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65B1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5965B1 KR102325965B1 KR1020170038495A KR20170038495A KR102325965B1 KR 102325965 B1 KR102325965 B1 KR 102325965B1 KR 1020170038495 A KR1020170038495 A KR 1020170038495A KR 20170038495 A KR20170038495 A KR 20170038495A KR 102325965 B1 KR102325965 B1 KR 102325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rotational speed
- rotation speed
- dehydration
- maximu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5156 Dehyd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1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06F37/203—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6—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bowl or casings;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사이에서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사이에서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탈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탈수행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가 가장 빨리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 탈수행정에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드럼의 언밸런스 회전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에 수용된 포가 편중되어 발생되는 언밸런스(unbalance)를 감소시키는 밸런서가 구비되고, 세탁기용 밸런서는 볼 밸런서나 액체 밸런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볼밸런서는 내부의 볼의 이동으로, 드럼의 회전에서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감소하나, 드럼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볼밸런서 내부의 볼의 이동이 어려워 탈수단계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드럼의 언밸런스 회전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수과정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드럼의 언밸런스 회전을 저감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다른 과제는 드럼의 가속회전 또는 감속회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드럼의 언밸런스 회전을 저감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사이에서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하여, 각 탈수단계에서 물빠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심량의 변동을 조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의 복수의 탈수단계는 캐비닛의 공진점 이하로 드럼이 회전하는 예비탈수단계;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드럼이 회전하는 본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는 상기 예비탈수단계와 상기 본탈수단계 사이에서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켜, 예비탈수단계에서 물빠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심량의 변동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본탈수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제1탈수단계; 상기 제1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보다 높은 최대회전속도로 드럼이 회전하는 제2탈수단계; 및 상기 본탈수단계는 최대회전속도에서 상기 제2탈수단계보다 장시간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3탈수단계로 구분되고, 상기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는 각 탈수단계 사이에서,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켜, 본탈수단계의 각 단계 사이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드럼의 편심량의 변동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1탈수단계는, 공진점 이하의 드럼 회전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편심량의 변화가 큰 경우 공진점 이하로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진동을 방지한다.
또한, 제1탈수단계는, 공진점 이하에서 형성되는 드럼의 제1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의 최대진동값과, 상기 공진점 이하에서 형성되고, 제1설정회전속도범위보다 높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의 최대진동값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상일 때,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로 유지하고, 상기 제1설정회전속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회전속도범위는 상기 제1탈수단계에서 물빠짐이 많은 구간으로 설정하여, 드럼이 캐비닛 공진점 이상으로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과진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로 가속하는 가속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감속하는 감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하는 볼배치유지구간을 포함하여, 드럼의 감속회전에서 발생하는 드럼의 과진동을 방지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예비탈수단계와 본탈수단계 사이에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하여, 탈수행정과정에서 물빠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드럼의 언밸런싱 회전으로 인한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공진점 이상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 내지 제3 탈수단계 사이에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하여, 탈수행정과정에서 물빠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드럼의 언밸런싱 회전으로 인한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제1탈수단계의 공진점 이하의 탈수과정에서 물빠짐이 일정범위 이상인경우, 공진점이상으로 드럼을 가속하지 않아, 드럼이 공진점 이상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진동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탈수단계가 변형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볼밸런서 초기 조정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예비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제1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탈수단계가 변형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볼밸런서 초기 조정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예비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제1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2)와,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124)과,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물 처리기기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14)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111a)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에는 포출입홀(11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비닛(111)에는 컨트롤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는 드럼(124)의 외부에 드럼(124)를 감싸며 배치된다.
터브(122)의 전면에는 터브홀(122a)이 형성된다. 터브홀(122a)은 드럼(124)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111a)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13)는 터브(122)의 후방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구동부(113)는 회전축(116)과 연결되어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13)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미도시)와,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축(116)은 구동부(113)와 드럼(124)을 연결한다. 회전축(116)은 구동부(113)의 회전력을 드럼(124)에 전달하여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16)의 일단은 드럼(124) 후방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며, 타단은 구동부(113)의 회전자(미도시)와 결합된다.
드럼(124)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124)은 터브(122)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124)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드럼(124)의 전방에는 드럼홀이 형성된다. 드럼홀(124a)은 드럼(124)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111a) 및 터브홀(12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드럼(124)의 전방 테두리에는 전방 볼밸런서(140a)가 결합되고, 드럼(124)의 후방 테두리에는 후방 볼밸런서(140b)가 결합된다.
전방 및 후방 볼밸런서(140a, 140b)는 내부에 볼(142)과 함께 충진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볼밸런서(140a, 140b)는 드럼(124)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볼(142)의 이동경로를 구획하는 밸런서 하우징(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럼()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밸런서 하우징(144)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144) 내에서 볼(142)이 이동할 수 있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출입홀(111a)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밸브(131)와, 급수밸브에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3)로 흐르는 급수유로(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137)와,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127)과,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유로(1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순환 펌프와 배수 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유로(137)와 배수유로(138)로 연결될 수 있다.
터브(122)에는 터브(122)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150)가 구비된다. 드럼(124)의 언밸런스에 의한 진동은 회전축(116)에 의하여 터브(122)에 전달되어 터브(122)의 진동을 유발한다. 진동감지센서(150)는 터브(122)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드럼(124)의 언밸런스 정도를 측정한다.
진동감지센서는, 터브(122)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122) 전방의 진동량인 전방 진동량을 감지하는 전방 진동감지센서와, 터브(122)의 후방에 배치되어 터브(122) 후방의 진동량인 후방 진동량을 감지하는 후방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진동감지센서(150)가 터브(122)의 상측 후방에 배치된다.
컨트롤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동작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200)는 터브(220)가 캐비닛(211)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터브(220)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221)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리어(222)를 포함한다. 터브프론트(221)와 터브리어(222)는 나사로 조립될 수 있다. 터브(220)는 후면에 개구부를 갖는다. 터브(220) 후면의 내주는 후방개스킷(225)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후방개스킷(225)의 내주부는 터브백(223)과 연결된다. 터브백(223)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후방개스킷(225)은 터브백(223)의 진동이 터브(2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터브(220)의 후면()과 터브백(223) 및 후방개스킷(225)은 터브의 후벽면을 구성한다. 후방개스킷(225)은 터브백(223) 및 터브리어(222)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후방개스킷(225)은 터브백(223)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226)를 가질 수 있다.
터브(220)의 전방부에는 터브와 드럼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개스킷(227)이 연결된다. 전방개스킷(227)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터브(22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전방개스킷(227)은 후방개스킷(225)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캐비닛(211)은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211)은 전방 캐비닛(미도시), 후방캐비닛(213), 측면캐비닛(214), 상면캐비닛(미도시) 및 베이스 캐비닛(215)로 구성된다.
드럼(230)은 드럼프론트(231), 드럼센터(232), 드럼백(233) 등으로 구성된다. 드럼(230)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230)은 터브(220)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23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240a, 240b)가 각각 설치된다. 전방 및 후방 볼밸런서(240a, 240b)는 내부에 볼(242)과 함께 충진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볼밸런서(240a, 240b)는 드럼(224)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볼(242)의 이동경로를 구획하는 밸런서 하우징(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230)은 후방면에서 스파이더(250)와 연결되며, 스파이더(250)는 회전축(251)과 연결된다. 드럼(230)은 회전축(2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터브(22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251)은 터브백(223)을 관통하여 구동부(252)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터브백(223)의 후면에는 베어링하우징(260)이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260)은 구동부(252)와 터브백(223) 사이에서 회전축(2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베어링하우징(260)에는 스테이터(253)가 고정설치된다. 로터(254)는 스테이터(253)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로터(254)는 회전축(251)과 직결된다. 구동부(252)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회전축(251)과 직결된다.
베어링하우징(260)은 베이스캐비닛(215)로부터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지지된다. 서스펜션유닛(261)은 수직 지지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지지하는 경사 지지 2개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유닛(261)은 2개의 전방 실린더스프링, 하나의 후방 실린더스프링, 2개의 실린더 댐퍼(26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실린더스프링(262)은 서스펜션브라켓(266)과 베이스캐비닛(215) 사이에 연결된다. 후방 실린더스프링(263)은 베어링하우징(260)과 베이스캐비닛(215)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실린더 댐퍼(265)는 서스펜션브라켓(266)과 베이스캐비닛(215)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된다.
서스펜션유닛(261) 중 실린더스프링(262, 263)들은 베이스캐비닛(215)에 완전 고정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드럼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이스캐비닛(215)에 연결된 그 지지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서스펜션유닛(261)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브(220)는 캐비닛(211)에 고정 설치되며, 드럼(230)의 진동은 서스펜션유닛(261)에 의해 완충 지지된다. 실질적으로 터브(220)와 드럼(230)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드럼(230)이 진동하더라도 터브(220)는 진동하지 않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260)과 서스펜션브라켓(266)들은 웨이트들(267)에 의해 연결된다.
터브(220)에는 터브(220)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270)가 구비된다. 드럼(230)의 언밸런스에 의한 진동은 회전축(251)에 의하여 터브(220)에 전달되어 터브(220)의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270)는 터브(220)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드럼(230)의 언밸런스 정도를 측정한다. 진동감지센서(270)는 터브(220)의 전방 또는 좌우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270)는 터브(220)의 전후방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센서(270)는 터브(220)의 상측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230)의 회전과전에서 포가 드럼(230)의 후방으로 쏠리게 되어 터브(220)의 후방에서 진동이 많이 감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동작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 컨트롤패널(272)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컨트롤패널(114, 272)에서 입력받은 동작명령에 따라 세탈물 처리기기(100, 200)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및 저장장치, 기타 전자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코스에 따라 각 행정의 진행 여부나, 각 행정 내에서의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및 건조 등의 동작 여부 및 시간, 반복횟수 등을 결정하여, 급수밸브(131), 구동부(113, 252) 및 펌프(136)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진동감지센서(150, 270)가 측정한 터브(122, 220)의 진동량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각 탈수단계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탈수단계가 변형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볼밸런서 초기 조정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예비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제어방법 중 제1탈수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사이에서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 200)에서 드럼(124, 230)의 내부에 포가 수용되고 드럼(124, 230)이 회전하는 경우, 포의 위치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포가 드럼(124, 230) 내의 일부 영역에 모여 있으면, 드럼(124, 230)이 회전할 때 편심량이 생기게 된다. 드럼(124, 230)이 내부의 포에 의해 편심량이 생긴상태에서의 회전을 편심회전 또는 언밸런싱회전 이라한다. 편심회전은 볼 밸런서가 포의 편심량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드럼(124, 230)이 회전하는 경우와, 탈수과정에서 물빠짐으로 인해 편심량이 변경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편심회전하는 드럼(124, 2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드럼(124, 23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볼밸런서(140, 240)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볼밸런서(140, 240)의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 배치된 볼(142, 242)이 포와 균형을 이루면서 회전하여 캐비닛(111, 2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는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를 회전하는 복수의 볼(142, 242)이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제어방법은 드럼의 회전속도의 가속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터브의 진동을 볼밸런서를 이용하여 저감한다. 따라서, 먼저,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볼밸런서의 밸런서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볼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볼(142, 242)은 드럼(124, 230)이 회전됨에 따라 그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복수의 볼(142, 242)은 드럼(124, 230)이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에 구속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드럼과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편심을 발생시키는 세탁물은 드럼 내벽에 밀착되어 충분한 마찰력과 드럼 내벽의 리프트로 인해 드럼과 거의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세탁물의 회전속도와 볼의 회전속도는 다를 수 있으며, 드럼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비교적 저속의 회전 초기에는 세탁물의 회전속도가 볼들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된다. 정확하게는 회전각속도가 빠르다 할 수 있다. 또한, 볼과 세탁물의 위상차, 즉, 드럼의 회전중심에 대한 위상차가 계속해서 변화하게 된다.
드럼의 회전속도가 점점 빨라지게 되면, 볼들은 원심력에 의해 이동경로의 바깥측 원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드럼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원심력이 커져 상기 원주면과 볼들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치 이상이 되어 볼들은 드럼과 같은 회전속도를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른 볼밸런서의 볼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142, 242)은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라 서로간의 배치를 달리한다. 드럼(124, 230)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볼(142, 242)은 함께 맞닿은 상태로 밸런서하우징(144, 244)의 하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볼(142, 242)은 초기에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가속됨에 따라 복수의 볼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를 회전한다. 이는 드럼(124, 23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보다 중력이 복수의 볼에 더 작용하여, 밸런서하우징(144, 244)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볼이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후,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더욱 가속되면,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 크게 작용하는 범위에서 복수의 볼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를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는 드럼(124, 230)이 130rpm 범위에서 회전할 때, 복수의 볼이 붙어서 밸런서하우징 내부를 회전하게 된다.
이후, 드럼의 회전속도를 더욱 가속하게 되면, 복수의 볼이 서로 이격되어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포의 편심량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드럼은 회전속도가 가속되어 조절회전속도범위를 회전할 때, 밸런서하우징을 회전하는 복수의 볼의 배치가 전체적으로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조절회전속도범위는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 크게 작용하는 범위에서 드럼을 더욱 가속시켜, 복수의 볼이 밸러서하우징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볼의 배치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의 조절회전속도범위(N1)는 대략 370 내지 390 rpm 대역에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380rpm 대역에서 수행된다.
물이 함습된 포는 드럼의 회전으로 물이 과도하게 빠지면, 편심량의 일정이상의 변동으로 드럼(124, 230)이 편심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편심회전은 드럼의 회전속도를 공진점 이상으로 가속하는 경우에는 더욱심하게 되어 캐비닛의 과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드럼(124, 230)을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켜, 포에 함습된 물이 빠져나감으로 인한 편심량이 변경되더라도, 드럼(124, 230)의 편심회전을 보정할 수 있다.
조절회전속도범위를 통과하여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가속시키면,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를 회전하는 복수의 볼은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볼의 배치는 거의 고정된다.
따라서, 포의 물빠짐 등으로 인해 편심량이 변경되더라도, 볼의 배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포에 함습된 물의 빠짐으로 드럼의 편심량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변경되면, 드럼은 편심회전을 하여 캐비닛이 진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드럼을 조절회전속도범위까지 가속하는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S100)를 거친다.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이전단계에서 남은 터브의 물을 배수하고, 드럼을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가속하여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볼이 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을 참조하면, 터브(122, 22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단계(S110)를 거친다. 이경우, 제어부(300)는 드럼(124, 230)을 조절회전속도범위까지 가속시킨다.
드럼(124, 230)을 조절회전속도범위까지 가속하면, 일정시간동안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유지(S120)하고, 드럼(124, 230)의 회전으로 일정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거친다.
드럼(124, 230)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은 터브에 배치된 진동감지센서(150, 270)를 통하여 터브의 전후 또는 좌우진동을 측정한다.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진동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다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단계(S110)를 진행한다.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복수의 볼이 포의 편심에 적절한 대응위치에 배치되지 못한 경우에는 캐비닛에 과진동이 발생하며, 이 상태로 드럼을 가속시키면, 편심회전에 의한 캐비닛 진동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이다.
드럼(124, 230)이 조절회전속도범위로 회전할 때, 일정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예비탈수단계(S200)를 진행한다.
<예비탈수단계>
예비탈수단계(S200)는 포에 함습된 상당량의 물을 빼는 과정으로, 캐비닛(111, 211)의 공진점 이하에서 드럼(124, 230)을 회전시킨다. 예비탈수단계(S200)에서는 포에 다량의 물이 함습된 상태로 공진점 이하의 범위까지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가속한다. 예비탈수단계(S200)는 공진점을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본탈수단계 이전에 포에 포함된 물을 충분히 빼내어 포의 편심량을 줄인다.
예비탈수단계(S200)는 공진점 이하의 최대회전속도(N2)까지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단계(S210)를 거친다. 예비탈수단계에서 드럼의 최대회전속도(N2)는 과도한 편심량 변동을 방지하도록 캐비닛 공진점의 회전수범위 이하에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 200)가 950rpm 전후에서 캐비닛의 공진점이 발생한다고 할 때, 예비탈수단계에서 드럼의 최대회전속도(N2)는 600rpm로 한다.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과정에서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진동감지회전속도(N3)에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진동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20)를 거친다. 진동감지회전속도(N3)는 조절회전속도범위(N1)와 예비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N2) 사이에서 형성된다. 예비탈수단계에서 드럼의 최대회전속도(N2)가 600rpm인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감지회전속도(N3)를 540 내지 560 rpm으로 할 수 있다.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진동감지회전속도(N3)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을 나타내면,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N1)로 감속한다. 이후, 다시 드럼을 진동감지회전속도(N3)로 가속하여 진동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진동감지센서(150, 270)에서 감지된 진동이 여전히 일정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면,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S100)를 다시 수행한다.
즉,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진동감지회전속도(N3)에서 1회이상 일정수준 이상으로 진동이 발생한다고 판단(S235)되면,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S100)를 다시 수행한다.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진동감지회전속도(N3)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이 나타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예비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N2)까지 가속하는 단계(S230)를 거친다.
이후,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감속하는 단계(S240)를 거친다. 제어부(300)는 최대회전속도(N2)에서 일정시간 유지한후,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N1)로 감속한다. 예비탈수단계(S200)에서 포에 함습된 물을 최대한 뺄 수 있도록 최대회전속도(N2)에서 일정시간을 유지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N1)로 감속하여,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S10)를 수행한다.
<볼 밸런서 배치조정단계>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탈수행정의 과정에서, 복수의 볼밸런서 배치 조정단계(S10, S20, S30)를 거친다. 볼밸런서 배치 조정단계(S10, S20, S30)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N1)로 회전시켜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에 회전하는 복수의 볼(142, 242)의 배치를 미세하게 조정한다.
예비탈수단계(S200)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각 탈수단계(S300, S400, S500)를 거친 세탁물은 세탁물의 종류, 물이 빠진량 등의 변수에 따라 세탁물의 편심량이 달라진다. 각 탈수단계(S200, S300, S400, S500)를 거친 세탁물의 편심량은 일반적으로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경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세탁물의 종류나 물이 빠진 부위등의 변수로 인해 편심량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탈수단계(S200, S300, S400, S500)에서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조절회전속도범위(N1) 이상으로 회전하여, 편심량의 변경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로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볼의 배치를 변경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서는 각 탈수단계(S200, S300, S400, S500) 사이에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S10, S20, S30)를 두어 물빠짐에 따른 편심량 변동에 대응하여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볼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본 탈수단계>
본 탈수단계는 예비탈수단계를 거친후, 공진점 이상의 회전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본 탈수단계는 일정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공진점 이상의 대역으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본탈수단계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각 단계의 최대치까지 증가시키는 가속단계와,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최대치에서 볼밸런서 배치 조정단계까지 낮추는 감속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탈수단계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각 단계의 최대치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 탈수단계는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하는 제1탈수단계(S300), 상기 제1탈수단계보다 높은 드럼의 최대회전속도를 가지는 제2탈수단계(S400) 및 최대회전속도에서 상기 제2탈수단계보다 장시간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3탈수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 탈수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탈수단계>
도 5를 참조하면, 제1탈수단계(S300)는 캐비닛의 공진점 이상의 회전수범위로 드럼(124, 230)을 회전시킨다. 제1탈수단계(S300)는 캐비닛의 공진점과 제2 또는 3탈수단계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2, M3) 사이의 범위에서 드럼을 회전시킨다. 제1탈수단계는 캐비닛의 공진점과 도어의 공진점 사이로 드럼(124, 230)을 회전시킨다.
제1탈수단계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1)는 제2 또는 3탈수단계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2, M3)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1탈수단계는 제2탈수단계나 제3탈수단계에 비해 물이 빠지는 량이 많아 편심량의 변동이 크므로,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1)는 제2 또는 3탈수단계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2, M3)보다 낮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 200)는 최대회전속도(M1)가 대략 1000 내지 1100rpm 대역에서 수행된다.
제1탈수단계는 캐비닛 공진점 이하의 드럼 회전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편심량의 변화가 설정범위 이하인 경우, 도 5와 같이, 최대회전속도(M1)까지 드럼을 회전시킨다. 제1탈수단계는 캐비닛 공진점 이하의 드럼 회전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편심량의 변화가 큰 경우, 도 6과 같이, 캐비닛 공진점 이하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이는 공진점 이하에서의 진동으로 공진점과 공진점을 통과한 상태에서 드럼의 회전으로 캐비닛에 발생할 수 있는 과진동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제1탈수단계(S3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볼밸런서 배치 조정단계(S10) 이후,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단계(S310)를 거친다. 제어부(300)는 조절회전속도범위(N1)로 회전하는 드럼(124, 230)을 가속시킨다.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과정에서,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에서 감지된 최대진동값(V1)을 저장하는 단계(S320)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에서 감지된 최대진동값(V2)을 저장하는 단계(S330)를 거친다.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는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보다 회전수범위가 높게 형성된다.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는 공진점 이하의 회전수범위에서 형성된다.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는 제1탈수단계에서 물빠짐이 가장 많은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 200)의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649rpm 내지 651rpm 범위로 형성되고,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가 749rpm 내지 751rp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1설정회전속도범위의 최대진동값(V1)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의 최대진동값(V2)의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S340)를 거친다. 진동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수록 드럼(124, 230)이 공진점으로 가속할 때, 캐비닛의 진동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의 최대진동값(V1)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의 최대진동값(V2)의 차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에서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단계(S350)를 수행한다.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에서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것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 내에서 하나의 회전속도를 유지하거나,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내에서 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내에서 마지막으로 가속된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거나,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내에서 측정된 진동값 중에서 최소진동값을 나타내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거나,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내에서 드럼의 최소회전속도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에서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것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내인 것을 만족할 때,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의 최대진동값(V1)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의 최대진동값(V2)의 차이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1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M1)까지 가속하는 단계(S355)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설정회전속도범위(N4)의 최대진동값(V1)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의 최대진동값(V2)의 차이가 100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제2설정회전속도범위(N5)를 유지하는 단계(S350)는 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단계(S360)에서 탈수되는 물의 량과 동일한 량이 탈수될 수 있도록 유지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설정회전속도범위를 유지하는 기간을 120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기 유지기간은 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단계(S355)에서 탈수되는 물의 량과 동일한 량이 탈수될 수는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단계(S360)를 거친다.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감속하여,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S20)를 수행한다.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단계(S360)는 볼배치유지구간(S1)을 포함한다. 볼배치유지구간(S1)은 드럼의 회전속도 감속과정에서 발생하는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한다. 드럼의 회전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볼의 배치가 변경되어 드럼의 편심회전으로 인한 캐비닛의 과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볼배치유지구간(S1)을 두어 이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배치 유지구간(S1)은 650rp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볼배치 유지구간(S1)의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범위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단계에서, 밸런서하우징(144, 244) 내부의 볼 배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회전속도범위(N1)까지 감속하여, 볼밸런서 배치 조정단계(S20)를 수행한다.
<제2탈수단계>
제2탈수단계(S400)는 공진점 이상의 회전수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제2탈수단계(S400)의 최대회전속도(M2)는 제1탈수단계(S300)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M1)보다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탈수단계(S400)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는 1440 내지 1600 rpm에서 형성된다. 제2탈수단계(S400)에서의 드럼(124, 230)의 최대회전속도(M2)는 제1최대회전속도(M2a)와 제2최대회전속도(M2b)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최대회전속도(M2a)로 드럼(124, 230)을 가속시킨후, 진동감지센서(150, 270)에서 감지된 진동이 일정범위 이하일 때, 드럼(124, 230)을 제2최대회전속도(M2b)로 가속할 수 있다. 다만, 드럼(124, 230)이 제1최대회전속도(M2a)를 회전할 때, 진동감지센서(150, 270)에서 감지된 진동이 일정범위 이상이면, 제어부(300)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제1최대회전속도(M2a)로 유지한다. 이경우,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2최대회전속도(M2b)로까지 가속하는 구간이 생략된다.
제2탈수단계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단계(S410),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유지하는단계(S420) 및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감속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제2탈수단계에서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단계(S430)에서도, 제1탈수단계와 동일하게 드럼의 회전속도 감속과정에서 발생하는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하는 볼배치유지구간(S2)을 포함한다.
<제3탈수단계>
제3탈수단계(S500)는 공진점 이상의 회전수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제3탈수단계(S500)의 최대회전속도는 제1탈수단계(S300)에서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탈수단계(S500)의 드럼의 최대회전속도는 1440 내지 1600 rpm에서 형성된다. 제3탈수단계(S500)에서의 드럼(124, 230)의 최대회전속도(M3)는 제1최대회전속도(M3a)와 제2최대회전속도(M3b)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최대회전속도(M3a)로 드럼(124, 230)을 가속시킨 후, 진동감지센서(150, 270)에서 감지된 진동이 일정범위 이하일 때, 드럼(124, 230)을 제2최대회전속도(M3b)로 가속할 수 있다. 다만, 드럼(124, 230)이 제1최대회전속도(M3a)를 회전할 때, 진동감지센서(150, 270)에서 감지된 진동이 일정범위 이상이면, 제어부(300)는 드럼(124, 230)의 회전속도를 제1최대회전속도(M3a)로 유지한다.
제3탈수단계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단계(S510),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유지하는 단계(S520) 및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감속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제3탈수단계(S500)의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유지하는 단계(S520)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제2탈수단계(S400)의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유지하는 단계(S420)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제3탈수단계는 제2탈수단계에 비해 물 빠짐량이 적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유지하는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제3탈수단계에서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단계(S530)에서도, 제1탈수단계 또는 제2탈수단계와 동일하게 드럼의 회전속도 감속과정에서 발생하는 캐비닛의 과진동을 방지하는 볼배치유지구간(S3)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200 : 세탁물 처리기기 111, 211 : 캐비닛
112, 252 : 구동부 122, 220 : 터브
124, 230 : 터브 140, 240 : 볼밸런서
150, 270 : 진동감지센서 300 : 제어부
112, 252 : 구동부 122, 220 : 터브
124, 230 : 터브 140, 240 : 볼밸런서
150, 270 : 진동감지센서 300 : 제어부
Claims (15)
- 볼밸런서에 배치된 볼이 변경된 편심량에 대응되도록 배치를 조정하는 조절회전속도범위를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탈수단계;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 사이에서 수행되고, 조절회전속도범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탈수단계는:
캐비닛의 공진점 이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예비탈수단계; 및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본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탈수단계는:
드럼을 최대회전속도로 가속하는 가속단계; 및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에서 감속하는 감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단계는, 일정 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배치유지구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탈수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제1탈수단계;
상기 제1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보다 높은 최대회전속도로 드럼이 회전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는 상기 제1탈수단계와 상기 제2탈수단계 사이에서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는 제1최대회전속도와, 상기 제1최대회전속도보다 높은 회전속도로 형성된 제2최대회전속도로 구분되며,
상기 제2탈수단계는 상기 제1최대회전속도에서 드럼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이 일정범위 미만에서 상기 제2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탈수단계는 최대회전속도에서 상기 제2탈수단계보다 장시간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3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밸런서 배치조정단계는 상기 제2탈수단계와 상기 제3탈수단계 사이에서 조절회전속도범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볼밸런서 조정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는 제1최대회전속도와, 상기 제1최대회전속도보다 높은 회전속도로 형성된 제2최대회전속도로 구분되며,
상기 제3탈수단계는 상기 제1최대회전속도에서 드럼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이 일정범위 미만에서 상기 제2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 이하의 드럼 회전에서 물빠짐으로 인한 편심량의 변화가 큰 경우,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 이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단계는,
공진점 이하에서 형성되는 드럼의 제1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의 최대진동값과, 상기 공진점 이하에서 형성되고, 제1설정회전속도범위보다 높은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의 최대진동값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상일 때,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회전속도범위와 상기 제2설정회전속도범위는 상기 제1탈수단계에서 물빠짐이 많은 구간으로 설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유지할 때, 상기 제2설정회전속도범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기간은, 상기 캐비닛의 공진점을 초과하여 상기 드럼 회전할 때 탈수되는 물의 량과 동일한 량이 탈수되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탈수단계 이전에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상기 드럼을 상기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가속하는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런서 초기조정단계는,
상기 드럼이 조절회전속도범위로 회전 시, 일정범위 이상으로 진동이 발생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단계;
상기 조절회전속도범위와 상기 예비탈수단계의 최대회전속도 사이에서 형성되는 진동감지회전속도에서 진동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감지회전속도에서 일정범위 미만으로 진동이 발생할 때, 드럼을 상기 최대회전속도로 가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지회전속도에서 일정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기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감속하고,
상기 조절회전속도범위로 감속하는 과정이 1회이상 반복될 때,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기 조절회전속도범위 이하로 감속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95A KR102325965B1 (ko) | 2017-03-27 | 2017-03-27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AU2018244670A AU2018244670B2 (en) | 2017-03-27 | 2018-03-27 |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ying i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
CN201880034977.1A CN110678598B (zh) | 2017-03-27 | 2018-03-27 | 洗涤物处理设备的脱水程序控制方法 |
EP18777475.7A EP3617372A4 (en) | 2017-03-27 | 2018-03-27 | CONTROL PROCEDURE FOR MANAGING DRYING I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
PCT/KR2018/003584 WO2018182277A1 (ko) | 2017-03-27 | 2018-03-27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US16/498,635 US11427946B2 (en) | 2017-03-27 | 2018-03-27 |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cycle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95A KR102325965B1 (ko) | 2017-03-27 | 2017-03-27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224A KR20180109224A (ko) | 2018-10-08 |
KR102325965B1 true KR102325965B1 (ko) | 2021-11-11 |
Family
ID=6367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495A KR102325965B1 (ko) | 2017-03-27 | 2017-03-27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427946B2 (ko) |
EP (1) | EP3617372A4 (ko) |
KR (1) | KR102325965B1 (ko) |
CN (1) | CN110678598B (ko) |
AU (1) | AU2018244670B2 (ko) |
WO (1) | WO201818227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21025815A2 (pt) * | 2019-06-21 | 2022-02-08 | Electrolux Appliances AB | Aparelho para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e métodos para controlar um aparelho para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
KR20210079728A (ko) * | 2019-12-20 | 2021-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WO2021187915A1 (ko) * | 2020-03-18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10117215A (ko) * | 2020-03-18 | 2021-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2792A (ko) * | 2003-12-18 | 2005-06-2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드럼식 세탁기의 탈수 행정 제어 방법 |
DE102006035014B4 (de) * | 2005-08-01 | 2016-02-11 | Lg Electronics Inc. | Steuerverfahren für einen Schleudergang in einer Waschmaschine |
KR101221892B1 (ko) * | 2006-01-02 | 2013-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탈수기의 탈수 제어 방법 및 그 탈수기 |
KR101156713B1 (ko) * | 2006-11-06 | 201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407959B1 (ko) * | 2008-01-22 | 2014-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볼 밸런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100317B1 (ko) * | 2009-08-05 | 2011-12-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
WO2011025318A1 (en) * | 2009-08-27 | 2011-03-03 | Lg Electronics Inc. |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
KR101667576B1 (ko) | 2009-08-27 | 2016-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EP2692928A4 (en) | 2011-03-28 | 2014-12-03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 |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MUNE IN A DRUM MACHINE |
KR101171315B1 (ko) * | 2011-06-27 | 2012-08-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US9493897B2 (en) * | 2013-06-25 | 2016-11-15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of opera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all balance ring |
KR102089969B1 (ko) | 2013-07-12 | 2020-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US9809916B2 (en) | 2014-02-19 | 2017-1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4631037B (zh) * | 2014-12-31 | 2017-05-03 |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 一种洗衣机的偏心控制方法和系统、脱水方法和系统 |
JP6507367B2 (ja) * | 2015-04-09 | 2019-05-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KR20170135251A (ko) | 2016-05-31 | 2017-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495A patent/KR102325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7 US US16/498,635 patent/US11427946B2/en active Active
- 2018-03-27 CN CN201880034977.1A patent/CN110678598B/zh active Active
- 2018-03-27 WO PCT/KR2018/003584 patent/WO2018182277A1/ko unknown
- 2018-03-27 EP EP18777475.7A patent/EP3617372A4/en active Pending
- 2018-03-27 AU AU2018244670A patent/AU2018244670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427946B2 (en) | 2022-08-30 |
CN110678598A (zh) | 2020-01-10 |
WO2018182277A1 (ko) | 2018-10-04 |
US20210115611A1 (en) | 2021-04-22 |
EP3617372A1 (en) | 2020-03-04 |
AU2018244670A1 (en) | 2019-11-14 |
KR20180109224A (ko) | 2018-10-08 |
AU2018244670B2 (en) | 2021-05-20 |
CN110678598B (zh) | 2022-04-08 |
EP3617372A4 (en) | 2021-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5965B1 (ko) |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
JP4711914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US10138584B2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994987B2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13161251A1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102304812B1 (ko)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WO2012114751A1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2010207316A (ja) | 洗濯機 | |
KR102604224B1 (ko) | 세탁기 제어방법 | |
KR20190094012A (ko) | 세탁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2491974B1 (ko) |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
JP5003737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20110022494A (ko)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
US20110047715A1 (en) |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EP2557216B1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1741549B1 (ko)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10069328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101604690B1 (ko)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
KR100672567B1 (ko) |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및 조절장치 | |
KR101721871B1 (ko) | 세탁장치 | |
KR20110022492A (ko)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
KR20110022489A (ko)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
KR20160058079A (ko)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
KR20100128656A (ko) |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