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94B1 -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 Google Patents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94B1
KR102241394B1 KR1020180068781A KR20180068781A KR102241394B1 KR 102241394 B1 KR102241394 B1 KR 102241394B1 KR 1020180068781 A KR1020180068781 A KR 1020180068781A KR 20180068781 A KR20180068781 A KR 20180068781A KR 102241394 B1 KR102241394 B1 KR 10224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cara
weight
cosmetic composition
korea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939A (ko
Inventor
황지인
김원종
소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18006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에 대한 것으로, 천연 화장료 성분인 한지와 닥나무를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사용감이 증진되고, 롱래쉬 및 볼륨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ANJI AND THE PAPER MULBERRY AND MASCARA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여 롱래쉬와 볼륨업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현대사회에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의 기능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고기능성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화장은 얼굴의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눈 화장은 얼굴 중에서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눈 화장에 있어서 눈썹 및 속눈썹이 짙고 풍성할수록 또렷한 눈매를 완성하여 얼굴을 돋보이게 한다. 따라서, 눈썹 및 속눈썹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눈썹 및 속눈썹용 제품으로 대표되는 마스카라는 롱래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나일론 섬유를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나일론 섬유를 함유하는 마스카라를 눈썹 및 속눈썹에 사용하는 경우, 눈 가장자리에 중압감, 피부자극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25589호에서는 나일론 섬유를 한지로 대체하여 롱래쉬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강한 롱래쉬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한지를 높은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엉겨붙는 현상이 강해져 고함량 적용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눈썹 및 속눈썹의 볼륨을 감소시켜 풍성하게 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7-025589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눈 가장자리의 중압감과 피부자극을 개선하기 위해 천연 화장료 성분인 한지와 닥나무를 이용하여 사용감이 증진되고, 롱래쉬와 볼륨업, 두께감 증진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한지 또는 닥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착색제, 왁스, 코팅제, 수지, 방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한지는 한지 원물 또는 한지 파우더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액정베이스 및/또는 중공 수지 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유중수형 조성물, 수중유형 조성물, 수분산 조성물, 유분산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화장료인 한지와 닥나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정하며, 한지의 바이젠베르크 효과 (Weissenberg's Effect)를 통해 서로 길게 엉겨붙어 롱래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닥나무가 속눈썹 간의 풍성해 보이는 볼륨업 및 두께감 증진 효과를 보일 수 있어, 한지와 함께 적정 함량 적용 시 롱래쉬와 풍성한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인조 속눈썹의 길이가 길어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따른 인조 속눈썹의 길이가 길어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인조 속눈썹의 길이가 길어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인조 속눈썹의 길이가 길어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한지 및 닥나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지는 한지 원물 또는 한지 파우더이고, 상기 닥나무는 닥나무 전초, 뿌리 또는 껍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물을 분쇄한 파우더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한지 0.01 내지 20.00 중량%; 및 상기 닥나무 0.01 내지 20.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착색제, 왁스, 코팅제, 수지, 방부제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착색제 5.00 내지 20.00 중량%; 상기 왁스 8.00 내지 20.00 중량%; 상기 코팅제 0.50 내지 5.00 중량%; 상기 수지 0.50 내지 5.00 중량%; 상기 방부제 0.30 내지 1.00 중량%; 및 상기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정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베이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중공 수지 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수지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조성물, 수중유형 조성물, 수분산 조성물, 유분산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염료 또는 인공 염료로 착색된 상기 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 별도의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리퀴드, 아이브로우 틴트, 아이브로우 펜슬, 아이브로우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제품; 헤어 쉐도우, 흑채, 헤어오일, 헤어로션 및 헤어 컨디셔너를 포함하는 헤어 제품;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및 마사지크림을 포함하는 기초 화장품; 시트 마스크팩, 필오프 마스크팩 및 워스오프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립스틱, 립틴트, 컨실러, 트윈케익 및 팩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된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는 롱래쉬(길이 연장) 효과 및 풍성한 볼륨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한지 또는 닥나무를 각각 0.0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경우, 롱래쉬 효과가 제공되지 않으며, 20.0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한지 또는 닥나무가 엉겨붙어 기대되는 롱래쉬 효과보다 뭉침 현상이 강해져 마스카라의 고유기능을 상실한다. 또한, 상기 한지 또는 닥나무의 함량이 증가될 시 분산을 위해 상기 코팅제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코팅제의 발수능력에 따라 상기 한지 또는 닥나무가 균일하게 물에 분산되지 않는다.
상기 한지는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여 사용하였으며, 세절 후 잘린 한지를 상기 정제수에 고르게 분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정제수에 상기 한지를 분산시킬 경우, 분산된 한지가 바이젠베르크 효과(Weissenberg's Effect)로 서로 엉겨 붙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상기 분산된 한지를 상기 코팅제(예를 들어, 실리콘)로 코팅하여, 발수성을 증가시키고, 분산시켜 고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닥나무는 닥나무 껍질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분쇄된 닥나무는 상기 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리콘 코팅으로 발수성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고르게 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스카라를 제조할 경우, 0.5 내지 1.5 cm의 롱래쉬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한지 및 닥나무와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는 예를 들어, 유기색소 및 천연색소 등 일 수 있다. 상기 착색제를 이용하여 상기 한지 및 닥나무를 염색하고, 염색된 상기 한지 및 닥나무를 세절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적용가능하며, 특히, 상기 유기색소 및 천연색소를 직접 배합하는 것에 비해 피부자극에 더 완화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일반 마스카라의 제조
배합성분 함량 (% w/w)
1 정제수 38
2 왁스 20
3 나일론 6 1.4
4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
5 코팅제 4.5
6 수지 0.5
7 착색제 15
8 방부제 0.6
합계 100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비교예 1에 따른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들 중 성분 7을 헨셀(Henschel) 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성분 1과 5를 30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80도 가온시킨 성분 2와 4, 5, 8을 5분간 유화시키고, 미리 코팅제 및 수지에 분산시킨 성분 3을 후첨하여 5분 분산한 후 30도로 냉각시킨다.
비교예 2: 한지 마스카라의 제조
배합성분 함량 (% w/w)
1 정제수 38.4
2 왁스 20
3 한지 1
4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
5 코팅제 4.5
6 수지 0.5
7 착색제 15
8 방부제 0.6
합계 100
상기 표 2의 조성으로 비교예 2에 따른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들 중 성분 7을 헨셀(Henschel) 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성분 1과 5를 30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80도 가온시킨 성분 2와 4, 5, 8을 5분간 유화시키고, 미리 코팅제 및 수지에 분산시킨 성분 3을 후첨하여 5분 분산한 후 30도로 냉각시킨다.
비교예 3: 닥나무 마스카라의 제조
배합성분 함량 (% w/w)
1 정제수 38.4
2 왁스 20
3 닥나무 1
4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
5 코팅제 4.5
6 수지 0.5
7 착색제 15
8 방부제 0.6
합계 100
상기 표 3의 조성으로 비교예 3에 따른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들 중 성분 7을 헨셀(Henschel) 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성분 1과 5를 30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80도 가온시킨 성분 2와 4, 5, 8을 5분간 유화시키고, 미리 코팅제 및 수지에 분산시킨 성분 3을 후첨하여 5분 분산한 후 30도로 냉각시킨다.
실시예 1: 한지/닥나무 마스카라의 제조
배합성분 함량 (% w/w)
1 정제수 38
2 왁스 20
3 한지 0.7
4 닥나무 0.7
5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
6 코팅제 4.5
7 수지 0.5
8 착색제 15
9 방부제 0.6
합계 100
상기 표 4의 조성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들 중 성분 8을 헨셀(Henschel) 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성분 1과 5를 30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80도 가온시킨 성분 2와 5, 6, 9을 5분간 유화시키고, 미리 코팅제 및 수지에 분산시킨 성분 3, 4를 후첨하여 5분 분산한 후 30도로 냉각시킨다.
<시험예>
시험예 1. 마스카라의 롱래쉬 효과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롱래쉬 효과를 수치로 평가 하기 위해, 마스카라 도포 전, 후 인조 속눈썹의 길이를 버니어켈리퍼스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마스카라 도포 전에 인조 속눈썹을 버니어켈리퍼스의 표면에 부착하여 길이를 측정하고, 마스카라를 5회 도포한 후의 인조 속눈썹을 다시 버니어켈리퍼스의 표면에 부착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도포 전 14.12 cm 14.65 cm 13.66 cm 14.03 cm
도포 후 14.16 cm 14.77 cm 14.06 cm 14.76 cm
도포 전/후 길이 변화 +0.04 cm +0.12 cm +0.4 cm +0.73 cm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한지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대비, 닥나무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의 롱래쉬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한지와 닥나무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1 내지 3 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롱래쉬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회 측정치의 평균을 기재하였으며, 도포 전/후의 표준편차는 0.3 cm이고, 각 표본의 표준편차는 0.03 ~ 0.05 cm로 신뢰하는 데이터로 보인다.
시험예 2. 마스카라의 피부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나 아토피 피부염의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 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의 팔 상박부 안쪽과 속눈썹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마스카라를 첩포한 후, 24시간 후에 첩포를 제거하였다.
첩포 제거 직후, 제거 후 1시간, 제거 후 24시간 후의 피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자극의 강도에 따라 점수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자극 정도에 따라 매우 자극이 심하면 "+++", 중간 정도의 자극이 있으면 "++", 약간의 자극이 있으면 "+", 자극이 없으면 "-"로 표시하였다.
속눈썹의 경우 경미한 자극, 혹은 눈에 중압감이 느껴질 시 +, 눈에 경미한 자극이 있을 시 ++, 자극이 있으며 눈 화장 시 무거울 시 +++로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팔안쪽
(1시간)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팔안쪽(24시간)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속눈썹(1시간) (30명 중 5명 +, 1명 ++) (30 명 중 1명 +)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속눈썹(24시간)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자극 없음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마스카라는 속눈썹 도포 시 자극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사람이 30명 중 6명으로, 20%가 자극적이라고 평가하였으나, 비교예 2를 속눈썹 도포한 경우, 30명 중 1명이 약간의 자극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비교예 3 및 실시예 1을 속눈썹 도포한 경우, 30명 모두 자극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마스카라의 볼륨업 효과 설문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볼륨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첩보 시험을 실시하였다. 10명의 피시험자는 평소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20-30대 여성으로 속눈썹 제형을 첩보 후 30분 후 각 볼륨업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첩보 후 볼륨의 정도에 따라 효과가 클 시 "+++", 중간 정도의 볼륨이 보일 시 "++", 약간의 볼륨이 된다면 "+"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로 표시하였다.
번호 연령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효과가 가장 좋은 예 두께감이 우수한 예
1 25 + + ++ +++ 실시예 1 실시예 1
2 27 - - + + 실시예 1 실시예 1
3 27 - - ++ ++ 실시예 1 실시예 1
4 32 + + + ++ 실시예 1 실시예 1
5 33 - + ++ + 비교예 3 비교예 3
6 23 + + + + 모르겠음 실시예 1
7 23 + - ++ + 비교예 3 실시예 1
8 29 + + + ++ 실시예 1 실시예 1
9 37 + + +++ ++ 비교예 3 비교예 1
10 34 + + + + 모르겠음. 모르겠음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10명의 피실험자 중 5명이 실시예 1의 마스카라를, 3명이 비교예 3의 마스카라를 볼륨업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두께감 또한 실험자 10명 중 7명이 실시예 1의 마스카가라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에 마스카라가 닥나무와 한지를 함유하여 제조되는 경우, 볼륨업 및 두께감 증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마스카라 볼륨업 효과 무게 측정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를 인조 속눈썹에 10회 도포 후 매회 증가된 무게를 4자리 수 저울로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증가무게 (mg) 6.28 7.44 7.92 9.1
상기 표 8에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증가된 무게가 평균 9.2 mg으로 월등히 높았다. 동일한 도포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이 나온 것을 보아 도포되는 두께감, 볼륨감 차이가 보여 실시예 1이 높은 무게가 나온 것이 두께감, 볼륨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교예 2는 한지의 바이젠베르크 효과(Weissenberg's Effect)로 비교예 1보다 높은 무게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은 닥나무의 셀룰로오스가 엉겨붙는 현상이 어우러져 비교예 1보다 높은 무게가 나타났다. 이에 둘의 상호작용으로 실시예 1에서 비교예 1 내지 3보다 볼륨력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어낼 수 있다.
10회 측정치의 평균 값을 도출하였으며 각 표본의 표준편차는 각 비교예1은 0.37, 비교예 2는 0.45, 비교예 3은 0.19, 실시예 1은 0.25로 측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치가 아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한지 0.01 내지 20.00 중량%;
    닥나무 0.01 내지 20.00 중량%;
    왁스 8.00 내지 20.00 중량%;
    코팅제 0.50 내지 5.00 중량%;
    수지 0.50 내지 5.00 중량%;
    방부제 0.30 내지 1.00 중량%; 및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마스카라는 롱래쉬 및 볼륨업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한지 원물 또는 한지 파우더이고,
    상기 닥나무는 닥나무 전초, 뿌리 또는 껍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물을 분쇄한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착색제 5.00 내지 20.00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정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베이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공 수지 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수지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중수형 조성물, 수중유형 조성물, 수분산 조성물, 유분산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천연 염료 또는 인공 염료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속눈썹을 0.5 내지 1.5 cm 만큼 연장 시키는 방법.
KR1020180068781A 2018-06-15 2018-06-15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KR10224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81A KR102241394B1 (ko) 2018-06-15 2018-06-15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81A KR102241394B1 (ko) 2018-06-15 2018-06-15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39A KR20190141939A (ko) 2019-12-26
KR102241394B1 true KR102241394B1 (ko) 2021-04-16

Family

ID=6910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781A KR102241394B1 (ko) 2018-06-15 2018-06-15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3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77B1 (ko) * 2005-06-10 2012-07-11 (주)아모레퍼시픽 중공(中空) 분체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1480698B1 (ko) 2008-03-31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용 한지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632B1 (ko) 1995-11-13 1999-01-15 임충헌 한지를 이용한 롱래쉬형 마스카라 조성물
KR100361434B1 (ko) * 1998-10-17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볼륨감증진용마스카라조성물
KR101551787B1 (ko) * 2009-09-30 2015-09-09 (주)아모레퍼시픽 백삼 파우더 및 닥나무 한지 파우더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3682B1 (ko) * 2010-09-30 2013-01-22 이상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77B1 (ko) * 2005-06-10 2012-07-11 (주)아모레퍼시픽 중공(中空) 분체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1480698B1 (ko) 2008-03-31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용 한지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39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8347B (zh) 液体含芳基聚有机硅氧烷
CN109475759A (zh) 化妆护理系统
EP3159043B1 (en) Peel-off type eyebrow coloring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339146B (zh) 一种水包油包水粉底液及其制备方法
CN106619461A (zh) 一种含天然色素的眼影及其制备方法
KR101378789B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41394B1 (ko) 한지와 닥나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카라
KR101644532B1 (ko) 젤라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립타투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7270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AU2014249748B2 (en)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RU2641965C2 (ru) Пигмент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101803403B1 (ko) 아이-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15927A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including fiber
KR102097937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US20170112742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lopecia
KR20180036113A (ko)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42828A (zh) 一种利用天然色素着色的口红及其制备方法
DE10316305B4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S11813351B2 (en) Beauty product composition for eyebrows
Draelos Cosmetic camouflage for pigmentation issues
KR20240031455A (ko) 시어버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anzendörfer-Yu Colorants in cosmetic applications
KR20230059629A (ko)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322031A (ja) マスカラ用の化粧料
CN115887247A (zh) 腮红组合物和腮红粉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