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850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850B1
KR102325850B1 KR1020197038330A KR20197038330A KR102325850B1 KR 102325850 B1 KR102325850 B1 KR 102325850B1 KR 1020197038330 A KR1020197038330 A KR 1020197038330A KR 20197038330 A KR20197038330 A KR 20197038330A KR 102325850 B1 KR102325850 B1 KR 10232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layer
flexible
bonding member
opt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925A (ko
Inventor
미치하루 모토니시
기요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 겹쳐진 광학층과, 접속 영역이 광학층과 지지 기재와의 사이에서 협지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구비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전극층이 마련된 플렉시블 기재와, 전극층의 단부이며 단자부와 도전성 접합 부재에 의해 도통하도록 접속되는 배선 단부를 가진다. 이 배선 단부의 위치가 플렉시블 기재의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후퇴하고 있음으로써, 플렉시블 기재에는 검지 영역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이 형성된다. 입력 장치는, 이 돌출 부분의 선단보다 검지 영역측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센서부와 광학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손가락 등이 접근한 위치를 검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로서 많이 이용되는 터치패널은, 검출 영역에 손가락 등이 접근(이하, 접근에는 접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한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 있어서는, 구동측의 전극과 출력측의 전극이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측의 전극에 드라이브 펄스를 부여하여, 손가락 등의 접근에 의한 용량 변화를 출력측의 전극에서 검지하고 있다.
터치패널의 최표면에는, 화상을 클리어하게 표시함과 함께, 손가락 등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패널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센서는 표면 패널과 액정 등의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의 투광성 수지에 의해 표면 패널 및 표시 장치에 첩부(貼付)되어 있다. 또한, 터치 센서와 표면 패널과의 사이에는 편광 필름 등의 광학층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일체형 터치 편광판 및 이것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 터치패널은, 상면에 전도성층이 구비된 제 1 전도성 필름과, 전도성층 상에 구비된 제 1 접착제층과, 제 1 접착제층 상에 구비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일체형 터치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입력 장치는, 투광성의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의 일방의 면의 입력 영역에 마련된 투명 전극층과, 입력 영역을 둘러싸며, 위치하는 비입력 영역에 있어서 투명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마련된 인출 전극을 가진다. 그리고, 이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대향하는 투명 기재와 표면 부재와의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여, 표면 부재와 광학 점착층과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08181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190087호 공보
터치 패널인 입력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의 투광성 전극과의 도통을 얻기 위해 터치 센서의 기재(基材)의 가장자리부까지 배선 패턴이 연장되어 있다. 이 배선 패턴의 단부(端部)에는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단자부에 플렉시블 기판의 전극층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기판을 터치 센서의 기재에 접속할 때에, 충분한 접속 강도를 얻기 위해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영역을 기재와 광학층과의 사이에서 끼워 넣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기재에 접속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영역의 위에 광학층이 얹히게 되어, 플렉시블 기판 두께에 의거한 단차가 광학층에 발생한다. 이하, 이 단차를 광학층의 단차라고도 한다. 이 광학층의 단차에 의해 광학층과 기재와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기포로서 관찰된다. 이 기포는, 광학적 각도에 의해 간섭하거나, 고온 환경에 있어서 체적 팽창하여 광학층을 변형시키거나 함으로써, 외관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공간(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는 것도 행해지지만, 수지 주입의 공정이 필요해져, 제조 공정수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기포에 기인하는 외관 불량이 발생해도, 투광성 전극이 배치된 검지 영역 내에 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기포가 위치하는 영역과 검지 영역의 단부와의 사이에 완충 영역을 마련하는 경우가 있지만, 기포의 영역이 클 때에는 완충 영역도 크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검지 영역의 주위의 영역(이 영역에 인출 배선이 배치된다.)의 폭을 좁힌다고 하는 최근의 요구에 응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기포의 영역을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기포에 기인하는 모든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대응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센서부와 광학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의 영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지지 기재와, 지지 기재의 제 1 면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에 마련된 투광성 전극부와, 투광성 전극부와 도통하며 지지 기판의 제 1 면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의 외측에 마련된 단자부를 가지는 센서부와, 센서부와 제 1 방향으로 겹쳐진 광학층과,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 영역을 가지고, 접속 영역이 광학층과 지지 기재와의 사이에서 협지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구비한 입력 장치이다.
이 입력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전극층이 마련된 플렉시블 기재와, 전극층의 단부이며, 접속 영역에 있어서 단자부와 도전성 접합 부재에 의해 도통하도록 접속되는 배선 단부를 가진다. 이 배선 단부의 위치가 플렉시블 기재의 검지 영역측의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후퇴하고 있음으로써, 플렉시블 기재에는 전극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고 배선 단부보다 검지 영역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 장치는, 돌출 부분의 선단보다 검지 영역측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재의 돌출 부분으로부터 검지 영역측을 향해 광학층의 단차 흡수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층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기포의 영역의 길이를 좁힐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돌출 부분보다 검지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온 도전성 접합 부재의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돌출 부분의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 이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재의 돌출 부분으로부터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온 부분이 있어도, 돌출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검지 영역측을 향해, 광학층의 단차 흡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투광성 전극부와 광학층과의 사이에 마련된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보호층의 주면(主面)의 외주단부까지 보호층과 광학층을 고정하는 접착층이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기포는 보호층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기포 영역의 길이를 좁힐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보호층의 두께가, 돌출 부분의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이 0.2 이상이어도 된다. 보호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광학층에 생기는 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단차를 작게 하는 관점만으로부터는, 상기의 비율은 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바람직하고, 결과적으로 보호층의 두께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호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면, 입력 장치(터치 패널)로서의 굴곡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15㎛ 정도가 상한이며,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돌출 부분은, 돌출되는 방향에 있어서 지지 기재측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돌출 부분이 선단을 향해(검지 영역측을 향해) 서서히 내려가기 때문에, 돌출 부분이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 비해 광학층의 단차 흡수의 개시점을 외측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접합 부재는 돌출 부분의 선단보다 검지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지 않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재의 검지 영역측의 단부가 모두 돌출 부분이 되어, 광학층의 단차 흡수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검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덮는 가식(加飾)층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가식층이 마련된 영역은 불가시 영역이 되며, 불가시 영역의 내측의 영역이 시인 영역이 된다. 상기 입력 장치는 조작면(손가락 등의 조작체가 접근하는 면)측에 표면 부재(표면 패널)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와 광학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의 영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의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의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온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9는 보호층의 두께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은 돌출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한번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2에는, 입력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평면도가 나타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입력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3에는 표시 장치(100)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1)는, 예를 들면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인 센서부(10)와, 센서부(10)와 제 1 방향(D1)으로 겹쳐진 표면 패널(표면 기재)(20)과, 센서부(10)와 표면 패널(20)과의 사이에 마련된 광학층(30)과, 센서부(10)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을 구비한다. 입력 장치(1)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다. 입력 장치(1)는, 액정 등의 표시 장치(100)의 위에 장착된다.
센서부(10)는, 검지 영역(SA)의 검출 영역에 손가락 등이 접근한 경우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위치 검출을 행한다. 센서부(10)는, 지지 기재(15)와, 지지 기재(15)의 제 1 면(15a)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SA)에 마련된 투광성 전극부인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을 구비한다. 지지 기재(15)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 COC(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가요성 필름, 아크릴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경질의 투광성 판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11)은 지지 기재(15)의 표면을 따른 일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전극(12)은 지지 기재(15)의 표면을 따라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은 서로 절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Y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1 전극(11)이 배치되고, X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2 전극(12)이 배치된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을 구성하는 전극의 패턴은 각종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의 각각은 복수의 섬 형상 전극부를 가진다. 각 섬 형상 전극부는 예를 들면 마름모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은 검지 영역(SA)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에는 투광성 도전 재료(ITO(Indium Tin Oxide), SnO2, ZnO, 도전성 나노 재료,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재료 등)이 이용된다.
지지 기재(15)의 검지 영역(SA)의 외측인 주변 영역(EA)에는 단자부(155)가 마련된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과 도통하는 인출 패턴(150)은 주변 영역(EA)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단자부(155)와 접속된다. 단자부(155)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영역(CA)에 있어서 배선 단부(455)와 접속된다.
제 1 전극(11), 제 2 전극(12) 및 인출 패턴(150)의 위에는 보호층(50)이 마련된다. 보호층(50)은 커버 필름이며, 제 1 전극(11), 제 2 전극(12) 및 인출 패턴(150)과, 광학층(30)과의 사이에 마련된다.
센서부(10)의 위(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이 형성된 측)에는, 센서부(10)를 보호하기 위한 표면 패널(20)이 마련된다. 표면 패널(20)은, 유리나 플라스틱에 의한 투광성을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부재이다.
센서부(10)와 표면 패널(20)과의 사이에 마련된 광학층(30)은, 예를 들면 편광판, 1/4λ 위상차판, 또는 이들을 적층한 광학 조정 기재이다. 광학층(30)은 필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학층(30)은, 지지 기재(15)와 동일한 재료(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OP(Cyclo Olefin Polymer: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COC(Cyclo Olefin Copolymer: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가요성 필름, 아크릴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경질의 투광성 판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층(30)은 접착제(35)에 의해 센서부(10)의 위에 첩부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영역(CA)은, 광학층(30)의 예를 들면 단부와 지지 기재(15)와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영역(CA)이 광학층(30)과 지지 기재(15)와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음으로써,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을 굴곡시킨 경우의 지지 기재(15)로의 응력 인가에 의한 부하를 경감하고, 지지 기재(15)의 파손이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박리를 억제하고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영역(CA)을 광학층(30)과 지지 기재(15)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구성에서는, 필름 형상의 광학층(30)의 단부가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위에 얹혀지도록 하여 고정된다. 광학층(30)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두께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흡수하도록 센서부(10)에 첩부되게 된다. 이 단차에 의해, 광학층(30)과 센서부(1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단부보다 검지 영역(SA)측에는 공간(기포 영역(A))이 발생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은, 전극층(45)이 마련된 플렉시블 기재(41)를 가진다. 플렉시블 기재(41)에는, 폴리이미드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 기재가 이용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은, 표면측의 플렉시블 기재(41)와, 이면측의 플렉시블 기재(42)와의 사이에 전극층(45)을 협지한 구조로 되어 있다.
배선 단부(455)는 전극층(45)의 단부이다. 배선 단부(455)는, 이면측의 플렉시블 기재(42)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배선 단부(455)는 접속 영역(CA)에 있어서 단자부(155)와 도전성 접합 부재(80)에 의해 도통하도록 접속된다. 도전성 접합 부재(80)에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이용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배선 단부(455)와, 지지 기재(15)의 단자부(155)와의 사이에서 도전성 접합 부재(80)를 협지하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배선 단부(455)와 단자부(155)와의 사이의 도통을 얻을 수 있다.
표면 패널(20)과 광학층(30)과의 사이에는 접착 수지층(70)이 접착층으로서 마련된다. 접착 수지층(70)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의 투광성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주변 영역(EA)에 있어서의 광학층(30)의 표면 패널(20)측에는 가식층(60)이 마련된다. 가식층(60)은 예를 들면 표면 패널(20)의 이면에 마련된다. 검지 영역(SA)의 외측인 주변 영역(EA)을 가식층(60)으로 커버함으로써, 인출 패턴(150)이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주변 영역(EA)에 마련된 인출 패턴(150)의 불가시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관점에서,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식층(60)의 내측의 단부는, 주변 영역(EA)의 검지 영역(SA)측의 단부보다 내측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D1 방향에서 볼 때, 가식층(60)이 마련된 영역은 불가시 영역(DA)이 되며, 불가시 영역(DA)의 내측에 시인 영역(VA)이 위치한다.
여기서, 한정되지 않는 예시로서, 각 구성 부재의 두께를 나타낸다. 플렉시블 기재(41)의 두께는 약 10㎛~25㎛, 바람직하게는 약 10㎛~15㎛이며, 전극층(45)의 두께는 약 12㎛~25㎛, 전형적으로는 약 20㎛이고, 플렉시블 기재(42)의 두께는 약 30㎛이며, 도전성 접합 부재(80)의 두께는 약 3㎛~10㎛이고, 광학층(30)의 두께는 약 150㎛이며, 접착제(35)의 두께는 약 10㎛~20㎛이고, 보호층(50)의 두께는 약 5㎛~15㎛이다. 따라서, 광학층(30)은 약 30㎛~40㎛ 정도의 단차의 위에 장착되고, 이 단차의 부분에 기포 영역(A)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 장치(1)에 있어서, 배선 단부(455)의 위치는 플렉시블 기재(41)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SA)측의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후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재(41)에는 전극층(45)이 적층되어 있지 않고 배선 단부(455)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411)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돌출 부분(411)의 선단(411a)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을 가짐으로써, 플렉시블 기재(41)의 돌출 부분(411)으로부터 검지 영역(SA)측을 향해 광학층(30)의 단차 흡수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층(50)과 광학층(30)을 고정하는 접착제(35)가, 보호층(50)의 주면의 외주 단부까지 위치하고, 보호층(50)의 주면의 외주 단부가 기포 영역(A)의 검지 영역(SA)측의 단부가 된다.
그 결과, 기포 영역(A)의 길이가 좁아지기 때문에 주변 영역(EA)의 폭이 좁아져, 검지 영역(SA)의 면적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변 영역(EA)의 폭이 좁아지면 불가시 영역(DA)의 폭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시인 영역(VA)을 넓힐 수 있어, 이른바 좁은 베젤(불가시 영역(DA)의 폭을 좁혀 입력 장치(1)의 단부 근방까지 시인 영역(VA)을 넓히는 것)의 요청에 응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4는,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의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배선 단부(455)의 부분을 확대한 모식 평면도가 나타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을 접속하는 경우, 배선 단부(455)와 단자부(155)와의 사이에 도전성 접합 부재(80)를 사이에 두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도통 및 접착을 행하지만, 이 압착을 행할 때에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찌부러져 주위로 확산되어 나간다.
검지 영역(SA)측으로 확산되는 도전성 접합 부재(80)는, 플렉시블 기재(41)의 돌출 부분(411)과 단자부(155)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 공간(돌출 부분(411)과 단자부(155)와의 사이의 영역)은, 도전성 접합 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배선 단부(455)와 단자부(155)와의 사이뿐만 아니라, 이 공간에도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인입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수용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음으로써, 확산된 도전성 접합 부재(80)의 검지 영역(SA)측의 선단(80a)은, 플렉시블 기재(41)의 돌출 부분(411)의 검지 영역(SA)측의 선단(411a)으로부터는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돌출 부분(411)의 선단(411a)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이 마련되게 된다.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돌출 부분(411)의 선단(411a)보다 비어져 나오지 않음으로써, 기포 영역(A)의 길이를 좁힐 수 있다. 기포 영역(A)의 길이를 좁게 할 수 있으면, 광학층(30)의 단차 흡수를 위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검지 영역(SA)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검지 영역(SA)의 외측의 단부와 기포 영역(A)의 내측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의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영역은, 기포에 기인하는 외관 불량이 발생해도 그 영향이 검지 영역(SA) 내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영역(BA)으로서, 기포 영역(A)의 길이가 좁아지는 것에 의해 완충 영역(BA)의 길이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a) 및 (b)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의 (a)에는, 입력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a)에는 표시 장치(100)는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도 5의 (b)에는 돌출 부분(411)의 주변을 확대한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도 6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의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배선 단부(455)의 부분을 확대한 모식 평면도가 나타난다.
앞서 설명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의 상태는, 플렉시블 기재(41)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이 마련되어 있었지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다른 예에서는, 플렉시블 기재(41)의 폭방향의 일부에는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이 마련된 구성이다.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은, 플렉시블 기재(41)의 폭방향의 전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여도 기포 영역(A)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포 영역(A)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기재(41)의 폭방향의 약 80% 이상에 있어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재(41)의 폭방향의 일부에 있어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돌출 부분(411)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비어져 나오고 있어도,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온 부분에 있어서의 가장 위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면(15a)으로부터의 높이(h1)는, 돌출 부분(411)의 상면의 제 1 면(15a)으부터의 높이(h2)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재(41)의 돌출 부분(411)으로부터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온 부분이 광학층(30)에 접촉하지 않아, 광학층(30)의 단차 흡수의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플렉시블 기재(41)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돌출 부분(411)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비어져 나오고 있어도,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온 부분의 상기의 높이(h1)가 돌출 부분(411)의 상면의 높이(h2)보다 낮은 경우에는,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온 부분이 광학층(30)의 단차 흡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결과적으로 기포 영역(A)의 길이를 좁힐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비교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에는, 비교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2)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7에는 표시 장치(100)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8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온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배선 단부(455)의 부분을 확대한 모식 평면도가 나타난다.
비교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2)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배선 단부(455)가 플렉시블 기재(41)의 검지 영역(SA)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거의 후퇴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기재(41)의 검지 영역(SA)측까지 전극층(45)이 마련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기재(41)와 단자부(155)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도전성 접합 부재(80)를 전부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에 있어서, 배선 단부(455)와 단자부(155)와의 사이에 도전성 접합 부재(80)를 사이에 두고, 가열 압착할 때, 검지 영역(SA)측으로 확산되는 도전성 접합 부재(80)는 플렉시블 기재(41)로부터 검지 영역(SA)측으로 비어져 나오게 된다.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옴으로써, 비어져 나온 부분이 광학층(30)을 가압하는 것이 되어, 광학층(30)의 단차 흡수 범위가 길어진다. 단차 흡수 범위를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면, 그 만큼, 검지 영역(SA)을 압박하는 것이 되어, 검지 영역(SA)을 넓게 하는데 방해가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돌출 부분(411)의 선단(411a)보다 검지 영역(SA)측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80)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RA)이 있음으로써, 광학층(30)의 단차 흡수 범위를 짧게 할 수 있어, 검지 영역(SA)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보호층의 두께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9에는, 입력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9에는 표시 장치(100)는 나타나 있지 않다.
입력 장치(1)에 있어서는, 보호층(50)의 두께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에 의한 단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층(50)의 두께(t1)의, 돌출 부분(411)의 상면의 제 1 면(15a)으로부터의 높이(h2)에 대한 비율을 0.2 이상으로 해도 된다. 보호층(50)의 두께(t1)가 두꺼울수록, 광학층(30)에 발생하는 단차는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이 단차를 작게 하는 관점만으로부터는, 상기의 비율은 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바람직하고, 결과적으로 보호층(50)의 두께(t1)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해진다. 그러나, 보호층(5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면, 입력 장치(1)로서의 굴곡성은 저하된다. 이 때문에, 보호층(50)의 두께(t1)는, 현실적으로는 15㎛ 정도가 상한이며,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10은, 돌출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입력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의 접속 부분의 모식 단면도가 나타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0에는 표시 장치(100)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10에 나타내는 돌출 부분(411)은, 돌출되는 방향에 있어서 지지 기재(15)측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재(41)는 가요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돌출 부분(411)에는 전극층(45)이나 이면측의 플렉시블 기재(42)가 겹쳐 있지 않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재(41)의 가요성에 의해 돌출 부분(411)은 선단을 향해(검지 영역(SA)측을 향해) 서서히 내려가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 부분(411)이 선단을 향해 서서히 내려가 있으면, 돌출 부분(411)이 내려가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광학층(30)의 단차 흡수의 개시점을 외측(검지 영역(SA)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포 영역(A)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검지 영역(SA)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센서부(10)와 광학층(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 영역(A)을 좁게 하여, 검지 영역(SA)을 넓힐 수 있는 입력 장치(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 본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각 실시 형태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입력 장치(1)에서는, 광학층(30)을 덮도록 표면 패널(20)이 위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10)의 지지 기재(15)측에 표면 패널(20)이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입력 장치(1)는, 센서부(10) 및 광학층(30)을 구비하고 이들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가식층(60)과 함께 표면 패널(20)이 추가로 겹쳐져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입력 장치는, 가식층(60)이나 표면 패널(20)을 가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입력 장치는, 센서부(10) 및 센서부(10)에 겹쳐진 광학층(30) 및 센서부(10)의 지지 기재(15)와 광학층(30)과의 사이에서 접속 영역(CA)이 협지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40)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센서부(10)의 광학층(30)에 대향하는 측에 보호층(50)을 더 구비한다.
1, 2… 입력 장치
10… 센서부
11… 제 1 전극
12… 제 2 전극
15… 지지 기재
15a… 제 1 면
20… 표면 패널
30… 광학층
35… 접착제
40… 플렉시블 배선 기판
41, 42… 플렉시블 기재
45… 전극층
50… 보호층
60… 가식층
70… 접착 수지층
80… 도전성 접합 부재
80a… 선단
100… 표시 장치
150… 인출 패턴
155… 단자부
411… 돌출 부분
411a… 선단
455… 배선 단부
A… 기포 영역
BA… 완충 영역
CA… 접속 영역
D1… 제 1 방향
DA… 불가시 영역
EA… 주변 영역
RA…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
SA… 검지 영역
VA… 시인 영역
h1, h2… 높이
t1… 두께

Claims (7)

  1. 지지 기재와, 상기 지지 기재의 제 1 면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에 마련된 투광성 전극부와, 상기 투광성 전극부와 도통하며 상기 지지 기재의 상기 제 1 면에 있어서의 상기 검지 영역의 외측에 마련된 단자부를 가지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제 1 방향으로 겹쳐진 필름 형상의 광학층과,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접속 영역이 상기 광학층과 상기 지지 기재와의 사이에서 협지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구비한 입력 장치로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전극층이 마련된 플렉시블 기재와,
    상기 전극층의 단부이며, 상기 접속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와 도전성 접합 부재에 의해 도통하도록 접속되는 배선 단부를 가지고,
    상기 광학층의 단부가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위에 얹혀지도록 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광학층과 센서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단부보다 검지 영역측에는 기포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배선 단부의 위치가 상기 플렉시블 기재의 상기 검지 영역측의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후퇴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기재에는 상기 전극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배선 단부보다 상기 검지 영역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분의 선단보다 상기 검지 영역측으로 상기 도전성 접합 부재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재의 폭방향의 80% 이상에 있어서, 상기 비어져 나오지 않는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재의 폭방향의 20% 미만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합 부재는 상기 돌출 부분보다 상기 검지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온 부분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접합 부재의 당해 비어져 나온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 이하인 입력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전극부와 상기 광학층과의 사이에 마련된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의 주면의 외주 단부까지 상기 보호층과 상기 광학층을 고정하는 접착층이 위치하고, 상기 보호층의 주면의 외주 단부가 상기 기포 영역의 상기 검지 영역측의 단부가 되는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이 0.2 이상인 입력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은, 돌출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재측에 근접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전성 접합 부재는 상기 돌출 부분의 선단보다 상기 검지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입력 장치.
KR1020197038330A 2017-06-29 2018-05-24 입력 장치 KR102325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7174 2017-06-29
JP2017127174 2017-06-29
PCT/JP2018/019937 WO2019003732A1 (ja) 2017-06-29 2018-05-24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925A KR20200012925A (ko) 2020-02-05
KR102325850B1 true KR102325850B1 (ko) 2021-11-12

Family

ID=6474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330A KR102325850B1 (ko) 2017-06-29 2018-05-24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84520B2 (ko)
EP (1) EP3647918B1 (ko)
JP (1) JP6831913B2 (ko)
KR (1) KR102325850B1 (ko)
CN (1) CN110678829B (ko)
TW (1) TWI652606B (ko)
WO (1) WO2019003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0407A (ja) * 2017-08-25 2019-03-14 ホシデン株式会社 樹脂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JP7444593B2 (ja) * 2019-12-13 2024-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7509A (ja) * 2015-08-11 2017-0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アセンブリ、導体層付き構造体、及びタッ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6622A1 (en) * 2003-08-26 2005-03-03 Akira Nakanishi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639335B2 (en) * 2007-03-19 2009-12-29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576190B2 (en) * 2008-11-19 2013-11-0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09598B1 (ko) 2009-10-09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터치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2011118657A (ja) * 2009-12-03 2011-06-16 Alps Electric Co Ltd 操作装置
JP5611864B2 (ja) 2011-03-09 2014-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US9660092B2 (en) * 2011-08-31 2017-05-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oxygen release layer
KR102358093B1 (ko) * 2012-06-29 2022-02-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JP2014130336A (ja) * 2012-11-30 2014-07-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WO2014156066A1 (ja) * 2013-03-25 2017-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4951156A (zh) 2014-03-31 2015-09-30 宸盛光电有限公司 电容式触控装置
KR20160114510A (ko) * 2015-03-24 2016-10-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US10008797B2 (en) * 2015-07-10 2018-06-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6168216B2 (ja) * 2016-08-22 2017-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付タッチパネル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7509A (ja) * 2015-08-11 2017-0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アセンブリ、導体層付き構造体、及びタッチ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78829B (zh) 2023-05-02
TWI652606B (zh) 2019-03-01
EP3647918A1 (en) 2020-05-06
EP3647918A4 (en) 2021-04-07
JP6831913B2 (ja) 2021-02-17
US20200073497A1 (en) 2020-03-05
KR20200012925A (ko) 2020-02-05
CN110678829A (zh) 2020-01-10
US11284520B2 (en) 2022-03-22
TW201905659A (zh) 2019-02-01
WO2019003732A1 (ja) 2019-01-03
EP3647918B1 (en) 2022-04-20
JPWO2019003732A1 (ja)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33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74690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15751B2 (en) Capacitive touch sensing assembly
US11163415B2 (en) Touch display module, touch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49961B1 (ko)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입력 장치
KR102325850B1 (ko) 입력 장치
CN106125980A (zh) 触控显示装置
EP2541381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102098385B1 (ko) 터치 패널
US8780067B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US20200333937A1 (en) Input device
JP2019096345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KR10237442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9364B1 (ko) 터치 압력 감지 센서
CN110321032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19036264A (ja) 入力装置
US11256353B2 (en) Touch sensor, and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20201521A (ja) 入力装置
US9360974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200939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JP2021077160A (ja) タッチセンサ
CN112306285A (zh) 触摸传感器、窗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KR20210004473A (ko) 터치 센서
KR20120038866A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