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848B1 -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848B1
KR102329848B1 KR1020190141097A KR20190141097A KR102329848B1 KR 102329848 B1 KR102329848 B1 KR 102329848B1 KR 1020190141097 A KR1020190141097 A KR 1020190141097A KR 20190141097 A KR20190141097 A KR 20190141097A KR 102329848 B1 KR102329848 B1 KR 10232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erforated plate
caisson
partition wall
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878A (ko
Inventor
박우선
이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4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8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78A/ko
Priority to KR1020210158787A priority patent/KR10236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를 막는 기준벽(110); 상기 기준벽(110)의 좌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좌측벽(120); 상기 기준벽(110)의 우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벽(130); 및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유공판(150);을 포함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을 제공한다. 상기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좌우측벽(120, 130) 사이로 유입된 해수의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A CAISSON WITH A PERFORATED PLATE, A CAISSON WITH A PLURALIT OF MEMBRANES ARRANG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에 유공판을 설치하거나 막판들을 배열설치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키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은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하선, 화물의 하역, 보관 및 처리 등을 위한 시설이 구비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해로부터 내습하는 파랑에너지를 차단하여 항내의 정온한 수역을 확보해야 한다. 항만은 방파제 또는 안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파제는 해저면에 사석을 축조하고 사석 경사면에 피복석이나 기타 소파 블록으로 피복한 형태의 경사식 방파제와 해저면에 사석 마운드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 직립식 케이슨을 설치하는 직립식 방파제, 그리고 경사식과 직립식을 혼성한 혼성 방파제 등이 있다.
선박의 접안 시설로 이용되는 안벽은 직립제로 계획되어야 하므로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한 블록식 안벽과 케이슨을 사용하여 형성한 케이슨식 안벽이 대표적이다.
국내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케이슨은 전방에 유수실(유공격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유수실은 케이슨의 전면벽에 슬릿 등과 같은 형태의 유공이 형성되어 해수가 자유롭게 유입, 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유수실을 구비한 케이슨은 난류 발생을 유도하여 반사파를 저감시키고, 최대 파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수실을 구비한 케이슨은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한국등록특허 10-1043685호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2010.05.20. 공개)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기초층(1)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소파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슨(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0)는 복수의 격벽(113)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격실(114)을 구비하고, 복수의 격실(114) 중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격실(114, 유수실)은 그 사이가 이격되어 전방 대형 슬릿(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슬릿(111, 112, 115)은 해수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격실(114, 유수실)벽 또는 전방벽에 형성되므로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파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공판(150)이 설치되거나 복수개의 막판(250)들이 배열설치되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소파효과를 향상시키는 케이슨 및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되는 케이슨 및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케이슨 및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케이슨 및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를 막는 기준벽(110); 상기 기준벽(110)의 좌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좌측벽(120); 상기 기준벽(110)의 우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벽(130); 및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유공판(150);을 포함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을 제공한다.
상기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된다.
상기 유공판(150)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유공판(150)은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된다.
상기 유공판(150)에는 원형유공, 사각형유공, 횡슬릿형유공 또는 종슬릿형유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공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은 상기 유공판(15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22, 13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122, 132)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진다.
상기 결합부(122, 132)는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3, 133)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15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23, 133)에 삽입되어 상기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홈(123, 133)의 전방단부에는 가이드홈(123, 133)에 삽입된 유공판(15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4, 134)가 구비되거나 삽입된다.
상기 기준벽(110)은 상기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112)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상기 기준벽(110)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진다.
상기 결합부(112)는 유공판(150)의 후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은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의 상기 기준벽(1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격벽(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공판(150)은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사이,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사이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은 상기 유공판(150)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22, 132, 142, 144)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122, 132, 142, 144)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진다.
상기 결합부(122, 132, 142, 144)는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한다.
상기 유공판(15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되어 상기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를 막는 기준벽(210); 상기 기준벽(210)의 좌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좌측벽(220); 상기 기준벽(210)의 우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벽(230); 및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막판(250)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200)을 제공한다.
각각의 상기 막판(250)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막판(250)들이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은 상기 복수 개의 막판(250)들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22, 23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222, 232)와 막판(250)의 결합여부에 따라 막판(250)이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진다.
상기 결합부(222, 232)는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3, 23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막판(250)들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223, 233)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막판(250)들은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홈(223, 233)을 소정의 길이만큼 채우는 스페이서(260)와 상기 막판(250)이 가이드홈(223, 233)에 교대로 삽입되어, 인접하는 상기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된다.
상기 막판(250)은 폭이 서로 다른 광폭부(254) 및 협폭부(25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폭부(254)와 협폭부(256)의 폭차이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홈(223, 233)에 인접하여 삽입된 상기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200)은 상기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의 상기 기준벽(2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격벽(2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막판(250)은 상기 좌측벽(220)과 격벽(240) 사이, 상기 격벽(240)과 격벽(240) 사이 또는 격벽(240)과 상기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다.
상기 좌측벽(220)과 격벽(240), 상기 격벽(240)과 격벽(240) 또는 격벽(240)과 상기 우측벽(230)은 상기 복수 개의 막판(250)들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222, 232, 242, 244)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222, 232, 242, 244)와 막판(250)의 결합여부에 따라 막판(250)이 상기 좌측벽(220)과 격벽(240), 상기 격벽(240)과 격벽(240) 또는 격벽(240)과 상기 우측벽(2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진다.
상기 결합부(222, 232, 242, 244)는 상기 좌측벽(220)과 격벽(240), 상기 격벽(240)과 격벽(240) 또는 격벽(240)과 상기 우측벽(230)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막판(250)들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막판(250)들은 상기 좌측벽(220)과 격벽(240), 상기 격벽(240)과 격벽(240) 또는 격벽(240)과 상기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122, 132)가 형성되는 결합부 형성단계(S310); 상기 유공판(150)이 제조되는 유공판 제조단계(S320); 상기 제조된 유공판(150)이 상기 결합부(122, 132)에 결합되는 유공판 결합단계(S330);를 포함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300)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222, 232)가 형성되는 결합부 형성단계(S410); 상기 막판(250)들이 제조되는 막판 제조단계(S420); 상기 제조된 막판(250)들이 결합부(222, 232)에 결합되는 막판 결합단계(S43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시공방법(4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이 케이슨의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측벽(120, 130) 사이로 유입된 해수가 유공판(150)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파효과는 케이슨에 작용하는 수평파력 저감, 처오름 높이 감소에 따른 월파량 저감, 반사파 저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152)이 형성됨으로써, 유공(152)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상하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유공판(150)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이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 사이에 유입된 해수의 기울기에 따라 해수의 파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이 기준벽(110)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유공판(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152)이 원형, 사각형, 횡슬릿형 또는 종슬릿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함으로써, 유공(152)에 의해 발생되는 난류를 조절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벽(120, 130, 140)들은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결합부(122, 132, 142, 144)를 구비하고 유공판(150)의 양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공판(150)이 양측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되고 유공판(150)과 해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은 결합부(112, 122, 132, 142, 14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유공판(150)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벽(120, 130, 140)에 구비된 결합부(122, 132, 142, 144)가 유공판(150)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각 벽(120, 130, 140)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이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유공판(150)이 가이드되므로 유공판(15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의 전방단부에 고정부(124, 134, 146, 148)가 구비되거나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준벽(110)은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유공판(15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부(112)는 유공판(150)의 후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격벽(140)이 형성되고 각 벽들 사이에 유공판(150)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각 벽(120, 130, 140)들 사이로 나누어져서 유입되므로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에 작용하는 파력이 감소하여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막판(250)들이 케이슨의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측벽(220, 230) 사이로 유입된 해수가 나란히 설치된 막판(250)들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막판(250)은 크기 및 무게가 작아서 이동, 설치, 보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개별 막판(250) 단위로 수리,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접하는 막판(250)들에는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틈(252)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벽(220, 230, 240)들은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결합부(222, 232, 242, 244)를 구비하고 막판(250)들의 양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막판(250)들이 양측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되고 막판(250)들과 해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막판(250)들은 결합부(222, 232, 242, 24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막판(250)들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벽(220, 230, 240)에 구비된 결합부(222, 232, 242, 244)가 막판(250)들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막판(250)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이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막판(250)들이 가이드되므로 막판(250)들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홈(223, 233)을 소정의 길이만큼 채우는 스페이서(260)와 막판(250)이 가이드홈(223, 233)에 교대로 삽입되어, 인접하는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막판(250)들 사이에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폭부(254)와 협폭부(256)를 가지는 막판(250)의 폭차이로 인하여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인접하여 삽입된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막판(250)들 사이에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격벽(240)이 형성되고 각 벽들 사이에 막판(250)들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각 벽(220, 230, 240)들 사이로 나누어져서 유입되므로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설치된 막판(250)들에 작용하는 파력이 감소하여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케이슨(100, 200)의 각 벽(120, 130, 140, 220, 230, 240)들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 2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공판 결합단계(S330)에서, 유공판(150)이 결합부(122, 132, 142, 144)에 형성된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유공판(150)을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막판 결합단계(S430)에서, 막판(250)들이 결합부(222, 232, 242, 244)에 형성된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크기 및 무게가 작은 막판(250)들을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차례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소파구조물의 케이슨에 관한 선행기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부분에 대해 유공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의 A부분에 대해 유공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전방부분을 확대한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판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은 기준벽(110), 좌측벽(120), 우측벽(130), 격벽(140) 및 유공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준벽]
기준벽(110)은 케이슨을 구성하는 벽들 중에서 해수를 막는 벽에 해당할 수 있고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준벽(110)은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2)는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결합부(112)는 유공판(150)의 후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결합부(112)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홈(113)과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좌측벽]
좌측벽(120)은 기준벽(110)과 결합될 수 있고 기준벽(110)의 좌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벽(120)은 유공판(150)의 좌측단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결합부(122)는 유공판(150)의 좌측단과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결합부(122)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결합부(122)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가이드홈(123)과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우측벽]
우측벽(130)은 기준벽(110)과 결합될 수 있고 기준벽(110)의 우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벽(130)은 유공판(150)의 우측단과 결합되는 제3결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3결합부(132)는 유공판(150)의 우측단과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3결합부(132)는 유공판(150)의 우측단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3결합부(132)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가이드홈(133)과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격벽]
격벽(140)은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의 기준벽(1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4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140)은 도 2 내지 4와 달리,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도 2 내지 4와 달리, 한 개의 유공판(150)이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격벽(140)은 유공판(150)의 우측단과 결합되는 제4결합부(142) 및 유공판(150)의 좌측단과 결합되는 제5결합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4결합부(142) 및 제5결합부(144)는 유공판(150)의 우측단 및 좌측단과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4결합부(142)는 유공판(150)의 우측단이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5결합부(144)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이 삽입되는 제4가이드홈(1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4결합부(142) 및 제5결합부(144)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제4가이드홈(143, 145)과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유공판]
유공판(150)은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공판(150)이 눕혀진다는 것은 후술한다. 유공판(150)이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된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와 달리,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공판(150)은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과 결합됨으로써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공판(150)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122)와 결합될 수 있고 유공판(150)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132)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공판(150)은 좌측벽(120), 우측벽(130) 뿐만 아니라 격벽(140)과 결합됨으로써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공판(150)이 좌측벽(120) 및 격벽(140)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122)와 결합되고 유공판(150)의 우측단은 제4결합부(14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이 격벽(140) 및 격벽(140)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은 제5결합부(144)와 결합되고 유공판(150)의 우측단은 제4결합부(14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이 격벽(140) 및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은 제5결합부(144)와 결합되고 유공판(150)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132)와 결합될 수 있다.
유공판(150)은 기준벽(1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공판(150)의 후측단은 제1결합부(1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유공판(150)은 기본벽(110), 좌측벽(120), 우측벽(130) 또는 격벽(14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결합부(112, 122, 132, 142, 144)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각 벽(120, 130, 14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유공의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후술한다.
한편, 유공(152)을 통해 유공판(150)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의미를 정할 수 있다. 즉, 유공판(150)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의 평면도 상에서 유공(152)이 보이도록 유공판(150)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유공(152)이 비스듬히 보이도록 유공판(150)이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15에서 후술한다.
유공판(150)은 기본벽(110), 좌측벽(120), 우측벽(130) 또는 격벽(140)의 형상,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공판(150)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의 사각형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다른 형상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유공판(150)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공판(150)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는 것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의 유공판(150)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유공판(150)이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유공판(150)이 케이슨의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좌우측벽(120, 130) 사이로 유입된 해수가 유공판(150)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파효과는 케이슨에 작용하는 수평파력 저감, 처오름 높이 감소에 따른 월파량 저감, 반사파 저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152)이 형성됨으로써, 유공(152)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격벽(140)이 형성되고 각 벽들 사이에 유공판(150)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각 벽(120, 130, 140)들 사이로 나누어져서 유입되므로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에 작용하는 파력이 감소하여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상하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유공판(150)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벽(120, 130, 140)들은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결합부(122, 132, 142, 144)를 구비하고 유공판(150)의 양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122, 132, 142, 144)는 각 벽(120, 130, 140)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공판(150)이 양측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되고 유공판(150)과 해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준벽(110)은 결합부(112)를 구비하고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공판(15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은 결합부(112, 122, 132, 142, 14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유공판(150)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부분에 대해 유공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의 A부분에 대해 유공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은 기준벽(110), 좌측벽(120), 우측벽(130), 격벽(140) 및 유공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공판(150)은 각 벽에 구비된 제1/제2/제3/제4/제5결합부(112, 122, 132, 142, 144)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좌측벽(120) 및 좌측벽(120)과 대향하는 제1격벽(140a)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2결합부(122) 및 제4결합부(14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2) 및 제4결합부(142a)는, 도 6과 같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123) 및 제3가이드홈(143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향은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부터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좌측벽(120) 및 제1격벽(140a) 사이의 기준벽(110)에는 제1결합부(11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2a)는 도 6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13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123) 및 제3가이드홈(143a)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양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좌측벽(120) 및 제1격벽(140a)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에, 유공판(150)의 양측단은 제1가이드홈(123) 및 제3가이드홈(143a)의 내측면과, 즉 제2결합부(122) 및 제4결합부(142a)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홈(123) 및 제3가이드홈(143a)은 유공판(150)이 좌측벽(120) 및 제1격벽(140a) 사이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유공판(15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삽입홈(113a)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후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좌측벽(120) 및 제1격벽(140a) 사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격벽(140a) 및 제1격벽(140a)과 대향하는 제2격벽(140b)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5결합부(144a) 및 제4결합부(14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5결합부(144a) 및 제4결합부(142b)는, 도 6과 같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홈(145a) 및 제3가이드홈(14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격벽(140a) 및 제2격벽(140b) 사이의 기준벽(110)에는 제1결합부(11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2b)는 도 6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가이드홈(145a) 및 제3가이드홈(143b)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양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제1격벽(140a) 및 제2격벽(140b)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에, 유공판(150)의 양측단은 제4가이드홈(145a) 및 제3가이드홈(143b)의 내측면과, 즉 제5결합부(144a) 및 제4결합부(142b)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4가이드홈(145a) 및 제3가이드홈(143b)은 유공판(150)이 제1격벽(140a) 및 제2격벽(140b) 사이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유공판(15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삽입홈(113b)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후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제1격벽(140a) 및 제2격벽(140b) 사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격벽(140c) 및 제3격벽(140c)과 대향하는 우측벽(130)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5결합부(144c) 및 제3결합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5결합부(144c) 및 제3결합부(132)는, 도 6과 같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홈(145c) 및 제2가이드홈(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격벽(140c) 및 우측벽(130) 사이의 기준벽(110)에는 제1결합부(112d)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2d)는 도 6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13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가이드홈(145c) 및 제2가이드홈(133)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양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제3격벽(140c) 및 우측벽(1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에, 유공판(150)의 양측단은 제4가이드홈(145c) 및 제2가이드홈(133)의 내측면과, 즉 제5결합부(144c) 및 제3결합부(132)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4가이드홈(145c) 및 제2가이드홈(133)은 유공판(150)이 제3격벽(140c) 및 우측벽(130) 사이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유공판(15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삽입홈(113d)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공판(150)의 후측단을 수용하여 유공판(150)을 제3격벽(140c) 및 우측벽(130) 사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벽(120, 130, 140)에 구비된 결합부(122, 132, 142, 144)가 유공판(150)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각 벽(120, 130, 140)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이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유공판(150)이 가이드되므로 유공판(15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기준벽(110)에 구비된 결합부(112)가 유공판(150)의 후측단과 결합되는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설치된 유공판(15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과 달리,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1격벽(140a)을 우측벽(130)으로 치환하여 상기 구성 및 효과를 유추적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기준벽(110), 좌측벽(120), 우측벽(130), 격벽(140) 및 유공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공판(150)은 각 벽(110, 120, 130, 140)에 구비된 제1/제2/제3/제4/제5결합부(112, 122, 132, 142, 144)의 삽입홈(113) 및 제1/제2/제3/제4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결합부(122, 132, 142, 144) 또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의 전방단부에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을 고정시키는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부(124, 134, 146, 148)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정부(124, 134, 146, 148)는 각 벽(120, 130, 140)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부(122, 132, 142, 144)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24, 134, 146, 148)가 예를 들면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상하로 가로지르게 되므로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124, 134, 146, 148)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의 전방단부에 삽입되는 고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의 전방단부에 고정부(124, 134, 146, 148)가 구비되거나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공판(150)의 고정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상기 고정부(124, 134, 146, 148)는 유공판의 단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공판이 여러 개로 분할 형성된 구조인 경우, 유공판마다 상기 고정부가 관통 삽입되거나, 전후로 이웃하는 유공판 사이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가령 유공판(150)의 좌우측 단부가 각각 '┏'와 '┒'의 형태이고, 벽(120, 130, 140)에 형성된 결합부(122, 132, 142, 144)가 이에 상응하는 홈 형태여서, 상호 간섭이 일어나도록 유공판과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유공판(150)의 좌우측 단부가 각각 '┣'와 '┫'의 형태이고, 벽(120, 130, 140)에 형성된 결합부(122, 132, 142, 144)가 이에 상응하는 홈 형태여서, 상호 간섭이 일어나도록 유공판과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달리,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구성 및 효과를 유추적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150)은 유공(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공(152)은 원형, 사각형, 횡슬릿형 또는 종슬릿형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공(152)은 원형, 사각형, 횡슬릿형 또는 종슬릿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유공(152)은 삼각형 등 다른 모양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공(152)이 원형, 사각형, 횡슬릿형 또는 종슬릿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함으로써, 유공(152)에 의해 발생되는 난류를 조절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은 유공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공판(150)은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공판(150)이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 사이에 유입된 해수의 기울기에 따라 해수의 파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최하단에 위치한 유공판(150)과 같이, 유공판(150)이 기준벽(110)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된 유공판(15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유공판(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전방부분을 확대한 부분평면도 및 부분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200)은 기준벽(210), 좌측벽(220), 우측벽(230), 격벽(240) 및 막판(25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준벽(210), 좌측벽(220), 우측벽(230) 및 격벽(240)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대응된다. 이하, 막판(250)에 대해서 살펴본다.
[막판]
복수 개의 막판(250)들은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각각의 막판(250)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도 16 내지 도 18에서는 3개)의 막판(250)들이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막판(250)들이 눕혀진다는 것은 후술한다. 복수 개의 막판(250)들이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은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부터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우선, 도 16 내지 도 18과 달리,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격벽(2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막판(250)들은 좌측벽(220) 및 우측벽(230)과 결합됨으로써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막판(250)들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222)와 결합될 수 있고 막판(250)들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232)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격벽(24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막판(250)들은 좌측벽(220), 우측벽(230) 뿐만 아니라 격벽(240)과 결합됨으로써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막판(250)들이 좌측벽(220) 및 제1격벽(240a)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경우에는 막판(250)들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222)와 결합되고 막판(250)들의 우측단은 제4결합부(242a)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이 제1격벽(240a) 및 제2격벽(240b)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막판(250)들의 좌측단은 제5결합부(244a)와 결합되고 막판(250)들의 우측단은 제4결합부(242b)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이 제3격벽(240c) 및 우측벽(230)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막판(250)들의 좌측단은 제5결합부(244c)와 결합되고 막판(250)들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232)와 결합될 수 있다.
전후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막판(250)들 중에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막판(250)은 기준벽(2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최후방 막판(250)의 후측단은 제1결합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막판(250)들은 기본벽(210), 좌측벽(220), 우측벽(230) 또는 격벽(24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결합부(212, 222, 232, 242, 244)와 막판(250)의 결합여부에 따라 막판(250)이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좌측벽(220), 우측벽(230) 또는 격벽(240)에 구비된 제2/제3/제4/제5결합부(222, 232, 242, 244)는 막판(250)들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제3/제4/제5결합부(222, 232, 242, 244)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기준벽(210)에 구비된 제1결합부(212)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결합부(212)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홈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은 막판(250)의 양측단을 수용하여 막판(250)을 좌측벽(220), 우측벽(230) 및 격벽(24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은 막판(250)이 좌측벽(220), 우측벽(230) 및 격벽(240) 사이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막판(250)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의 전방단부에는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삽입된 막판(250)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미도시됨)가 구비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미도시됨)는 도 9 및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막판세트]
한편,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눕혀진 상태로 배열설치된 막판(250)들(이하, 막판세트)은 도 16과 같이,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것은 후술한다. 또한 여기에서, 막판세트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는 것은 도 16과 같이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의 막판세트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막판세트는 도 15의 유공판(150)과 같이,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판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막판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눕혀진 상태로 배열설치된 막판(250)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막판세트는 복수 개의 막판(250)들 및 스페이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스페이서(260)의 길이는 막판(25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막판세트에서 막판(250) 및 스페이서(260)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고 스페이서(260)는 막판(250)의 양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막판세트는 막판(250) 및 스페이서(260)가 각 벽(220, 230, 240)에 구비된 결합부(222, 232, 242, 244)의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교대로 삽입됨으로써,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막판세트의 인접하는 막판(250)들 사이에는 스페이서(260)로 인하여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틈(252)은 유공판(150)의 유공(152)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막판세트는 복수 개의 막판(25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막판(250)은 폭이 큰 광폭부(254)와 폭이 작은 협폭부(2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막판세트의 막판(250)들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막판세트는 막판(250)이 각 벽(220, 230, 240)에 구비된 결합부(222, 232, 242, 244)의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순서대로 삽입됨으로써,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막판세트의 인접하는 막판(250)들 사이에는 광폭부(254) 및 협폭부(256)의 폭차이로 인하여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틈(252)은 유공판(150)의 유공(152)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막판(250)은 도 16 내지 도 18과 달리, 각 벽(220, 230, 240)에 구비된 결합부(222, 232, 242, 244)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거나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막판세트는 도 19 및 도 20과 달리, 폭이 동일한 복수 개의 막판(250)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폭이 동일한 복수 개의 막판(250)이 결합부(222, 232, 242, 244)에 이격되어 접착, 고정 또는 삽입고정됨으로써, 틈(25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막판세트의 막판(250) 또는 스페이서(260)는 도 16 내지 도 20의 형상과 다른 형상 또는 배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틈(252)의 형상, 위치 또는 개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틈(252)을 통해 막판(250)들 또는 막판세트가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의미를 정할 수 있다. 즉, 막판(250)들 또는 막판세트가 눕혀진 형태로 설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7과 같이,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200)의 평면도 상에서 틈(252)이 보이도록 막판(250)들 또는 막판세트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틈(252)이 비스듬히 보이도록 막판(250)들 또는 막판세트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판(250)들이 케이슨의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눕혀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좌우측벽(220, 230) 사이로 유입된 해수가 나란히 설치된 막판(250)들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막판(250)은 크기 및 무게가 작아서 이동, 설치, 보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막판(250) 단위로 수리,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막판(250)들에는 틈(252)이 형성됨으로써, 틈(252)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격벽(240)이 형성되고 각 벽들 사이에 막판(250)들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각 벽(220, 230, 240)들 사이로 나누어져서 유입되므로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설치된 막판(250)들에 작용하는 파력이 감소하여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가 상하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막판(250)들에 부딪쳐 파력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벽(220, 230, 240)들은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에 결합부(222, 232, 242, 244)를 구비하고 막판(250)들의 양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막판(250)들이 양측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력이 향상되고 막판(250)들과 해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은 결합부(222, 232, 242, 24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막판(250)들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각 벽(220, 230, 240)에 구비된 결합부(222, 232, 242, 244)가 막판(250)들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각 벽(220, 230, 240) 사이에 전후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막판(250)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이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에 막판(250)들이 가이드되므로 막판(250)들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3, 233)을 소정의 길이만큼 채우는 스페이서(260)와 막판(250)이 가이드홈(223, 233)에 교대로 삽입되어, 인접하는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막판(250)들 사이에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폭부(254)와 협폭부(256)를 가지는 막판(250)의 폭차이로 인하여 가이드홈(223, 233, 243, 245)에 인접하여 삽입된 막판(250)들 사이에는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막판(250)들 사이에 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들이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좌측벽(220) 및 우측벽(230) 사이에 유입된 해수의 기울기에 따라 해수의 파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은 도 2와 달리,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의 전방에 슬릿 등과 같은 형태의 유공(161)이 형성된 전면벽(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면벽(160)은 도 21과 달리, 일부 벽(120, 130, 140)들의 전방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측벽(120), 우측벽(130) 또는 격벽(140)의 전방에 슬릿 등과 같은 형태의 유공(161)이 형성된 전면벽(160)을 구비함으로써, 전면벽(160)의 유공(161)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와 달리,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에 슬릿 등과 같은 형태의 유공(121, 131, 1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공(121, 131, 141)은 도 21과 달리, 일부 벽(120, 130, 140)들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측벽(120), 우측벽(130) 또는 격벽(140)에 슬릿 등과 같은 형태의 유공(121, 131, 141)이 형성됨으로써, 각 벽(120, 130, 140)의 유공(121, 131, 141)을 통해 난류발생을 유도하고 파동에너지를 소모시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300)은 결합부 형성단계(S310), 유공판 제조단계(S320) 및 유공판 결합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 형성단계(S310)에서는, 케이슨의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에 결합부(122, 1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벽(120)에 제2결합부(122), 우측벽(130)에 제3결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된 경우에는, 격벽(140)에 제4결합부(142) 및 제5결합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2, 132, 142, 144)는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향은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부터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22, 132, 142, 144)는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 사이의 기준벽(110)에는 제1결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2)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공판 제조단계(S320)에서는, 유공판(150)이 제조될 수 있다. 유공판(150)은 각 벽(120, 130, 140) 사이의 크기, 모양에 대응하여 제조될 수 있고,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유공판 결합단계(S330)에서는, 유공판 제조단계(S320)에서 제조된 유공판(150)이 결합부(122, 132, 142, 144)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공판(150)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122)와 결합될 수 있고 유공판(150)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132)와 결합될 수 있다.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격벽(140)이 형성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은 제2결합부(122) 및 제3결합부(132)뿐만 아니라 제4결합부(142) 및 제5결합부(144)와도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2, 132, 142, 144)가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은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따라 삽입되어 결합부(122, 132, 142, 14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공판(150)의 후측단은 제1결합부(112)와 결합될 수 있고, 제1결합부(112)가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유공판(150)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의 전방단부에는 고정부(124, 134)가 구비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시공방법(400)은 결합부 형성단계(S410), 막판 제조단계(S420) 및 막판 결합단계(S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 형성단계(S410)에서는, 케이슨의 좌측벽(220) 및 우측벽(230)에 결합부(222, 2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벽(220)에 제2결합부(222), 우측벽(230)에 제3결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격벽(240)이 형성된 경우에는, 격벽(240)에 제4결합부(242) 및 제5결합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2, 232, 242, 244)는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향은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부터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22, 232, 242, 244)는 각 벽(220, 230, 240)들 사이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벽(220), 우측벽(230) 및 격벽(240) 사이의 기준벽(210)에는 제1결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2)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막판 제조단계(S420)에서는, 막판(250)이 제조될 수 있다. 막판(250)은 막판(250)이 설치되는 각 벽(220, 230, 24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막판(250)은 광폭부(254) 및 협폭부(256)를 가지도록 폭이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막판(250)보다 길이가 작은 스페이서(260)가 제조될 수 있다.
막판 결합단계(S430)에서는, 막판 제조단계(S420)에서 제조된 막판(250)들이 결합부(222, 232, 242, 244)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격벽(24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막판(250)들의 좌측단은 제2결합부(222)와 결합될 수 있고 막판(250)의 우측단은 제3결합부(232)와 결합될 수 있다.
좌측벽(220)과 우측벽(230) 사이에 격벽(240)이 형성된 경우에는, 막판(250)은 제2결합부(222) 및 제3결합부(232)뿐만 아니라 제4결합부(242) 및 제5결합부(244)와도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2, 232, 242, 244)가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막판(250)들은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따라 차례로 삽입되어 결합부(222, 232, 242, 244)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스페이서(260)와 막판(250)이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따라 교대로 삽입되어 결합부(222, 232, 242, 244)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최후방에 설치되거나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최초에 삽입된 막판(250) 또는 스페이서(260)의 후측단은 제1결합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2)가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최후방에 설치되거나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따라 최초에 삽입된 막판(250) 또는 스페이서(260)는 삽입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의 전방단부에는 고정부(124, 134)가 구비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케이슨(100, 200)의 각 벽(120, 130, 140, 220, 230, 240)들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슨(100, 2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유공판(150) 또는 막판(250)들을 용이하게 관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유공판 결합단계(S330)에서, 유공판(150)이 결합부(122, 132, 142, 144)에 형성된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유공판(150)을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막판 결합단계(S430)에서, 막판(250)들이 결합부(222, 232, 242, 244)에 형성된 가이드홈(223, 233, 243, 245)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크기 및 무게가 작은 막판(250)들을 각 벽(120, 130, 140)들 사이에 차례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110: 기준벽
112: 제1결합부 113: 삽입홈
120: 좌측벽
122: 제2결합부 123: 제1가이드홈
124: 고정부
130: 우측벽
132: 제3결합부 133: 제2가이드홈
134: 고정부
140: 격벽
142: 제4결합부 143: 제3가이드홈
144: 제5결합부 145: 제4가이드홈
146, 148: 고정부
150: 유공판 152: 유공
200: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210: 기준벽
212: 제1결합부
220: 좌측벽
222: 제2결합부 223: 제1가이드홈
230: 우측벽
232: 제3결합부 233: 제2가이드홈
240: 격벽
242: 제4결합부 243: 제3가이드홈
244: 제5결합부 245: 제4가이드홈
250: 막판 252: 틈
254: 광폭부 256: 협폭부
260: 스페이서
300: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
400: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시공방법

Claims (20)

  1. 해수를 막는 기준벽(110);
    상기 기준벽(110)의 좌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좌측벽(120);
    상기 기준벽(110)의 우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벽(130); 및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유공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150)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은 좌측벽(120) 및 우측벽(130)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공판(150)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22, 13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122, 132)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지고,
    상기 유공판(150)의 양측단은 상기 결합부(122, 132)와 상하로 마주하고,
    상기 결합부(122, 132)에는 결합부(122, 132)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유공판(15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4, 1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150)은 복수 개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150)은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수평하게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150)에는 원형유공, 사각형유공, 횡슬릿형유공 또는 종슬릿형유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150)은 상기 기준벽(110)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2, 132)는 결합부(122, 13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3, 133)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15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23, 133)에 삽입되어 상기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4, 134)는 상기 가이드홈(123, 133)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120)과 우측벽(130) 사이의 상기 기준벽(1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격벽(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150)은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사이,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사이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은 좌측벽(120), 우측벽(130) 및 격벽(140)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공판(15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22, 132, 142, 144)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122, 132, 142, 144)와 유공판(15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거나 빼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2, 132, 142, 144)는 결합부(122, 132, 142, 144)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3, 133, 143, 145)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15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23, 133, 143, 145)에 삽입되어 상기 유공판(150)이 상기 좌측벽(120)과 격벽(140), 상기 격벽(140)과 격벽(140) 또는 격벽(140)과 상기 우측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슨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결합부(122, 132)가 형성되는 결합부 형성단계(S310);
    상기 유공판(150)이 제조되는 유공판 제조단계(S320);
    상기 제조된 유공판(150)이 상기 결합부(122, 132)에 결합되는 유공판 결합단계(S330);를 포함하는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시공방법(300).
  20. 삭제
KR1020190141097A 2019-11-06 2019-11-06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KR10232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97A KR102329848B1 (ko) 2019-11-06 2019-11-06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KR1020210158787A KR102363137B1 (ko) 2019-11-06 2021-11-17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97A KR102329848B1 (ko) 2019-11-06 2019-11-06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87A Division KR102363137B1 (ko) 2019-11-06 2021-11-17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78A KR20210054878A (ko) 2021-05-14
KR102329848B1 true KR102329848B1 (ko) 2021-11-22

Family

ID=759157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097A KR102329848B1 (ko) 2019-11-06 2019-11-06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KR1020210158787A KR102363137B1 (ko) 2019-11-06 2021-11-17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87A KR102363137B1 (ko) 2019-11-06 2021-11-17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9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216B1 (ko) 2023-01-11 2023-03-10 지성배 다중 슬릿이 형성된 분리 가능한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48A (ja) * 1999-07-09 2001-01-23 Hitachi Zosen Corp 消波構造物
JP2005097836A (ja) * 2003-09-22 2005-04-14 Maeda Corp スリットケーソンのスリット構造
JP2005105567A (ja) * 2003-09-29 2005-04-21 Penta Ocean Constr Co Ltd 海藻用育成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1007B2 (ja) * 1994-12-27 1999-11-02 日本ソリッド株式会社 消波機能および水棲生物の生息促進機能を有する水域構築物
JP2002146746A (ja) * 2000-11-14 2002-05-22 Nkk Corp 消波ケーソンの消波性能変更方法及び消波ケーソ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48A (ja) * 1999-07-09 2001-01-23 Hitachi Zosen Corp 消波構造物
JP2005097836A (ja) * 2003-09-22 2005-04-14 Maeda Corp スリットケーソンのスリット構造
JP2005105567A (ja) * 2003-09-29 2005-04-21 Penta Ocean Constr Co Ltd 海藻用育成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216B1 (ko) 2023-01-11 2023-03-10 지성배 다중 슬릿이 형성된 분리 가능한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703A (ko) 2021-11-29
KR102363137B1 (ko) 2022-02-14
KR20210054878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0701461B1 (ko) 방파제 및 인공어초용 테트라포드
KR102363137B1 (ko)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KR20110016673A (ko) 부유식 방파제
KR101386626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JP2008038451A (ja) 波浪防護構造物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JP4904582B2 (ja) 長周期波低減対策構造物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20110021235A (ko) 허니콤 구조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구비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0363227B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101270495B1 (ko) 해수 유통식 케이슨
KR20100053239A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JP5544649B2 (ja) 長周期波低減構造物
KR101391360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20220165124A (ko) 방파제용 케이슨
JP5557142B2 (ja) 長周期波低減構造物及びその遮水壁構築用ブロック
KR100479460B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84996Y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파제
EP2504496B1 (en) Vertical maritime structure with multiple unit chambers for attenuation of wave reflection
KR20180120031A (ko) 파압저감용 돌부를 갖는 케이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