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963B1 -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963B1
KR102014963B1 KR1020120109054A KR20120109054A KR102014963B1 KR 102014963 B1 KR102014963 B1 KR 102014963B1 KR 1020120109054 A KR1020120109054 A KR 1020120109054A KR 20120109054 A KR20120109054 A KR 20120109054A KR 102014963 B1 KR102014963 B1 KR 10201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keratin
image
efficac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360A (ko
Inventor
김윤경
최정선
최재욱
최경호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0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9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은, 피부로부터 각질을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적어도 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화장료가 도포된 제1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대조군에 해당하는 제2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이크업(makeup) 제품 등 화장료의 효능 평가 시 기존에 사용하던 인조피혁, 요철이 있는 물체 등이 아닌 실제 제품이 사용될 피부 조직의 각질을 이용함으로써 화장료의 효능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NG EFFECTS OF COMSMETIC COMPOSITION USING SKIN CRUST}
실시예들은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각질을 채취한 후 채취한 각질에 대한 메이크업(makeup) 제품 등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 지속력, 밀착력 등을 측정하는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makeup) 제품 등과 같은 화장료를 연구 개발함에 있어서. 화장료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그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서는 직접 사람의 피부에 제품을 도포하여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거나, 또는 인조 가죽, 달걀, 오렌지 등의 피부 레플리카(replica)에 제품을 도포하여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8763호에는 인조 피혁을 이용하여 화장 지속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개시된다.
그러나, 사람의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제품 효능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피험자에 대한 비용 및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 레플리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람의 피부가 아니므로 제품 효능이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876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부로부터 채취된 각질을 이용하여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 지속력 및 밀착력 등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은, 피부로부터 각질을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적어도 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화장료가 도포된 제1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대조군에 해당하는 제2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의 효능은 상기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의 효능은 도포 균일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미지는 피부상의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지점으로부터 채취된 각질로부터 얻어진 복수 개의 제1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으로부터 채취된 각질로부터 얻어진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 균일도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이미지 사이의 밝기 편차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사이의 밝기 편차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의 효능은 지속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미지는 채취된 각질에 상기 화장료가 도포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얻어진 이미지이며, 상기 제2 이미지는 채취된 각질에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직후 얻어진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의 효능은 밀착력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각질에 테이핑 후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이며, 상기 제2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기준 물질이 도포된 각질에 테이핑 후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채취된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퍼프, 및 상기 퍼프가 장착되며 상기 퍼프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에 의하면, 메이크업(makeup) 제품 등 화장료의 효능 평가 시 기존에 사용하던 인조피혁, 요철이 있는 물체 등이 아닌 실제 제품이 사용될 피부 조직의 각질을 이용함으로써 화장료의 효능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a는 채취된 피부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진동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개시된 진동 기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광학 현미경으로 각질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각질에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makeup) 제품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이미지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각질에 일반 퍼프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TEM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효능 평가의 대상인 화장료가 도포될 피부로부터 각질을 채취할 수 있다(S1).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란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제품으로서, 메이크업(makeup), 보습제, 미백 개선제, 주름 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다른 미용 관련 제품일 수 있으며, 특정 용도 및/또는 종류의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질은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채취될 수 있다. 예컨대, CuDerm 사에 의해 상용화된 투명 접착 테이프인 D-Squame을 이용하여 피부의 동일한 부위를 10회 스트리핑(striping)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질의 채취 방법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채취된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S2). 즉, 접착 테이프에 모아진 각질 위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화장료는 퍼프(puff)를 이용하여 손으로 도포되거나, 또는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퍼프는 NBR(Nitile Butadien Rubber) 재질로 된 퍼프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도포를 위한 진동 기기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화장료의 도포 과정에서 각질은 두 군으로 나누어질 수 있따. 일부의 각질(이하, 제1 군이라고 함)에는 실험군으로서 평가 대상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각질(이하, 제2 군이라고 함)은 대조군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군은 제1 군과 비교하여 도포 시간 및/또는 도포 물질에 차이가 있는 각질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군에는 평가 대상 화장료와 상이한 소정의 기준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제2 군은 아무런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맨 피부로부터 얻어진 각질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평가 대상 화장료가 도포된 제1 군 각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 또한, 대조군인 제2 군 각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4). 제1 및 제2 이미지는, 광학 현미경,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또는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취된 각질이 부착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린 후 현미경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장료의 효능을 평가하기에 앞서, 제1 및 제2 이미지 각각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S5). 제1 및 제2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은 공지된 컴퓨터 장치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으로서, 이미지를 흑백화 처리할 수 있다. 즉, 피부 이미지의 각 픽셀(pixel)의 색상을 해당 픽셀의 명도에 따라 검은색 또는 흰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주름 등의 그림자로 인하여 어두운 부분이 화이트 스팟(white spot)으로 변환되도록 명도를 반전시켜 흑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처리 전 이미지에서 어두운 픽셀일수록 흑백화된 이미지에서는 밝은 픽셀이 되도록 흑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흑백화된 제1 및 제2 이미지 각각에서 추가적으로 대비(contrast) 값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피부 이미지에서 피부를 제외한 배경 영역의 검은색 대비(black contrast) 값이 0이 되도록 대비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추가적인 대비 값 조절 과정은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평가 대상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할 수 있다(S6). 즉, 평가 대상 화장료가 도포된 각질로부터 얻어진 제1 이미지와, 대조군에 해당하는 각질로부터 얻어진 제2 이미지의 색상 또는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되는 효능에는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 지속력, 밀착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의 효능으로서 도포 균일도를 측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 균일도의 경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고 나면 피부상의 잡티, 점, 주름 등이 화장료에 의해 가려져 피부 밝기가 밝아지는 점을 고려하여, 피부상의 여러 지점에서 채취된 각질로부터 얻은 이미지의 밝기 편차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포 균일도의 측정에 있어서, 제1 이미지는 피부상의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지점으로부터 채취된 각질로부터 각각 얻어진 복수 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람 얼굴의 이마, 볼 및 턱으로부터 각질을 채취한 후, 채취된 각질에 평가 대상 화장료를 도포한 후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제1 이미지를 채취 위치별로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채취 위치별 제1 이미지를 통해, 이마의 밝기 값(A1), 볼의 밝기 값(A2) 및 턱의 밝기 값(A3)을 얻을 수 있다. 이마, 볼 및 턱의 각질로부터 각각 얻은 제1 이미지에는 여러 개의 픽셀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밝기 값 A1, A2 및 A3은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 밝기의 평균값(이하, Ave(Ax)로 기재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얻어진 제1 이미지 사이의 밝기 편차 M1, M2 및 M3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M1 = Ave(A1)-Ave(A2)
[수학식 2]
M2 = Ave(A2)-Ave(A3)
[수학식 3]
M3 = Ave(A3)-Ave(A1)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의 M1, M2 및 M3는 편차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수학식 우변의 각 항에서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을 뺀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수학식 1에서 Ave(A2)가 Ave(A1) 보다 클 경우, M1은 Ave(A2)-Ave(A1)에 의하여 계산된다. 평가 대상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는, 채취 위치별 편차 합산값 S로 하기 수학식 4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S의 값이 작을수록 도포 균일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4]
S = M1+M2+M3
또한, 제1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사람 얼굴의 이마, 볼 및 턱으로부터 각질을 채취한 후, 채취된 각질에 대조군으로서 기준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아무런 물질을 도포하지 않고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제2 이미지도 채취 위치별로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채취 위치별 제2 이미지로부터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4에 따라 제1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채취 위치별 편차 합산값 S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평가 대상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는, 제1 이미지로부터 얻은 S 값과 제2 이미지로부터 얻은 S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하여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의 효능으로서 지속력을 측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 균일도와 마찬가지로, 지속력도 이미지의 밝기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지속력의 경우 각질에 평가 대상 화장료 도포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얻어진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하고, 대조군으로서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한 직후 얻어진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하고 8시간이 지난 후에 검은색 테이프로 5회 테이핑을 하고 남아있는 부분의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할 수 있다. 화장료가 많이 남아있을 수록 이미지의 밝기가 상승하게 된다. 지속력(L3)은, 제1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밝기 값 L2와 제2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밝기 값 L1의 차이에 기초하여, 하기 수학식 5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포 균일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밝기 값 L1, L2 각각은 복수 개의 픽셀 밝기의 평균값으로 얻어질 수 있다.
[수학식 5]
L3 = Ave(L2)-Ave(L1)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의 효능으로서 밀착력을 측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속력과 마찬가지로, 밀착력도 이미지의 밝기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밀착력의 경우 각질에 평가 대상 화장료 도포 후 검은색 테이프로 테이핑을 하여 남아있는 부분의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하고, 대조군으로서 각질에 평가 대상 화장료와 상이한 기준 물질을 도포한 후 검은색 테이프로 동일하게 테이핑을 하여 남아있는 부분의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각질에 화장료 및 기준 물질을 각각 도포한 후 검은색 테이프로 2회 테이핑을 하고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화장료가 많이 남아있을 수록 이미지의 밝기가 상승하게 된다. 밀착력(B3)은, 제1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밝기 값 B2와 제2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밝기 값 B1의 차이에 기초하여, 하기 수학식 6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포 균일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밝기 값 B1, B2 각각은 복수 개의 픽셀 밝기의 평균값으로 얻어질 수 있다.
[수학식 6]
B3 = Ave(B2)-Ave(B1)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채취된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S2)에서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도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동 기기로 화장료를 도포할 경우 일반 퍼프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군에 비해 각질이 균일하게 정돈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 및 부착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a는 채취된 피부 각질에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진동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개시된 진동 기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진동 기기의 외부면은 캡(10), 몸체 커버(body cover)(20), 몸체(30) 및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40) 등에 의하여 덮여 있을 수 있다. 캡(10)을 벗기면 화장료가 도포된 퍼프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50)를 이용하여 진동 기기의 진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진동 기기는 퍼프 플레이트(puff plate)(70) 및 모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플레이트(70)는 화장료가 도포된 퍼프(1)가 장착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퍼프 플레이트(70)상에 위치하는 접착층(60)에 의하여 퍼프(1)가 퍼프 플레이트(7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퍼프 플레이트(70)는 하나 이상의 섀프트(shaft)(80, 90)에 의하여 모터(100)에 연결될 수 있다. 퍼프(1)는 화장료를 도포하고자 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모터(100)의 구동으로 인하여 퍼프(70) 플레이트가 도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퍼프(1)가 진동하면서 퍼프(1)와 접촉한 면에 화장료의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 기기에 의한 도포 과정의 일 예로서,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는 용기에서 화장료를 2회 펌핑하여 진동 기기의 퍼프(1)에 화장료가 도포되도록 하였으며, 진동 기기를 진동시키면서 5분간 퍼프(1)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각질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진동 기기의 활용 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광학 현미경으로 각질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2 종류의 각질 샘플(1행, 2행)에 대해 화장료 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이미지(좌측 열), 해당 각질 샘플(1행, 2행)에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화장료 제품을 도포한 경우의 이미지(중간 열), 및 해당 각질 샘플(1행, 2행)에 일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 제품을 도포한 경우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각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약 70 내지 90 nm 정도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각질에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TEM 이미지이며, 도 4b는 도 4a와 동일하게 채취된 각질에 일반 퍼프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TEM 이미지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도포함으로써 화장료의 피부 부착도 및 도포의 균일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피부로부터 각질을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적어도 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
    채취된 각질 중 화장료가 도포된 제1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피부상의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지점으로부터 채취된 각질로부터 얻어진 복수 개의 제1-1 이미지, 채취된 각질에 상기 화장료가 도포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얻어진 제1-2 이미지, 및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각질에 테이핑 후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제1-3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채취된 각질 중 대조군에 해당하는 제2 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복수 개의 지점으로부터 채취된 각질로부터 얻어진 복수 개의 제2-1 이미지, 채취된 각질에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직후 얻어진 제2-2 이미지,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물질이 도포된 각질에 테이핑 후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제2-3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의 효능은 도포 균일도, 지속력, 및 밀착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측정하기 위한 화장료의 효능이 도포 균일도인 경우,
    상기 화장료의 도포 균일도는, 상기 복수 개의 제1-1 이미지 사이의 밝기 편차와 상기 복수 개의 제2-1 이미지 사이의 밝기 편차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측정하기 위한 화장료의 효능이 지속력인 경우,
    상기 화장료의 지속력은 상기 제2-2 이미지와 상기 제1-2 이미지의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측정하기 위한 화장료의 효능이 밀착력인 경우,
    상기 화장료의 밀착력은 상기 제2-3 이미지와 상기 제1-3 이미지의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된 각질 중 적어도 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료가 도포된 퍼프, 및 상기 퍼프가 장착되며 상기 퍼프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을 흑백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 전에, 흑백화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의 대비(contrast)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광학 현미경, 투과 전자 현미경, 또는 주사 전자 현미경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10. 제 1항,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메이크업, 보습제, 미백 개선제, 주름 방지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KR1020120109054A 2012-09-28 2012-09-28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KR10201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54A KR102014963B1 (ko) 2012-09-28 2012-09-28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54A KR102014963B1 (ko) 2012-09-28 2012-09-28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60A KR20140042360A (ko) 2014-04-07
KR102014963B1 true KR102014963B1 (ko) 2019-08-28

Family

ID=5065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54A KR102014963B1 (ko) 2012-09-28 2012-09-28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13B1 (ko) * 2015-02-10 2021-09-08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522A (ja) 2002-12-20 2004-07-22 L'oreal Sa 物質の化粧品的又は皮膚科学的活性を評価する方法と植物材料の使用
KR101173986B1 (ko) 2012-02-03 2012-08-16 주식회사 코스텍 진동 퍼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94B1 (ko) * 2006-03-31 2012-06-1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표면의 멜라닌 분포를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각질세포의 멜라닌을 정량하는 방법
KR100867596B1 (ko) * 2007-04-10 2008-11-10 (주)아모레퍼시픽 형광염색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정량적 또는 3차원적으로표현할 수 있는 피부 각질 박리량의 평가법
KR101526270B1 (ko) 2010-01-29 2015-06-05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성 효과 평가 방법
KR20120050060A (ko) * 2010-11-10 2012-05-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 밀착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522A (ja) 2002-12-20 2004-07-22 L'oreal Sa 物質の化粧品的又は皮膚科学的活性を評価する方法と植物材料の使用
KR101173986B1 (ko) 2012-02-03 2012-08-16 주식회사 코스텍 진동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60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42B2 (en) Makeup support device, makeup support method, and makeup support program
RU238566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обработки посредством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обработки
JP3426052B2 (ja) 肌の評価装置
JP2008017936A (ja) 化粧装置及び方法
CN104969543A (zh) 电子镜装置
US20140174463A1 (en) Method for moving color-makeup tool of automatic color-makeup machine
JP3351958B2 (ja) 肌の評価方法
KR102343251B1 (ko) 의도된 사용자를 위한 화장품의 선택 방법
KR102014963B1 (ko)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US11064889B2 (en) Method of evaluating and visualizing fit of an applicator
US11172751B2 (en) Method of defining a treatment area of an applicator for registration with a condition to be treated
US9140681B2 (en)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eyelash clumping
KR101923967B1 (ko)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JP2014217456A (ja) 素肌または化粧肌の質感評価方法
EP3897287B1 (en) Applicator with an active agent applied in a concentration gradient and method of making it
JP4385925B2 (ja) 画像形成方法
JP7299801B2 (ja) 化粧剤の評価方法及び化粧剤の評価装置
JP6886773B2 (ja) 顔の見た目印象の決定部位の抽出方法、顔の見た目印象の決定因子の抽出方法、顔の見た目印象の鑑別方法
KR102288806B1 (ko) 화장료의 지속성 평가 방법
JP2009245393A (ja) 顔撮影装置及び測色装置
JP4683247B2 (ja) 画像形成方法
JP7164090B2 (ja) 皮膚毛細血管の撮影及び解析方法
WO2021112395A1 (ko) 은폐율지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변화 평가 방법
JP2022134105A (ja) 触感評価方法
JP2022056505A (ja) 肌状態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