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896B1 -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 Google Patents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896B1
KR102325896B1 KR1020210125837A KR20210125837A KR102325896B1 KR 102325896 B1 KR102325896 B1 KR 102325896B1 KR 1020210125837 A KR1020210125837 A KR 1020210125837A KR 20210125837 A KR20210125837 A KR 20210125837A KR 102325896 B1 KR102325896 B1 KR 10232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layer
weight
parts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김정은
장형섭
Original Assignee
한창훈
김정은
장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훈, 김정은, 장형섭 filed Critical 한창훈
Priority to KR102021012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896B1/ko
Priority to KR1020210150196A priority patent/KR102600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가 개시된다. 상기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열되는 칼라층, 상기 칼라층 위에 배열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배열되며, 2액형 경화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1 반경화층 및 상기 제 1 반경화층 위에 배열되며,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상기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2 반경화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경화층과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동일한 성분을 가지되 조성비는 다르고, 상기 제 1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및 상기 유기 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4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유기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SEMI HARDENING GEL TYPE NAIL STICKER INCLUDING PLURAL SEMI HARDENING LAYERS}
본 발명은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네일 스티커는 손톱에 접착 후 자연 경화시키며, 그 결과 수정하거나 재접착시키기가 어렵다.
KR 10-2251741 B
본 발명은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열되는 칼라층; 상기 칼라층 위에 배열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배열되며, 2액형 경화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1 반경화층; 및 상기 제 1 반경화층 위에 배열되며,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상기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2 반경화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경화층과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동일한 성분을 가지되 조성비는 다르고, 상기 제 1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및 상기 유기 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4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유기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여 반경화 상태로 flexibility를 부여하여 손톱에 접착시 밀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표면 tack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2개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면, 반경화 상태로 flexibility를 부여하여 손톱에 접착시 밀착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표면 tack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경화층들은 동일한 성분을 가지되, 다른 성분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반경화층들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예를 들어 PET로 형성된 이형 필름(100), 베이스층(102), 칼라층(104), 프라이머층(106), 제 1 반경화층(110) 및 제 2 반경화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상단의 2개의 층들을 반경화층들(110 및 112)로 형성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반경화층들(110 및 112)의 하부 층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된 이형 필름(100), 베이스층(102), 칼라층(104) 및 프라이머층(106)의 구조 외에도 다양한 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경화층(110)의 하부에 이형 필름, 경화형 접착제층, 칼라층 및 인쇄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형 필름(100), 베이스층(102), 칼라층(104) 및 프라이머층(106)을 포함하는 구조를 반경화 하부층으로 명명하겠다.
즉, 상기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는 반경화 하부층 위에 반경화층들(110 및 112)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층(102)은 이형 필름(100) 위에 배열되며, 손톱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층(102)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항균필름일 수 있다.
칼라층(104)은 베이스층(102)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젤네일 스티커의 배경 색상을 표현해주기 위한 층이며,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베이스층(102) 위에 도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순 안료가 아니라 안료에 UV 경화수지가 혼합된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106)은 칼라층(104) 위에 배열되어 칼라층(104)과 제 1 반경화층(108) 사이의 층 분리를 방지하며,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반경화층(108) 및 제 2 반경화층(110)은 프라이머층(106) 위에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젤층이다.
제 1 반경화층(108)은 반경화 상태로 flexibility를 부여하여 손톱에 접착시 밀착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 2 반경화층(110)은 반경화 상태에서도 표면 tack을 최소화시켜 상품 유통 과정 동안 온습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하고 자외선 경화 후 도막의 강도와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사용자 활동 중에 마찰 또는 화장품 등의 생활화학 물질의 접촉에 의한 도막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모두 반경화 상태이지만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동일한 조성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조성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하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학결합 경화 수지(2액형 경화 수지), 상기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경화 수지, 유동성을 부여하는 유기용매(organic solvent) 및 첨가제를 포함하되, 조성비가 다를 수 있다. 이렇게 조성비가 다른 이유는 반경화층들(108 및 110)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 1 반경화층(108)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우레탄 37 중량부, 광 개시제 40 중량부, 유기용매 20 중량부 및 첨가제 3 중량부를 가지는 반면에, 제 2 반경화층(110)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우레탄 40 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30 중량부, 유기용매 25 중량부 및 첨가제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경화층 조성비에서, 2액형 경화 수지가 45 초과 중량비를 가지면 램프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 2 반경화층 조성비에서 2액형 경화 수지가 45 미만의 중량비를 가지면 표면 도막에 끈적임이 발생하고 도막 자체가 흐물흐물해질 수 있다.
제 1 반경화층 조성비에서, 자외선 경화 수지가 35 미만의 중량비를 가지면 램프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 2 반경화층 조성비에서 자외선 경화 수지가 35 초과 중량비를 가지면 표면 도막에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성분 성분예 제 1 반경화층 조성비(중량부) 제 2 반경화층 조성비(중량부)
화학 결합 경화 수지(2액형 경화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우레탄(Polyester polyol Urethane)
폴리 이소시아네이트(Poly isocyanate)

35 ~ 45

45 ~ 55

자외선 경화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광 개시제(Photo initiator)

35 ~ 45

25 ~ 35
유동성 부여 수지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5 ~ 25 15 ~ 25
첨가제 0 ~ 5 0 ~ 5
상기 유기용매는 이소포론(isophorone), 시클로헥사논(Cyclohexnon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 meth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l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MA)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Aromatic Hydro carbon solvent)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경화층(108)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우레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유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반면에, 제 2 반경화층(110)은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광 개시제, 유기용매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희석제로 모노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모노머를 사용하면 상기 모노머가 저점도 비증발성 물질이므로 광 경화로 딱딱해지기 전에는 스티커의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광 경화후에는 표면 tack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티커의 표면이 끈적이면 인체에 묻어날 가능성이 있어서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반경화 상태로 유통 과정 중 migraion 또는 표면 tack발생으로 포장물 내에서 블록킹 발생으로 상품 표면이 훼손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티커에서는,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하면, 상기 유기용매가 증발성이므로 반경화 제품 작업시 도막에서 증발 제거시켜 고분자, 고점도의 반경화 도막을 유지함으로써 상품의 안정화를 높일 수 있으며 점조 조절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광 경화 전에도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경화 후에도 표면 tack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반경화층들(108 및 110)은 자외선 경화 수지에 증발 건조형 경화 수지(1액형 경화 수지)를 혼합시키는 방식이 아닌, 위의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수지에 화학 결합 경화 수지(2액형 경화 수지)를 혼합시킬 수 있다.
1액형 경화 수지를 사용하면, 도포된 도막 성분 중 표면 tack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성분을 증발로 제거하여 1차 반경화 도막을 형성시킨 후 소비자가 자외선 경화시킴에 따라 도막 물성이 완성되는 방식이나, 1차 도막 형성시 tack free 성능을 부여하는 물질이 자외선 경화 후에도 경화 반응에 참여하지 않아서 생활용품에 함유된 화학 물질로 인하여 도막 강도가 저하되고 광택 소실 등이 야기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가 도포의 별도 공정을 진행하여 착용된 제품의 내구성 등을 보완해야할 수 있다.
반면에, 2액형 경화 수지를사용하면, 반경화 도막 형성시 표면 tack free 상태를 위해 증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화학 결합을 통하여 표면 tack free 상태의 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품 유통 과정 동안 야기될 수 있는 블록킹 등의 문제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최종 소비자의 자외선 경화 후 도막의 화학성 내구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1액형 경화 수지 사용시 단점으로 지적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추가 도포 공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이형 필름 102 : 베이스층
104 : 칼라층 106 : 프라이머층
110 : 제 1 반경화층 112 : 제 2 반경화층

Claims (2)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열되는 칼라층;
    상기 칼라층 위에 배열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배열되며, 2액형 경화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1 반경화층; 및
    상기 제 1 반경화층 위에 배열되며,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및 상기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제 2 반경화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반경화층과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동일한 성분을 가지되 조성비는 다르고,
    상기 제 1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3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및 상기 유기 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경화층은 상기 2액형 경화 수지 4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유기용매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액형 경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우레탄(Polyester polyol Urethane) 또는 폴리 이소시아네이트(Poly isocyanate)가 사용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또는 광 개시제(Photo initiator)가 사용되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소포론(isophorone), 시클로헥사논(Cyclohexnon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 meth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l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MA)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Aromatic Hydro carbon solvent)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KR1020210125837A 2021-09-23 2021-09-23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KR10232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37A KR102325896B1 (ko) 2021-09-23 2021-09-23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KR1020210150196A KR102600104B1 (ko) 2021-09-23 2021-11-04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37A KR102325896B1 (ko) 2021-09-23 2021-09-23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196A Division KR102600104B1 (ko) 2021-09-23 2021-11-04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896B1 true KR102325896B1 (ko) 2021-11-11

Family

ID=785164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37A KR102325896B1 (ko) 2021-09-23 2021-09-23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KR1020210150196A KR102600104B1 (ko) 2021-09-23 2021-11-04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196A KR102600104B1 (ko) 2021-09-23 2021-11-04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5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44B1 (ko) 2022-11-08 2023-11-02 이광권 네일 영양 젤 베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07817B1 (ko) * 2020-05-29 2021-01-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1741B1 (ko) 2019-07-30 2021-05-12 노영순 스티커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스티커
KR102266629B1 (ko) * 2021-01-21 2021-06-18 신성민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06B1 (ko) * 2015-07-30 2022-03-08 김우석 젤 매니큐어 장식용 스티커와 이를 이용한 매니큐어 시술방법
KR101949267B1 (ko) * 2017-02-09 2019-02-19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140B1 (ko) * 2019-12-27 2021-09-24 (주)글루가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51741B1 (ko) 2019-07-30 2021-05-12 노영순 스티커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스티커
KR102207817B1 (ko) * 2020-05-29 2021-01-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6629B1 (ko) * 2021-01-21 2021-06-18 신성민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44B1 (ko) 2022-11-08 2023-11-02 이광권 네일 영양 젤 베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104B1 (ko) 2023-11-07
KR20230043021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303A1 (en) Optical sheet with adhesive layer,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sheet with adhesive layer, light source using optical sheet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optical sheet with adhesive layer
CN110093107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569096B (zh) 活性能量線硬化型空隙填充用薄膜及其製造方法
TW201734076A (zh) 源自來自反應性烯烴化合物與二異氫酸酯之低單體1:1單添加物,以及羧基封端之聚丁二烯的丙烯酸酯封端之烏拉坦聚丁二烯用作液態光學性澄清黏著劑(LOCAs)
KR20170039600A (ko) 절연성이 우수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접착제 조성물
JP6921586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TWI829805B (zh) 黏著片材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325896B1 (ko) 복수의 반경화층들을 포함하는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CN110093111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JP2010008928A (ja)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CN109423231A (zh) 粘着片及显示体
Sun et al. Fully cross-linked UV-induced peelable acrylic PSA prepared from a dual curable castor oil based urethane acrylate oligomer for wafer dicing
CN108239487A (zh) 粘着片以及液晶显示构件
CN114940880A (zh) 粘合剂组合物、粘合片和光学部件
JP702472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積層フィルム
JP6343460B2 (ja) 感圧接着性マイクロカプセル、感圧接着性マイクロカプセル含有液、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90071153A (ko) 자외선 경화 탈착형 접착 조성물
TW201840661A (zh) 熱塑性聚氨酯薄膜的製造方法以及利用此方法所製造出的熱塑性聚氨酯薄膜
CN114514299A (zh) 光固化性粘合剂组合物、双面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光学设备及其制造方法
EP3700975B1 (en) Actinicall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with improved properties
JP6306394B2 (ja) 印刷用シート、塗工液および印刷用シートの製造方法
KR20210062339A (ko) 표면 보호 필름
KR102306588B1 (ko) 점착성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2596425B1 (ko)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