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760B1 -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760B1
KR102325760B1 KR1020190035264A KR20190035264A KR102325760B1 KR 102325760 B1 KR102325760 B1 KR 102325760B1 KR 1020190035264 A KR1020190035264 A KR 1020190035264A KR 20190035264 A KR20190035264 A KR 20190035264A KR 102325760 B1 KR102325760 B1 KR 10232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forklift
lever
lifting b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105A (ko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102019003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7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6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the handle being disconne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의 차체 틀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드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락장치를 추가적인 드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토록 한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빈틀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는 도어에 캐빈틀의 파이프와 근접되는 프레임틀에 브라켓본체를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본체에 탄성수단과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작동으로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승강바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바는 레버에 의해서 승강작동되도록 하여 승강바의 상하 승강으로 캐빈틀의 파이프에 걸림과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의 개폐가 단속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mounted on a cabin of a forklift without drilling}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의 차체 틀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드릴작업이 없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락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에는 구동에 필요한 전기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운행이나 작업 중에 전복사고나 충돌에 의해 충격이 가해졌을 때 탑승공간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도를 위하여 캐빈틀이 일체로 구비된 완성차로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지게차가 완성된 후에는 캐빈틀의 파이프 두께나 휘는 각도 등의 각종 안전시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안전시험을 통과하여 안전승인을 받은 상태에서만 출고되어 판매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지게차를 구매한 구매자들은 지게차 캐빈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업체를 통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작업환경에 따라서 캐빈틀에 창호와 도어를 장착하게 된다.
즉, 실외에서 작업하는 지게차는 비 또는 눈이 내리는 추운 겨울 또는 더운 여름에 탑승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후면으로 프레임에 의한 창호가 설치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락장치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가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창호프레임이나 도어를 장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드릴에 의한 홀 가공이나 용접으로 장착을 하였으나, 이럴 경우에 구동을 위해 배선된 전기배선이 드릴작업에 의해 훼손되어 화재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었고, 홀 가공 또는 용접에 따라서 파이프의 금속성질이 변형이 발생되면서 이러한 구조변경된 캐빈틀의 안전시험을 위한 검사과정을 다시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시간과 비용발생이 추가로 발생되면서 구매자에게 시간의 손해와 경제적인 부담이 동시에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해외로 수출되는 지게차의 경우에는 안전시험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안전시험을 다시 받기 위한 시간과 고비용으로 인하여 더 큰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1879157호에 따르면, 캐빈틀의 파이프에 천공을 위한 드릴작업이나 용접을 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의 브라켓에 의하여 장착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락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최소의 드릴구멍을 천공해야만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개선작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락 장치를 캐빈틀에 홀 천공이나 용접작업없이 도어에 직접 장착하여 간단하게 장착하면서 도어의 락이 캐빈틀의 파이프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캐빈틀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캐빈틀의 파이프와 근접되는 프레임틀 내측에 장착되는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에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에 의한 승강작동으로 상단의 걸림헤드가 캐빈틀의 파이프에 걸림되는 승강바가 장착되는 수용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관에 장착된 승강바에는 레버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으로 승강작동되면서 락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도 검사가 완료된 완성차로 제조된 지게차를 드릴가공이나 용접 등의 별도의 가공작업으로 캐빈틀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락장치를 간단하게 장착토록 함으로써 안전도 재검사에 따른 시간소요나 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판매나 수출이 가능하여 구조개선을 위한 제작업체나 소비자 모두에게 최상의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지게차 캐빈틀에 장착된 도어락 장치의 일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일 실시 예.
도3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레버에 의해 도어락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6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가 작동을 위한 또 다른 레버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7은 도5의 캐빈틀 파이프에 도어의 개폐가 단속되는 도어락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 예.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의 승강바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9는 본 발명의 승강바에 개폐작동을 개선한 연장라인이 형성된 측면도.
도10은 도9의 도어가 닫혀지는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작동도.
도11은 도9의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작동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탑승공간에 파이프(21)로 이루어진 캐빈틀(20)이 구비된 지게차(10)에 있어서, 상기 캐빈틀(20)의 좌우 양측면에 개폐되는 도어(30)가 장착되고, 상기 캐빈틀(20)의 탑승공간을 형성하는 도어(30)의 내측에 브라켓본체(100)가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본체(100)에는 상단이 개구된 관상의 수용관(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110)에 탄성수단(120) 및 탄성수단(120)에 의해 탄성으로 승강작동되어 캐빈틀(20)의 파이프(21)에 걸림되어 락이 되고 락이 해제되어 개폐를 단속하는 승강바(130)가 수용되고, 상기 승강바(130)는 레버(140)가 연결되어 상기 레버(140)의 작동으로 하강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바(130)는 상단에 일측이 경사진 레치헤드(131)가 형성되어 상기 레치헤드(131)의 경사진 부분이 캐빈틀(20)의 파이프(21)에 접촉되면서 누름되어 승강바(130)가 탄성으로 하강되고 도어(30)과 완전히 닫히게 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어 파이프(21)에 걸려지게 되고, 도어(30)의 개방은 레버(140)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바(130)가 하강작동되어 걸림이 해제되면서 도어(3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바(130)의 저면에는 탄성수단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임홈이 형성되고, 수용관의 저면에는 외측방향에서 볼트조임에 의해 내측에서 탄성수단의 하단을 고정하여 탄성수단이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여 탄성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본체(100)는 승강바(130)의 레치헤드(131)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캐빈틀(20)의 파이프(21)와 근접하는 도어(30)의 프레임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라켓본체(100)는 도어(30)의 프레임틀에 볼트조립 또는 용접에 의해 장착되고, 도어(30)의 프레임틀에는 브라켓본체(100)가 볼트조립으로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된 장착면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바(130)는 금속이나 고강력의 플라스틱이나 압착고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도어(30)가 개폐되면서 승강바(130)의 레치헤드(131)에 의해서 캐빈틀(20)의 파이프(21)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고강도의 플라스틱 재질이나 압착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승강바(130)가 고강력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경우에 두께가 있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승강바(130)가 복수 개의 면 조각이 중첩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요소에 의해 조립되거나 접착으로 제조되어 개폐되는 충격에 의해서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파손시에도 파손된 조각만 교체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관(110)의 일측면에는 절개라인(1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라인(111)을 통해서 레버(140)가 승강바(130)와 연결되게 장착되어 레버(140)가 절개라인(111)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바(130)의 승강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레버(140)가 절개라인(111)의 상단부에 걸림되면서 승강바(130)가 수용관(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동에 의해 레버(140)가 절개라인(111)의 하단부에 위치되면 승강바(130)가 누름가압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도어(30)의 개폐가 단속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이 형성된 방향에는 연장돌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돌부(112)에 레버(140)가 승강바(130)를 하강작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버(140)는 수평의 연결부(141)와 수직의 작동부(142)로 이루어진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41)와 작동부(142)의 직교된 모서리 부분이 연장돌부(112)에 고정축(143)으로 축고정되어 상기 연결부(141)가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을 통해서 승강바(130)와 연결되면서 절개라인(111)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어 승강바(130)를 승강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부(141)는 작동부(142)의 가압에 의해서 축회전되면서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142)의 하단에는 돌기(14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144)에 고무캡(145)이 결합되어 작동부(142)의 작동시 고무캡에 의해서 손에 통증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작동부(142)에 형성되는 별도의 돌기(144)에 의해서 고무캡이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작동부(142)에 직접 고무캡(145)을 결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바(130)에는 레버(140)의 연결부(141) 선단이 내삽되어 승강작동을 위한 가압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과 대응하는 길이의 절개라인(13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부(142)의 누름가압으로 축회동되는 연결부(141)가 절개라인(132)의 가압공간에서 이동이 가능되면서 승강을 위한 누름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140)는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토록 하면서 축회동시 연장돌부(112)와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레버(140)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연장돌부(112)와 레버(140)의 사이에는 이격와샤(113)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바(130)에 형성된 절개라인(132)에는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보다 길게 연장되는 연장라인(133)을 형성하여 도어(30)가 캐빈틀(10)에 닫힐 경우에는 승강바(130)가 연장라인(133)에 의해서 레버(140)에 접촉되지 않고 하강되어 레버(14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140)의 불필요한 작동을 제어하여 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라인(133)에 의해서 승강바(130)가 하강시에 레버(140)는 제자리에서 작동되지 않고 가만히 있게 되고, 도어(30)를 개방할 경우에만 레버(140)의 작동으로 승강바(130)가 하강작동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게차 20: 캐빈틀
30: 도어
100: 브라켓본체
110: 수용관 111: 절개라인
112: 연장돌부 113: 이격와샤
120: 탄성수단
130: 승강바 131: 레치헤드
132: 절개라인 133: 연장라인
140: 레버 141: 연결부
142: 작동부 143: 고정축

Claims (8)

  1. 지게차(10)의 탑승공간에 파이프(21)로 이루어진 캐빈틀(20)이 구비되고, 캐빈틀(20)의 좌우 양측면에 도어(30)가 장착되어 개폐되며,
    상기 탑승공간을 형성하는 도어(30)의 내측에는 브라켓본체(100)이 구비되고, 브라켓본체(100)의 수용관(110)에는 탄성수단(120)에 의하여 승강 작동하도록 승강바(130)가 장착되며, 승강바(130)의 하강 작동을 위하여 레버(140)가 구비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130)는 브라켓본체(100)의 수용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수단(120)에 의해 탄성으로 승강작동되면서 캐빈틀(20)의 파이프(21)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수용관(110)의 일측면에는 절개라인(111)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라인(111)을 통해서 레버(140)가 승강바(130)와 연결되면서 절개라인(111)의 범위 내에서 상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140)는 승강바(130)와 연결되어 절개라인(111)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연결부(141)와 상기 연결부(141)와 직교되는 작동부(142)로 이루어진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41)와 작동부(142)의 직교되는 모서리 부분이 연장돌부(112)에 고정축(143)으로 축고정되어 작동부(142)의 가압으로 레버(140)가 축회동되어 승강바(130)가 하강작동되고,
    상기 승강바(130)에는 레버(140)의 연결부(141) 선단이 내삽되어 승강작동을 위한 가압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과 대응하는 길이의 절개라인(132)이 형성되되, 승강바(130)에 형성된 절개라인(132)은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보다 길게 연장라인(133)이 형성되어 도어(30)가 캐빈틀(10)에 닫힐 경우에는 레버(140)가 작동되지 않으면서 레버(140)의 불필요한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승강바(130)의 저면에는 탄성수단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임홈이 형성되고, 수용관의 저면에는 외측방향에서 볼트조임에 의해 내측에서 탄성수단의 하단을 고정하여 탄성수단이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여 탄성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130)는 상단에 일측이 경사진 레치헤드(131)가 형성되어 상기 레치헤드(131)의 경사면이 캐빈틀(20)의 파이프(21)에 접촉되면서 승강바(130)가 탄성으로 누름되었다가 복원되면서 걸려지고, 레버(140)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바(130)의 승강작동으로 걸림이 해제되면서 도어(30)의 개폐가 단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130)는 복수 개의 면 조각이 중첩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 또는 접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돌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110)의 절개라인(111)과 동일선상에 레버(140)가 위치토록 하면서 연장돌부(112)와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레버(140)가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연장돌부(112)에는 이격와샤(113)를 장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8. 삭제
KR1020190035264A 2019-03-27 2019-03-27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KR10232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264A KR102325760B1 (ko) 2019-03-27 2019-03-27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264A KR102325760B1 (ko) 2019-03-27 2019-03-27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05A KR20200114105A (ko) 2020-10-07
KR102325760B1 true KR102325760B1 (ko) 2021-11-12

Family

ID=7288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264A KR102325760B1 (ko) 2019-03-27 2019-03-27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8540A (ja) *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栃木屋 平面ハンドル装置
KR101879157B1 (ko) * 2018-03-29 2018-08-16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016Y1 (ko) * 1981-05-14 1982-05-14 이무일 문 걸 쇠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8540A (ja) *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栃木屋 平面ハンドル装置
KR101879157B1 (ko) * 2018-03-29 2018-08-16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05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157B1 (ko)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
RU251667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JP4423612B2 (ja) ドアガードバーの取付構造
CN1702278A (zh) 用于带有旋转翼扇的金属门窗框架防误操作的拐角传动装置
KR102325760B1 (ko) 지게차의 캐빈에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개폐장치
KR100802346B1 (ko) 윙바디 차량
US11498594B2 (en) Window arrangement for a rail vehicle
US20170314308A1 (en) Window Lifter
EP2921604B1 (en) A roof equipped with a roof window comprising a hinge with higher burglary resistance
CN103028512B (zh) 一种汽车涂装车门定位卡具及其安装方法
KR200485860Y1 (ko)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CN115744541A (zh) 一种电梯轿顶装饰顶一体式结构
KR102402895B1 (ko)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KR102171256B1 (ko)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 및 도어 락장치
KR20230087915A (ko) 방화문 문틀 조립구조
KR100868167B1 (ko) X-암 타입 레귤레이터의 듀얼 스톱핑 기구
KR101294080B1 (ko) 차량용 도어 글라스 고정유닛
CN205778067U (zh) 一种集成导槽导轨的汽车车门限位器
JP2010065436A (ja) ローダ作業機のキャビン装置
CN209650012U (zh) 一种汽车前门骨架定位工装
KR100737478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클램핑 유닛
KR200378514Y1 (ko) 건축공사용 승강기
JP7415866B2 (ja) 作業機械のキャッチ
KR10183625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힌지 마운팅 유닛
US20150007499A1 (en) Machine guard assembly with electronic disconnect for unobstructed engine hood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