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198B1 -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198B1
KR102140198B1 KR1020187027521A KR20187027521A KR102140198B1 KR 102140198 B1 KR102140198 B1 KR 102140198B1 KR 1020187027521 A KR1020187027521 A KR 1020187027521A KR 20187027521 A KR20187027521 A KR 20187027521A KR 102140198 B1 KR102140198 B1 KR 10214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bital
discoloration
type
composition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651A (ko
Inventor
카렌 마리 오소리오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1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사람의 안와주위 영역에서 피부의 목표 부분을 확인하고 치료 기간 동안 피부의 목표 부분에 개인 케어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개인 케어 조성물은 유효량의 유형 I 활성제, 유효량의 유형 II 활성제, 및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치료 기간은 활성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시간의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와주위 이상변색(periorbital dyschromia)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하기 위한 장기 활성제(chronic active)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을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안와주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때때로 눈 아래 다크 서클(under-eye dark circle)로 지칭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일반적으로 눈 주위의 피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색으로 인식되며, 이는 보통 피로 및/또는 노화와 관련된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컨실러 및/또는 다른 화장품을 도포하여 그의 외관을 감추는 것이 고안되어 왔다. 그러나, 메이크업을 사용하여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감추는 것은 단지 일시적인 해결책이다. 통상적인 메이크업 제품에 의해 제공되는 화장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제품을 매일 도포할 것이며, 일부 경우에, 심지어 온종일 제품을 재도포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근본적인 원인(들)을 다룸으로써, 눈 주위에서 보통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미적 특징 중 일부를 감소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더 영구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으로, 연구자들은 이러한 병태의 근본적인 원인을 확인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최근,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잘 밝혀지지 않은 다인성 병인으로서 인식된다.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각각의 유형에 대해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정의는 없다. 그리고, 심지어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는 그러한 연구자들 중에서도, 일부는 여전히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획일적" 접근법("one size fits all" approach)으로 단일 조성물 또는 재료로써 치료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피부의 목표 부분에 둘 이상의 장기 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 조성물은 유효량의 유형 I 활성제; 유효량의 유형 II 활성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약 50,000 내지 약 200,000 센티푸아즈의 점도를 포함한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이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이 방법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안와주위 피부의 목표 부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치료 기간 동안 피부의 목표 부분에 전술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 기간은 화장 조성물이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시간의 길이를 갖는다.
도 1은 인간 안면의 다양한 부분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의해 영향을 받은 안와주위 영역의 부분의 예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의해 영향을 받은 안와주위 영역의 부분의 예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의해 영향을 받은 안와주위 영역의 부분의 예를 예시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실시 형태(들)" 등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 재료, 특징부, 구조 및/또는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 선택적으로 다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것은 모든 실시 형태가 기재된 재료, 특징부, 구조, 및/또는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더욱이, 재료, 특징부, 구조 및/또는 특징은 다양한 실시 형태에 걸쳐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재료, 특징부, 구조 및/또는 특징은 기재된 것으로부터 생략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형태 및 태양은,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거나 불상용성이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조합에 있어서 명백히 예시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 형태 및/또는 태양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그와 조합가능할 수 있다.
모든 실시 형태에서, 모든 백분율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 백분율이다. 모든 비는,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모든 범위는 포괄적이고 조합가능하며, 더 좁은 범위를 포괄하고; 기술된 상한 및 하한 범위 한도는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추가의 범위를 생성하도록 상호 교환 가능하다. 유효 숫자의 개수는 지시된 양을 한정하는 것도 아니고 측정의 정확도를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달리 구체적으로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모든 수치량은 "약"이라는 단어로 수식됨이 이해된다.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모든 측정은 대략 25℃에서 그리고 주위 조건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주위 조건"은 약 1 기압 하의 그리고 약 50% 상대 습도에서의 조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필수 성분뿐만 아니라 선택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것은 조성물 또는 성분이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추가 성분이 청구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는 않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용어는 그 문맥에 달리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는 한, 마찬가지로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장기 활성제"는 활성제의 사용이 중단된 후에 원하는 효과를 계속해서 제공하는, 국소 화장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활성제를 의미한다. 장기 활성제는 지각되는 미용적 결함(cosmetic flaw)을 덮거나 감추도록 의도되는 통상적인 메이크업 제품에서 보통 발견되는 단기 활성제(acute active)(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및 컨실러에서 보통 발견되는 안료, 염료, 레이크 및 기타 착색제)와 비교할 때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화장 효과를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 장기 활성제는 장기간에 걸친 활성제의 반복 사용(예를 들어, 1주를 초과하는 동안의 활성제 사용)을 통해 작용한다. 대조적으로, 단기 활성제는 피부 상에서 지속되는 효과를 갖지 않으며, 일단 단기 활성제가 제거되면, 피부는 단기 활성제가 도포되기 전과 외관이 동일하다. 장기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그러한 장기간에 걸쳐 대략 1일 1회 정도 도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포 비율은 대략 1주 1회 내지 대략 1일 3회, 또는 이들 사이의 일부 비율로 다양할 수 있다. 장기 활성제는 원하는 효과를 거의 즉각적으로, 또는 조성물의 일부 최소량의 반복 사용 후에(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9, 11, 또는 심지어 12주 후에) 제공할 수 있다. 장기 활성제에 의한 효과는 장기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중단된 후에 1일 초과(예를 들어, 2, 3, 4, 5, 또는 6일 초과), 1주 초과(예를 들어, 2, 3, 또는 4주 초과) 또는 심지어 1개월 초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화장"은 인체의 부위 상에 원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 효과는 일시적, 반영구적, 또는 영구적일 수 있다. "화장품"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안면 상에 색을 남기는 제품,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컨실러, 아이라이너, 브라우 칼라(brow color), 아이섀도, 블러셔, 립스틱, 립밤(lip balm), 페이스 파우더, 고형 에멀젼 콤팩트 등이 포함된다.
"화장제"는 포유류 신체 또는 그의 임의의 부분과 접촉되어(예를 들어, 그에 문질러지거나, 부어지거나, 뿌려지거나, 분무되거나, 도입되거나, 달리 도포되어) 화장 효과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국소 화장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뿐만 아니라 그의 임의의 성분을 의미한다. 화장제는 장기 또는 단기 화장제일 수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는(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물질, 식품 첨가제, 및 일반의약품(over-the-counter medication)을 포함하는 비화장용 소비자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은 포유류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에 적합한 화장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배치된"은 소정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 특정 장소 또는 위치에 놓이는 것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긍정적인 외관 및/또는 감촉 효과를 상당히 유도하기에 충분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피하기에 충분히 낮은, 즉, 당업자의 건전한 판단의 범주 내에서 합리적인 효과 대 위험 비를 제공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방법에서, 장기 활성제의 유효량은 치료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의 외관을 개선한다"는 것은 안와주위 이상변색 외관에서 바람직한 변화 또는 효과를 달성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형 II 또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은 시지각 척도(Visual Perception Scale; "VPS")에서의 양수 점수; 혈액 관류의 감소; L* 값의 증가; a* 값의 감소 및/또는 b* 값의 증가에 상응할 수 있다.
"L*a*b*"는 국제조명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CIE")에 의해 지정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색 공간을 지칭한다. 3개의 좌표는 색의 밝기(L* = 0은 흑색을 산출하고, L* = 100은 확산 백색(diffuse white)을 나타냄), 마젠타와 녹색 사이의 색의 위치(a*, 음의 값은 녹색을 나타내는 한편 양의 값은 마젠타를 나타냄) 및 황색과 청색 사이의 색의 위치(b*, 음의 값은 청색을 나타내고 양의 값은 황색을 나타냄)를 나타낸다.
"안와주위"는 눈의 안와 주위를 의미한다. 사람의 안와주위 영역은 일반적으로 눈구멍(eye socket) 주위에 배치되는 안면의 부위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종방향으로는 이마의 하부와 뺨의 상부 사이에 놓이고 측방향으로는 콧등과 관자놀이 사이에 놓인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사람의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톤이 안면의 인근 부분, 예를 들어 뺨, 코, 이마, 관자놀이 및/또는 안와주위 영역의 다른 부분에서의 피부톤과 현저히 상이하게 보일 때 발생하는 병태이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일반적으로 양측성(bilateral)이다(즉, 이는 안면의 양측의 안와주위 영역에서 발생한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안면 및/또는 신체의 다른 영역(예를 들어, 뺨, 코, 이마, 관자놀이, 턱)에 비해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톤의 차이의 출현으로서 나타날 수 있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안와주위 영역에서 과색소침착되거나 저색소침착된 피부의 결과로서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사람에게서 직접 또는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전문 그레이더(expert grader)(즉,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시각적으로 분류하도록 훈련된 사람)에 의해 시각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영상화 기술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진단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 및/또는 분류될 수 있다. 그러한 진단 장치 및/또는 전문 그레이더를 소매 환경에, 예를 들어 화장용 아이-케어 제품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형 I, 유형 I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다.
"개인 케어 조성물"은 각질 조직에 또는 각질 조직에서 보통 발견되는 유형의 세포에 단기 또는 장기 효과를 제공하는, 포유류 각질 조직 상에 국소 도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국소 도포"는 각질 조직의 표면 상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펴 바르는 것을 의미한다.
상이한 근본적인 생물학적 원인 및 외관을 갖는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존재한다는 발견은 각각의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할 수 있는 장기 활성제 및/또는 활성제들의 조합을 확인해야 할 필요성을 야기하였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어느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나타나는지 알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떠한 제품을 구매해야하는 알지 못 할 수 있다. 특정 유형 또는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다양한 장기 활성제가 현재 밝혀져 있다. 각각의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기 활성제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다른 유형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 화장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올바른 제품이 선택되는지를 보장할 필요 없이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할 수 있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유형
사람에게 나타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유형을 확인 및/또는 평가하기 위해 적합한 다양한 평가 기법(예를 들어, 시각적 평가, 혈액 관류, 이미지 분석, 조직학적 분석, 바이오마커(biomarker) 분석,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signature) 분석 및/또는 유전자 발현 테마(theme) 분석)이 존재한다. 본 방법에서, 사람에게 나타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 유형 II, 또는 유형 III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람은 "이상변색이 없는"(No Dyschromia) 상태일 수 있다.
도 1은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기에 유용한 3개의 구역(11, 12, 13)으로 나누어진 인간 안면(5)의 안와주위 영역을 예시한다. 구역 1(11)은 일반적으로 눈 아래 부위의 안쪽 부분에 배치되며 눈의 안쪽 코너(4)에서 눈의 바깥쪽 코너(6)까지의 거리의 약 1/2까지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역 2(12)는 구역 1(11)의 원위 에지(즉, 눈 아래의 대략 중간점)에서 눈의 바깥쪽 코너(6)까지 연장된다. 구역 1(11) 및 구역 2(12)는 아랫눈꺼풀에서 광대뼈의 상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역 3은 눈 위에 배치되며 눈의 안쪽 코너(4)에서 눈의 바깥쪽 코너(6)까지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역 3(13)은 또한 눈의 상부로부터 눈썹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윗눈꺼풀 피부 및 아랫눈꺼풀 피부 둘 모두의 연속적인 변색에 의해 시각적으로 특징지어진다.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과 관련된 변색된 안와주위 피부는, 태닝된 피부 또는 검버섯의 색과 비슷할 수 있는, 안와주위 영역의 피부에서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갈색, 황색 및/또는 주황색 톤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부분적으로는, 안와주위 영역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에서(즉, 아랫눈꺼풀 및 윗눈꺼풀에 근접한) 그의 위치에 의해서 또한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전형적으로 안와주위 영역의 구역 1 및 구역 3에서, 그리고 일부 경우에, 구역 2에서 나타난다.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아랫눈꺼풀 피부의 연속적인 변색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과 관련된 변색된 안와주위 피부는, 멍든 피부의 색과 비슷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자주색, 분홍색 및/또는 푸른빛의 톤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유형 II는, 부분적으로는, 안와주위 영역의 안쪽 아래쪽 부분(즉, 구역 1)에서의 그의 존재 및 안와주위 영역의 위쪽 부분(즉, 윗눈꺼풀 또는 구역 3) 및 바깥쪽 아래쪽 부분(즉, 구역 2)에서의 그의 부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햇볕에 탄 피부와 유사한 피부톤의 존재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유형 III은, 부분적으로는, 안와주위 영역의 눈 아래 부분 및 눈 위 부분에서의 그의 존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이상변색인 없는 상태는 안와주위 영역에서 고르지 않거나 불연속적인 피부톤의 결여에 의해 시각적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안와주위 영역의 음영 부분(200) 및 음영 부분(201)으로 나타나 있는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예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각각 안와주위 영역의 음영 부분(300) 및 음영 부분(301))의 예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각각 안와주위 영역의 음영 부분(400) 및 음영 부분(401))의 예를 예시한다. 일부 경우에,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유형은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및/또는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그의 위치에 기초하여 본 방법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RGB 색 영상화와 같은 공지의 영상화 기법을 사용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I 및 유형 III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낮은 RGB 값을 갖는 것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 및 유형 III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더 높은 RGB 값을 갖는 것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 및 유형 II 둘 모두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유형 I, 유형 I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또한, 예를 들어, 절단 및 염색 후 (예를 들어, 광 또는 전자) 현미경 아래에서의 검사를 포함하는 조직학적 평가 기법을 사용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다. 특히, 안와주위 피부로부터 얻은 피부 생검 샘플 내의 소정 세포 구조체(예를 들어, 멜라닌)의 풍부도(abundance) 및/또는 위치가 유형 I, 유형 I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서로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피부 샘플의 표피에서의 멜라닌의 과잉 및 진피에서의 멜라닌의 예상 밖의 존재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반면에,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표피에서의 멜라닌의 예상 밖의 결핍 및 진피에서의 멜라닌의 부재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의 특징과 유형 II의 특징의 조합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형 I, 유형 I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안와주위 피부의 표피에서, 유멜라닌의 산화적 분해의 결과로서 형성되는 피롤-2,3,5-트라이카르복실산("PTCA")과 같은 소정 분자의 결핍 및/또는 풍부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유형 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형 II보다 높은 PTCA 수준을 갖고, 그러한 유형 I은 유형 III보다 높은 PTCA 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용 방법
본 발명에서의 방법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목표 피부 표면에 대한 개인 케어 조성물의 국소 도포를 포함한다. 개인 케어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하기 위한 장기 활성제의 추출물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 즉 적합한 치료 과정(예를 들어, 2, 4 또는 8주 이상) 후에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장기 활성제의 양을 포함한다.
목표 피부 표면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사람(예를 들어, 자가-평가(self-assessment)를 통해), 전문 그레이더(예를 들어, 사람에게서 직접 또는 사람의 이미지로부터), 적합한 진단 방법과 병용되는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적합한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와 병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방법은 대상자의 안와주위 영역의 구역 1, 구역 2 및/또는 구역 3을 검사하는 것과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색, 위치 및/또는 강도를 평가하여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특정 유형(예를 들어, 유형 I, 유형 II, 또는 유형 III)으로서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목표 피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확인되면, 화장 조성물이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목표 피부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개선은 양수의 VPS 점수(예를 들어, +0.1 내지 +4 또는 이 범위 내의 임의의 값), 혈액 관류의 감소(예를 들어, 10, 12, 14, 16, 20 또는 심지어 25 이상의 감소); L* 값의 증가(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0.7, 0.8, 0.9 이상의 증가 또는 심지어 1 이상의 증가); a* 값의 감소(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0.7, 0.8, 0.9 이상의 감소 또는 심지어 1 이상의 감소); 및/또는 b* 값의 증가(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0.7, 0.8, 0.9 이상의 증가 또는 심지어 1 이상의 증가)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VPS 점수, 혈액 관류 및 L*a*b*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다.
안와주위 이상변색은, 유효량의 적합한 장기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 기간 동안 대략 1일 1회, 1일 2회, 또는 심지어 더 빈번하게 피부의 이상변색 부분에 도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은 1주 1회 이상, 그러나 1일 1회 미만, 예를 들어, 1주 2, 3, 4, 5, 또는 6회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아침에 샤워 후에, 저녁에 취침 전에, 및/또는 매일의 뷰티 양생법(daily beauty regimen)(들)의 일부로서 도포될 수 있다. 치료 기간은 1주 이상(예를 들어, 2, 3, 4, 5, 6, 7 또는 심지어 8주 이상), 수개월(예를 들어, 2 내지 12개월) 또는 심지어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치료 기간은 장기 활성제가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할 만큼 충분히 길어야 한다.
조성물을 국부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국부적인", "국부", 및 "국부적으로"는,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피부의 부분으로의 전달은 최소화하면서, 조성물이 피부의 목표 부위(즉,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안와주위 피부의 목표 부분)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치료될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유형에 따라 구역 1, 구역 2 및/또는 구역 3 내의 목표 피부 표면에 도포되고 목표 피부 표면 내로 가볍게 마사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은 안와주위 영역 전체에 또는 심지어 안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지칭할 때 "전반적인" 또는 "전반적으로"는 조성물을 피부의 목표 부위에 그리고 목표 부위 이외의 피부의 하나 이상의 추가 부위에 도포함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의 목표 부분을 포함하는 안면 전체에 도포되는 피부 케어 조성물).
일부 경우에, 본 조성물을 피부 케어 양생법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량의 적합한 장기 활성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이 안면의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에 전반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도포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피부 케어 제제(예를 들어, 톤 제제 또는 보습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이 안와주위 영역 밖에 배치된 피부의 부분(예를 들어, 안면 전체 또는 이의 일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장기 활성제의 치료 유효성이 바람직하지 않게 억제되지 않기만 한다면,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원하는 대로, 임의의 순서로 도포될 수 있다.
조성물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형태는 도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은 전반적인 및/또는 국부적인 도포를 위해 적합한 어플리케이터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는 1 내지 50 μL/㎠의 조성물을 목표 피부 표면에 적합하게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터가 필수적이지는 않고 본 발명에서의 개인 케어 조성물이 또한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여 또는 다른 통상적인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조성물
본 발명에서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배치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도록 선택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장기 활성제("유형 I 활성제")를 포함한다. 유형 II 및/또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 유형 I 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형 I 활성제는 또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유형 I 활성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토코퀴논; 판테놀; 5,5-다이메틸-1-피롤린 N-옥사이드; 오로트산; 아미노 아세트산; 사이클로헥산-1,2,3,4,5,6-헥솔; 8-사이클로펜틸-1,3-다이프로필잔틴; 락토비온산;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예를 들어, 인듀켐(Induchem)으로부터의 유니수스(UNISOOTH) EG-28); 살리실레이트(예를 들어, 소듐 살리실레이트); 비타민 B3 화합물(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미드);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예를 들어, 세픽(Seppic)으로부터의 세피화이트(SEPIWHITE)); 글리세린, 스테아레쓰-20,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크리신, 팔미토일 트라이펩티드-1, 및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의 혼합물(예를 들어, 세더마(Sederma)로부터의 할록실(HALOXYL)); 케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종자 추출물 및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예를 들어, 세픽으로부터의 아디폴리스(ADIPOLESS));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유형 I 활성제(들)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0.0002% 내지 10%, 0.001% 내지 15%, 0.025% 내지 10%, 0.05% 내지 10%, 0.05% 내지 5%, 또는 심지어 0.1% 내지 5%로 국소 화장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배치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도록 선택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장기 활성제("유형 II 활성제")를 포함한다. 유형 I 및/또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 유형 II 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형 II 활성제는 또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유형 I 활성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호박(pumpkin) 종자 추출물, 파바 콩(fava bean) 추출물, 콜레칼시페롤,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유형 II 활성제(들)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0.0002% 내지 10%, 0.001% 내지 15%, 0.025% 내지 10%, 0.05% 내지 10%, 0.05% 내지 5%, 또는 심지어 0.1% 내지 5%로 국소 화장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유형 II 활성제의 특히 적합한 예는 호박 종자 추출물(INCI 명: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 종자 추출물; CAS 번호 289-741-0)이다. 호박 종자 추출물은 전반적인 피부 건강을 촉진하기 위한 국소 피부 케어 조성물에서의 사용 및 5-α-환원효소 억제제로서의 사용(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048,456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309217호 참조)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만, 호박 종자 추출물이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한다는 것은 이전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추가로, 본 연구는 호박 종자 추출물이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고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음을 또한 시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파바 콩 추출물의 예는 애쉬랜드 스페셜티 인그레디언츠(Ashland Specialty Ingredients)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싱크(FOLLISYNC)이다.
유형 II 활성제의 다른 특히 적합한 예는 파바 콩 추출물(INCI 명: 비시아 파바(Vicia Faba) 종자 추출물; CAS 번호 89958-06-5)이다. 파바 콩 추출물은 모발 건강 및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의 사용 및 피부 보습제로서의 사용(예를 들어, 달 파라(Dal Farra)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189381호 참조)에 대해 알려져 있지만, 파바 콩 추출물이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전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추가로, 본 연구는 파바 콩 추출물이 유형 III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음을 또한 시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호박 종자 추출물의 예는 프랑스 소재의 솔리안스(Soliance)로부터 입수가능한 오칼린(OCALINE) PF이다.
호박 종자 추출물 및 파바 콩 추출물은 내인성 단백질의 가수분해로부터 생성되는 펩티드성 가수분해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펩티드성 가수분해물은 일반적으로 주로 펩티드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 용어 "펩티드"는 펩티드 결합 또는 개질된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아미노산의 서열을 지칭하는 한편; 용어 "폴리펩티드"는 더 큰 펩티드(예를 들어, 4개 초과의 아미노산)를 나타낸다. 펩티드성 가수분해물, 특히 저분자량 펩티드성 가수분해물의 사용은 화장품에서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시작 단백질 혼합물에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펩티드 성질의 화합물들을 생성하는 것에 더하여, 가수분해 및 정제는 더 안정하고 더 용이하게 표준화 가능하고 더 적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호박 종자 및 파바 콩 추출물은 식물의 종자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그를 가수분해하고, 이어서 선택적으로 펩티드 단편을 정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백질은 전체 식물 또는 식물의 특정 부분(잎, 줄기,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단백질은 종자(또는 식물의 다른 부분)를 분쇄하고, 후속 가수분해 및 정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불용성 폴리비닐폴리피롤리돈(PVPP) 흡착제(0.01 내지 20%)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 중에 분쇄된 종자를 현탁시킴으로써 추출된다. 원심분리 및 여과 후에, 단백질 및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용해성 분획이 수집된다. 이어서, 이러한 조(crude) 용액을 제어된 조건 하에 가수분해하여 용해성 펩티드를 생성한다. 가수분해는 화학적으로 및/또는 유리하게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폴리페놀 물질의 제거를 위해, 이러한 제어된 가수분해 단계에서 소정 양의 PVPP이 반응 매질에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액을 여과하여 효소를 제거한다.
일부 경우에,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배치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도록 선택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장기 활성제("유형 III 활성제")를 포함한다. 유형 I 및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 유형 III 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형 III 활성제는 또한 유형 I 또는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유형 III 활성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하이드록시신남산, 프롤린,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유형 III 활성제(들)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0.0002% 내지 10%, 0.001% 내지 15%, 0.025% 내지 10%, 0.05% 내지 10%, 0.05% 내지 5%, 또는 심지어 0.1% 내지 5%로 국소 화장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유효한" 추출물의 양은 추출물의 특정 공급처(예를 들어, 제조사)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특정 추출물 제품의 활성 수준(예를 들어, 존재하는 활성제 성분의 수준)에 기초하여 숙련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임의의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사용될 특정 추출물 제품 내의 활성제 성분의 농도는 추출물 제품의 최종 희석 부피, 이용되는 특정 추출 방법, 개별 식물 간의 자연적인 변이 범위,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일반적인 요인과 같은 요인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적합한 화장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로션, 크림, 젤, 토너, 스틱, 펜슬, 스프레이, 에어로졸, 연고, 클렌징 리퀴드 워시(cleansing liquid wash) 및 고형 바(solid bar), 샴푸 및 헤어 컨디셔너, 페이스트, 폼(foam), 파우더,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스트립, 패치, 전동식 패치, 상처 드레싱 및 접착 밴드, 하이드로젤, 필름-형성 제품, 페이셜 및 스킨 마스크(불용성 시트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 메이크업,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및 아이섀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제품 형태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제품의 정상적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적합한 점도를 갖는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사람의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는 안면 또는 신체의 다수의 다른 부분의 피부보다 전형적으로 더 얇고 더 연약하다. 제품 점도가 너무 낮으면, 제품이 피부 상에서 너무 많이 퍼지거나 흐르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 눈에 들어가서 잠재적으로 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작고 연약한 눈 부위로의 제품의 도포를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점도가 너무 높으면, 제품이 퍼질 때 뻑뻑하고 피부를 당길 수 있어서, 도포를 어렵게 하며 심지어 연약한 안와주위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자극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점도가 50,000 내지 200,000 cP(예를 들어, 70,000 내지 150,000 cP, 90,000 내지 120,000 cP, 또는 이들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이다. 점도는 헬리오패스(heliopath) 설정으로 5 rpm에서 T-C 스핀들을 갖는 브룩필드(BROOKFIELD) DV-II+ 브랜드 점도계 또는 등가물을 사용하여 20℃ ± 2℃에서 결정된다.
추가로, 눈에 가깝기 때문에, 본 조성물은 단기 효과를 제공하고/하거나 제품의 정상적인 사용을 장려하는 불투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의 불투명도가 너무 낮으면, 치료하고자 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감추지 못 할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예에서, 제품 불투명도가 너무 높으면, 제품이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적합하게 감출 수 있지만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외관을 가져올 수 있다. 조성물의 불투명도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콘트라스트 비가 5 내지 40(예를 들어, 7 내지 30, 또는 8 내지 20)이다.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이는 "담체"로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어구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담체가 각질 조직에 대한 국소 도포에 적합하고, 양호한 미적 특성을 가지며, 조성물 내의 활성제와 상용성이고, 어떠한 부당한 안전성 또는 독성 문제도 야기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담체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 약 60% 내지 약 98%, 약 70% 내지 약 98%, 또는 대안적으로 약 80% 내지 약 95%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담체는 매우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성분(예를 들어, 추출물, 썬스크린 활성제, 추가 성분들)의 용해도 또는 분산도는 담체의 형태 및 특징을 좌우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는 단순 용액(예를 들어, 수성 또는 무수), 분산물, 에멀젼, 및 고체 형태(예를 들어, 젤, 스틱, 유동성 고체, 또는 비정질 재료)가 포함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에멀젼의 형태이다.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연속 수성 상(예를 들어, 수중유 및 수중유중수) 또는 연속 오일 상(예를 들어, 유중수 또는 수중유)을 갖는 것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상은 실리콘 오일, 비-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에테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상은 전형적으로 물 및 수용성 성분(예를 들어, 수용성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미생물제, 습윤제 및/또는 다른 피부 케어 활성제)을 포함한다.
선택 성분
본 조성물은 화장 조성물에 보통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예를 들어, 착색제, 피부톤 제제, 피부 노화방지제, 항염증제, 썬스크린제, 이들의 조합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되, 단, 추가적인 성분은 본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 외관 개선 효과를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시키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추가 성분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0.001% 내지 20%; 또는 심지어 0.01% 내지 10%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추가 성분은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인간 피부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추가 성분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둘 모두가 비세트(Bissett)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75237호 및 제2004/017534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본 방법에 따라 사용된 조성물은 단기적인 외양 및/또는 감촉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0.001% 내지 40%(예를 들어, 1% 내지 30%, 또는 2% 내지 20%)의 하나 이상의 미립자 재료 및/또는 화장 분말을 포함한다. 이들 미립자는 예를 들어 판상(platelet shaped), 구형, 연신형 또는 니들형, 또는 불규칙형일 수 있고; 표면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고(예를 들어, 소수성으로 코팅될 수 있고);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일 수 있고; 하전되거나 하전되지 않을 수 있고; 본 조성물에 분말로서 또는 사전-분산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안료-등급 금속 산화물 입자(예를 들어, 평균 일차 입자 크기가 100 nm 초과 또는 100 nm 내지 500 nm임)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미립자 재료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021027호, 제2010/0074928호, 제2010/0003205호, 제2010/0003293호 및 제2013/0243835호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단기적인 외양 및/또는 감촉 효과를 제공하는 구형 입자 형태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형 입자 분말은 제품이 피부 내로 흡수되는 것으로 보이는 속도를 개선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제품 도포에 걸쳐 증가된 제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예를 들어, 눈에 들어가서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에서의 구형 입자 분말은 중위 입자 크기가 2 μm 내지 40 μm, 예를 들어 3 μm 내지 25 μm 또는 심지어 5 μm 내지 15 μm이다. 구형 입자 분말은 또한 피부 상의 제품 필름의 매끄러운 감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착성을 갖지 않고 10 내지 90(예를 들어, 20 내지 80 또는 심지어 25 내지 75)의 범위의 고무 경도(JIS K 6253에 정의된 경도계(Durometer) A에 의해 측정할 때)를 갖는 구형 입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예에서, 조성물은 2% 내지 20%(예를 들어, 4% 내지 12%)의 구형 실리콘 탄성중합체 입자 또는 구형 전분 입자를 포함한다. 조성물 중 실리콘 탄성중합체 분말의 양은 니트(neat) 형태인(즉, 용매 중에서 팽윤되지 않은) 미립자 재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구형 입자 분말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얀센(Jansen) 등에 의해 2015년 1월 14일자로 출원된 공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596,360호 및 제14/596,374호에 기재되어 있다.
사용 방법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사람의 안와주위 영역에 배치된 목표 피부 표면에 대한 국소 도포를 위해 의도된다. 목표 피부 표면은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사람(예를 들어, 자가-평가를 통해), 전문 그레이더(예를 들어, 사람에게서 직접 또는 사람의 이미지로부터), 적합한 진단 방법과 병용되는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적합한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와 병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조성물은 치료 기간 동안 대략 1일 1회, 1일 2회, 또는 심지어 더 빈번하게 피부의 이상변색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은 1주 1회 이상, 그러나 1일 1회 미만, 예를 들어, 1주 2, 3, 4, 5, 또는 6회 도포될 수 있다. 조성물을 국부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국부적인", "국부", 및 "국부적으로"는,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피부의 부분으로의 전달은 최소화하면서, 조성물이 피부의 목표 부위(즉,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안와주위 피부의 목표 부분)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치료될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유형에 따라 구역 1, 구역 2 및/또는 구역 3 내의 목표 피부 표면에 도포되고 목표 피부 표면 내로 가볍게 마사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은 안와주위 영역 전체에 또는 심지어 안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반적인 도포는 피부의 목표 부위 및 목표 부의 이외의 피부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안와주위 영역에서의 피부의 목표 부분을 포함하는 안면 전체에 도포되는 피부 케어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도포된다. 의도된 대로 사용될 때, 본 조성물은, 시지각 척도("VPS")에서의 양수 점수; 혈액 관류의 감소; L* 값의 증가; a* 값의 감소 및/또는 b* 값의 증가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안와주위 이상변색, 특히 유형 II 및/또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한다.
조성물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형태는 도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은 전반적인 및/또는 국부적인 도포를 위해 적합한 어플리케이터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는 1 내지 50 μL/㎠(예를 들어, 1 내지 5 μL/㎠)의 조성물을 목표 피부 표면에 적합하게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터가 필수적이지는 않고 본 발명에서의 개인 케어 조성물이 또한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여 또는 다른 통상적인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시험 방법
시지각 방법
이 방법은 시지각 척도("VPS")를 사용하여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각적 등급화는 훈련된 그레이더에 의해 시험 대상자의 캡처된 이미지에 대해 수행되지만, 이 방법은 또한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자가-진단하는 데 있어서 소비자에 의한 사용 및/또는 다른 사람에 의한 안와주위 영역의 생체 내(in vivo) 검사에 의한 사용을 위해 용이하게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 환경에서 소비자와 소통하는 뷰티 컨설턴트(beauty consultant)를 훈련시켜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분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0주차에 수집된 베이스라인(baseline) 이미지의 후속 시점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를 수행한다. 변화 정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4 내지 +4 크기 척도(Magnitude Scale)를 사용하여 점수를 매긴다. 음수는 안와주위 이상변색이 베이스라인에서 더 우수해 보였음을 나타내는 반면, 양수는 베이스라인에 비해 대상자의 외관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등급이 매겨지는 안와주위 영역의 면적은, 측방향 안와 테두리를 포함하여, 눈의 안쪽 코너로부터 눈의 바깥쪽 코너 주위 그리고 광대뼈를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눈 아래의 눈구멍의 면적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등급이 매겨지는 안와주위 영역의 면적은 (아래쪽 속눈썹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바와 같은) 아랫눈꺼풀 바로 아래, 윗눈꺼풀 또는 위쪽 눈구멍의 면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레이더에 의해 고려되는 특징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주변의 피부톤과 비교하여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변색이 상대적으로 어두워 보임; 2)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영향을 받은 면적, 풋프린트(footprint) 또는 패턴의 양; 및 3) 변색에 수반되는 색소침착 색조(pigmentation hue) 및 그의 강도.
[표 1]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1
혈액 관류 방법
혈액 관류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조직에서 모세혈관상(capillary bed)으로 혈액을 전달하는 과정으로 인식된다. 안와주위 영역의 모세혈관상의 혈관 및 혈액은 비교적 얇은 안와주위 피부를 통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안와주위 피부의 모세혈관상 내에서 그리고 그 주위에서 더 적은 혈액이 보이는 경우,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상응하는 개선이 존재한다. 혈액 관류 방법은 안와주위 피부의 모세혈관상에 존재하는 혈액의 양의 변화를 측정하는 적합한 방법을 제공한다.
혈액 관류 방법은 혈액 관류 이미저(imager)(예를 들어, 페리캠(PeriCam)™ PSI 브랜드 이미저 또는 등가물)를 사용하며, 이는 핌소프트(PIMsoft)™ 브랜드의 전용 응용 소프트웨어 또는 등가물과 함께 레이저 스펙클 콘트라스트 분석(Laser Speckle Contrast Analysis; "LASCA") 기술에 기초하여 조직 혈액 관류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한다. 시험 대상자는 이미저에서 10 내지 25 cm 이내에 편안하게 앉고 그의 눈을 감도록 지시받는다.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이미저에 의해 시험 대상자의 안면의 3개의 이미지(즉, 관류, 강도 및 표준 색 이미지)를 캡처하고 기록한다. 전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험 대상자의 안와주위 영역을 마스킹하여(즉,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여) 관심 안와주위 영역의 관류 측정치를 얻는다. 마스킹은 영상화 방법에서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트라스트 비 방법
본 명세서에서, "콘트라스트 비"는 조성물의 불투명도(즉, 광 투과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조성물의 능력)를 지칭하며, 이는 조성물을 불투명도 차트(opacity chart)(미국 뉴저지주 만와 소재의 레네타 컴퍼니(Leneta Company)로부터의 폼(Form) N2A 또는 이의 등가물) 상에 드로잉한 후에 결정된다. 콘트라스트 비는 정반사를 배제하도록 선택된 설정으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조성물을 불투명도 차트 위에 도포하고, 이어서, 필름 어플리케이터(예를 들어, 미국 메릴랜드주 콜럼비아 소재의 비와이케이 가드너(BYK Gardner)로부터 구매가능한 것 또는 이의 등가물)를 사용하여 대략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드로잉한다. 이 필름을 22℃ +/- 1℃, 1 atm의 조건 하에서 2시간 동안 건조되게 둔다. 정반사를 배제하도록 선택된 설정으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제품 필름의 Y 삼자극 값(tristimulus value)(즉, 필름의 XYZ 색 공간)을 측정 및 기록한다. Y 삼자극 값은, 불투명도 차트의 흑색 섹션 위의 제품 필름의 3개의 상이한 영역, 및 또한 불투명도 차트의 백색 섹션 위의 제품 필름의 3개의 상이한 영역에서 측정한다.
흑색 영역 위의 3개의 Y 삼자극 값의 수학적 평균을 백색 영역 위의 3개의 Y 삼자극 값의 수학적 평균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 것으로서, 콘트라스트 비를 계산한다: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2
영상화 방법
이 방법은 L*a*b* 값을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VPS 시험을 위해 재현가능하고 분석가능한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영상화 소프트웨어 및 다른 관련 보조 장비(예를 들어, 컴퓨터 및 조명)와 함께 임의의 적합한 이미지 캡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영상화 시스템은 미국 뉴저지주 캔필드 사이언티픽(Canfield Scientific)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비시아-씨알(Visia-CR)(등록상표) 브랜드 영상화 시스템이다. 비시아(등록상표) 브랜드 영상화 시스템은, CMOS 센서를 포함하고 21.1 메가 픽셀 해상도(14-비트 A/D 컨버터)를 제공하는 캐논(Canon)(등록상표) 브랜드 EOS-1Ds Mk III SLR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미지는 표준 광, UV, 교차-편광, 평행-편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상이한 조명 양식 하에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값 및 범위는(D65/2) 광원을 사용하여 보고된다. 당업자는 이들 값이 잘 알려진 변환 방법에 따라 광범위한 상이한 조명(D50, D75, 발광체(Illuminant) A, F2, F7, F11, TL84 등 또는 2 또는 10도 관측자)에서 보고될 수 있고, 그러한 변환이 발생할 때 색 값은 전형적으로 그에 따라 변화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해, 실제 한도 및/또는 범위는 이미지가 캡처되는 조건에 기초하여 변화할 수 있지만, 값들 및 범위들 사이의 유사한 관계가 여전히 나타날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카메라보다 적색 채널에서 더 낮은 분광 감도를 갖는다면, R 채널 반응이 더 낮을 수 있고 상응하는 L*a*b* 색 값들이 상이할 것이며, 이는 이 경우에 더 낮은 a* 값 및/또는 더 높은 b* 값을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상이한 카메라 감도, 조명 및 관련 노출이 고려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제 한도 및/또는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미지가 캡처되는 특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 캡처를 위한 준비 시에, 시험 대상자들은 그들의 얼굴을 씻고 그들의 얼굴이 마르도록 적어도 15분 동안 대기할 것이 요구된다.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헤어넷(hairnet)으로 덮고, 대상자의 머리 및 어깨를 검정색 천으로 덮는다. 관심 이미지 영역에서 관찰될 수 있는 모든 보석류(jewelry)는 빼둔다. 대상자는, 대상자의 턱이 영상화 시스템의 턱받침 상에 편안하게 놓이고 이미지 캡처 장치에 의해 안면의 (좌측 또는 우측 이미지가 아니라) 전면 이미지가 적합하게 캡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정한다. 대상자가 위치를 정한 후에, 대상자가 눈을 뜬 채로 하나 이상(예를 들어, 1 내지 24, 2 내지 20 또는 심지어 3 내지 15개)의 이미지를 캡처한다. 이미지를 캡처할 때 대상자가 눈을 뜨고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감긴 윗눈꺼풀이 부정확한 색소침착 판독을 야기할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들)를, 원시 이미지를 .jpg 파일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처리한다.
다음으로,.jpg 형식 이미지를 적합한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분석한다. 일부 경우에, 이미지의 일부분(예를 들어, 안와주위 영역의 구역 1, 구역 2 및/또는 구역 3)만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석할 이미지의 부분을, 포토샵(Photoshop)(등록상표) 또는 이미지J(ImageJ)(등록상표) 브랜드 소프트웨어와 같은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마스킹"할 수 있다. 이어서, 마스킹된 영역을 별개의 이미지로서 분리 및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는 적합한 분석을 위하여 반드시 마스킹될 필요는 없고, 일부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가 분석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약간의 음영이 발생될 수 있는 이미지의 외측 가장자리 주위에서는 이미지, 마스크 및/또는 관심 영역의 크기를 수 개의 픽셀(예를 들어, 5 내지 15개의 픽셀)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장치 의존적인, 이미지에서의 RGB 값을 L*a*b* 값으로 변환한다. L*a*b* 값은 D65 발광체 및 2도 관측자(즉, D65/2)에서 적합한 RGB 변환 툴(예를 들어,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온라인에서 발견되는 적합한 변환 툴)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RGB 값으로부터 L*a*b* 값으로의 변환은 전체 이미지, 이의 일부분,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픽셀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지는 L*a*b* 값을 평균하여 이미지, 마스크 또는 관심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픽셀들은 개별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픽셀은 L*a*b* 값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특정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분류된다. 개별적으로 분석되는 경우, 픽셀들은 상이한 유형들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걸친 그들의 분포에 따라 분석될 수 있다. 색은, 예를 들어 어떤 기기 및/또는 영상화 시스템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대적인 것으로 지각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국제 컬러 협회(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표준 및 실무에 따라) 적합한 색 보정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대상자에 대한 마스킹된 영역을 색 보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에 의한 색 결정을 덜 기기 특이적이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경우에, 관심 영역(예를 들어, 마스킹된 영역)의 색을 근처 영역(예를 들어, 뺨)의 기본 피부톤에 대해 정규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뺨의 기본 피부톤은 뺨에서 관심 영역을 마스킹하고 마스킹된 영역에서의 RGB 값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L*a*b*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뺨에 대한 얻어지는 기본 피부톤 값을 관심 영역에서의 상응하는 값에서 빼서 정규화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색 정규화는 전체 관심 영역에 대해(예를 들어, ROI에 대한 평균 값), 또는 200,000개 이상의 픽셀일 수 있는 ROI 내의 픽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각 픽셀마다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제형예
표 2는 본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5개의 예시적인 수중유 에멀젼 화장 조성물을 나타낸다. 조성물 A 내지 조성물 E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기에서 수상 성분들을 합하고 75℃로 가열한다. 별개의 적합한 용기에서, 오일 상 성분들을 합하고 75℃로 가열한다. 오일 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생성된 에멀젼을 (예를 들어, 테크마(TEKMAR)™ T-25 또는 등가물을 사용하여) 밀링한다. 증점제를 에멀젼에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45℃ 로 냉각시킨다. 45℃에서 나머지 성분들을 첨가한다. 이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키고 적합한 용기 내로 붓는다.
[표 2]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3
표 3은 본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5개의 예시적인 수중실리콘 에멀젼 화장 조성물을 나타낸다. 조성물 F 내지 조성물 J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기에서, 수상 성분들을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별개의 적합한 용기에서, 실리콘/오일 상 성분들을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증점제 중 절반, 이어서 실리콘/오일 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생성된 에멀젼을 (예를 들어, 테크마™ T-25를 사용하여) 밀링한다. 나머지 증점제, 그리고 나머지 성분들을 교반하면서 에멀젼에 첨가한다. 일단 조성물이 균일해지면 이 생성물을 적합한 용기 내로 붓는다.
[표 3]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4
표 4는 본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2개의 예시적인 실리콘중수 에멀젼 화장 조성물을 나타낸다. 조성물 K 및 조성물 L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기에서, 상 A 성분들을 모든 성분들이 용해될 때까지 적합한 혼합기로 블렌딩한다. 적합한 용기에서 상 B 성분들을 블렌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혼합하면서 상 A를 상 B에 서서히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적절한 밀(예를 들어, 테크마 T-25)을 사용하여 약 5분 동안 밀링한다. 다음으로,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상 C를 첨가한다. 생성물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을 계속하고, 생성물을 적합한 용기 내로 붓는다.
[표 4]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5
표 5는 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인 케어 조성물의 예를 나타낸다. 용기에서 먼저 수상 성분들을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약 75℃로 가열하면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오일 상의 파트 1의 성분들을 별개의 용기 내에 칭량해 넣고 균일해질 때까지 약 75℃로 가열하면서 혼합한다. 일단 각각의 상 둘 모두가 균일해지면, 오일 상의 파트 1을 수상에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고전단 혼합하고(예를 들어, 플랙텍 스피드믹서(Flacktek Speedmixer), 또는 회전자-고정자 밀(rotor-stator mill)), 이어서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온도가 약 60℃에 도달한 때에, 계속 교반하면서 증점제를 첨가한다. 마지막으로, 배치(batch)가 약 50℃에 도달한 때에, 오일 상 파트 2를 첨가하는데, 냉각을 계속하면서 성분들을 개별적으로 첨가한다. 약 40℃에서, 교반하면서 활성제(즉, 호박 종자 추출물)를 첨가한다. 일단 모든 성분이 제형으로 되고 온도가 약 40℃로 되면, 생성된 혼합물을 다시 고전단 혼합하고, 이어서 생성물을 적합한 용기 내로 붓는다.
[표 5]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6
실시예 2: 생체 내 연구(VPS, 혈액 관류 및 영상화)
이 실시예는 본 방법이 유형 II 및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20 내지 60세의 백인 여성 시험 대상자 25명을 9주의 스플릿-페이스(split-face), 라운드-로빈(round-robin) 설계 연구에 등록시켜, 유형 I, 유형 II, 및/또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다양한 장기 활성제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하기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장기 활성제(유형 I 또는 유형 II)의 양을 변화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표 5로부터의 예 R의 수중유 에멀젼을 이 연구에서 평가하였다.
연구 동안, 시험 대상자의 안면의 왼쪽의 안와주위 영역의 눈 아래 부분(즉, 도 4a에서의 음영 영역(400))을 시험 조성물로 처리하고, 시험 대상자의 안면의 오른쪽의 안와주위 영역의 눈 아래 부분을 비히클 대조군(즉, 장기 활성제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물)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시험 조성물에 포함된 장기 활성제의 양이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시험 대상자에게 제공된 클렌징 클로스(cleansing cloth) 및 페이셜 보습제를 1일 2회 사용하도록 시험 대상자에게 지시하였다. 연구 과정 동안 임의의 아이 트리트먼트 제품의 사용을 삼가고 안면 일광화상 또는 태닝을 가져올 수 있는 과도한 UV 노출을 피하도록 시험 대상자에게 또한 지시하였다. 눈 아래 조성물 도포 5분 후에 시험 대상자가 그의 보통의 메이크업 제품(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블러시(blush), 아이라이너 및 립라이너)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였지만, 브랜드를 바꾸지 않도록 요청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대조군 및 시험 조성물을 1일 2회; 아침에 1회 및 저녁에 적어도 취침 30분 전에 1회 도포하였다. 대략 0.04 g 또는 40 내지 50 μl의 각각의 조성물을 적절한 눈 아래의 안와주위 피부에 도포하였다. 상기에 기재된 시지각 척도, 영상화 및 혈액 관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험 대상자의 이미지 및 혈액 관류 데이터를 0주차(베이스라인), 2주차, 4주차 및 8주차에 수집하였다. 시험 시작 시(0주차)에 베이스라인 값을 결정하였다.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는 대조군 값은 모든 시험 대상자에 걸친 평균이다.
유형 II 활성제(즉, 1% 파바 콩 추출물 및 5% 호박 종자 추출물)를 사용하는 생체 내 연구의 결과는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시험 대상자에 대해 표 6 내지 표 8에서 그리고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시험 대상자에 대해 표 9 내지 표 11에서 하기에 예시되어 있다. 유형 I 활성제(즉, 3% 유니수스 및 2% 아디폴리스)를 사용하는 생체 내 연구의 결과는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시험 대상자에 대해 표 12 및 표 13에서 하기에 예시되어 있다. 표들에 나타나 있는 결과는 평균 값들의 평균이다. 각각의 쌍의 비교를 위해, 대상자(랜덤 효과), 치료 효과, 및 고정 효과(안면의 측면 및 베이스라인)를 포함하는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각각의 평가항목(endpoint)을 분석하였다. 이 검정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료 효능을 비교하는 데 단측(one-sided) p-값을 사용하였다. 0.2 이하 및 0.8 이상의 P-값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고, 0.3 미만이지만 0.2 초과이고 0.8 미만이지만 0.7 초과인 p-값을 통계적으로 추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결과로부터, 선택된 장기 활성제가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6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6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6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7
[표 6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8
표 7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혈액 관류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7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혈액 관류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7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09
[표 7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0
표 8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8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8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1
[표 8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2
표 9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 점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9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 점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9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3
[표 9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4
표 10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혈액 관류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0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혈액 관류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0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5
[표 10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6
표 11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1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을 사용한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1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7
[표 11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8
표 12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케노포디움 퀴노아 종자 추출물과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세픽으로부터의 아디폴리스)을 사용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2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인듀켐으로부터의 유니수스)을 사용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VPS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2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19
[표 12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0
표 13A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케노포디움 퀴노아 종자 추출물과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세픽으로부터의 아디폴리스)을 사용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3B는 비히클 대조군 대비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인듀켐으로부터의 유니수스)을 사용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치료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과 비교한 영상화 값(즉, L* 값, a* 값 및 b*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13A]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1
[표 13B]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2
실시예 3: 시험관 내 연구(B16 ― 멜라닌 분석)
이 실시예는 호박 종자 추출물 및 파바 콩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수 없음을 입증한다. 멜라닌의 과잉은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주요 원인이지만 유형 II 안와주위 이상변색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통상적인 B16 분석에서 멜라닌 억제 활성의 결여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호박 종자 추출물 또는 파바 콩 추출물로써 치료하는 것은 그의 외관의 어떠한 개선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각각의 유형의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하는 장기 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호박 종자 추출물을 이용하는 조성물은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치료하기 위한 장기 활성제를 또한 그러한 조성물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국 버지니아주 소재의 아메리칸 티슈 컬쳐 컬렉션(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구매가능한 B16-F1 생쥐 흑색종 세포주를 통상적인 멜라닌 합성 억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분석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는 500 mL의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50 mL의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5 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액체이다. 이 배지에서 배양되고 90% 초과의 세포 밀집도(confluency)로 성장한 B16-F1 세포는 멜라닌을 합성할 것이다. 임의의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높은 세포 밀집도로의 성장에 의해 유도된 스트레스 및/또는 배양 배지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자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DMEM 및 FBS는 아메리칸 티슈 컬쳐 컬렉션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액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의 인비트로젠, 인크.(Invitrogen,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한 장비는 CO2 인큐베이터, 예를 들어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의 써마 사이언티픽(Therma Scientific)에 의한 포르마(Forma) 시리즈 모델 3110;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소재의 하우저 사이언티픽(Hauser Scientific)에 의한 브라이트 라인(Bright Line) 모델과 같은 혈구계; 및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의 몰레큘러 디바이시즈(Molecular Devices)로부터의 스펙트라맥스(SpectraMax)250과 같은 UV-가시광 스펙트럼 플레이트 판독기(UV-Visible Spectrum Plate Reader)를 포함한다.
0일차: 분석을 시작하기 위해, 세포 배양 배지를 37℃로 가열하고 29 mL의 배지를 T-150 플라스크에 넣는다. 대략 1 × 106의 B16-F1 계대배양(passage) 1 생쥐 세포를 T-150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37℃, 5% CO2, 90% 상대 습도에서 약 80% 세포 밀집도까지 3일 동안 인큐베이팅한다.
3일차: T-150 플라스크로부터의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혈구계를 사용하여 세포의 농도를 결정한다. 100 μL의 세포 배양 배지 중에서 웰당 2,500개의 세포를 갖는 96 웰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플레이트를 37℃, 5% CO2, 90% 상대 습도에서 적어도 20% 내지 40% 세포 밀집도까지 2일 동안 인큐베이팅한다;
5일차: 플레이트로부터 세포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양 배지(웰당 100 uL)로 대체한다. 물 용매 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 1 uL를 첨가한다. 투여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희석 비를 시험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3개의 웰을 각각의 희석 비로 처리한다. 양성 대조군 및 음성 대조군은 세포 배양 배지, B16-F1 세포 및 용매를 갖는 웰(음성 대조군), 및 세포 배양 배지, B16-F1 세포 및 공지의 멜라닌 억제제(예를 들어, 데옥시알부틴 또는 코직산)를 포함하는 웰을 포함할 수 있다.
7일차: 세포는 약 90% 초과의 세포 밀집도를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데이터 포인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100 uL의 0.7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한다. 410 nm에서 UV-Vis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96 웰 플레이트를 판독하여, 호박 종자 추출물로 처리된 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웰 사이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광학적으로 측정한다. 멜라닌이 생성된 웰은 색이 갈색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 멜라닌이 거의 생성되지 않은 웰은 색이 투명 내지 연보라색으로 보인다. 멜라닌 합성 억제 백분율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한다: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3
상기 식에서, OD410은 UV-Vis 스펙트럼 플레이트 판독기에 의해 측정할 때 410 nm에서의 광학 밀도이다.
대조군 #3을 사용할 때, 멜라닌 합성 억제 백분율에 대한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4
IC 50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험 제제의 농도를 기록한다.
표 14는 IC 50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각각의 조성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양성 대조군은 데옥시알부틴 및 코직산이며, 이들 둘 모두는 잘 알려진 멜라닌 합성 억제제이다.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IC 50을 얻는 데 필요한 시험 조성물의 농도는 데옥시알부틴 또는 코직산보다 훨씬 더 높으며, 이는 이 실시예에서 시험된 호박 종자 추출물이 불량한 멜라닌 합성 억제제임을 시사한다.
[표 14]
Figure 112018094430520-pct00025
예 및 조합
A.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 조성물로서,
i. 유효량의 유형 I 활성제;
ii. 유효량의 유형 II 활성제;
iii.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iv. 약 50,000 내지 약 200,000 센티푸아즈의 점도
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B. 단락 A의 화장 조성물로서, 유형 I 활성제는 토코퀴논; 판테놀; 5,5-다이메틸-1-피롤린 N-옥사이드; 오로트산; 아미노 아세트산; 사이클로헥산-1,2,3,4,5,6-헥솔; 8-사이클로펜틸-1,3-다이프로필잔틴; 락토비온산;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 살리실레이트; 비타민 B3 화합물;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글리세린, 스테아레쓰-20,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크리신, 팔미토일 트라이펩티드-1, 및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의 혼합물; 케노포디움 퀴노아 종자 추출물 및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인, 화장 조성물.
C. 단락 A 또는 단락 B의 조성물로서, 유형 II 활성제는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 콜레칼시페롤,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D.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조성물로서, 유형 I 활성제 및 유형 II 활성제는 각각 약 0.0001% 내지 약 15%로 존재하는, 조성물.
E.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조성물로서, 유형 II 활성제는 유형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 조성물.
F.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조성물로서, 유형 I 활성제 및 유형 II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는 유형 III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조성물.
G.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조성물로서, 유형 III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H. 단락 G의 조성물로서, 유형 III 활성제는 하이드록시신남산, 프롤린,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I.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조성물로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에멀젼인, 조성물.
J. 단락 I의 조성물로서, 에멀젼은 실리콘 오일, 비-실리콘 오일,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K. 단락 I의 조성물로서, 에멀젼은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미생물제, 피부톤 제제, 피부 노화방지제, 항염증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피부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L.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i.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피부의 목표 부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ii. 치료 기간 동안 피부의 목표 부분에 개인 케어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개인 케어 조성물은 유효량의 유형 I 활성제, 유효량의 유형 II 활성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약 50,000 내지 약 200,000 센티푸아즈의 점도를 포함하고, 치료 기간은 조성물이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방법.
M. 단락 L의 방법으로서, 유형 I 활성제는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 케노포디움 퀴노아 종자 추출물 및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N. 단락 L 또는 단락 M의 방법으로서, 유형 II 활성제는 비시아 파바의 추출물, 쿠쿠르비타 페포의 추출물, 콜레칼시페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O.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방법으로서, 유형 I 활성제 및 유형 II 활성제는 각각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P.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방법으로서,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은 시지각 척도 점수의 양의 변화에 상응하는, 방법.
Q.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방법으로서,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은 혈액 관류의 감소에 상응하는, 방법.
R. 임의의 전술한 단락의 방법으로서,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은 L* 값의 증가, a* 값의 감소, b* 값의 증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상응하는,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언급된 값과,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 mm"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mm"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되거나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그로써 명확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는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인 것으로 인정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참조 문헌 또는 참조 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이와 같은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하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문헌의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4)

  1. 안와주위 이상변색(periorbital dyschromia)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 조성물로서,
    a. 화장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중량%의 유형 I 활성제;
    b. 화장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중량%의 유형 II 활성제;
    c. 화장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5 중량%의 유형 III 활성제;
    d.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e. 50,000 내지 200,000 센티푸아즈의 점도
    를 포함하며,
    상기 유형 I 활성제가 토코퀴논; 판테놀; 5,5-다이메틸-1-피롤린 N-옥사이드; 오로트산; 아미노 아세트산; 사이클로헥산-1,2,3,4,5,6-헥솔; 8-사이클로펜틸-1,3-다이프로필잔틴; 락토비온산; 프로필 갈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틸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 살리실레이트; 비타민 B3 화합물;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글리세린, 스테아레쓰-20,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크리신, 팔미토일 트라이펩티드-1, 및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의 혼합물; 케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종자 추출물 및 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고,
    상기 유형 II 활성제가 비시아 파바(Vicia Faba) 추출물;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 추출물; 콜레칼시페롤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형 III 활성제가 하이드록시신남산; 프롤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화장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화장학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a.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나타내는 피부의 목표 부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피부의 목표 부분에 제1항의 화장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의 개선은 시지각 척도(Visual Perception Scale) 점수의 양(positive)의 변화, 혈액 관류의 감소, L* 값의 증가, a* 값의 감소, b* 값의 증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상응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I, II 및 III 활성제가 각각 독립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 조성물.


KR1020187027521A 2016-04-14 2017-04-13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KR102140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99,120 US10493020B2 (en) 2016-04-14 2016-04-14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US15/099,120 2016-04-14
PCT/US2017/027294 WO2017180802A1 (en) 2016-04-14 2017-04-13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651A KR20180117651A (ko) 2018-10-29
KR102140198B1 true KR102140198B1 (ko) 2020-07-31

Family

ID=5921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521A KR102140198B1 (ko) 2016-04-14 2017-04-13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3020B2 (ko)
EP (1) EP3442662B1 (ko)
JP (1) JP6674043B2 (ko)
KR (1) KR102140198B1 (ko)
CN (1) CN109069564B (ko)
WO (1) WO2017180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5795B1 (en) 2013-03-15 2019-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classifying periorbital dyschromia and systems therefor
US20170296458A1 (en) * 2016-04-14 2017-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
US20170296459A1 (en) * 2016-04-14 2017-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US20170296460A1 (en) * 2016-04-14 2017-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5559A1 (en) * 2013-08-30 201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Treating Periorbital Dyschromia and System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1129D0 (en) * 1988-09-09 1988-10-12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CA2323364A1 (en) * 1998-03-16 1999-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regulating skin appearance
FR2779058B1 (fr) * 1998-05-29 2003-02-21 Dior Christian Parfums Utilisation d'au moins une saponine ou un sapogenol cosmetiquement acceptable, comme agent cosmetique destine a augmenter la quantite de collagene iv dans la jonction dermo-epidermique
JP2000007519A (ja) * 1998-06-24 2000-01-11 Noevir Co Ltd 目の隈改善用外用剤
HU227318B1 (en) * 2000-03-08 2011-03-28 Tibor Bodnar Cosmetical and dematolog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grooming of psoric skin and scalp
JP2002265343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US7235249B2 (en) 2002-03-28 2007-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regulating the condi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via topical application of vitamin B6 compositions
JP2004026739A (ja) * 2002-06-27 2004-01-29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
US7842723B2 (en) 2002-10-04 2010-11-30 Bioderm Research Ascorbic acid—natural sugar lactone esters for comprehensive skin and scalp care
US7547454B2 (en) 2002-11-07 2009-06-16 Shyam K Gupta Hydroxy acid complexes for antiaging and skin renovation
US20040175347A1 (en) 2003-03-04 2004-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hexamidine compositions
AU2004228021B2 (en) 2003-04-04 2010-09-02 Unigen,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US7480530B2 (en) 2003-06-30 2009-01-2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Device for treatment of barrier membranes
US7477941B2 (en) 2003-06-30 2009-01-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exfoliating the skin with electricity
US7477939B2 (en) 2003-06-30 2009-01-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treating a wound with galvanic generated electricity
US7477940B2 (en) 2003-06-30 2009-01-13 J&J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administering an active agent to a human barrier membrane with galvanic generated electricity
US7476222B2 (en) 2003-06-30 2009-01-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reducing the appearance of pigmentation with galvanic generated electricity
US7479133B2 (en) 2003-06-30 2009-01-2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treating acne and rosacea with galvanic generated electricity
WO2005016270A2 (en) 2003-08-04 2005-02-24 Galileo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dermatological conditions
US8211873B2 (en) 2003-08-29 2012-07-03 Island Kinetics, Inc. Antiaging chirally-correct mitoprotectant amino acid and peptide complexes
US7834210B2 (en) 2006-08-04 2010-11-16 Bioderm Research Hair loss prevention by natural amino acid and peptide complexes
AU2003296248A1 (en) 2003-11-17 2005-06-08 Sederma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tetrapeptides and tripeptides
US7777073B2 (en) 2004-06-05 2010-08-17 Bioderm Research Topical delivery system for antiaging and skin whitening agents
US7427690B2 (en) 2004-06-05 2008-09-23 Bioderm Research Multifunction “crown complexes” from amino acids and peptides for skin and hair restoration
ES2261036B1 (es) 2004-10-05 2007-12-16 Lipotec, S.A. Peptidos sinteticos que disminuyen o eliminan las bolsas formadas bajo el contorno inferior de los ojos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eticas o dermofarmaceuticas.
US8094186B2 (en) 2004-10-22 2012-01-10 Shiseido Company, Ltd. Skin condition diagnosis system and beauty counseling system
US7176172B2 (en) 2004-10-25 2007-02-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Quaternary ammonium polyol salts as anti-aging actives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8278359B2 (en) 2005-02-25 2012-10-0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s and use thereof to treat acne or reduce the appearance of oil or pores on the skin
US20060275237A1 (en) 2005-05-09 2006-12-07 Bissett Donald L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idebenone
US7615546B2 (en) 2005-08-19 2009-11-10 Bioderm Research Topical delivery system for phytosterols
FR2891641B1 (fr) 2005-10-04 2007-12-21 Lvmh Rech Procede et appareil de caracterisation des imperfections de la peau et procede d'appreciation de l'effet anti-vieillissement d'un produit cosmetique.
US20070134174A1 (en) 2005-11-03 2007-06-14 Christopher Irwin Personal care composition
JP2007153822A (ja) 2005-12-07 2007-06-21 Pola Chem Ind Inc クマ用の皮膚外用剤
US7886748B2 (en) 2006-02-15 2011-02-15 Advanced Vision Education, Llc Method for using intense pulsed light to non-invasively treat conjunctival blood vessels, pigmented lesions, and other problems
US8404648B2 (en) 2006-02-16 2013-03-26 Sederma Polypeptides KXK and their use
FR2900573B1 (fr) 2006-05-05 2014-05-16 Sederma Sa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au moins un peptide contenant au moins un cycle aromatique bloque
US8212076B2 (en) 2006-08-04 2012-07-03 Covalence, Inc. Prevention of cellular senescence in mammals by natural peptide complexes
US20120189569A1 (en) 2006-08-06 2012-07-26 Bioderm Research Hydroxy Acid Complexes for Skin Renovation and Clarity
US7785637B2 (en) 2006-09-28 2010-08-31 Himalaya Global Holdings Ltd. Herbal composition for maintaining/caring the skin around the eye,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US8193376B2 (en) 2007-01-01 2012-06-05 Bioderm Research Artemisinin derivatives with natural amino acids, peptides, and amino sugar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 and topical condition in mammals
CN101621987B (zh) 2007-02-28 2013-08-21 宝洁公司 包含孟加拉榕树植物提取物的个人护理组合物
CN101795732B (zh) 2007-04-19 2014-08-20 玫琳凯有限公司 含木兰提取物的组合物
US8298555B2 (en) 2007-06-04 2012-10-30 Discovery Partners, LLC Color cosmetic compositions for topical anti-aging skin treatment
ES2310142B1 (es) 2007-06-15 2009-12-04 Lipotec S.A Compuestos reguladores de la pigmentacion.
FR2918269B1 (fr) * 2007-07-06 2016-11-25 Oreal Composition de protection solaire contenant l'association d'un polymere semi-cristallin et de particules de latex creuses.
FR2918885B1 (fr) 2007-07-17 2009-08-28 Oreal Utilisation d'extrait de bacterie cultivee sur eau thermale pour diminuer les poches et/ou les cernes perioculaires
AU2008322224B2 (en) 2007-07-24 2012-05-10 Synergia Life Sciences Pvt Limited Treatments using vitamin K analogues and derivatives
JP2009029749A (ja) 2007-07-27 2009-02-12 Nobel Kagaku Kogyo Kk 目元用化粧料
US8987212B2 (en) 2007-08-07 2015-03-24 Muhammed Majeed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ging
US9414970B2 (en) 2007-10-24 2016-08-16 Bio Med Sciences, Inc. Wrinkle reducing skin patch,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ful articles thereof
JP5117168B2 (ja) 2007-11-15 2013-01-09 株式会社 資生堂 経口肌改善剤および肌改善食品
US8097041B2 (en) 2008-01-31 2012-01-17 Epitera Solutions, Inc. Infra-orbital implant
FR2927801B1 (fr) 2008-02-22 2010-03-05 Sederma Sa Composition cosmetique hydratante comprenant une combinaison d'homarine et d'erythritol
ES2330291B1 (es) 2008-02-29 2010-10-18 Lipotec Sa Peptidos utiles en el tratamiento de la piel, mucosas y/o cuero cabelludo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eticas o farmaceuticas.
CA2749750C (en) 2008-04-15 2014-01-28 Immanence Integrale Dermo Correction Inc.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076706A (zh) 2008-04-30 2011-05-25 友莱尔皮肤产品有限责任公司 新型抗衰老护肤霜、护肤装置及其中的霜
EP2140854A1 (en) 2008-07-01 2010-01-06 The Procter & Gamble Cosmetic Composition
DE602008004329D1 (de) 2008-07-01 2011-02-17 Procter & Gamble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Auftretens von kränklicher oder blasser Haut
EP2140855A1 (en) 2008-07-01 2010-01-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
GB0817938D0 (en) 2008-09-30 2008-11-05 Intrinsiq Materials Global Ltd Cosmetic formulations
EP3744729B1 (en) 2009-01-16 2023-03-01 Sederma Peptid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cosmetic and dermopharmaceutical uses
FR2941231B1 (fr) 2009-01-16 2016-04-01 Sederma Sa Nouveaux peptid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utilisations cosmetiques et dermo-pharmaceutiques.
ES2349972B1 (es) 2009-02-16 2011-11-24 Lipotec, S.A. Péptidos útiles en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mucosas y/o cuero cabelludo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farmacéuticas.
EP2408422A2 (en) 2009-03-20 2012-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carbon wax and a polar oil
US8088364B2 (en) 2009-03-20 2012-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care composition comprising oil-soluble solid sunscreens
US20100305168A1 (en) 2009-03-23 2010-12-02 Larry Rich Robinson Personal-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active
WO2010111267A2 (en) 2009-03-23 2010-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active
FR2944435B1 (fr) 2009-04-17 2011-05-27 Sederma Sa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oridonine
US20090263435A1 (en) 2009-05-07 2009-10-22 L'oreal S.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inimizing and/or reducing the appearance of defects around eyes
FR2945939B1 (fr) 2009-05-26 2011-07-15 Sederma Sa Utilisation cosmetique du dipeptide tyr-arg pour lutter contre le relachement cutane.
US20110033512A1 (en) 2009-08-10 2011-02-10 Laurie Ellen Breyfogle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improved spreadability
EP2470159A1 (en) 2009-08-28 2012-07-04 Mary Kay, Inc. Skin care formulations
DE102009048970A1 (de) 2009-10-09 2011-04-14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4-n Butylresorcin zur Herstellung einer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 zur Prophylaxe oder Behandlung von Augenringen die durch eine gestörte Durchblutung der Haut im Augenbereich hervorgerufen werden
WO2011050102A1 (en) 2009-10-20 2011-04-28 Discovery Partners, LLC Dermatologic and cosmetic compositions
RU2548824C2 (ru) 2009-11-13 2015-04-20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зьюмер Компаниз, Инк. Гальв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и
WO2011079154A1 (en) 2009-12-21 2011-06-30 Sarah Bac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vitiligo
CA2784899A1 (en) 2009-12-30 2011-07-07 Avon Products, Inc. Topical lightening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WO2011097617A2 (en) 2010-02-08 2011-08-11 Elc Manage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appearance of under-eye dark circles
WO2011116216A2 (en) 2010-03-17 2011-09-22 Arbonne International Llc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AU2011227202A1 (en) 2010-03-17 2012-10-04 Arbonne International Llc Oral supplement
US20110230566A1 (en) 2010-03-19 2011-09-22 Maria Isabel Tamargo Perfluorocarbon eye cream formulations
ES2383271B1 (es) 2010-03-24 2013-08-01 Lipotec S.A.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de fibras y/o materiales textiles
FR2958541B1 (fr) 2010-04-08 2012-05-18 Sederma Sa Utilisation cosmetique du geranylgeranyl-2-propanol
FR2958641B1 (fr) 2010-04-08 2014-12-26 Sederma Sa Nouveaux composes de type polyterpenique, compositions cosmetiques, nutraceutiques et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et utilisations dans ces domaines.
US20110305735A1 (en) 2010-06-09 2011-12-15 Lipotec, S.A. Skin antiaging treatment
HUE030120T2 (en) 2010-07-02 2017-04-28 Procter & Gamble Procedure for forming a film from a non-woven web
EP2588655B1 (en) 2010-07-02 2017-11-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agent
WO2012012497A2 (en) 2010-07-23 2012-0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
FR2963234B1 (fr) 2010-07-29 2020-07-17 Isp Investments Inc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peptidique de feves pour stimuler la pousse des cheveux
US8410079B2 (en) 2010-08-06 2013-04-02 Island Kinetics Chirally correct retinal cyclodextrin hemiacetals for clarifying skin complexion
US20120045405A1 (en) 2010-08-18 2012-02-23 Gilman Miles E Under eye cream
US20120201768A1 (en) 2010-09-10 2012-08-09 Cheri Lynn Swanso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ficus serum fraction and methods to reduce the appearance of skin hyperpigmentation
ES2386177B1 (es) 2010-09-21 2013-09-23 Lipotec, S.A. Nanocapsulas conteniendo microemulsiones
JP2013539792A (ja) 2010-10-15 2013-10-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上皮生態の改善のためのモノアミ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の使用
US10267796B2 (en) 2010-10-25 2019-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creening methods of modulating adrenergic receptor gene expressions implicated in melanogenesis
FR2967348B1 (fr) 2010-11-17 2013-05-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contour des yeux
WO2012068195A1 (en) 2010-11-18 2012-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based on a n-acyl amino acid compound and hexyldecanol
CN102475672A (zh) * 2010-11-29 2012-05-30 吴克 黑眼圈增白抗皱霜
ES2390033B1 (es) 2010-11-30 2013-10-31 Lipotec S.A. Exopolisacárido para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mucosas, cabello y/o uñas.
US8232417B1 (en) 2010-12-01 2012-07-31 Bioderm Research Artemisinin derivatives with natural amino acids, peptides, and amino sugars for skin imperfections and infection in mammals
WO2012104240A2 (de) 2011-01-31 2012-08-09 LUCOLAS-M.D. Ltd Kosmetische verwendung
FR2970868B1 (fr) 2011-01-31 2023-10-27 Sederma Sa Extrait d'origine vegetale, composition le contenant, procede d'obtention par culture vegetale et utilisations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pharmaceutique et cosmeceutique
WO2012112796A2 (en) 2011-02-16 2012-08-23 Oxygen Biotherapeutics, Inc. Perfluoro(n-butylcyclohexan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2116055A2 (en) 2011-02-22 2012-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kin using a synergistic composition comprising banyan tree, lotus, and clover serum fractions
CN103402494B (zh) 2011-02-22 2017-01-18 宝洁公司 使用包含榕树、莲花和三叶草浆液组分的组合物改善老化皮肤外观的方法
ES2397890B1 (es) 2011-03-25 2014-02-07 Lipotec, S.A. Péptidos útiles en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y/o mucosas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farmacéuticas.
ES2397889B1 (es) 2011-03-25 2014-02-07 Lipotec, S.A. PÉPTIDOS MODULADORES DE PGC-1Alfa.
FR2974297B1 (fr) 2011-04-21 2013-10-04 Sederma Sa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ou therapeutique du tripeptide ghk
US9333159B2 (en) 2011-04-29 2016-05-10 Photomedex, Inc. Topical DNA repair composition
FR2977252B1 (fr) * 2011-06-30 2013-08-02 Seppic Sa Nouveaux esters de derives n-acyles d'acides amines et d'isosorbide,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et comme medicament.
FR2980362B1 (fr) * 2011-09-27 2013-10-04 Sederma Sa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albizia julibrissin et composition topique correspondante
PL2691069T3 (pl) * 2012-01-23 2017-03-31 Restorsea, Llc Kosmetyk
MX2014011153A (es) 2012-03-19 2014-12-10 Procter & Gamble Polimeros superabsorbentes y elastomero de silicona para usar en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l cabello.
CN104768525B (zh) * 2013-05-01 2017-09-26 宝洁公司 化妆品组合物和用于抑制黑素合成的方法
KR20150083168A (ko) * 2014-01-08 2015-07-17 다움코스텍 주식회사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5559A1 (en) * 2013-08-30 201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Treating Periorbital Dyschromia and System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3020B2 (en) 2019-12-03
EP3442662B1 (en) 2022-08-31
CN109069564A (zh) 2018-12-21
CN109069564B (zh) 2021-11-09
US20170296461A1 (en) 2017-10-19
JP2019510784A (ja) 2019-04-18
EP3442662A1 (en) 2019-02-20
JP6674043B2 (ja) 2020-04-01
KR20180117651A (ko) 2018-10-29
WO2017180802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198B1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US20160317420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and compositions therefor
JP2018505130A (ja) 皮膚状態を処置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組成物
JP2018515486A (ja) ニコチンアミドリボシドを用いた皮膚外観の改善方法及びそのための組成物
KR102174798B1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개선하기 위한 비시아 파바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CN109069882B (zh) 改善眶周性色素异常的外观的方法
CN114514014A (zh) 护肤组合物
KR102097269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EP3442664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JP2024503201A (ja) ヒッポファエ・ラムノイデス(Hippophae rhamnoides)のケークの水解物の化粧品的使用
WO2017180798A1 (en) Products and methods for treating periorbital dyschromia
CN115003274A (zh) 护肤组合物
JP2004026739A (ja) 化粧料
JP3686394B2 (ja) 抗老化剤、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
WO2017180797A1 (en) Products and methods for treating periorbital dyschromia
TWI788019B (zh) 果香菊萃取物用於製備調理肌膚的組合物之用途
Hettwer et al. A New Class of Tyrosinase Inhibitors for Skin Luminosity
Draelos Cosmetic camouflage for pigmentation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