호박유, 달맞이꽃유, 수수유, 보리유, 호밀유, 홍화유, 캔들넛 오일, 패션 플라워 오일, 해즐넛 오일, 팜 오일, 시어 버터, 행인유, 뷰티 리프 오일, 시심브리움 오일, 아보카도 오일, 칼렌듈라 오일, 꽃 또는 식물 유래의 오일; 에톡실화 식물성 오일; 합성 오일, 예를 들어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부틸 미리스테이트, 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사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도데실 올레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라놀산-유래 에스테르, 예컨대 이소프로필 라놀레이트, 이소세틸 라놀레이트,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글리세릴 트리헵타노에이트, 알킬 벤조에이트, 수소화 오일, 폴리(알파-올레핀),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이소부탄), 합성 이소알칸, 예컨대 이소헥사데칸 또는 이소도데칸, 퍼플루오로 오일; 실리콘 오일,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아민으로 개질된 실리콘, 지방산으로 개질된 실리콘, 알코올로 개질된 실리콘,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 개질된 실리콘, 폴리에테르 기로 개질된 실리콘, 에폭시-개질된 실리콘, 플루오로 기로 개질된 실리콘, 시클릭 실리콘 및 알킬 기로 개질된 실리콘을 언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오일"은, 물 중에서 불용성이고, 25℃의 온도에서 액체 양상을 갖는 화합물 및/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왁스의 예로서, 비즈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오우리커리 왁스, 재팬 왁스, 코르크 섬유 왁스, 사탕수수 왁스, 파라핀 왁스, 리그나이트 왁스, 미세결정 왁스, 라놀린 왁스;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왁스; 식물성 왁스; 상온에서 고체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상온에서 고체인 글리세리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왁스"는, 물 중에서 불용성이고, 45℃ 이상의 온도에서 고체 양상을 갖는 화합물 및/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 중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지방의 예로서, 8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코올, 또는 8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농후화제 및/또는 겔화제의 예로서, 다가전해질 유형의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가교 중합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아크릴산 단독중합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메타크릴산 단독중합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2-메틸-[(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산(AMPS), 아크릴산과 AMPS의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와 AMPS의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과 AMPS의 공중합체, AMPS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AMPS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AMPS와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AMPS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AMPS와 트리스(히드록실-메틸)아크릴아미도메탄(THAM)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THAM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AMPS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AMPS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AMPS 및 THAM의 삼원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AMPS 및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의 삼원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AMPS 및 아크릴아미드의 삼원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탄소계 사슬이 4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AMPS와 탄소계 사슬이 4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유리된, 부분적으로 염화되거나 전체적으로 염화된 강산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적어도 하나의 중성 단량체,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V의 단량체의 선형, 분지형 또는 가교 삼원공중합체:
[화학식 V]
CH2=C(R7)-C(=O)-[CH2-CH2-O]z-R8
(여기서,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8은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z는 1 이상이고 50 이하의 수를 나타냄)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다가전해질 유형의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가교 중합체는, 용액, 수성 현탁액, 유-중-수 에멀젼, 수-중-유 에멀젼 또는 분말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다가전해질 유형의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가교 중합체는, 명칭 SimulgelTM EG, SimulgelTM EPG, SepigelTM 305, SimulgelTM 600, SimulgelTM NS, SimulgelTM INS 100, SimulgelTM FL, SimulgelTM A, SimulgelTM SMS 88, SepinovTM EMT 10, SepiplusTM 400, SepiplusTM 265, SepiplusTM S, SepimaxTM Zen, AristoflexTM AVC, AristoflexTM AVS, NovemerTM EC-1, NovemerTM EC-2, AristoflexTM HMB, CosmediaTM SP, FlocareTM ET 25, FlocareTM ET 75, FlocareTM ET 26, FlocareTM ET 30, FlocareTM ET 58, FlocareTM PSD 30, ViscolamTM AT 64 및 ViscolamTM AT 100으로 판매되는 제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농후화제 및/또는 겔화제의 예로서, 단지 모노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글루칸 또는 글루코스 단독중합체, 글루코만노글루칸, 크실로글리칸, D-만노스의 주쇄 상의 D-갈락토스 단위의 치환도(DS)가 0 내지 1,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0.25인 갈락토만난, 예컨대 카시아 검으로부터(DS = 1/5), 로커스트 빈 검으로부터(DS = 1/4), 타라 검으로부터(DS = 1/3), 구아 검으로부터(DS = 1/2) 또는 페누그릭 검으로부터(DS = 1) 유래한 갈락토만난을 언급할 수 있다.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농후화제 및/또는 겔화제의 예로서, 모노사카라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진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황산화 갈락탄, 보다 구체적으로 카라기난 및 아가, 우로난, 보다 구체적으로 알긴, 알기네이트 및 펙틴, 모노사카라이드 및 우론산의 이종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 크산탄 검, 겔란 검, 아라비아검 및 카라야 검의 삼출물, 및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농후화제 및/또는 겔화제의 예로서, 셀룰로스,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실리케이트, 스타치, 친수성 스타치 유도체, 및 폴리우레탄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안정화제의 예로서, 미세결정 왁스, 보다 구체적으로 오조케라이트, 미네랄 염,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염화마그네슘, 및 실리콘 중합체, 예컨대 폴리실록산 폴리알킬 폴리에테르 공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미네랄 워터의 예로서, 적어도 300 mg/l의 미네랄화를 갖는 스프링 또는 미네랄 워터, 구체적으로는 Avene 워터, Vittel 워터, Vichy basin의 물, Uriage 워터, Roche Posay 워터, Bourboule 워터, Enghien-les-bains 워터, Saint-Gervais-les-bains 워터, Neris-les-bains 워터, Allevard-les-bains 워터, Digne 워터, Maizieres 워터, Neyrac-les-bains 워터, Lons le Saunier 워터, Rochefort 워터, Saint Christau 워터, Fumades 워터 및 Tercis-les-bains 워터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굴수제의 예로서, 크실렌 술포네이트, 쿠멘 술포네이트, 헥실폴리글루코시드, 2-에틸헥실폴리글루코시드 및 n-헵틸폴리글루코시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탈취제의 예로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아연 염, 예컨대 황산아연, 아연 글루코네이트, 염화아연 또는 아연 락테이트; 4급 암모늄 염, 예컨대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 세틸피리디늄 염; 글리세롤 유도체, 예컨대 글리세릴 카프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카프레이트; 1,2-데칸디올; 1,3-프로판디올; 살리실산; 중탄산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금속 제올라이트; TriclosanTM; 알루미늄 브로모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알루미늄 지르코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트리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테트라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펜타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옥토클로로하이드레이트, 황산알루미늄, 나트륨 알루미늄 락테이트,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글리콜의 복합체, 예컨대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프로필렌 글리콜의 복합체, 알루미늄 디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프로필렌 글리콜의 복합체, 알루미늄 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프로필렌 글리콜의 복합체,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복합체, 알루미늄 디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복합체, 및 알루미늄 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복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선스크린의 예로서, 변형된 화장품 지시서 76/768/EEC 부록 VII에 나타나 있는 모든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유기 선스크린 중, 벤조산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구체적으로는 PABA의 모노글리세릴 에스테르, N,N-프로폭시 PABA의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의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의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의 메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의 부틸 에스테르; 안트라닐산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호모멘틸-N-아세틸 안트라닐레이트; 살리실산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아밀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또는 p-이소프로파놀페닐 살리실레이트; 신남산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에틸헥실 신나메이트, 에틸 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 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 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모노(2-에틸헥사노일)글리세릴 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네이트,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3-(4'-메틸벤질리덴)-d,l-캄포르, 3-(벤질리덴)-d,l-캄포르,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우로칸산, 에틸 우로카네이트; 술폰산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2-페닐벤즈이미다졸-5 술폰산 및 그의 염; 트리아진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에틸헥실옥시히드록시페닐-4-메톡시페닐트리아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벤조산 4,4-((6-(((1,1-디메틸에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 디이미노) 비스(2-에틸헥실) 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패밀리, 예를 들어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페노에이트, 에틸-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페노에이트; 폴리실록산의 패밀리, 예를 들어 벤질리덴 실록산 말로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미네랄 선스크린"으로도 알려진 무기 선스크린 중,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황색, 적색 또는 흑색 산화철, 및 산화크로뮴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미네랄 스크린은 미세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고, 표면 처리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고, 선택적으로 수성 또는 오일상 예비분산액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예로서, 비타민 및 그의 유도체, 구체적으로는 그의 에스테르, 예컨대 레티놀(비타민 A) 및 그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및 그의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의 당 유도체(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토코페롤(비타민 E) 및 그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비타민 B3 또는 B10(니아신아미드 및 그의 유도체); 피부-미백 또는 피부-탈색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를 들어 ω-운데셀리노일 페닐알라닌(명칭 SepiwhiteTMMSH, SepicalmTMVG로 판매됨), ω-운데셀리노일 페닐알라닌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디에스테르, ω-운데셀리노일 디펩티드, 아르부틴, 코지산, 히드로퀴논; 수딩(soothing)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SepicalmTM S, 알란토인 및 비스아볼롤; 항-염증제; 보습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컨대 우레아, 히드록시우레아, 글리세롤글루코시드, 디글리세롤글루코시드, 폴리글리세릴글루코시드; 폴리페놀-풍부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포도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와인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감량 또는 지질분해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를 들어 카페인 또는 그의 유도체, AdiposlimTM, AdipolessTM, 푸코크산틴; N-아실화 단백질; N-아실화 펩티드, 예를 들어 MatrixilTM; N-아실화 아미노산; N-아실화 단백질의 부분 가수분해물; 아미노산; 펩티드; 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대두 추출물, 예를 들어 RaffermineTM; 밀 추출물, 예를 들어 TensineTM 또는 GliadineTM; 식물 추출물, 예컨대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 이소플라본-풍부 식물 추출물 또는 테르펜-풍부 식물 추출물; 담수 또는 해수 조류의 추출물; 해양 식물 추출물; 일반적으로 해양 추출물, 예컨대 산호; 에센셜 왁스; 박테리아 추출물; 세라미드; 인지질; 항미생물 작용 또는 정화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를 들어 LipacideTM C8G, LipacideTM UG, SepicontrolTM A5; OctopiroxTM 또는 SensivaTM SC50; 에너자이징 또는 자극 특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를 들어 PhysiogenylTM, 판테놀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SepicapTM MP; 항-노화 활성제, 예를 들어 SepiliftTM DPHP, LipacideTM PVB, SepivinolTM, SepivitalTM, ManolivaTM, Phyto-AgeTM, TimecodeTM; SurvicodeTM; 항-광노화 활성제; 진피표피 경계의 온전함을 보호하기 위한 작용제;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의 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화학적 세포 소통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활성제, 예를 들어 시토카인, 또는 물리적 세포 소통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활성제, 예를 들어 인테그린; 피부 상에 "열"감을 생성하는 활성제, 예를 들어 피부 미소순환 활성화제(예를 들어 니코틴산 유도체) 또는 피부 상에 "신선"감을 생성하는 생성물(예를 들어 멘톨 및 유도체); 피부 미소순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활성제, 예를 들어 베이노토닉; 배수 활성제; 충혈제거 목적을 위한 활성제, 예를 들어 진코 빌로바, 아이비, 마로니에, 대나무, 루스쿠스, 부처스 브룸(butcher's broom), 센탈라 아시아티카(Centalla asiatica), 푸쿠스, 로즈마리, 버드나무의 추출물; 피부의 태닝 또는 갈색화를 위한 작용제, 예를 들어 디히드록시아세톤(DHA), 에리트룰로스, 메소타르트릭 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리세르알데히드, 알록산, 닌히드린,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프테로카르푸스(Pterocarpus)속 및 바피아(Baphia)속, 예컨대 프테로카르푸스 산탈리누스(Pteropcarpus santalinus), 프테로카르푸스 오순(Pterocarpus osun), 프테로카르푸스 소이아욱시(Pterocarpus soyauxii), 프테로카르푸스 에리나세우스(Pterocarpus erinaceus),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Pterocarpus indicus) 또는 바피아 니티다(Baphia nitida)의 레드우드의 추출물,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EP 0 971 683에 기재된 것들; 인간 피부의 태닝 및/또는 갈색화를 용이하게 하고/거나 가속화하는 작용에 대해, 그리고/또는 인간 피부의 착색 작용에 대해 알려진 작용제, 예를 들어 카로테노이드(보다 구체적으로는 베타-카로텐 및 감마-카로텐),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E 및 비타민 K를 함유하는, 기업 Provital이 상표명 "캐롯 오일(Carrot oil)"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다우쿠스 카로타(Daucus Carota), 헬리안투스 안누스(helianthus annuus) 해바라기 오일); 자외선으로의 노출과 조합되어 인간 피부의 태닝을 가속화시키는 효과에 대해 알려진 티로신 및/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티로신 및 리보플라빈(비타민 B)을 함유하는, 기업 Provital이 상표명 "SunTan AcceleratorTM"로 판매하는 제품, 기업 Zymo Line이 상표명 "Zymo Tan Complex"로 판매하는 티로신과 티로시나제의 복합체, 아세틸 티로신을 함유하는, 기업 Mibelle가 상표명 MelanoBronze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아세틸 티로신, 몽크스 페퍼(Monk's pepper) 추출물(비텍스 아그누스-카스투스(Vitex Agnus-castus))), 기업 Unipex가 상표명 Unipertan VEG-24/242/2002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부틸렌 글리콜 및 아세틸 티로신 및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 및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호박 종자 추출물(또는 스폰지 고우드 오일(sponge gourd oil))을 함유하는, 기업 Sederma가 상표명 "Try-Excell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올레오일 티로신 및 루파 실린드리카(Luffa Cylindrica)(종자) 오일 및 올레산), 기업 Alban Muller가 상표명 "Actibronze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및 아세틸 티로신 및 구리 글루코네이트), 기업 Synerga가 상표명 TyrostanTM으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칼륨 카프로일 티로신), 기업 Synerga가 상표명 Tyrosinol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카프로일 티로신), 기업 Alban Muller가 상표명 InstaBronze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디히드록시아세톤 및 아세틸 티로신 및 구리 글루코네이트), 기업 Exymol이 상표명 Tyrosilane으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메틸실라놀 및 아세틸 티로신); 멜라닌생성-활성화 효과에 대해 알려진 펩티드, 예를 들어 기업 Infinitec Activos가 상표명 Bronzing SF Peptide 분말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덱스트란 및 옥타펩티드-5), 알파-MSH 작동제 작용에 대해 알려진 아세틸 헥사펩티드-1을 포함하는 상표명 Melitane으로 판매되는 제품(INCI 명칭: 글리세린 및 아쿠아 및 덱스트란 및 아세틸 헥사펩티드-1), 기업 Lipotec이 상표명 Melatimes Solutions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부틸렌 글리콜, 팔미토일 트리펩티드-40), 당 및 당 유도체, 예를 들어 기업 Provital이 상표명 Tanositol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이노시톨), 해양 원료(마그네슘 이온 및 망간 이온과 킬레이팅된 굴루론산 및 만누론산)의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기업 Codif International이 상표명 ThalitanTM(또는 PhycosaccharideTM AG)으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아쿠아 및 가수분해된 알긴(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 및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망간), 기업 Alban Muller가 상표명 MelactivaTM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말토덱스트린, 무쿠나 프루리엔즈(Mucuna Pruriens) 종자 추출물), 플라보노이드-풍부 화합물, 예를 들어 레몬 플라보노이드(헤스페리딘 유형)에서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기업 Silab가 상표명 "Biotannin"으로 판매하는 제품(INCI 명칭: 가수분해된 시트러스 아우란티움 둘시스(citrus Aurantium dulcis) 열매 추출물)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C)과 조합될 수 있는 산화방지제의 예로서, EDTA 및 그의 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BHA(부틸히드록시아니솔), BHT(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유도체, 예컨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산화방지제 화합물의 혼합물, 예컨대 기업 Akzo Nobel이 판매하는 DissolvineTM GL 47S(INCI 명칭: 사나트륨 글루타메이트 디아세테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갈라짐 및/또는 버짐 및/또는 균열 및/또는 아토피 피부염 및/또는 비듬증,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병적 상태, 예컨대 습진을 수반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건조 상태를 감소시키고/거나 제거하고/거나 막고자 하는 치료학적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C1)이다.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C1)은 제약학적, 구체적으로는 피부과학적 활성 성분과 조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지만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A) 크실리톨, 안히드로크실리톨, 크실리틸 폴리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롤을 기재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C 1A )의 제조예
703.0 그램의 크실리톨, 즉 1 몰 당량을, 열-교환 유체가 순환하고 효율적인 교반기가 장착된 재킷 반응기 내로 도입한다. 크실리톨을 135℃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생성된 점성 페이스트를 115℃까지 냉각시킨다. 이어서, 210.9 그램의 글루코스, 즉 0.3 몰 당량을 반응 매질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균질하게 분산될 수 있게 한다. 생성된 혼합물에 96%의 1.29 그램의 황산으로 이루어진 산 촉매 시스템을 첨가한다. 반응 매질을 90x102 Pa(90 mbar) 내지 45x102 Pa(45 mbar)의 부분 진공 하에 배치하고, 4 h 30의 기간 동안 100℃ 내지 105℃의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형성된 물을 증류 어셈블리에 의해 배출시킨다. 이어서, 반응 매질을 95℃ 내지 100℃까지 냉각시키고, 5 g의 30%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이 혼합물을 1% 함유하는 용액의 pH 값이 5.0이 되게 함으로써 중화시킨다.
이에 따라 조성물(C2A)이 얻어지고, FID-형 검출기가 장착되고, 벡터 기체로서 헬륨을 사용하는, 금속 컬럼 HT-SIMDISTTM CB(PE ChropackTM)(10 m x 0.53 mm ID-막 두께 0.5 μm)가 장착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해, 조성물(C2A)을 분석하여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중량 함량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조성물(C2A)은, 조성물의 중량 100%에 대하여,
- 18.7 중량%의 크실리톨,
- 37.6 중량%의, 화학식 B12에 상응하는 1,4-안히드로크실리톨,
- 43.7 중량%의, 중합도 x가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리틸 글루코시드,
- 나머지 글루코스: 0.1 중량% 미만
을 포함한다.
앞서 얻어진 15.0 그램의 조성물(C2A) 및 30 그램의 글리세롤을, 열-교환 유체가 순환하고 효율적인 교반기가 장착된 재킷 유리 반응기 내에서 45℃의 온도에서 혼합한다. 균질 혼합물을 얻은 후, 조성물의 중량 100%에 대하여,
- 6.3 중량%의 크실리톨,
- 12.5 중량%의, 화학식 B12에 상응하는 1,4-안히드로크실리톨,
- 14.6 중량%의, 중합도 x가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리틸 글루코시드,
- 66.6 중량%의 글리세롤
을 포함하는 조성물(C1A)이 얻어진다.
크실리틸 글루코시드/글리세롤 중량비는 0.219이다.
B) 크실리톨, 안히드로크실리톨, 크실리틸 폴리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롤을 기재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C 1A )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에 의한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의 입증예
B1) - 선행 기술에 따른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구성성분의 중량비가 표 1에 기재된, (E1),(E2),(E3) 및 (E4)라 불리는 4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조성물(C1A)을 포함하는 조성물(E4)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해당하며, 조성물(E1), (E2) 및 (E3)은 선행 기술에 해당한다.
그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 사전에 개별적으로 용융된 지방 상(상 B)의 다양한 구성성분을 80℃의 온도에서 비커 내로 붓고, 지방 상의 혼합물을, "블레이드"형 스핀들이 장착된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해 100 rpm의 속도로 8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계속 교반한다;
- 이어서, SepiplusTM 400 농후화 중합체(상 C)를 80℃의 온도에서 지방 상의 혼합물에 점차적으로 첨가한다;
- 이어서, 매질을 60℃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물(상 A)과 보습 활성제(상 D)를 점차적으로 첨가한다;
-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을 SilversonTM 균질화기를 이용해 4분 동안 4000 rpm으로 교반하고, 이어서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10분 동안 25℃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100 rpm으로 10분 동안 10℃까지 냉각시키면서 보존제(상 E)를 첨가한다.
(E1) (E2) (E3) (E4)
상 A QSP100 QSP100 QSP100 QSP100
상 B: Montanov 202(1) 3% 3% 3% 3%
LanonTM 99(2) 5% 5% 5% 5%
LanolTM 2681(3) 13% 13% 13% 13%
상 C: SepiplusTM 400(4) 0.8% 0.8% 0.8% 0.8%
상 D 조성물(C2A) / 1.5% / /
글리세롤 / / 3% /
조성물(C1A) / / / 4.5%
상 E: EuxylTM PE9010(5) 1% 1% 1% 1%
SensivaTM PA40(6) 0.5% 0.5% 0.5% 0.5%
상 F:
pH 조정
시트르산 QS
pH=5.5
QS
pH=5.5
QS
pH=5.5
QS
pH=5.5
D7에서의 외관 유동성
백색
유동성
백색
유동성
백색
유동성
백색
D7에서의 점도(mas-1) M4V6
44 000
M4V6
34 000
M4V6
45 000
M4V6
44 000
D7에서의 안정성 T45 안정적 안정적 안정적 안정적
(1): MontanovTM 202:(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아라키딜 글루코시드); 자가-유화 조성물, 예컨대 EP 0 977 626에 기재된 것들;
(2): LanolTM 99: 이소노닐 이소노노에이트;
(3): LanolTM 2681: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4): SepiplusTM 400: WO 2005/04023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폴리이소부텐 중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자가-역전가능 역 라텍스;
(5): EuxylTM PE 9010:(INCI 명칭: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6): SensivaTM PA40:(INCI 명칭: 페닐프로판올 & 프로판디올 & 카프릴릴 글리콜 & 토코페롤).
B2) 선행 기술의 조성물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성 및 특징의 입증
이후, 조성물 (E1), (E2), (E3) 및 (E4)를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 조성물 (E1), (E2), (E3) 및 (E4)를 피부에 적용한 다음 주어진 기간 후 피부 보습도의 측정, 및 상기 조성물들로 피부 표면을 처리하기 전 상기 피부 표면의 피부 보습도와의 비교, 및
- 조성물 (E1), (E2), (E3) 및 (E4)를 피부에 적용한 다음 주어진 기간 후 무감각 수분 손실의 측정, 및 상기 조성물들로 피부 표면을 처리하기 전 상기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무감각 수분 손실과의 비교.
시험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나타나는 경우에,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표면에 상기 시험된 조성물을 적용한 후 3시간 내지 8시간의 기간 내에 측정되고 관찰된 인간 피부 표피의 상기 각질층의 보습도가, 상기 시험된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되고 관찰된 보습도에 비해 40% 이상 증가하고,
- 처리하려는 인간 피부 표피의 표면에 시험하려는 상기 조성물을 적용한 후 30분 내지 60분의 기간 내에 측정되고 관찰된 인간 피부 표피로부터의 무감각 수분 손실이, 상기 시험된 화합물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되고 관찰된 무감각 수분 손실에 비해 10% 이하 감소함.
B2.1) 보습도의 입증
B2.1.1 방법의 원리
피부의 전기적 특성, 예를 들어 임피던스, 저항 및 커패시턴스를 평가함으로써 피부 보습도를 측정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피부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이들 유전 파라미터가 각질층 내에 함유된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유지되고 사용되는 원리는, 피부 표면의 유전 커패시턴스의 변동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실제로, 임의의 생물학적 물질 또는 임의의 생물학적 매트릭스와 같이, 각질층은 그의 평균 커패시턴스 값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고; 이 유전 특성은 각질층이 함유하는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B2.1.2 물질
피부 보습도를, 2개의 금속 전극으로 구성된 센서가 장착된, 기업 Courage & Khasaka가 판매하는 수분측정기(corneometer) 모델 CM825TM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수분측정기에 전기가 공급되면, 각질층을 통해 전기장을 적용하여 전기장이 적용된 피부의 상태에 상응하는 커패시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B2.1.3 실험 프로토콜
시험하려는 화합물의 보습 효과 연구를, 조성물 적용 전(t0),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지 3시간 후(t3h), 그리고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지 8시간 후(t8h) 시간 경과 측정에 따라, 25명의 지원자 그룹에 대해 수행하였다. 지원자 그룹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 22 내지 50세의 여성,
- 평균 연령 37세,
- 백인종, 및
- 포토타입 I 내지 IV.
측정을 개인내 방식으로, 다시 말해서 각각의 대상체가 자체 제어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그룹의 각각의 지원자에 대하여, 다리의 외부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피부 영역이 정의된다:
- 1.5 중량%의 조성물(C2A)을 포함하는 조성물(E2)로 처리된 영역;
- 3 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E3)로 처리된 영역;
- 4.5 중량%의 조성물(C1A)을 포함하는 조성물(E4)로 처리된 영역;
- 조성물(E1)로 처리된 영역, 플라시보 대조군;
-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영역.
평가의 품질에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 조건의 변화로 야기되는 변동을 제한하기 위해, 전체 연구를 제어된 온도(23℃+/- 2℃) 및 상대 습도(45% 내지 55%) 조건 하에 실험실 내에서 수행하였다.
30분의 기후순화 기간 후,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각각의 생성물에 대하여 2 mg/cm2의 비율로, 앞서 정의된 피부 영역에 기술자가 적용한다.
각각의 지원자에 대해, 그리고 정의된 각각의 영역에 대해, 각각의 조성물을 적용한 지 3시간 및 8시간 후에, 수분측정기 CM825TM를 사용하여 피부 영역의 보습도를 측정한다.
B2.1.4 결과의 표현
보습도의 측정치를 임의 단위(au)로 나타낸다. 값(au로 나타냄)의 증가는 각질층의 수분 함량 증가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보습 효과를 특성화한다.
각각의 측정 시간에 수분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을 기록한다. 처리된 영역의 측정 각각에서, 피부에 대한 자연적인 변동과 측정치에 대한 환경적인 조건에서의 변동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영역도 측정한다.
시험된 조성물의 효과는, 해당 처리된 영역에서 측정된 변동을,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서 동일한 기간에 관찰된 변동으로 보정하고, 이를 시험하려는 생성물을 적용하기 전 측정된 값에 상응하는 시간 t0에서 측정된 출발값에 대해 백분율 증가(Δ)로서 나타낸다.
따라서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T(tx): 처리된 영역에 대한, 시간 tx(시험하려는 조성물을 적용한 지 x 시간 후)에 측정된, 임의 단위(au)로 나타낸 보습도의 평균치.
T(t0): 처리된 영역에 대한, 시간 t0(시험하려는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에 측정된, 임의 단위(au)로 나타낸 보습도의 평균치(초기 기저값).
NT(tx):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시간 tx에 측정된, 임의 단위(au)로 나타낸, 보습도의 평균치.
NT(t0):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시간 t0에 측정된, 임의 단위(au)로 나타낸, 보습도의 평균치(초기 기저값);
보정된 보습도의 백분율 증가(Δ)는 하기 방식으로 계산된다:
Δ=100x{[T(tx) - T(t0)] - [NT(tx) - NT(t0)]}/[T(t0) + [NT(tx) - NT(t0)]
B2.1.5 얻어진 결과
조성물 (E1), (E2), (E3) 및 (E4)을 적용하여 얻은 보습도의 평균 및 보정되지 않은 측정치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측정된 평균 보습도
측정이 수행된 시간 t t = t0 t = t3 t = t8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영역 NT(t0) = 16.9 NT(t3) = 18.4 NT(t8) = 17.5
조성물(E1)로 처리된 영역 T(t0) = 19.5 T(t3) = 25.0 T(t8) = 22.7
조성물(E2)로 처리된 영역 T(t0) = 19.7 T(t3) = 25.8 T(t8) = 24.2
조성물(E3)로 처리된 영역 T(t0) = 19.1 T(t3) = 27.7 T(t8) = 26.3
조성물(E4)로 처리된 영역 T(t0) = 19.2 T(t3) = 30.3 T(t8) = 29.3
조성물 (E1), (E2), (E3) 및 (E4)을 적용하여 얻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정된 보습도의 백분율 증가(Δ) 형태로 나타낸, 평균 변동을 하기 표 3에 기록한다:
보습도의 백분율 증가(Δ)
측정이 수행된 시간 t t = t0 t = t3 t = t8
조성물(E1)로 처리된 영역 - (Δ) = +19% (Δ) = +13%
조성물(E2)로 처리된 영역 - (Δ) = +21% (Δ) = +19%
조성물(E3)로 처리된 영역 - (Δ) = +35% (Δ) = +33%
조성물(E4)로 처리된 영역 - (Δ)* = +46% (Δ)** = +45%
(*): 스튜던트 시험(Student's test)에 따른 p 값: p=0.041(조성물 E3 및 E4의 비교)
(**): 스튜던트 시험에 따른 p 값: p=0.078(조성물 E3 및 E4의 비교)
생성물의 통계학적 비교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을, 쌍을 이룬 조성물을 비교함으로써, 양측 스튜던트 시험 및 5%로 설정된 유의성 임계값에 의해 수행하였다.
두 생성물의 효능의 차이는 하기와 같이 고려될 것이다:
- p < 0.05인 경우, 유의함;
- 0.05 < p < 0.1인 경우, "유의 수준"이라고 말함;
- p > 0.1인 경우, 유의하지 않음.
B2.1.6 결과의 분석
시험된 화합물을 적용한 지 3시간 후, 측정되고 보정된 보습도의 평균 변화(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또한 %로서 나타낸 파라미터(Δ))는, 보정된 보습도의 증가가 조성물(E3)에 대해 35%, 조성물(E2)에 대해 21% 및 플라시보 조성물(E1)에 대해 19%와 비교하여, 조성물(E4)에 대해 46%임을 보여준다.
시험된 화합물을 적용한 지 8시간 후, 측정되고 보정된 보습도의 평균 변화(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또한 %로서 나타낸 파라미터(Δ))는, 보정된 보습도 증가가 조성물(E3)에 대해 33%, 조성물(E2)에 대해 19% 및 플라시보 조성물(E1)에 대해 13%와 비교하여, 조성물(E4)에 대해 45%임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조성물(E4)은 시험된 조성물 중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가장 양호한 단기간 보습 특성을 나타낸다.
B2.2) 무감각 수분 손실의 입증
B2.2.1 방법의 원리
무감각 수분 손실(IWL)은 표피에 의한 물의 증발을 측정하는 방식이고, 그의 측정치는 각질층을 통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수동적 확산을 나타낸다. 이는 물 증발도가 증기압 구배에 비례한다는 확산에 대한 픽크의 법칙(Fick's law)에 기초한 것이다. 두 가지 측정 방법, 개방-챔버 또는 폐쇄-챔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험 섹션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폐쇄-챔버 방법이다. 폐쇄-챔버 측정은, 때때로 제어된 온도에서 유지되는 응축기가 장착된, 그의 상부 부분에서 폐쇄된 실린더형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검출기는 실린더 내부에 위치한다. 피부의 표면과 같은 높이의 폐쇄된 실린더형 프로브를 적용하는 것은, 챔버에서의 습도 구배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표면에서 증발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B2.2.2 물질
무감각 수분 손실은 상표명 증발측정기(Vapometer) DelfinTM SWL4436으로 판매되는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B2.2.3 실험 프로토콜
시험하려는 조성물의 무감각 수분 손실에 대한 효과의 연구를, 조성물 적용 전(t0),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지 30분의 기간 tx 후 시간 경과 측정에 따라, 10명의 지원자 그룹에 대해 수행하였다. 지원자 그룹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 18 내지 50세의 여성,
- 평균 연령 39세,
- 백인종, 및
- 포토타입 I 내지 IV.
측정을 개인내 방식으로, 다시 말해서 각각의 대상체가 자체 제어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그룹의 각각의 지원자에 대하여, 다리의 외부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피부 영역이 정의된다:
- 1.5 중량%의 조성물(C2A)을 포함하는 조성물(E2)로 처리된 영역;
- 3 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E3)로 처리된 영역;
- 4.5 중량%의 조성물(C1A)을 포함하는 조성물(E4)로 처리된 영역;
- 조성물(E1)로 처리된 영역, 플라시보 대조군;
-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영역.
평가의 품질에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 조건의 변화로 야기되는 변동을 제한하기 위해, 전체 연구를 제어된 온도(23℃+/- 2℃) 및 상대 습도(45% 내지 55%) 조건 하에 실험실 내에서 수행한다.
30분의 기후순화 기간 후,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각각의 생성물에 대하여 2 mg/cm2의 비율로, 앞서 정의된 피부 영역에 기술자가 적용한다.
각각의 지원자에 대해, 또한 정의된 각각의 영역에 대해, 각각의 조성물을 적용한 지 30분 후에, 피부 영역의 무감각 수분 손실(IWL)을 증발측정기 DelfinTM SWL4436으로 측정한다.
B2.2.4 결과의 표현
이 원리와 이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 무감각 수분 손실 측정치는 g/m2/h로 나타낸다.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감소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물의 증발의 감소를 나타내며, 따라서 정상 피부에 바람직하지 않은 폐색 효과를 정의한다.
각각의 측정 시간에 증발측정기로 측정한 값을 기록한다. 동시에, 피부에 대한 자연적인 변동과 측정치에 대한 환경적인 조건에서의 변동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영역을 측정한다.
시험된 조성물의 효과는, 해당 처리된 영역에서 측정된 변동을,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서 동일한 기간에 관찰된 변동으로 보정하고, 이를 시험하려는 생성물을 적용하기 전 측정된 값에 상응하는 시간 t0에서 측정된 출발값에 대해 백분율 증가(Δ')로서 나타낸다. 따라서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T'(t30): 처리된 영역에 대한,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적용한 지 30분 후에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평균치(g/m2/h로 나타냄);
T'(t0): 처리된 영역에 대한, t0에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평균치(g/m2/h로 나타냄)(초기 기저값);
NT'(t30): 시험하려는 조성물을 적용한 지 30분 후에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평균치(g/m2/h로 나타냄);
NT'(t0):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t0에 측정된 무감각 수분 손실의 평균치(g/m2/h로 나타냄)(초기 기저값).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가중 백분율 변동(Δ')은 하기 방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18116984574-pct00028
B2.2.5 얻어진 결과
조성물 (E1), (E2), (E3) 및 (E4)을 적용하여 얻은, 무감각 수분 손실의 가중 백분율 변동(Δ') 형태로 나타낸, 무감각 수분 손실(IWL)의 평균과 가중 측정치를 하기 표 4에 기록한다:
(IWL)의 백분율 변동(Δ')
조성물(E1)로 처리된 영역 (Δ') = -2%
조성물(E2)로 처리된 영역 (Δ') = -6%
조성물(E3)로 처리된 영역 (Δ') = -17%
조성물(E4)로 처리된 영역 (Δ') = -8%
B2.2.6 결과의 분석
시험된 조성물을 적용한 지 30분 후에, 얻어진 결과는, 가중 무감각 수분 손실이 조성물(E2)에 대해 -6%와 비교하여, 조성물(E3)에 대해 -17%와 비교하여, 조성물(E4)에 대해 -8%이며, 따라서 보습제로서 3 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E3)로 피부가 처리되는 경우에 현저한 폐색 효과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B2.3) 결론
조성물 (E1), (E2), (E3) 및 (E4)의 평가는, 조성물(C1A)을 포함하는 조성물(E4)이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가능하게 함을 보여준다.
조성물(E1)에 대해, 또한 조성물(E3) 및 (E2)(각각 글리세롤 및 조성물(C2A)을 포함함)에 대해 얻어진 결과의 관점에서, 이는 명백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C1A)을 기재로 하는 조성물(E4)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이 선행 기술 조성물과 관련된 결과로부터는 추론될 수 없었음을 입증한다.
C) 제제
하기 조제에서, 백분율은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C.1 얼굴용 메이크업 제거액
조제
조성물(E4) 10.00%
메틸 파라벤 0.15%
페녹시에탄올 0.80%
SepicalmTM S 1.00%
착향료/향료 0.10%
물 qs. 100.00%
절차: 각종 성분을 기재된 순서로 자기 교반 하에 물 중에서 혼합하고, pH를 약 7로 조정한다.
C.2 아동용 헤어 및 바디 샴푸
조제
A 조성물(E4) 15.00%
ProteolTM APL 5.00%
SepicideTM HB 0.50%
착향료/향료 0.10%
B 물 20.00%
CapigelTM 98 3.50%
C 물 Q.S. 100.00%
SepicideTM CI 0.30%
염료 Q.S.
수산화나트륨 Q.S. pH = 7.2
절차: 조성물(E4)을 ProteolTM APL및 SepicideTM HB와 혼합한다(상 A). CapigelTM 98을 물의 일부에서 희석하고, 앞서 얻어진 상 A에 첨가한다(상 B). 나머지 물을 상 B에 첨가한 후, SepicideTM CI 및 염료를 첨가한다. 혼합물의 pH를 수산화나트륨으로 대략 7.2로 조정한다.
C.3 눈용 메이크업 제거 와이프
조제
A 조성물(E4) 3.00%
B SepicideTM HB2 0.50%
C SepicalmTM VG 0.50%
착향료/향료 0.05%
D 물 Q.S. 100.00%
절차: 상 B의 성분 및 상 C의 성분을,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상 A 중에서 혼합한다. 상 D를 첨가한다.
C.4 마일드 포밍 겔
조제
A 조성물(E4) 8.50%
ProteolTM APL 3.00%
EuxylTM PE9010 1.00%
착향료/향료 0.10%
B 물 Q.S. 100.00%
락트산 Q.S. pH = 6.0
절차: 착향료 및 EuxylTM PE 9010 보존제를 조성물 E4 및 ProteolTM APL로 구성된 혼합물 중에 용해시킨다(상 A). 물을 첨가하고, pH를 락트산으로 대략 6.0으로 조정한다.
C.5 빈번 사용 샴푸
조제
A 조성물(E4) 12.80%
ProteolTM OAT 5.00%
EuxylTM PE 9010 1.00%
착향료/향료 0.30%
물 Q.S. 100.00%
B MontalineTM C40 8.50%
락트산 Q.S. pH = 6.0
절차: 상 A의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균질화 후, MontalineTM C40을 첨가하고, pH를 락트산을 사용하여 대략 6.0으로 조정한다.
C.6 울트라-마일드 베이비 샴푸
조제
A 조성물(E4) 10.00%
AmisoftTM CS-11 4.00%
착향료/향료 0.10%
SepicideTM HB 0.30%
SepicideTM CI 0.20%
물 Q.S. 100.00%
B 물 20.00%
CapigelTM 98 3.50%
트로메타민 Q.S. pH = 7.2.
절차: 상 A의 모든 성분을 투명한 상 A가 얻어질 때까지 기재된 순서로 혼합한다. 별도로, CapigelTM 98을 물에 첨가한 다음, 이렇게 제조된 이 상 B를 상 A에 첨가하고, pH를 트로메타민을 사용하여 7.2로 조정한다.
C.7 베이비용 클린징 밀크
조제
A SimulsolTM 165 2.00%
MontanovTM 202 1.00%
LanolTM 99 3.00%
디메티콘 1.00%
이소헥사데칸 3.00%
B 물 Q.S. 100.00%
C SepiplusTM 400 0.30%
D 조성물(E4) 6.35%
E SepicideTM HB 0.30%
DMDM 히단토인 0.20%
착향료/향료 0.10%
절차: 각종 구성성분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상 A 및 B를 개별적으로 가열한다. 상 C를 고온 지방 상에 첨가하고, 수성 상 중에서 진행시킴으로써 에멀젼이 생성되고; 혼합물을 격렬한 교반 하에(회전자/고정자 터빈을 이용하여) 몇 분 동안 균질화시킨다. 이어서, 상 D를 고온 에멀젼에 첨가하고, 에멀젼을 이것이 상온까지 되돌아갈 때까지 적당한 교반 하에 냉각시킨다. 40℃에서 상 E를 첨가한다.
C.8 민감성 피부용 클린징 파우더 로션
조제
A LipacideTM C8G 0.95%
메틸 파라벤 0.10%
에틸 파라벤 0.024%
프로필 파라벤 0.0119%
부틸 파라벤 0.024%
이소부틸 파라벤 0.0119%
물 20.00%
이나트륨 EDTA 0.10%
트리에탄올아민 1.38%
B 조성물(E4) 1.80%
착향료/향료 0.10%
C SepicalmTM S 0.28%
물 Q.S. 100.00%
락트산 Q.S. pH = 5.2
D MicropearlTM M310 5.00%
절차: 상 A의 성분을 80℃에서 물 중에 용해시킨다. 착향료를 별도로 조성물(E4) 중에 용해시켜 상 B를 제조한다. 냉각된 상 A를 상 B에 첨가한 다음, SepicalmTM S 를 물로 구성되는 100%의 나머지와 함께 도입한다. 최종 pH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대략 5.2로 조정한다. 이어서, MicropearlTM M310을 첨가한다.
C.9 아동용 샤워 겔
조제
A 물 56.06%
SepimaxTM Zen 3.00%
SepiplusTM S 0.80%
B ProteolTM OAT 20.80%
OramixTM NS 10 9.30%
AmonylTM 265 BA 5.10%
C 조성물(E4) 2.00%
글리세릴 글루코시드 1.00%
페녹시에탄올 & 에틸헥실글리세린 1.00%
착향료/향료 0.90%
염료 0.04%
절차: SepimaxTM Zen을 물 중에 분산시키고, 혼합물을, 완벽히 매끄러운 겔이 얻어질 때까지, 분산제, 반전 프로펠러 및 앵커형 패들이 장착된 기계식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한다. SepiplusTM S를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교반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 B의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상 C의 첨가제를 개별적으로 첨가한다. pH를 6.0 내지 6.5로 조정한다.
C.10 BB 크림
조제
A EasynovTM 2.30%
LanolTM 99 1.00%
SepimatTM H10W 1.00%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5.00%
B 시클로메티콘 6.00%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
알루미나-실란 & 산화티타늄 8.00%
적색 산화철 &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0.24%
황색 산화철 &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0.66%
흑색 산화철 &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0.09%
착향료/향료 0.10%
C 물 qs 100%
SepinovTM EMT10 1.20%
D 조성물(E4) 2.00%
SepitonicTM M3 1.00%
페녹시에탄올 & 에틸헥실글리세린 1.00%
절차: 각종 성분을 혼합하고, 6분의 기간 동안 분 당 4500 회전수의 회전 속도로 회전자-고정자 시스템이 장착된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킴으로써 상 B를 제조한다. SepinovTM EMT10을 물과 글리세롤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4분 동안 분 당 4000 회전수의 회전 속도로 회전자-고정자 시스템이 장착된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킴으로써 상 C를 제조한다. 상 A 및 B를 상 C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분 동안 분 당 30 회전수의 속도로, 이어서 20분 동안 분 당 50 회전수의 속도로 앵커형 패들이 장착된 기계식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한다. 상 D의 성분을 하나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25분 동안 분 당 50 회전수의 속도로 교반한다.
C.11 하이-프로텍션 선 스프레이, 30초과의 SPH
조제
A MontanovTM L 1.00%
MontanovTM 82 1.0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17.00%
디메티콘 3.00%
옥토크릴렌 6.00%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6.0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3.00%
토코페롤 0.05%
B 물 qs 100%
C SimulgelTM INS 100 0.50%
시클로디메티콘 5.00%
D 조성물(E4) 3.00%
페녹시에탄올 & 에틸헥실글리세린 1.00%
착향료/향료 0.20%
E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10.00%
25% 시트르산 qs pH = 5
SepicalmTM S: WO 98/096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N-코코일아미노산, 사르코신, 칼륨 아스파르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스파르테이트의 혼합물.
ProteolTM APL: 사과 쥬스의 특징적 아미노산의 아실화에 의해 얻어진, N-코코일아미노산의 나트륨 염의 혼합물;
SepicideTM HB: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및 부틸 파라벤의 혼합물, 보존제임;
CapigelTM 98: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SepicideTM CI: 이미다졸린 우레아, 보존제임;
SepicideTM HB: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및 이소부틸 파라벤의 혼합물, 보존제임;
SepicalmTM VG: 나트륨 염 형태의 N-팔미토일프롤린 및 님페아 알바(Nymphea alba)의 꽃 추출물의 혼합물;
EuxylTM PE9010: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혼합물;
ProteolTM OAT: WO 94/2669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귀리 단백질의 전체적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N-라우릴아미노산의 혼합물;
MontalineTM C40: 모노에탄올아민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아미드 클로라이드 염;
AmisoftTM CS-11: N-코코일글루타메이트의 나트륨 염;
SimulsolTM 165: PEG-100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MontanovTM 202(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아라키딜 글루코시드), EP 0 977 626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자가-유화성 조성물임;
LanolTM 99: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SepiplusTM 400: WO 2005/04023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폴리이소부틸렌 중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자가-역전가능 역 라텍스;
LipacideTM C8G: 기업 Seppic이 판매하는 카프릴로일 글리신;
MicropearlTM M310: 분말 형태로 제공되며 텍스쳐 개질제로서 사용되는 가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SepimaxTM Zen(INCI 명칭: 폴리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6):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농후화 중합체;
SepiplusTM S(INCI 명칭: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 폴리이소부텐 & PEG-7 트리메틸올프로판 코코넛 에테르): 자가-역전가능 역 라텍스;
AmonylTM 265 BA(INCI 명칭: 코코베타인): 포밍 양쪽성 계면활성제;
SepinovTM EMT10(INCI 명칭: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농후화 공중합체;
EasynovTM(INCI 명칭: 옥틸도데칸올 및 옥틸도데실 크실로시드 및 PEG-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친유성 경향을 갖는 유화제;
SepimatTM H10 FW(INCI 명칭: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및 스쿠알란): 텍스쳐링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
SepitonicTM M3(INCI 명칭: 마그네슘 아스파르테이트 및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구리 글루코네이트): 자유-라디칼 스캐빈저 및 세포에 대한 에너자이징제로서 사용되는 혼합물;
MontanovTM L(INCI 명칭: C14-22 알코올 및 C12-20 알킬글루코시드): 유화제;
MontanovTM 82(INCI 명칭: 세테아릴 알코올 및 코코-글루코시드): 유화제;
SimulgelTM INS100(INCI 명칭: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소헥사데칸 및 폴리소르베이트 60): 중합체 농후화제.

Claims (11)

  1. 처리하려는 피부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E), 및
    조성물(C1)의 중량 100%에 대하여,
    (a) - 조성물(C2)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3 중량% 내지 25 중량%의 화학식 I의 폴리올:
    [화학식 I]
    HO-CH2-(CHOH)m-CH2-OH;
    (화학식 I에서, m은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냄);
    (2) -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30 중량% 내지 72 중량%의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조성물(CA):
    [화학식 II]
    HO-CH2-(CHOH)m-CH2-O-(G)x-H,
    (화학식 II에서, G는 환원 당의 잔기를 나타내고, m은 화학식 I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잔기 G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x는, 1 초과 및 5 이하의 소수를 나타냄), 및
    (4) - 100 중량%에 대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물
    로 이루어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C2); 및
    (b) -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HO-[CH2-CH(OH)-CH2-O]p-H ,
    (화학식 III에서, p는 1 이상이고 6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로 이루어진 조성물(C1)
    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국소용 조성물(C)을 적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C1)에서,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10 이상이고 1/2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는, 인간 피부 표피의 각질층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에서, x가 1.05 이상이고 3.0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에서, p가 1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조성물(C1)의 중량 100%에 대하여,
    (a) - 조성물(C2)의 중량 100%에 대하여,
    (1) - 3 중량% 내지 25 중량%의 화학식 I의 폴리올:
    [화학식 I]
    HO-CH2-(CHOH)m-CH2-OH;
    (화학식 I에서, m은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냄);
    (2) -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올의 하나 이상의 무수물;
    (3) - 30 중량% 내지 72 중량%의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조성물(CA):
    [화학식 II]
    HO-CH2-(CHOH)m-CH2-O-(G)x-H,
    (화학식 II에서, G는 환원 당의 잔기를 나타내고, m은 화학식 I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잔기 G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x는, 1 초과 및 5 이하의 소수를 나타냄), 및
    (4) - 100 중량%에 대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물
    로 이루어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C2); 및
    (b) -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HO-[CH2-CH(OH)-CH2-O]p-H ,
    (화학식 III에서, p는 1 이상이고 6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로 이루어지고,
    조성물(CA)/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10 이상이고 1/2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인 조성물(C1).
  7.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에서, 환원 당의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의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x가 1.05 이상이고 3.0 이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C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2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인, 조성물(C1).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3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인, 조성물(C1).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m이 4이고, 화학식 II에서, 상기 잔기 G가 글루코스의 잔기를 나타내고, x가 1.05 내지 2.5의 소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II에서, p가 1 또는 2인, 조성물(C1).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갈라짐, 버짐, 균열, 아토피 피부염, 비듬증, 습진, 또는 피부 또는 점막의 건조 상태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거나, 또는 막기 위한 화장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C1).
KR1020187033983A 2016-05-04 2017-04-28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KR102331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4060 2016-05-04
FR1654060A FR3050935B1 (fr) 2016-05-04 2016-05-04 Procede pour ameliorer a court terme l'etat d'hydratation de l'epiderme de la peau humaine ; nouvelles compositions hydratantes
PCT/FR2017/051022 WO2017191394A1 (fr) 2016-05-04 2017-04-28 Procédé pour améliorer à court terme l'état d'hydratation de l'épiderme de la peau humaine; nouvelles compositions hydratan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174A KR20190005174A (ko) 2019-01-15
KR102331667B1 true KR102331667B1 (ko) 2021-11-25

Family

ID=5614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983A KR102331667B1 (ko) 2016-05-04 2017-04-28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1060B2 (ko)
EP (1) EP3452007A1 (ko)
JP (1) JP7445383B2 (ko)
KR (1) KR102331667B1 (ko)
CN (1) CN109069377A (ko)
FR (1) FR3050935B1 (ko)
WO (1) WO2017191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4685B1 (fr) * 2017-12-12 2019-11-22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Nouveaux polyol polyrhamnosid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en comprenant
FR3074686B1 (fr) * 2017-12-12 2019-11-15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Nouveaux glyceryl polyrhamnosid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en comprenant
CN109431910B (zh) * 2018-12-27 2021-08-31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皮肤屏障修复组合物及其应用
JP7285504B2 (ja) * 2021-10-14 2023-06-02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頭皮状態改善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311A (ja) 2002-05-07 2005-10-27 ソシエテ・デ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デュイ・プール・レ・アンデュストリー・シミック・セピック 皮膚のための新規なポリ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KR100638054B1 (ko) 2005-05-11 2006-10-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자일리틸폴리글루코사이드, 자일리탄 및 자일리톨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154958A1 (fr) 2013-03-26 2014-10-02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Nouveau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polyols-glycosid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099A1 (fr) * 2006-03-31 2007-10-05 Seppic Sa Nouveau concentre tensioactif issu d'alkyl polyglycosides, et son utilisation pour preparer sans chauffage, des formulations cosmetiques et/ou pharmaceitiques
CN101948491B (zh) * 2010-09-17 2012-06-06 华宝食用香精香料(上海)有限公司 一种多元醇葡萄糖苷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311A (ja) 2002-05-07 2005-10-27 ソシエテ・デ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デュイ・プール・レ・アンデュストリー・シミック・セピック 皮膚のための新規なポリ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KR100638054B1 (ko) 2005-05-11 2006-10-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자일리틸폴리글루코사이드, 자일리탄 및 자일리톨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154958A1 (fr) 2013-03-26 2014-10-02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Nouveau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polyols-glycos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4954A (ja) 2019-06-06
US10821060B2 (en) 2020-11-03
FR3050935A1 (fr) 2017-11-10
EP3452007A1 (fr) 2019-03-13
WO2017191394A1 (fr) 2017-11-09
US20190151211A1 (en) 2019-05-23
JP7445383B2 (ja) 2024-03-07
CN109069377A (zh) 2018-12-21
FR3050935B1 (fr) 2019-04-12
KR20190005174A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667B1 (ko) 인간 피부 표피의 보습 상태의 단기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신규한 보습 조성물
US20210154112A1 (en)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JP5378198B2 (ja) 皮膚使用のための起泡性及び/又は洗浄性の組成物の眼球への刺激作用を減少する新規の方法
JP7143415B2 (ja) 新規なポリオールポリラムノシド、それらを調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並びにそれらを含む化粧品及び/又は医薬品組成物
US11337911B2 (en) Glyceryl polyrhamnosid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1426341B2 (en) Alkyl polyrhamnosid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10021902A (ko)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및 알킬 폴리오시드의 에테르계 신규 조성물 및 에멀젼화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한 미용용 조성물
KR20210003865A (ko) 반응성 피부에 대한 진정 효과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산형과 식물의 종자 오일의 국소 용도
CN111065369A (zh) 新型表面活性剂组合物、其生产方法及其作为乳化剂在生产局部水包油乳液中的用途
US20220378672A1 (en) Anhydrous composition for topical use that is in the form of a dispersed phase based on at least one short diol in a continuous fatty phase
KR20160036041A (ko) 비타민 e를 물 중에 가용화시키기 위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신규 용도,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10030650A1 (en) Use of a nove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down the appearance of unsightly signs relating to the presence of excess sebum
US20240026078A1 (en) Polymer taking the form of a pulverulent solid and having properties for thickening polar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