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22B1 -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22B1
KR102323322B1 KR1020210024722A KR20210024722A KR102323322B1 KR 102323322 B1 KR102323322 B1 KR 102323322B1 KR 1020210024722 A KR1020210024722 A KR 1020210024722A KR 20210024722 A KR20210024722 A KR 20210024722A KR 102323322 B1 KR102323322 B1 KR 10232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ed
conveying belt
blade
bracket bod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일
Original Assignee
황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일 filed Critical 황희일
Priority to KR102021002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 B65H29/1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4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4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processing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발칩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테이프류의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타발칩을 회수구에 자동으로 회수하여 타발칩 회수의 자동연속성 및 완비성을 실현할 수 있는 타발칩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발칩 배출 장치는, 타발칩이 이송되는 이송 벨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봉,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이송 벨트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구 타발칩 배출 장치{REMOVING APPARATUS FOR 3-HOLE PUNCHING CHIP}
본 발명은 3구 타발칩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의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타발칩을 회수구에 자동으로 회수하여 타발칩 회수의 자동연속성 및 완비성을 실현할 수 있는 3구 타발칩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발 장치는 필름, 테이프류 등의 기재를 요구되는 규격에 맞게 소정개수의홀 또는 성형 가공하는 장치이며, 롤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기재를 타발하는 연속 타발방식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급되는 개별 기재를 타발하는 개별 타발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각종 필름, 테이프류는 개별 타발방식에 의할 경우 타발의 정확도는 우수하나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많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연속 타발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많아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존재하나 필름, 테이프류가 권취된 롤러로부터 권출되는 필름,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타발하는 과정에서 필름, 테이프의 사행에 의해 타발 위치로 공급되는 필름, 테이프의 위치가 약간씩 달라져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어 각 방식 채용에 따른 장단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타발 공정은 타발 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재의 형상을 성형하고 소정개수의 홀을 가공하는 공정이다. 타발 장치는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발 장치의 내부에 삽입된 금속의 소재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한다.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으로 고속 이동되어 소재를 가압/타발함으로써, 소재를 특정 형상 또는 홀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9990호(이하 종래기술)가 존재하는데, 종래기술은 커버레이 필름(F)을 펀칭하는 프레스부와, 상기 프레스부로 커버레이 필름(F)을 공급하는 공급부, 펀칭된 커버레이 필름(F)을 절단하여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부는 다이(10)의 상측에 고정된 하부금형(11)과, 상기 하부금형(11)과 대응되는 구조로서 수직작동 되는 상부금형(12) 및 상기 상부금형(12)의 작동을 위한 액츄에이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금형(11)(12)은 다수개의 펀칭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공급부는 커버레이 필름(F)이 권취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릴(20)과, 상기 커버레이 필름(F)을 지지 안내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21)와, 상기 릴(20)과 지지롤러(21) 사이에서 이송되는 커버레이 필름(F)의 텐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하 이송되는 텐션유닛(22) 및 상기 텐션유닛(22)의 상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는 상하로 근접 배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30)와, 상기 이송롤러(30)에 의해 이송되어 나오는 커버레이 필름(F)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터(31) 및 상기 커터(31)에 의해 절단되어 시트(sheet)형태로 된 필름을 적재하는 적재유닛(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펀칭홀을 생성함에 따라 타발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이 베출시 정전기력으로 인한 벨트 표면 과다부착, 벨트 비구동으로 배출구내에 쌓여 배출 제거되지 못하거나, 이송롤러(30) 틈새에 칩이 끼여 벨트 구동을 방해할 경우, 이송롤러(30), 벨트 및 모터손상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 따라 생성된 칩이 상술한 금형(11)(12) 측으로 다시금 밀려들어 오게 되면서 복수의 칩들이 금형(11)(12) 사이에 적층됨으로 인하여 공정정지 유발시 최종적으로는 품질불량 발생, 수율, 생산성 저하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이송롤러와 금형(11)(12) 측 사이에 적층된 복수의 칩들을 작업자가 소위 긁개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 실정이다. (배경기술에 기재된 도면참조부호는 종래기술에 병기된 부호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면참조부호와는 관계가 없음)
이는 신속한 대량 생산이 요구되는 생산 현장에서 상당히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작업에 해당하는바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3구 타발칩을 자동으로 타발칩 회수구로 회수시킬 수 있는 타발칩 배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발칩의 일부가 회전하는 벨트부에 부착되어 3-HOLE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블레이드 장치를 부착하여 타발칩배출효과를 향상하면서 타발칩 회수구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타발칩 배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생한 타발칩이 이송 벨트 사이에 유입되어 기기의 오작동 내지는 제조 수율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발칩 배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타발칩 배출 장치는, 타발칩이 이송되는 이송 벨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봉,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이송 벨트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벨트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의 측부를 밀폐하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안착각 및 수평 변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이송 벨트에 접촉하는 접촉 부위는 상기 이송 벨트의 단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최대곡률지점인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발칩을 자동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회전벨트에 접촉되어 있는 블레이드 장치에 의해 벨트 표면의 타발칩이 배출구 내부로 재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할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송 벨트 측면부와 브라켓의 밀폐성을 강화하여 타발칩이 벨트내 유입되어 기기의 고장정지 내지는 제조 수율 저하와 품질불량 등의 영향을 감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타발 공정에 의해 발생한 타발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이송 벨트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이송 벨트의 사시도.
도 4의 [a]는 타발칩 배출 장치가 부착된 이송 벨트의 사시도.
도 4의 [b]는 밀폐 커버가 부착된 이송 벨트의 사시도.
도 5는 타발칩 배출 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가변형 벨트속도 조절 컨트롤러가 있어 타발칩 발생정도에 따라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타발칩 배출방법을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타발칩(A)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테이프류의 타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타발칩(A)을 회수구(T)에 자동으로 회수하여 타발칩(A) 회수의 자동성 및 완비성을 실현할 수 있는 타발칩(A)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타발 과정에서 발생한 타발칩(A)은 이송 벨트(B)에 의하여 회수구(T)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타발칩(A)과 이송 벨트(B)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타발칩(A)이 회수구(T)에 회수되지 못한 채 이송 벨트(B)의 표면에 그대로 붙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발칩(A)이 이송되는 이송 벨트(B)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봉(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에 후술할 고정 브라켓(2)이 외삽되어 상기 가이드봉(1)을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2)이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2)은 상기 가이드봉(1)에 삽입되는 삽입구(21)를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2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봉(1)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 형상에 상응하는 삽입구(21)가 상기 가이드봉(1)에 외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브라켓(2)은 상기 가이드봉(1)의 원주를 따라 회전이 가능하여 궁극적으로는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일 측에 결합된 블레이드(3)의 이송 벨트(B)와의 안착각(θ)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2)은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3)의 안착각(θ) 및 수평 변위(d)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2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 수단(23)은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타측에 형성되는 조절공, 그리고 상기 조절공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 나사(231), 그리고 상기 조절 나사(231)의 머리에 형성된 손잡이(232), 그리고 상기 조절 나사(231)와 상기 손잡이(232) 사이에 구비되는 과삽입 방지 유닛(2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2)는 그 원주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요철(234)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2)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입력 토크 및 상기 입력 토크에 따른 출력 토크를 안정화시키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2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나사(231)와 상기 손잡이(2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나사(231)가 상기 조절공 측으로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조절 나사(231)를 최대로 조였을 때, 상기 손잡이(232)의 내측면이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외측면에 불필요하게 접촉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233)의 폭을 결정하는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233)의 직경은 상기 손잡이(232)의 폭을 결정하는 상기 손잡이(232)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와는 반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손잡이(232)의 파지를 어렵게 만들어 손잡이(232) 본래의 구비 의도를 해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233)의 폭은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폭보다도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와는 반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233)이 상기 브라켓 바디(22)보다도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을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2)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난해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일 측에서 상기 이송 벨트(B)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블레이드(3)를 포함하는데, 상기 블레이드(3)의 일단이 상기 이송 벨트(B)의 일단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송 벨트(B)가 구동할 때 상기 이송 벨트(B)에 접착되어 있는 타발칩(A)이 상기 블레이드(3)에 걸려 회수구(T) 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브라켓 바디(22)의 안착각(θ) 및 수평 변위(d) 조절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상기 블레이드(3)의 안착각(θ) 및 수평 변위(d) 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안착각(θ)은 상기 이송 벨트(B)와 상기 블레이드(3)가 접촉했을 때, 접촉 지점에서 형성된 예각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는 상기 이송 벨트(B) 측에 형성되는 폭에 해당하는 광폭부(W2)와 상기 브라켓 바디(22) 측에 형성되는 협폭부(W1)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송 벨트(B) 측에 형성되는 폭을 더 넓게 구성시켜 타발칩 제거율을 높이면서도 설치면적은 줄여 더욱 콤팩트하게 복수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3)의 폭이 변화하는 폭 변화부(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폭 변화부(W)에서 협폭부(W1)까지의 길이는 손가락 한마디의 폭에 상응하하도록 1.5cm ~ 2.5cm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블레이드(3)의 각도 등을 조절할 때 상기 협폭부(W1)의 파지를 용이하게 수행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광폭부(W2)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모나게 형성되어 있어 타발칩의 탈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B)는 이송 프레임바디(B1)에 권취되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 프레임바디(B1)는 상기 이송 프레임바디(B1)의 측부에 구비되는 측부 프레임(B11) 및 상기 측부 프레임(B11)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 롤러(B2)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이송 벨트(B)가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B2)에 권취되는 것이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이송 롤러(B2)의 외면에 외삽되는 형식으로 이송 안정 유닛(B3)이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이송 안정 유닛(B3)은 거친 표면을 갖고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B)의 구동 시에 상기 이송 벨트(B)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특징적인 점은 상기 이송 벨트(B)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B)의 측부를 밀폐하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밀폐 커버는 전술한 측부 프레임(B11)의 상부에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측부 프레임(B11)의 상부, 외측면 및 하부를 모두 덮는 형태로 측부 프레임(B11)에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밀폐 커버 구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연속적인 타발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 많은 타발칩(A)이 상기 이송 벨트(B)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밀폐 커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송 벨트(B) 내부로 타발칩(A)이 유입되어 기기의 고장을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공정정지, 품질불량으로 인한 제조 수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와 상기 이송 벨트(B)와의 안착각(θ)은 40 ~ 50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3)의 경우에는 상기 이송 벨트(B)와 접촉이 되어 있어 상기 이송 벨트(B)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벨트(B)와 맞닿은 부분의 블레이드(3)가 상기 이송 벨트(B)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타발칩(A)과 맞닿게 되면서 상기 타발칩(A)이 회수구(T)로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 가지 더 특징적인 점은 상기 블레이드(3)가 상기 이송 벨트(B)에 접촉하는 접촉 부위는 상기 이송 벨트(B)의 단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최대곡률지점(E)에 해당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B)의 단부는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그 측단면이 이송 방향으로 장경을 갖는 타원 형상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곡면은 곡률이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블레이드(3)가 접촉하는 접촉 부위는 그 중에서 상기 곡면이 최대 곡률을 갖는 최대곡률지점(E)에 해당하게 된다.
최대곡률지점(E)에서 블레이드(3)와 이송 벨트(B)가 만났을 때,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타발칩(A)이 탈리되는 수가 최대가 되는 최대 탈리 환경을 항시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최대곡률지점(E)이 아닌 곳에서 블레이드(3)와 이송 벨트(B)를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최대 탈리 환경을 조성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안착각(θ)을 따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지만 최대곡률지점(E)에 블레이드(3)와 이송 벨트(B)를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단순히 해당 지점에서 접선의 방향으로 블레이드(3)의 안착각(θ)을 형성시키면 간편하게 최대 탈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최대곡률지점(E)을 찾는 방법으로 해당 지점에 미리 마킹을 수행하여 어렵지 않게 최대곡률지점(E)을 찾을 수 있겠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타발칩 B: 이송 벨트
B1: 이송 프레임 바디 B2: 이송 롤러
B3: 이송 안정 유닛 B11: 측부 프레임
C: 밀폐 커버 d: 수평 변위
E: 최대곡률지점 T: 회수구
1: 가이드봉 2: 고정 브라켓
21: 삽입구 22: 브라켓 바디
23: 조절 수단 231: 조절 나사
232: 손잡이 233: 과삽입 방지 유닛
234: 요철
3: 블레이드

Claims (4)

  1. 필름 타발 시에 발생하는 타발칩을 배출하는 타발칩 배출 장치에 있어서,
    타발칩이 이송되는 이송 벨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이송 벨트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안착각 및 수평 변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브라켓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조절공, 상기 조절공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 나사, 상기 조절 나사의 머리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조절 나사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구비되는 과삽입 방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과삽입 방지 유닛의 직경은 상기 손잡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 벨트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의 측부를 밀폐하는 밀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이송 벨트에 접촉하는 접촉 부위는 상기 이송 벨트의 단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최대곡률지점이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 벨트 측에 형성되는 광폭부와 상기 브라켓 바디 측에 형성되는 협폭부 및 폭 변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부의 폭이 상기 협폭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발칩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4722A 2021-02-24 2021-02-24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KR10232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22A KR102323322B1 (ko) 2021-02-24 2021-02-24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22A KR102323322B1 (ko) 2021-02-24 2021-02-24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322B1 true KR102323322B1 (ko) 2021-11-05

Family

ID=7850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22A KR102323322B1 (ko) 2021-02-24 2021-02-24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3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42A (ja) * 1996-06-24 1998-01-13 Aichi Mach Ind Co Ltd コンベアからの飛び出し防止構造
KR200378828Y1 (ko) * 2004-10-25 2005-03-16 주식회사 토탈키즈 범용 패스너 장치
KR101128375B1 (ko) * 2011-12-19 2012-03-23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KR20140022027A (ko) * 2011-03-31 2014-02-21 베네테크, 인크.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스크래퍼 블레이드 및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42A (ja) * 1996-06-24 1998-01-13 Aichi Mach Ind Co Ltd コンベアからの飛び出し防止構造
KR200378828Y1 (ko) * 2004-10-25 2005-03-16 주식회사 토탈키즈 범용 패스너 장치
KR20140022027A (ko) * 2011-03-31 2014-02-21 베네테크, 인크.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스크래퍼 블레이드 및 조립체
KR101128375B1 (ko) * 2011-12-19 2012-03-23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921B2 (en)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96746B1 (ko) 시트형 재료의 더미를 회전시키는 장치
JP5580884B2 (ja) 包装製造機械におけるツール交換が容易な不要部分除去ユニット及び不要部分除去ユニットを含む包装製造機械
CN105922308B (zh) 一种等距离切割装置
TWI597144B (zh) 線鋸及利用線鋸處理工件的方法
CN105751062A (zh) 一种球面滚子磨床机械手式自动上料设备
KR102323322B1 (ko) 3구 타발칩 배출 장치
KR101909154B1 (ko) 원라인 절단 면취기
KR101849009B1 (ko) 타이어 트레드 재단장치
JPH04210586A (ja) 不良シガレットのフィルター片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CN208615120U (zh) 一种胎面料头自动剔除装置
JP2011031330A (ja) 加工バリ取り方法及びベルト式加工バリ取り装置
JP2008063059A (ja) 粘着シート貼付装置
TWI439319B (zh) 料條粒化裝置
JP2014210312A (ja) ビレットの両端部研削装置
RU2693784C2 (ru) Режущая станц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ля сборки шин
CN210025450U (zh) 一种橡胶管自动切割机
JP4163777B2 (ja) リング状ベルトの搬送・着脱装置
KR100504212B1 (ko) 합성수지판재의 절단면 자동 가공장치
CN112809797A (zh) 卷筒纸平压平模切机及其控制方法
CN220536710U (zh) 一种覆膜机除尘用宽幅输送装置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CN113941523B (zh) 一种真空辊机构、片材剔除设备及剔除方法
JP2001287195A (ja) 帯状弾性シートの送りカット装置及び送りカット方法
CN211053837U (zh) 一种推纸机构、输送装置和卷筒纸切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