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35B1 -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35B1
KR102321535B1 KR1020190160004A KR20190160004A KR102321535B1 KR 102321535 B1 KR102321535 B1 KR 102321535B1 KR 1020190160004 A KR1020190160004 A KR 1020190160004A KR 20190160004 A KR20190160004 A KR 20190160004A KR 102321535 B1 KR102321535 B1 KR 10232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value
change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027A (ko
Inventor
석현정
얀유천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35B1/ko
Priority to PCT/KR2020/014178 priority patent/WO2021112395A1/ko
Publication of KR2021007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2033/008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색상 변화 평가 방법은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이나 외부의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배제할 수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색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밑 바탕 색이 변하거나 구조적인 변형이 생기는 등 은폐율지 상에 변화가 없어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장시간 동안 정확히 측정이 가능하며,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객관적이고 직관적으로 다크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바, 화장료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Method for evaluating discolo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using Opacity Charts}
본 발명은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크닝 현상이란 피부 화장을 한 후 시간에 지남에 따라 색상이 점점 어두워지며 피부가 칙칙해 보이는 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으로는 화장품에 포함된 오일이 휘발 되면서 색소의 뭉침이 일어나 색이 어둡게 변하는 것과, 피부에서 나오는 피지나 땀 등에 의해 색소의 산화 현상이 일어나 색이 어둡게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크닝 현상은 사용자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화장품 개발 과정에서 제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필수적인 단계이다.
다크닝 현상의 측정 방법으로는 사람의 피부나 분리된 동물 피부에 도포하여 색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돼지 껍데기에서 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002250). 그러나 돼지 껍데기는 그 자체에서 나오는 기름 성분으로 인해 제품 자체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기 어려우며, 사람 피부의 경우 부위에 따라 유분 및 수분 함량이 다르고, 피지와 땀 등과 같은 분비물 그리고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들로 인해 시간에 따른 정확한 색상 변화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메이크업 제품의 다크닝 현상 정도 혹은 다크닝 진행 속도를 나타내는 지수에 대한 표준화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로 인해 다크닝 현상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사진 또는 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진의 경우 사람마다 색을 보는 차이가 있어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고, 그래프의 경우 한 눈에 확인이 가능하지 않고 어느 정도로 변화했는지 분석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 없이 메이크업 제품 자체의 시간에 따른 다크닝 현상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일 양상은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은폐율지”는 도료의 은폐율을 측정하기 위한 종이로 흑색과 백색으로 이루어진 코팅지를 의미할 수 있다. 흑색과 백색이 위, 아래로 반반 칠해져 있거나, 세로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를 이루고 있을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 따른 은폐율지는 흑색과 백색이 각각 위아래로 이루어진 코팅지일 수 있다.
용어 “필름 어플리케이터”는 도료를 일정한 양과 두께로 도포하기 위한 도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함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양을 일정하게 통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조성물의 다크닝 정도의 정확한 비교 분석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100 μm 내지 300 μm 두께, 예를 들어, 100 μm 내지 250 μm, 100 μm 내지 230 μm, 100 μm 내지 200 μm, 150 μm 내지 300 μm, 150 μm 내지 250 μm, 150 μm 내지 230 μm, 150 μm 내지 200 μm, 180 μm 내지 300 μm, 180 μm 내지 250 μm, 180 μm 내지 230 μm, 180 μm 내지 200 μm의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도포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두께가 100 μm 미만일 경우, 은폐율지의 색이 투과되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를 판단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μm로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용어 "다크닝 현상"은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본연의 색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색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색상 변화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에 포함된 오일이 휘발되면서 색소의 뭉침 현상이 일어나거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 간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발생하는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비비 크림, 씨씨 크림, 스킨커버, 메이크업 베이스 (make-up base), 프라이머 (Primer), 파운데이션, 블러셔 (Blusher), 립스틱, 립글로스, 페이스 파우더, 립라이너, 아이브로우펜슬, 아이섀도우, 콤팩트 파우더, 트윈 케??, 팩트, 파우더 팩트, 컨실러, 기능성 로션, 또는 선스크린 (Sunscreen)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색상 변화의 측정은 당업계에서 색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기기, 예를 들어, 분광측색계, 분광색차계, 또는 촬영 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의 측정은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직후, 도포 후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또는 임의의 시간 후의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밝기 L 값,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 값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a 값이 증가할수록 빨갛게 보이고, a 값이 감소할수록 빨간색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b 값은 노란색과 파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b 값이 증가할수록 노랗게 보이고, b 값이 감소할수록 노란색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밝기 L 값이 2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x분을 Dt=x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x 값이 작을수록 다크닝 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동안의 밝기 L 값의 총 변화량의 절대값 y,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의 증감 여부 z를 DI(Darkening Index)=yz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z는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이 모두 증가한 경우 R+Y+, 색상 a 값이 증가하고 색상 b 값은 감소한 경우 R+Y-, 색상 a 값이 감소하고 색상 b 값은 증가한 경우 R-Y+, 또는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이 모두 감소한 경우 R-Y-일 수 있다. y 값이 클수록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다크닝 현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R+는 색상이 빨갛게 변한 것, Y+는 색상이 노랗게 변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밝기 L 값이 2 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x분을 Dt=x로 하는 단계 및 특정 시간 동안의 밝기 L 값의 총 변화량의 절대값 y,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의 증감 여부 z를 DI(Darkening Index)=yz로 하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다크닝 속도, 다크닝 총량, 및 색상 변화 양상을 모두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은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이나 외부의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배제할 수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색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밑 바탕 색이 변하거나 구조적인 변형이 생기는 등 은폐율지 상에 변화가 없어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장시간 동안 정확히 측정이 가능하며,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객관적이고 직관적으로 다크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바, 화장료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밝기 L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a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는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1시간 경과 후의 돼지 껍데기의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은폐율지와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밝기 L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a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밝기 L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상 a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상 b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다크닝 현상을 'Dt'와 'DI' 수치로 분석한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돼지 피부 조직을 이용한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의 관찰
돼지 껍데기 표피 부분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른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 껍데기에 7개 종류의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화장품 전용 퍼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양(0.5g)으로 도포한 뒤, 표피의 반대 부분(피하조직 층)이 맞닿도록 40℃로 조정된 핫플레이트에 올려 돼지 껍데기의 피지 분비를 유도하였다. 도포 직후, 1분 간격으로 20분 동안, 그 후 5분, 10분 간격으로 총 120분 동안, 비접촉 분광측색계(MetaVue™VS3200(X-Rite, Inc., U.S.A))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1은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밝기 L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a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는 돼지 껍데기에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돼지 껍데기에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1시간 경과 후의 돼지 껍데기의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0분 동안의 7개 종류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의 정도는 모두 달랐지만, 대부분 유사하게 밝기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0분 동안의 7개 종류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 변화의 정도와 양상은 모두 달랐지만, 색 a 값은 대부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색 b 값은 대부분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본래 다크닝 현상 관찰 시간을 2시간으로 계획했지만,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온에서 돼지 껍데기가 건조되면서 본래의 돼지 껍데기 색과 달리 점점 어둡게 변하였고, 1시간 뒤부터는 껍데기가 딱딱해지고 휘는 현상이 나타나, 1시간 이후부터는 색상 변화를 제대로 관찰하기 어려웠다. 또한, 돼지 껍데기 위에서 다크닝 현상을 반복 측정을 했을 때, 결과 값이 일정하게 나오지 않았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돼지 껍데기 자체의 색이 어둡게 변하면서 구조적인 변형이 발생하고, 돼지 껍데기 마다 모양과 색, 그리고 피지 양이 모두 다 다르므로 돼지껍데기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파운데이션의 색상 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은폐율지와 applicator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의 관찰
통상 화장품 색 변화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은 마우스, 래트, 래빗 등 다양한 소 동물 및 개, 돼지 등 여러 종의 동물이 있다. 그러나, 사람의 피부와 다른 동물의 피부는 두께 및 부속기관의 수 등이 다르고, 특히 돼지 등 일부 동물은 피부에 땀샘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동물 피부를 이용한 실험의 결과를 사람 피부에 동일하게 적용하기는 어렵다. 특히 분리된 동물의 피부 조직은 각 개체의 기관으로부터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조직 내의 표피, 진피 또는 피지선 등의 구조와 역할이 변형될 수 있고, 피부 자체의 특성이 유지되는지도 알 수 없다. 또한, 피부의 경우도 부위에 따라 땀샘이나 피지선의 구조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어떤 부위를 선택해서 실험을 하는지에 따라 실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사람 피부는 입체적이고 굴곡져 있기 때문에 화장품 도포 시 화장품 양이나 두께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크닝 현상의 원인들 중 사람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 피지 등에 의한 것도 있지만 화장품 자체의 오일이 휘발되거나 또 다른 화학반응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동물과 사람의 피부에서 실험을 하게 될 경우, 각각에서 나오는 피지와 땀 등과 같은 분비물 때문에 화장품 자체에서 발생되는 색 변화 현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비교예1에서 확인한 것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 후 돼지껍데기 색이 어둡게 변하기 때문에, 다크닝 현상을 측색할 때 측색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코팅된 은폐율지 위에서 동일한 두께로 파운데이션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른 화장품의 색 변화를 비접촉 분광측색계로 측정하여 다크닝 수치로 표현하는 방법을 다크닝 현상의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은폐율지 (Unsealed Test Charts, Form-N2C(Leneta Company, Inc., U.S.A)) 위에 film applicator ((Four Sided Applicator(BEVS Industrial Co., Ltd.))를 이용하여 200μm 두께로 파운데이션을 도포하고 비접촉 분광측색계(MetaVue™VS3200(X-Rite, Inc., U.S.A))를 이용하여 도포 직후, 1분 간격으로 20분 동안, 그 후 10분 간격으로 총 2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파운데이션 색은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L*, a*, b* value로 분석하였으며, 파운데이션의 L*, a*, b* value 변화 정도를 도식화하였다. 도 5는 은폐율지와 film applicator를 이용해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밝기 L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a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는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비교예 1과 달리 은폐율지 위에서의 측정은 시간이 지나도 은폐율지의 모양과 밑바탕 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2시간까지 훨씬 더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과 도 6을 비교했을 때, 도포 후 20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의 'Lightness' 변화 양상이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돼지 껍데기에서 분비된 피지가 다크닝 현상으로 나타나는 'Lightness'의 변화를 훨씬 가속화시키거나, 다른 양상으로 변화시키는 등의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와 도 7을 비교했을 때,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의 a 값 변화의 양상이 돼지 껍데기에서 매우 다양하게 급변하는데 비해, 은폐율지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돼지 껍데기에서 분비된 피지가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의 a 값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과 도 8을 비교했을 때, 시간에 따른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의 b 값 변화의 양상이 돼지 껍데기에서 매우 다양하게 급변하는데 비해, 은폐율지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돼지 껍데기에서 분비된 피지가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의 b 값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은폐율지 위에 파운데이션 양과 두께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applicator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색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외부의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더욱 정확하게 파운데이션 화장품 자체의 다크닝 현상을 측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화장품의 색 변화의 폭이 제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은폐율지를 이용하는 경우 제품 처방상의 차이에 의한 다크닝 현상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크닝 수치에 의한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 평가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정도를 용이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정의에 따라 시간 대비 'Lightness' 변화 값과 색상 'a'와 'b' 값의 변화 양상으로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Dt'는 'Darkening time'을 축약한 표현으로, 인간이 밝기 변화를 인지하는데 필요한 밝기 변화의 역치 값은 L=2라고 알려져 있는 바, 'Dt=x'는 밝기 L 값이 2 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x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L 값이 2 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8분이었다면, 'Dt=8'로 할 수 있다. 또한, 'DI'는 'Darkening Index'를 축약한 표현으로, 'DI=yz'는 특정 시간 동안 변화한 밝기 L 값의 총량의 절대값 y와 색상 a와 b의 색상 변화 z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8시간동안 다크닝 현상에 의해 L 값이 총 5 감소하고, a 값이 증가, b 값이 감소했다면, 'DI=5R+Y-'로 할 수 있다. 도 9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밝기 L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상 a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색상 b 값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돼지 껍데기와 은폐율지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파운데이션 화장품 다크닝 현상을 'Dt'와 'DI' 수치로 분석한 표이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와 DI 수치로 분석할 경우 그래프나 사진에 비해 다크닝 현상을 종합적이고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화장품의 종류, 색, 질감 등에 상관없이 파운데이션 화장품 자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 변화를 용이하게 비교 분석할 수 있다.

Claims (9)

  1. 은폐율지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색상 변화는 다크닝 현상인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밝기 L 값,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밝기 L 값이 2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x분을 Dt=x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동안의 밝기 L 값의 총 변화량의 절대값 y,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의 증감 여부 z를 DI=yz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z는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이 모두 증가한 경우 R+Y+, 색상 a 값이 증가하고 색상 b 값은 감소한 경우 R+Y-, 색상 a 값이 감소하고 색상 b 값은 증가한 경우 R-Y+, 또는 색상 a 값 및 색상 b 값이 모두 감소한 경우 R-Y-인 것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100 μm 내지 300 μ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인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변화에 의한 것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변화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오일 성분이 휘발되어 발생하는 것인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변화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 간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발생하는 것인 방법.
KR1020190160004A 2019-12-04 2019-12-04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KR10232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04A KR102321535B1 (ko) 2019-12-04 2019-12-04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PCT/KR2020/014178 WO2021112395A1 (ko) 2019-12-04 2020-10-16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04A KR102321535B1 (ko) 2019-12-04 2019-12-04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27A KR20210070027A (ko) 2021-06-14
KR102321535B1 true KR102321535B1 (ko) 2021-11-04

Family

ID=7622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04A KR102321535B1 (ko) 2019-12-04 2019-12-04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1535B1 (ko)
WO (1) WO202111239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829A (ja) 2004-08-24 2006-11-09 Shiseido Co Ltd 油性化粧料
US20150174053A1 (en) * 2013-12-19 2015-06-25 Avon Products, Inc. Styrene Maleic Anhydride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44B1 (ko) * 2008-11-03 2011-09-08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845A (ko) * 2015-04-17 2016-10-26 (주)젠텍 복합 안료,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23438B1 (ko) * 2016-09-07 2024-01-11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색상 커버력 측정 시스템 및 커버력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829A (ja) 2004-08-24 2006-11-09 Shiseido Co Ltd 油性化粧料
US20150174053A1 (en) * 2013-12-19 2015-06-25 Avon Products, Inc. Styrene Maleic Anhydride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95A1 (ko) 2021-06-10
KR20210070027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4126A1 (en) Colour Compensating System
KR20190141764A (ko) 톤 결점을 감추기 위한 화장 조성물의 어레이
WO2010004565A2 (en) Forecasting of treated skin colors
JP2002257630A (ja) マッチングチャ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382054A (zh) 化学组合物
KR102140198B1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KR102321535B1 (ko)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JPH09178560A (ja) 化粧肌色の予測方法
US1071638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a cosmetic product adapted for a wearer's skin
Guichard et al. Facial foundation
KR102299813B1 (ko)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JP6698845B2 (ja) 化粧用ベース組成物を着色する方法
JP2891759B2 (ja) 艶評価方法及び装置
US20230144089A1 (en) Smart system for skin testing and customised formulation and manufacturing of cosmetics
KR20180112062A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개선하기 위한 비시아 파바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KR102288806B1 (ko) 화장료의 지속성 평가 방법
KR102623438B1 (ko) 화장료의 색상 커버력 측정 시스템 및 커버력 측정 방법
KR102241394B1 (ko)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Laneri et al. A New Protocol to Evaluate Waterproof Effect of Lip Gloss
KR102014963B1 (ko)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CN117907319A (zh) 一种彩妆产品防水抗汗的测试方法
KR101904769B1 (ko) 립 메이크업 제품의 번짐방지 효능 평가 방법
Korichi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properties of make‐up products by video imaging: application to lipsticks
JP3321793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の塗布色及び着色力測定方法
Rio et al. Color space system analysis of tooth enamel whitening with a phenolic extract of strawberry lea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