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244B1 -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244B1
KR102324244B1 KR1020210057431A KR20210057431A KR102324244B1 KR 102324244 B1 KR102324244 B1 KR 102324244B1 KR 1020210057431 A KR1020210057431 A KR 1020210057431A KR 20210057431 A KR20210057431 A KR 20210057431A KR 102324244 B1 KR102324244 B1 KR 10232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se
fastening
presen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1Hose-clips with the ends bent around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0Hose-clips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 체결하기 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면이 서로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각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방향성을 갖는 클램프와 달리 호스의 체결 시, 어느 방향으로 클램프를 체결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개선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Clamp for fastening hoses without directionality}
본 발명은 기존에 방향성을 갖는 클램프와 달리 호스의 체결 시, 어느 방향으로 클램프를 체결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개선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스 체결용 클램프는 차량에 장착되는 고무호스와 파이프를 연결하여주는 부품으로 엔진오일, 냉각수, 브레이크오일 등의 누유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 클램프는 호스에 체결하는 방향에 따라 클램프의 파지부의 형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클램프의 파지구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고객사에서 클램프이 체결방향에 대하 특정방향으로 조립을 원하는 경우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클램프를 체결하여 납품하는 경우 고객사로부터 클레임이 발생하고, 동시에 제품 품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클램프의 방향성을 특정하는 이유로는 자동차의 경우 각종 파이프와 호스에 클램프를 체결하는 경우 서로 다른 부품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호스의 배치공간 내지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클램프의 파지부 형상의 차이, 즉 길이나 폭 등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설치공간상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고객사에서는 클램프의 체결방향을 이러한 조건에 맞게 특정하여 주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객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존 클램프는 조립 시,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립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 측면에서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는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가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6454호(2016.08.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의 체결 시, 어느 방향으로 클램프를 체결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개선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품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스에 클램프를 체결하기 전에 탈착구를 이용하여 각 파지부를 구속하고, 클램프의 체결 시 탈착구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각 파지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클램프의 체결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는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 체결하기 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면이 서로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각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지부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밴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삽입되는 탈착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착구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측부가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가 수용되는 삽입부와,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착구의 삽입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돌기는 분절되어 형성되되,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와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제2 슬라이드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는 호스의 체결 시, 어느 방향으로 클램프를 체결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개선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품질을 개선하여 고객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에 클램프를 체결하기 전에 탈착구를 이용하여 각 파지부를 구속하고, 클램프의 체결 시 탈착구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각 파지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클램프의 체결작업을 쉽고 용이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탈착구의 제1 구현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탈착구의 제2 구현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탈착구의 제3 구현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탈착구의 제4 구현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는 밴드부(10)와, 연장부(20) 및 파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밴드부(10)는 판상의 소재를 밴딩 가공을 통해 형성되어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 조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장부(20)는 밴드부(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호 원주면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각 연장부(20)의 내측면은 서로 내접하여 배치되므로 원주면상으로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파지부(30)는 연장부(20)의 각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 즉 높이, 폭 및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는 호스에 체결되기 전이나, 호스에 체결된 이후에도 연장부(20) 및 파지부(30)가 동일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C)의 체결 시,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클램프(C)를 호스에 체결되는 경우 어느 방향에서 체결하여도 대각방향에 동일한 형상의 파지부(30)가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성은 물론이고, 작업능률 뿐만 아니라 사용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또 다른 구현례로 클램프가 복수로 구비하여 호스와 클램프간의 접촉면적을 넓혀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클램프는 방향성이 없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와 달리 기존 클램프(C)는 호스에 체결하는 방향에 따라 클램프(C)의 파지부(30)의 형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클램프(C)의 파지구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고객사에서 클램프(C)이 체결방향에 대하 특정방향으로 조립을 원하는 경우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클램프(C)를 체결하여 납품하는 경우 고객사로부터 클레임이 발생하고, 동시에 제품 품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클램프(C)의 방향성을 특정하는 이유로는 자동차의 경우 각종 파이프와 호스에 클램프(C)를 체결하는 경우 서로 다른 부품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호스의 배치공간 내지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클램프(C)의 파지부(30) 형상의 차이, 즉 길이나 폭 등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설치공간상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고객사에서는 클램프(C)의 체결방향을 이러한 조건에 맞게 특정하여 주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객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존 클램프(C)는 조립 시,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립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 측면에서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는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 클램프(C)의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를 적용함으로써 일거에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의 체결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탈착구(40)가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탈착구(4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클램프(C)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파지부(30)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밴드부(10)와 연장부(20)를 벌린 상태로 호스를 삽입한 후, 파지부(3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밴드부(10)와 연장부(20)가 오므려 지면서 호스에 체결된다.
즉 클램프(C)의 체결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파지부(30)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램프(C)의 소재에 특성에 따라서는 큰 가압력이 요청되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을 부여하다가 작업자의 부주의로 클램프(C)의 파지부(30)를 놓쳐 튕기는 경우 부상의 위험 또한 상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C)의 체결 전에 탈착구(40)를 파지부(30)에 장착 후, 탈착구(40)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클램프(C)가 호스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불편함과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탈착구(40)는 파지부(30)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밴드부(10)와 연장부(20)를 벌린 상태에서 파지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착구(40)는 바디(41)와, 바디(41)의 양측부가 절곡되어 파지부(30)가 수용되는 삽입부(43)와, 바디(4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파지부(30)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면상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일직선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탈착구(40)의 삽입부(43)에 파지부(30)를 삽입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램프(C)는 탈착구(40)에 의하여 벌려진 상태로 체결 준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C)의 밴드부(10)에 호스를 삽입한 후, 탈착구(40)의 손잡이부(45)를 잡아당기거나, 또는 밀어 파지부(30)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클램프(C)는 탄성에 의하여 오므려 지면서 호스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탈착구(40)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탈착구(40)에 의하여 클램프(C)의 체결 준비가 된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탈착구(40)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클램핑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편리하고,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도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파지부(30)와 탈착구(4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동시에 탈착구(40)가 파지부(30)에 결합 후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구(40)의 삽입부(43)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돌기(47)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30)의 양면에는 슬라이드돌기(47)에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31)이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30)와 탈착구(40)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경우 탈착구(40)의 슬라이드돌기(47)가 파지부(30)의 제1 슬라이드홈(31)을 타고 미끄럼이동을 통해 동작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 및 분리가 쉽고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탈착구(40)의 슬라이드돌기(47)가 파지부(30)의 제1 슬라이드홈(3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외력이나 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 제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탁착구의 슬라이드돌기(47)과 파지부(30)의 제1 슬라이드홈(31)의 경우 탈착구(40)의 결합 및 분리가 횡방향으로만 동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보다 편리한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지부(30)로부터 탈착구(40)를 종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구(40)의 슬라이드돌기(47)를 분절된 형태로 형성하고, 파지부(30)의 제1 슬라이드홈(31)와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슬라이드돌기(47)에 대응되는 제2 슬라이드홈(3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파지부(30)의 제2 슬라이드홈(33)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각 파지부(30)에 1개씩 형성되어 분절된 슬라이드돌기(47)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탈착구(40)의 분절된 슬라이드돌기(47)가 제2 슬라이드홈(33)에 정렬되는 경우 탈착구(4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분절된 슬라이드돌기(47)가 제2 슬라이드홈(33)을 타고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파지부(30)로부터 탈착구(40)가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파지부(30)와 탈착구(40)의 결합 시에는 제2 슬라이드홈(33)에 분절된 슬라이드돌기(47)를 정렬시켜 하방으로 탈착구(40)를 밀어 결합이 가능하다.
도 6의 도시는 분절된 슬라이드돌기(47) 중 일부가 바디(41) 전단부에 구성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또 다른 슬라이드돌기(47)는 각 파지부(30)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33)간의 이격된 거리만큼 전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47)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구(40)를 파지부(30)에 장착한 경우 각 슬라이드돌기(47)는 제2 슬라이드홈(33)과 정렬 위치에 있지 않지만, 전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47)를 전방에 위치하는 파지부의 제2 슬라이드홈(33)의 위치에 정렬시키게 되면, 내측에 형성된 또 다른 슬라이드돌기(47)는 자연스럽게 후방에 위치하는 파지부의 제2 슬라이드홈(33)에 위치하게 되어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탈착구(40)를 들어 올리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돌기(47)는 제2 슬라이드홈(33)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파지부(30)로부터 탈착구(4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구(40)는 클램핑 작업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0)와 탈착구(40)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슬라이드방식을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횡방향은 물론이고, 종방향으로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 : 클램프
H : 호스
10 : 밴드부
20 : 연장부
30 : 파지부
31 : 제1 슬라이드홈 33 : 제2 슬라이드홈
40 : 탈착구
41 : 바디 43 : 삽입부
45 : 손잡이부 47 : 슬라이드돌기

Claims (5)

  1.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 체결하기 위한 밴드부(10);
    상기 밴드부(10)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면이 서로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20); 및
    상기 연장부(20)의 각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지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부(30)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밴드부(10)와 상기 연장부(20)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30)가 삽입되는 탈착구(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탈착구(40)는
    바디(41)와,
    상기 바디(41)의 양측부가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30)가 수용되는 삽입부(43)와,
    상기 바디(4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부(45)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구(40)의 삽입부(43)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돌기(47)가 더 구비되되,
    상기 파지부(30)에는 상기 슬라이드돌기(47)에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돌기(47)는 분절되어 형성되되,
    상기 파지부(30)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31)와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47)에 대응되는 제2 슬라이드홈(3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KR1020210057431A 2021-05-03 2021-05-03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KR10232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31A KR102324244B1 (ko) 2021-05-03 2021-05-03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31A KR102324244B1 (ko) 2021-05-03 2021-05-03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244B1 true KR102324244B1 (ko) 2021-11-10

Family

ID=7850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31A KR102324244B1 (ko) 2021-05-03 2021-05-03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2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934B2 (ja) * 1997-10-17 1999-10-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JP2006275277A (ja) * 2005-03-30 2006-10-12 Tokai Rubber Ind Ltd ばね式ホースクランプ
KR101646454B1 (ko) 2015-03-20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클립 및 호스 클립 제조 공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934B2 (ja) * 1997-10-17 1999-10-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JP2006275277A (ja) * 2005-03-30 2006-10-12 Tokai Rubber Ind Ltd ばね式ホースクランプ
KR101646454B1 (ko) 2015-03-20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클립 및 호스 클립 제조 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629B2 (en) Hose clamp
KR102324244B1 (ko)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KR0145309B1 (ko) 클램프
JP3950785B2 (ja) 締付けバンド
US10330220B2 (en) Edge protection bushing with integrated clamp
JP2014085016A (ja) タイクランプ
JP2003090474A (ja) ホースクランプ
JP6148741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3329381B2 (ja) 引き絞り操作式の再使用可能なクランプ金具
KR200481773Y1 (ko) 절개형 케이블 타이
KR101427228B1 (ko) 타이 클램프
KR101615809B1 (ko) 장착 구조 개선형 체인 커버
CN219584879U (zh) 一种箍紧带结构
KR10141627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JP7278128B2 (ja) 吊治具
US8919386B2 (en) Clamping apparatus for stopping a tube
KR20020045152A (ko) 호스클램프용 클램프홀더
JP6768757B2 (ja) 管内への付属部品の装着方法および装着設備
JPH06291473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2022142431A (ja) クリップ取外し用工具
JPH051090U (ja) ホースクリツプ
JP2017185608A (ja) ホースクランプの解放工具
KR101231527B1 (ko) 호스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KR100316337B1 (ko) 관과 호스연결용 클램프
JP3007340U (ja) ホースクランプ拡径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