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28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28A
KR20210079728A KR1020190171817A KR20190171817A KR20210079728A KR 20210079728 A KR20210079728 A KR 20210079728A KR 1020190171817 A KR1020190171817 A KR 1020190171817A KR 20190171817 A KR20190171817 A KR 20190171817A KR 20210079728 A KR20210079728 A KR 20210079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drum
preset
reference valu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준
김종룡
최제광
박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728A/ko
Priority to EP20904056.7A priority patent/EP4063551A4/en
Priority to CN202080088278.2A priority patent/CN114829692B/zh
Priority to PCT/KR2020/018493 priority patent/WO2021125812A1/ko
Priority to US17/787,138 priority patent/US20230035888A1/en
Publication of KR2021007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06F37/2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3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탈수 시 발생할 수 있는 언밸런스(unbalance)의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하여 이에 따른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il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전부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의류가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할 경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의류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서, 이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인 언밸런스(Unbalance)상태로 인해 드럼의 진동이 발생하고 이것이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는다.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의 경우, 언밸런스가 발생시 진동 및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효율을 저하시키고, 심하면 의류처리장치가 고장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4245호는 탈수시 언밸런스를 최소화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수진입단계에서 특정한 RPM으로 회전하면서 언밸런스의 발생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탈수진입단계를 감속 및 중단하고 다시 의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는 고정된 언밸런스 값을 사용하게 되어, 사전에 언밸런스의 크기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탈수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못하므로 효과적으로 탈수 진입시간을 줄이고 진동 및 소음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탈수시 포질에 따라 언밸런스 기준값을 달리 설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효과적인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세탁기의 탈수 진입시간을 줄이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의 탈수시 발생할 수 있는 언밸런스를 예측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즉,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언밸런스정도를 감지하여 이를 최종탈수시 발생할 수 있는 언밸런스를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3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1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유지단계는 상기 제1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 이상인 때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제2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3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 이상인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기 설정된 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1횟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각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대기시간만큼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전술한 해결과제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정에서 탈수과정이 1번있는 경우에 대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정에서 탈수과정이 2번 있을 수 있다.
탈수과정이 2번 있는 경우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1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1중단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1탈수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2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4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4속도를 유지하는 제3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5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 상기 제4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4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4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2중단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3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6속도까지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6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 및 상기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1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유지단계는 상기 제1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 이상인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제2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3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 이상인 때 상기 제1중단단계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측정단계는 상기 제3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5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4유지단계는 상기 제3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6시간 이상인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측정단계는 상기 제3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7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4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8시간 이상인 때 상기 제2중단단계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기 설정된 제1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1중단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1횟수 및 기 설정된 제2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3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상기 제4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및 상기 제2중단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4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2횟수의 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1중단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1대기시간만큼 대기하고, 상기 제2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3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상기 제4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2중단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2대기시간만큼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복횟수와 상기 제2반복횟수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대기시간과 상기 제2대기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속도와 상기 제4속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속도와 상기 제5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수시 포질에 따라 언밸런스 기준값을 달리 설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효과적인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수시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세탁기의 탈수 진입시간을 줄이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탈수를 통해 사용자의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헹굼과정을 선택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정 일부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세탁과정을 선택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정 일부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드럼의 회전축을 일정각도로 나누어 언밸런스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헹굼과정을 선택시 본 발명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플로우차트(Flow Chart)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세탁과정을 선택시 본 발명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중 제1탈수전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자동으로 세탁과정을 선택시 본 발명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중 제2탈수전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또는 포)을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형(Top loading type)과 프런트 로딩형(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형은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면에 위치하는 반면, 프론트 로딩형은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한다. 또한, 탑 로딩형의 경우 드럼 하부의 회전날개나 드럼에 의해 물이 회전하면서 서로 마찰을 일으켜 세탁하는 방식이다. 반면, 프런트 로딩형의 경우 낙차방식을 이용, 드럼의 회전에 의해 빨래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때의 물과의 마찰을 일으켜 세탁하는 방식이다.
탑 로딩형과 달리 프런트 로딩형의 경우,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의 편심에 따른 언밸런스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탈수 전 일정한 속도에서 드럼의 언밸런스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 탑로딩형보다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의 회전속도가 42 RPM (Revolutions Per Minute, 분당회전수)의 경우, 세탁물은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지다가 낙하할 수 있으며, 드럼의 회전속도가 52 RPM의 경우 드럼의 내벽(inner surface)을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물의 운동 변화로 언밸런스를 측정하기가 용이한 프런트 로딩형의 경우, 고속의 회전을 통해 세탁물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에서의 언밸런스를 미리 예측하여, 이에 따라 언밸런스가 많이 일어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탈수시 언밸런스를 미리 예측하는 경우, 이에 따른 적절한 탈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탈수 진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저진동 탈수가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디는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비롯한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캐비닛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5),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배면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베이스(15)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미도시) 및 제2측면패널(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에는 의류를 상기 드럼(3)으로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투입구(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는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13)는 상기 전방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 상기 터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2)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11), 상기 터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1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211)는 상기 투입구(11)가 구비된 전방패널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커버(213)는 상기 배면패널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된다. 상기 전방커버(211)에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1)와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상기 절연부는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절연바디(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연바디(41)는 일단이 상기 투입구(11)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 타단이 상기 터브 투입구(23)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의 자유단과 제2고정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바디(41) 내부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절연바디(41)와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커버(211)를 연결하는 잔수배출관(4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49)은 상기 절연바디(4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럼(3)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전방커버(2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장치 없이 절연바디(41) 내부의 물을 터브 바디(21)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드럼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구동부(3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53),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53)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61),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챔버(6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3), 상기 챔버(61)로 유입된 물을 제2배수관(67)으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67)은 상기 배수펌프(65)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배수관(67)의 최고점은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최하단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수용된 드로워(52)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인출구(미도시)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2)는 상부면이 개방된 다면체(육면체 등)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21), 상기 저장부(521)를 상기 케이스(51)와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5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구(523)는 상기 저장부(521)의 후방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5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벨 트랩(bell trap)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저장부(52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의 물을 상기 저장부(521)에 공급하는 급수관(56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56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5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61)을 통해 세제가 저장된 저장부(521)에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52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배출구(523)를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스(51)로 배출된 물과 세제는 상기 절연바디(41)를 통해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부(4)에는 물과 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관(43)이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5)에는 세제와 물을 상기 유입관(42)으로 안내하는 배출관(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과 상기 배출관(53)은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 및 배출관(53)을 통해 터브의 진동이 케이스(51) 및 전방패널(15)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2)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지지부는 탄성력 제공부(91, 92)와 감쇄부(93, 94, 9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5)의 상부에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입력받아 상기 드럼구동부(35), 상기 급수밸브(563), 및 상기 배수펌프(6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물을 공급하고, 세탁물을 세척하는 세척과정, 세탁물을 헹굼하는 헹굼과정이나, 물을 배수하고 탈수하는 과정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구동부(35)의 회전을 제어하여 드럼을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단계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탈수시 발생할 수 있는 언밸런스를 탈수전 미리 예측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탈수시 세탁물에 맞는 적절한 탈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2(a)는 언밸런스를 탈수전 미리 예측하는 제어방법을 UB예측단계(S30)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2(a)와 같이 탈수단계(S40)를 한번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2(b)와 같이 탈수단계를 2개로 나누어 진행할 수 있다. 즉, 제1탈수단계(S45)전 제1UB예측단계(S35) 및 제2탈수단계(S85)전 제2UB예측단계(S85)를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자동으로 세탁코스를 진행하는 경우, 도 2(b)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2번의 이물질분리단계(S15, S65) 및 2번의 탈수단계(S45, S85)를 거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물질분리단계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도 2(a)와 같이 1번의 이물분리단계(S10) 및 1번의 탈수단계(S40)을 진행시킬 수 있다.
도 2(a)와 같이 1번의 탈수단계(S40)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1번의 UB예측단계 (S30)만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물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배수단계(S10)을 진행한다. 상기 이물질배수단계(S10)은 세척단계(washing step) 또는 헹굼단계(rinsing step)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헹굼단계(rinsing step)일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배수단계(S10)가 종료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2)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S20)을 거친다. 상기 배수단계(S20)가 끝나면 탈수 시작전 세탁물의 양 즉,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UB예측단계(S30)을 진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UB예측단계(S30)을 통해 언밸런스(또는 UB)의 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예상된 언밸런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탈수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량감지단계에서 제어부가 동일한 포량으로 판단한 경우라도, 얇은 의류, 보통의류, 두꺼운 의류등의 포질에 따라 탈수 시 언밸런스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같은 포질이라도 포의 분산에 따라 탈수 시 언밸런스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 포질은 포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능력에 따른 값으로써, 포의 재질이 함습량이 높은 것인지 낮은 것인지에 따라 포질을 구별할 수 있다. 포질은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타올의 경우 물을 많이 흡수하므로 함습량이 높다고 얘기할 수 있으며, 겨울철 잠바의 경우, 타올보다 물을 더 많이 함습할 수 있다.
함습량이 크면 포의 무게가 커지고, 포분산이 잘 안될 수 있다. 이는 곧 포의 무게에 따른 편심, 즉, 언밸런스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의 경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을 느슨하게 설정 하여 어느 정도의 언밸런스가 발생하더라도 용인되게 탈수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의 경우,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탈수 진입시 언밸런스를 줄이기 위해 탈수전 포분산을 통해, 탈수시 언밸런스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탈수단계를 개시하기전 탈수진입단계를 거칠 수 있다. 만약 탈수진입도중 언밸런스가 일어나 드럼(3)의 회전을 멈추고 다시 포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시간이 늘어나는 것보다 탈수진입단계에서 소요되는 탈수진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국 소음 및 진동을 줄이는 효과도 얻게 된다.
상기 탈수진입단계란,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그 보다 낮은 속도에서 회전시켜 언밸런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포를 분산시키기 위한 단계를 뜻한다. 탈수진입단계에서 언밸런스가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게 발생하면, 드럼(3)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포를 분산시킨 후 또다시 탈수진입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는 결국 탈수진입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포질이나 포분산에 무관하게 언밸런스 기준값을 똑같이 설정하게 되면,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탈수에 필요한 시간이 늘어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언밸런스 기준값을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다. 결국 언밸런스 기준값을 달리 설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같은 언밸런스의 발생정도를 예측하는 제어방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언밸런스가 작을 것으로 예상되는 포의 경우는 이미 포의 분산이 잘 되었거나, 함습량이 작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을 작게 설정하여도 무방하고, 탈수를 위한 탈수진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a) 과 같이, UB예측단계(S30)에서 측정한 언밸런스의 크기 또는 설정값 이상의 언밸런스 횟수를 판단하여, 이를 통해 현재 세탁물은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는 포, 언밸런스가 중간정도로 발생하는 포,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 포로 나눌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탈수단계에서는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b)의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코스선택에 따라 선택된 코스를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경우 2번의 탈수단계(S45, S95)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이물질 분리단계(S15), 터브(2)의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S25) 이후 제1탈수단계(S45)에 앞서 제1UB예측단계(S35)를 진행할 수 있다. 이 후, 제1탈수단계(S45), 급수단계(S55), 제2이물질 분리단계(S65), 제2배수단계(S75)이후 제2UB예측단계(S85)를 통해 제2탈수단계(S95) 이전 세탁물의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1탈수단계(S45)와 제2탈수단계(S95)에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S45)의 경우, 세탁물에 적셔진 물이 빠져 나가도록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어부가 드럼구동부(35)를 구동하여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포가 탈수된다. 그러나, 제1탈수단계(S45)는 세탁물이 건조될 정도로 탈수할 필요는 없으며, 포에 고농도의 세탁 세제가 잔류할 수 있도록 드럼(3)은 세탁물이 드럼(124) 내벽에 붙어 회전할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 제1탈수단계(S45)에서의 회전속도는 100 RPM 이상 1000 RP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탈수단계(S95)이전 포분산을 하는 탈수진입단계(미도시)등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탈수단계(S95)의 경우, 세탁물에 적셔진 물이 빠져 나가도록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어부가 드럼구동부(35)를 구동하여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탈수된다. 제2탈수단계(S95)에서 드럼(3)의 회전속도는 1000 RP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탈수단계(S45)를 간이탈수단계, 제2탈수단계(S85)를 본탈수단계로 볼 수 있다.
제1탈수단계(S45)의 회전속도는 제2탈수단계(S95)의 회전속도보다 작으므로, 제1탈수단계(S45)에서의 언밸런스 크기는 제2탈수단계에서의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탈수단계(S45)에서 언밸런스의 발생을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탈수단계(S45)전에 수행하는 제1UB예측단계(S35)에서의 결과는 상기 제2UB예측단계(S85)의 결과와 합해 상기 제2탈수단계(S95)에서의 언밸런스의 크기를 예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2번의 UB예측단계(S35, S85)를 거치게 되어 보다 정확히 제2탈수단계(S95)에서의 언밸런스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2번의 UB예측단계(S35, S85)를 통해 언밸런스(또는 UB)의 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예상된 언밸런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탈수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언밸런스(UB)란, 의류처리장치(100)의 탈수단계 중 발생하는 드럼(3) 내부의 부하(세탁물) 치우침 정도(편심)를 판단하는 인자를 말한다. 언밸런스가 발생하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고, 세탁기의 세탁성능이 떨어지므로 언밸런스를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UB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드럼(3)의 회전시 발생하는 속도변화를 이용하여 부하의 치우침 정도를 판단하는 속도 UB를 이용하는 방법과 드럼(3)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35), 예컨대 모터,에 인가되는 힘(전류)를 이용하여 부하(Load)의 치우침 정도를 판단하는 전류 UB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에 사용하는 방식은 드럼(3)의 회전시 발생하는 속도변화를 이용하여 편심정도를 감지하는 속도 UB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모터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수개의 회전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각도에서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3에서는 이러한 실시예 중 하나로써, 드럼(3)의 회전구간을 30도 각도로 나누어 총 12개의 지점에서 속도를 측정하여 언밸런스를 측정하게 된다.
프런트 로딩형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드럼(3)의 회전시 편심에 의해 중력방항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시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의 변화는 편심이 크게 발생했을 때와 작게 발생했을 때 차이를 보이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여 편심의 정도를 감지하는 방식이 UB이다.
이렇게 측정된 속도값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각도의 순환배열(cyclic arrangement)로 인해 12번째 속도는 0번짹 속도와 같으므로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수학식2]
Figure pat00002
즉, 드럼(3)의 회전시 30도 마다 드럼(3)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후, 매 30도 마다 감지한 회전속도(V k )를 수학식 1에 대입 후 일련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UB값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3]
Figure pat00003
즉, 최초 1회전을 통해 a1구하고, 그 뒤 30도 각도마다 다시 회전시 얻어지는 새로운 값, 예컨대 v3으로 v을 대체하고 a2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1부터 a12를 구한 후, 수학식 3과 같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빼서 UB를 구한다. 따라서, 상기 UB값은 1회전 후 매 30도 각도마다 하나씩 생성되고, 이에 따라 UB(k)값도 계속해서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UB(k)값은 30도 각도회전시 마다 새로운 값으로 갱신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평균값이 이동평균값(UnBalnced Value of Moving Average, 이하 UBVMA)으로 계산된다.
만약 언밸런스가 크다면 UBVMA값도 커질 것이고, 언밸런스가 작다면 UBVMA값도 작아질 것이다. 따라서, UBVMA값은 드럼(3)의 회전에 따른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를 회전속도에 따라, 제1기준값, 제2기준값, 제3기준값, 또는 제4기준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4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헹굼과정을 선택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선택시에는 헹굼과정 1번과 탈수과정 1번을 수행할 수 있다.
크게 본 발명의 제어방법의 일례는 드럼(3)을 기 설정된 제1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1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00)와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제2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2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2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200),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S300), 및 제2측정값에 근거하여 이후 진행될 탈수단계에서의 UB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보다 높은 기 설정된 제3속도로 탈수하는 단계(S600)로 크게 구성된다.
제1속도란, 제2속도로 드럼(3)을 회전시키기 전, 드럼(3) 내부에서 세탁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드럼(3)을 기설정된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속도란, 드럼(3)의 회전시 언밸런스 발생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드럼(3)의 회전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8 RPM일 수 있다. 제3속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헹굼과정을 선택시 최종적인 탈수단계에서 이용되는 회전속도이다.
제1측정값은 드럼(3)이 제1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1기준값은 제1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제2측정값은 드럼(3)이 제2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2기준값은 제2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이를 다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물이 저장된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분리단계와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S11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지단계(S110)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1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1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1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1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1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이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1속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뜻하며,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속도는 탈수단계(S600)시 회전속도인 상기 제3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된 회전속도로 바람직하게는 42 RP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1시간이 경과(S13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1속도로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S11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1측정값)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5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보다 작으면(S180), 상기 제1측정단계(S150) 및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라도, 상기 제1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에 도달하면(S18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1측정단계(S150) 및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로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1기준값도 기 설정된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200 A.U일 수 있다.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2속도로 바로 가속시키지 않고 상기 제1속도에서 상기 제1시간동안 안정화 시킨 후, 상기 제1시간 경과 후 상기 제2시간안에 측정된 UB값인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을 만족하면 바로 상기 제2유지단계(S210)로 진행하는 이유는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이하 이므로 상기 제1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하므로, 실제적으로 언밸런스 발생의 예측에 사용되는 측정값인 제2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바로 가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1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를 바로 제2속도로 가속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제1측정값을 다시 측정(S150)하고 상기 제1기준값과 다시 비교(S170)한다. 이를 무한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시간 경과 후 진행시간인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여도,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더 이상 제11측정값을 다시 측정(S150)하고 상기 제1기준값과 다시 비교(S170)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측정값으로 탈수단계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예측하는데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을 제1시간 및 제2시간동안 제1속도로 유지하는 동안 세탁물이 어느 정도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드럼(3)을 제2속도로 바로 가속하지 않고 제1속도를 거치는 이유는 제1속도에서 제1시간 및 제2시간을 합한 시간 동안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올려지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측정값은 최대 5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2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을 제2속도로 가속(S210)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는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는 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8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을 제1속도에서 제2속도로 가속하여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2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상기 제1속도에서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2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2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3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이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2속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뜻하며,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속도는 탈수단계(S600)시 회전속도인 상기 제3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8 RP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3시간이 경과(S23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2측정값)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25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17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00)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보다 작으면(S280), 상기 제2측정단계(S250) 및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27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270)라도, 상기 제3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에 도달하면(S28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2측정단계(S250) 및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27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00)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2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2기준값도 기 설정된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150 A.U일 수 있다. A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1속도보다 제2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 제2속도에서는 제1속도에서와 달리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분산이 더 잘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을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4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측정값은 최대 5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4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2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00)할 수 있다.
이는 이미 드럼(3)이 제2속도로 회전시, 제2기준값을 만족하므로, 더 이상 제2속도로의 회전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한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S400)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S110), 상기 제1측정단계(S150), 상기 제2유지단계(S210), 상기 제2측정단계(S250), 및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S300)를 반복할 수 있다.
반복시에는 반복할 때마다 기 설정된 대기시간을 둘 수 있다. 즉, 드럼(3)의 회전을 중단 시킨 후 바로 제1유지단계(S110)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기시간만큼 대기 후에 다시 제1유지단계(S110)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반복횟수가 2회로 설정된 경우, 드럼(3)의 회전속도만을 가지고 기술하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는 정지,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회전 중단, 대기시간,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중단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지단계(S110)은 제1시간동안 유지(S130)되며, 제1측정단계는 최대 제2시간까지 유지(S180)되고, 그 전에라도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를 만족(S17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2유지단계(S210)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지단계(S210)은 제3시간동안 유지(S130)되며, 제2측정단계는 최대 제4시간까지 유지(S180)되고, 그 전에라도 제2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S17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드럼(3)을 중단시키는 단계(S300) 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반복횟수는 바람직하게는 4회로 설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반복하는 동안,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1횟수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제1횟수는 UB예측단계(S30, 도2 참조)에서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총 횟수를 뜻한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횟수에 따라 탈수단계에서 이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측정값에 근거하여 탈수단계에서 이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회의 반복횟수 중 제1횟수가 0번이면 큰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속도 또는 제2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기 설정된 제3속도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탈수단계(S600)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느슨하게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UB를 감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탈수진입단계에서의 포분산이 더 이루어지게 설정할 수 있다.
언밸런스 기준값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거나, 포분산을 충분히 하지 않아, 탈수진입단계에서 언밸런스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드럼(3)의 회전을 감속하거나 중단한 후 다시 탈수진입단계로 들어가는 것보다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및 소음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수단계(S600)는 한번만 행해지므로 간이탈수가 아닌 본탈수에 해당한다.
[표 1]
Figure pat00004
즉, 탈수횟수가 1회이고, 이 때 반복횟수가 4회로 설정된 경우, 제1횟수가 0번이면 한번도 제2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이므로, 큰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속도 또는 제2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기 설정된 제3속도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탈수단계(S600)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느슨하게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UB를 감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탈수진입단계에서의 포분산이 더 이루어지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1반복횟수가 2회 이하, 즉 1회 또는 2회인 경우에는 중간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 제1반복횟수가 3회 이상, 즉 3회 또는 4회인 경우에는 작은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탈수단계(S600)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엄격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미 포의 분산이 잘 되어 있거나, 물의 함습량이 작아 탈수진입단계에서의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와 달리 설정하여도 UB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도5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코스선택에 따라 선택된 코스를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경우, 제1UB를 예측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헹굼과정을 선택했을 경우와 달리 헹굼과정 2번과 탈수과정 2번을 수행할 수 있다.
크게 본 발명의 제어방법의 일례는 물이 저장된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1이물질 분리단계 및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1배수단계 이후,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제1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1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000),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제2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2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2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2000),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하는 제1중단단계(S3300),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보다 높은 기 설정된 제3속도로 탈수하는 제1탈수단계(S3600),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제3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3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3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4000),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제4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3)의 UB값인 제4측정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4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5000),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하는 제2중단단계(S6300) 및 제2측정값과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이후 진행될 탈수단계에서의 UB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드럼(3)을 제3속도보다 높은 기 설정된 제6속도로 탈수하는 제2탈수단계(S66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속도란, 제2속도로 드럼(3)을 회전시키기 전, 드럼(3) 내부에서 세탁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드럼(3)을 기설정된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속도란, 드럼(3)의 회전시 언밸런스 발생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드럼(3)의 회전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8 RPM일 수 있다. 제3속도는 제1탈수단계에서 이용되는 회전속도이다.
제4속도란, 제1탈수단계이후, 정지된 드럼(3)을 제5속도로 드럼(3)을 회전시키기 전, 드럼(3) 내부에서 세탁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드럼(3)을 기설정된 제4속도로 회전시키는 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5속도란, 드럼(3)의 회전시 언밸런스 발생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드럼(3)의 회전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8 RPM일 수 있다. 제6속도는 최종적인 제2탈수단계에서 이용되는 회전속도이다.
제1측정값은 제1탈수단계전, 드럼(3)이 제1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1기준값은 제1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제2측정값은 드럼(3)이 제2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2기준값은 제2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제3측정값은 제1탈수단계후, 드럼(3)이 제4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3기준값은 제3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제4측정값은 드럼(3)이 제5속도로 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한 값이고, 제4기준값은 제4측정값이 만족해야 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속도와 제4속도가 동일하고, 제2속도와 제5속도가 동일할 수 있다. 제1기준값과 제3기준값이 동일할 수 있고, 제2기준값과 제4기준값이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이물질 분리단계(S15), 상기 제1배수단계(S25), 상기 제2탈수단계에 필요한 UB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UB 발생정도를 예측하는 제1UB예측단계(S35), 상기 드럼(3) 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1탈수단계(S45);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S55);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2이물질 분리단계 (S65);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S75); 상기 제2탈수단계에 필요한 UB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UB 발생정도를 예측하는 제2UB예측단계(S85) 및 UB 기준값에 따른 제2탈수단계(S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UB 예측단계(S35, 도2)는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S1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500);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S1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2500); 상기 제2측정단계(S2500)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S2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1중단단계(S33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제2UB 예측단계(S85, 도2)는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4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4속도를 유지하는 제3유지단계(S4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S4500);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S4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5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5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S5500); 상기 제4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4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4기준값 이하(S5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2중단단계(S6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3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6속도까지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2탈수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제2탈수단계(S6600) 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6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 및 상기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5는 상기 제1UB 예측단계(S35, 도2 참조)에 대해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2UB 예측단계(S85, 도2 참조)에 대해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물이 저장된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1이물질 분리단계(S15, 도2참조)와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S25, 도2참조)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S11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지단계(S1100)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1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1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1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1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1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속도는 탈수단계(S3600)시 회전속도인 상기 제3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된 회전속도로 바람직하게는 42 RP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1시간이 경과(S130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1속도로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S11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1측정값)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5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보다 작으면(S1800), 상기 제1측정단계(S1500) 및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0)라도, 상기 제1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에 도달하면(S180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1측정단계(S1500) 및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S1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로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1기준값도 기 설정된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200 A.U일 수 있다.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2속도로 바로 가속시키지 않고 상기 제1속도에서 상기 제1시간동안 안정화 시킨 후, 상기 제1시간 경과 후 상기 제2시간안에 측정된 UB값인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을 만족하면 바로 상기 제2유지단계(S2100)로 진행하는 이유는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이하 이므로 상기 제1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하므로, 실제적으로 언밸런스 발생의 예측에 사용되는 측정값인 제2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바로 가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1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를 바로 제2속도로 가속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제1측정값을 다시 측정(S1500)하고 상기 제1기준값과 다시 비교(S1700)한다. 이를 무한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시간 경과 후 진행시간인 상기 제2시간동안,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더 이상 1측정값을 다시 측정(S1500)하고 상기 제1기준값과 다시 비교(S1700)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측정값으로 탈수단계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예측하는데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을 제1시간 및 제2시간동안 제1속도로 유지하는 동안 세탁물이 어느 정도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드럼(3)을 제2속도로 바로 가속하지 않고 제1속도를 거치는 이유는 제1속도에서 제1시간 및 제2시간을 합한 시간 동안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올려지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측정값은 최대 5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2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을 제2속도로 가속하여 유지(S2100)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는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는 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8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을 제1속도에서 제2속도로 가속하여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2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상기 제1속도에서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2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2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3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이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2속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뜻하며,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속도는 제1탈수단계(S3600)시 회전속도인 상기 제3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8 RP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3시간이 경과(S230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21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2측정값)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25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170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300)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170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보다 작으면(S2800), 상기 제2측정단계(S2500) 및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2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2700)라도, 상기 제3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에 도달하면(S280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2측정단계(S2500) 및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S2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300)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2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2기준값도 기 설정된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150 A.U일 수 있다.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1속도보다 제2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 제2속도에서는 제1속도에서와 달리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분산이 더 잘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을 제1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4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측정값은 최대 5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4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2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의 회전을 중단(S3300)할 수 있다.
이는 이미 드럼(3)이 제2속도로 회전시, 제2기준값을 만족하므로, 더 이상 제2속도로의 회전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한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1반복횟수(S3400)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S1100), 상기 제1측정단계(S1500), 상기 제2유지단계(S2100), 상기 제2측정단계(S2500), 및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1중단단계(S3300)를 반복할 수 있다.
반복시에는 기 설정된 제1대기시간을 둘 수 있다. 즉, 드럼(3)의 회전을 중단 시킨 후 바로 제1유지단계(S1100)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대기시간만큼 대기 후에 다시 제1유지단계(S1100)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1반복횟수가 2회로 설정된 경우, 드럼(3)의 회전속도만을 가지고 기술하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는 정지,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제1중단, 제1대기시간,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제1중단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지단계(S1100)은 제1시간동안 유지(S1300)되며, 제1측정단계는 최대 제2시간까지 유지(S1800)되고, 그 전에라도 제1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를 만족(S170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2유지단계(S2100)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지단계(S2100)은 제3시간동안 유지(S2300)되며, 제2측정단계(S2500)는 최대 제4시간까지 유지(S1800)되고, 그 전에라도 제2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S170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드럼(3)을 중단시키는 단계(S3300) 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반복횟수는 바람직하게는 3회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반복횟수만큼 반복하는 동안,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1횟수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제1횟수는 제1UB예측단계(S35, 도2 참조)에서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총 횟수를 뜻한다.
또한, 매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1대기시간만큼 대기 후 반복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을 중단(S3300)한 후 다시 제1유지단계(S1100)을 개시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대기시간만큼 대기 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2속도보다 높은 기 설정된 제3속도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제1탈수단계(S3600)을 개시한다.
상기 제1탈수단계(S3600)의 경우, 세탁물에 적셔진 물이 빠져 나가도록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어부가 드럼구동부(35)를 구동하여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포가 탈수된다. 그러나, 제1탈수단계(S3600)는 세탁물이 건조될 정도로 탈수할 필요는 없으며, 포에 고농도의 세탁 세제가 잔류할 수 있도록 드럼(3)은 세탁물이 드럼(124) 내벽에 붙어 회전할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 제1탈수단계(S3600)에서의 회전속도인 제3속도는 100 RPM 이상 1000 RP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S55, 도2참조);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2이물질 분리단계 (S65, 도2참조);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S75, 도2참조)를 진행 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2 UB예측단계(S85, 도2 참조)를 진행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제2UB 예측단계(S85, 도2참조)는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4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4속도를 유지하는 제3유지단계(S4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4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S4500);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S4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5100); 상기 드럼(3)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S5500); 상기 제4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4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4기준값 이하(S5700)이면,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2중단단계(S6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3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6속도까지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2탈수단계(S6600);를 진행하고, 상기 제2탈수단계(S6600) 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6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 및 상기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3유지단계(S4100)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4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4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4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4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4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5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5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5속도는 두번의 탈수단계(S3600, S6600)시 회전속도인 상기 제3속도 및 상기 제6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된 회전속도로 바람직하게는 42 RP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속도와 상기 제4속도는 동일할 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4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5시간이 경과(S430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4속도로 유지하는 제3유지단계(S41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5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3측정값)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S45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 이하(S470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6100)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470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5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6시간보다 작으면(S4800), 상기 제3측정단계(S4500) 및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 이하(S4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4700)라도, 상기 제5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6시간에 도달하면(S480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3측정단계(S4500) 및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 이하(S4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5100)로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3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3준값도 기 설정된 제3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3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200 A.U일 수 있다.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드럼(3)을 정지상태에서 상기 제5속도로 바로 가속시키지 않고 상기 제4속도에서 상기 제5시간동안 안정화 시킨 후, 상기 제5시간 경과 후 상기 제6시간안에 측정된 UB값인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을 만족하면 바로 상기 제4유지단계(S5100)로 진행하는 이유는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이하 이므로 상기 제4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하므로, 실제적으로 언밸런스 발생의 예측에 사용되는 측정값인 제4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바로 가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4속도에서 언밸런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를 바로 제5속도로 가속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제3측정값을 다시 측정(S4500)하고 상기 제3기준값과 다시 비교(S4700)한다. 이를 무한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5시간 경과 후 진행시간인 상기 제6시간이 경과하여도,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더 이상 제3측정값을 다시 측정(S4500)하거나 상기 제3기준값과 다시 비교(S4700)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5100)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측정값으로 탈수단계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예측하는데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을 제5시간 및 제6시간동안 제4속도로 유지하는 동안 세탁물이 어느 정도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드럼(3)을 제5속도로 바로 가속하지 않고 제4속도를 거치는 이유는 제4속도에서 제5시간 및 제6시간을 합한 시간 동안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올려지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5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측정값은 최대 5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5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을 제5속도로 가속하여 유지(S2100)할 수 있다.
상기 제5속도는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는 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8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속도와 상기 제5속도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을 제4속도에서 제5속도로 가속하여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S5100)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5속도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상기 드럼(3)을 상기 제4속도에서 상기 제5속도로 가속시 바로 제5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섭동(fluctuation)을 거친 후 상기 제5속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5속도로 안정적으로 돌기 위한 제7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7시간이란, 상기 드럼(3)을 상기 제5속도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뜻하며,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초 보다 작게 설정되면 안정화하는데 시간이 부족하고, 3초보다 길어지면, 의도치 않게 탈수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5속도에 도달 후 상기 제7시간이 경과(S5300)할 때까지, 상기 드럼(3)을 제2속도로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S51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이 경과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언밸런스 크기를 측정(제4측정값)을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S550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 이하(S5700)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하는 제2중단단계(S6300)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5700)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8시간이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8시간보다 작으면(S5800), 상기 제4측정단계(S5500) 및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 이하(S5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5700)라도, 상기 제7시간의 경과 후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8시간에 도달하면(S2800),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더 이상 상기 제4측정단계(S5500) 및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 이하(S5700)인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지 않고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하는 제2중단단계(S36300)를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측정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속도 UB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4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고, 제4기준값도 기 설정된 제4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일 수 있다. 제4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바람직하게는 150 A.U일 수 있다. A.U란 측정값의 처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나, 언밸런스 이동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속도값이 전류값으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단위는 전류값의 단위인 A(암페어)나 mA(밀리암페어)일 수 있다.
제4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은 제3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4속도보다 제5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 제5속도에서는 제4속도에서와 달리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달라붙어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분산이 더 잘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4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을 제3기준 언밸런스 이동평균값(UBVMA)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8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측정값은 최대 8초동안의 UBVMA값일 수 있다. 또한, 제8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세탁물이 분산되는 경우 재측정한 제4측정값이 제4기준값 이하를 만족할 수 있고, 이는 언밸런스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바로 드럼(3)의 회전을 중단(S6300)할 수 있다.
이는 이미 드럼(3)이 제5속도로 회전시, 제4기준값을 만족하므로, 더 이상 제4속도로의 회전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한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언밸런스 발생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2반복횟수(S6400)만큼 상기 제3유지단계(S4100), 상기 제3측정단계(S4500), 상기 제4유지단계(S5100), 상기 제4측정단계(S5500), 및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2중단단계(S6300)를 반복할 수 있다.
반복시에는 반복할 때마다 기 설정된 제2대기시간을 둘 수 있다. 즉, 드럼(3)의 회전을 중단 시킨 후 바로 제1유지단계(S1100)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대기시간만큼 대기 후에 다시 제1유지단계(S1100)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1반복횟수가 2회로 설정된 경우, 드럼(3)의 회전속도만을 가지고 기술하면,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는 정지,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회전 중단, 제2대기시간, 제1속도 회전, 제2속도 회전, 중단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유지단계(S4100)은 제5시간동안 유지(S4300)되며, 제3측정단계는 최대 제6시간까지 유지(S4800)되고, 그 전에라도 제3측정값이 제3기준값 이하를 만족(S470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4유지단계(S5100)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4유지단계(S5100)은 제7시간동안 유지(S5300)되며, 제4측정단계(S2500)는 최대 제8시간까지 유지(S5800)되고, 그 전에라도 제2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하를 만족(S5700)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드럼(3)을 중단시키는 단계(S6300) 으로 진행하는 것도 포함하여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2반복횟수는 바람직하게는 3회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반복횟수만큼 반복하는 동안,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 이하를 만족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횟수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제2횟수는 제2UB예측단계(S35, 도2 참조)에서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총 횟수를 뜻한다.
또한, 매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2대기시간만큼 대기 후 반복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을 중단(S6300)한 후 다시 제3유지단계(S4100)을 개시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대기시간만큼 대기 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3속도보다 높은 기 설정된 제6속도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제2탈수단계(S6600)을 개시한다.
상기 제2탈수단계(S6600)의 경우, 세탁물에 적셔진 물이 빠져 나가도록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어부가 드럼구동부(35)를 구동하여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이 드럼(3)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탈수된다. 제2탈수단계(S85)에서 드럼(3)의 회전속도는 1000 RP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탈수단계(S3600)의 회전속도는 제2탈수단계(S6600)의 회전속도보다 작으므로 언밸런스의 크기가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탈수단계(S3600)에서 언밸런스의 발생을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탈수단계(S3600)전에 수행하는 제1UB예측단계(S35, 도2참조)에서의 결과는 상기 제2UB예측단계(S85, 도2참조)의 결과와 합해 상기 제2탈수단계(S6600)에서의 언밸런스의 크기를 예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2번의 UB예측단계(S35, S85)를 거치게 되어 보다 정확히 제2탈수단계(S6600)에서의 언밸런스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2번의 UB예측단계(S35, S85)를 통해 언밸런스(또는 UB)의 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탈수시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예상된 언밸런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탈수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횟수 및 상기 제2횟수의 합 따라 탈수단계에서 이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측정값 및 상기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최종 탈수단계(S6600)에서 이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반복횟수가 3회이고, 상기 제2반복횟수가 3회인 경우, 총 6회의 반복횟수 중 제1횟수 및 제2횟수의 합이 0번이면 큰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탈수단계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느슨하게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UB를 감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최종탈수 전 추가될 수 있는 탈수진입단계에서의 포분산이 더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언밸런스 기준값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거나, 포분산을 충분히 하지 않아, 탈수진입단계에서 언밸런스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드럼(3)의 회전을 감속하거나 중단한 후 다시 탈수진입단계로 들어가는 것보다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및 소음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즉, 탈수횟수가 2회이고, 이 때 제1반복횟수와 제2반복횟수가 각각 3회로 설정된 경우, 총 반복횟수는 6회가 된다. 만약 제1횟수와 제2횟수의 합이 0번이면 한번도 제2기준값 또는 제4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이므로, 큰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속도 또는 제5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기 설정된 제6속도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탈수단계(S6600)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느슨하게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UB를 감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탈수진입단계에서의 포분산이 더 이루어지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1횟수와 제2횟수의 합이 3회 이하, 즉 1회, 2회 또는 3회인 경우에는 중간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횟수와 제2횟수의 합이 4회 이상, 즉 4회, 5회, 6회인 경우에는 작은 UB를 갖는 포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탈수단계(S6600)에서 사용될 언밸런스 기준값을 엄격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미 포의 분산이 잘 되어 있거나, 물의 함습량이 작아 탈수진입단계에서의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와 달리 설정하여도 UB발생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15: 베이스 16: 제1측면패널
17: 제2측면패널 2: 터브 21: 터브 바디
211: 전방커버 213: 후방커버 23: 터브 투입구
3: 드럼 31: 드럼 바디 32: 드럼 관통홀
33: 드럼 투입구 35: 드럼 구동부 41: 절연바디
43: 유입관 49: 잔수배출관 5: 세제공급부
51: 케이스 52: 드로워 521: 저장부
523: 세제배출구 53: 배출관 561: 급수관
563: 급수밸브 6: 배수부 61: 챔버
63: 제1배수관 65: 배수펌프 67: 제2배수관

Claims (21)

  1.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3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1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유지단계는 상기 제1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 이상인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제2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3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 이상인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1횟수에 따라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횟수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각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대기시간만큼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1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1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1속도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2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2속도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2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1중단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3속도로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1탈수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제2이물질 분리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제4속도에 도달 한 후 상기 제4속도를 유지하는 제3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제5속도까지 가속한 후 상기 제5속도를 유지하는 제4유지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5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
    상기 제4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4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4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제2중단단계;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3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6속도까지 가속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6속도로 가속하는 동안 측정된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언밸런스 기준값보다 크면 중단되며,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상기 제2측정값 및 상기 제4측정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1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유지단계는 상기 제1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시간 이상인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제2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3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4시간 이상인 때 상기 제1중단단계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정단계는 상기 제3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5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정값이 상기 제3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4유지단계는 상기 제3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6시간 이상인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정단계는 상기 제3유지단계를 기 설정된 제7시간동안 유지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정값이 상기 제4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4측정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8시간 이상인 때 상기 제2중단단계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은
    기 설정된 제1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1중단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2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1횟수 및
    기 설정된 제2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3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상기 제4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및 상기 제2중단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4기준값 이하에 도달한 횟수인 제2횟수의 합에 따라 상기 언밸런스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1유지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 상기 제2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1중단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1대기시간만큼 대기하고,
    상기 제2반복횟수 만큼 상기 제3유지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 상기 제4유지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2중단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반복시마다 기 설정된 제2대기시간만큼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복횟수와 상기 제2반복횟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기시간과 상기 제2대기시간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속도와 상기 제4속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속도와 상기 제5속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71817A 2019-12-20 2019-12-2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79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17A KR20210079728A (ko) 2019-12-20 2019-12-2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0904056.7A EP4063551A4 (en) 2019-12-20 2020-12-17 METHOD OF CONTROLLING A GARMENT PROCESSING DEVICE
CN202080088278.2A CN114829692B (zh) 2019-12-20 2020-12-17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PCT/KR2020/018493 WO2021125812A1 (ko) 2019-12-20 2020-12-1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7/787,138 US20230035888A1 (en) 2019-12-20 2020-12-17 Method for controlling garment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17A KR20210079728A (ko) 2019-12-20 2019-12-2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28A true KR20210079728A (ko) 2021-06-30

Family

ID=7647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817A KR20210079728A (ko) 2019-12-20 2019-12-2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5888A1 (ko)
EP (1) EP4063551A4 (ko)
KR (1) KR20210079728A (ko)
CN (1) CN114829692B (ko)
WO (1) WO20211258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841B2 (en) * 2001-09-21 2003-07-22 Maytag Corporation Unbalance detection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100413467B1 (ko) 2001-11-29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JP4206865B2 (ja) * 2003-08-25 2009-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CN1683631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的脱水控制方法
KR101065690B1 (ko) * 2004-06-25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DE102006035014B4 (de) * 2005-08-01 2016-02-11 Lg Electronics Inc. Steuerverfahren für einen Schleudergang in einer Waschmaschine
KR100794594B1 (ko) * 2005-09-1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4961195B2 (ja) * 2006-11-21 2012-06-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2012170675A (ja) * 2011-02-23 2012-09-10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20109171A (ko) * 2011-03-28 2012-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US10066333B2 (en) * 2014-02-21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KR101757303B1 (ko) * 2016-05-31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6400391B (zh) * 2016-11-07 2018-10-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脱水平衡调节方法、装置及洗衣机
KR102325965B1 (ko) * 2017-03-27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9692B (zh) 2023-11-03
CN114829692A (zh) 2022-07-29
WO2021125812A1 (ko) 2021-06-24
US20230035888A1 (en) 2023-02-02
EP4063551A4 (en) 2023-01-18
EP4063551A1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778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8753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3316427B2 (ja) 遠心脱水装置
US3235082A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US10138584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534078A (ja) 洗濯機の低速プレバランシング
KR102541172B1 (ko)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JP2010207316A (ja) 洗濯機
US759682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1018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04224B1 (ko) 세탁기 제어방법
JPH0623389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7972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380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3536566B2 (ja) 洗濯機
JPH10305189A (ja) 遠心脱水装置
KR101154953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RU250732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2018008996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H10201988A (ja) 洗濯機
KR102625455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3182367B2 (ja) 遠心脱水装置
KR100751795B1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KR10240155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3148679B2 (ja) 遠心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