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35B1 -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35B1
KR102320635B1 KR1020210062703A KR20210062703A KR102320635B1 KR 102320635 B1 KR102320635 B1 KR 102320635B1 KR 1020210062703 A KR1020210062703 A KR 1020210062703A KR 20210062703 A KR20210062703 A KR 20210062703A KR 102320635 B1 KR102320635 B1 KR 102320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oading
wheel
filler me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21006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05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guided by ha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메인 프레임과,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턱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 및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기, 용가재, 소화기 등을 포함하는 용접장치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 작업의 경우, 작업 분량이 많으며 필요한 장치도 다양하다. 예를 들면, 용접 장치에는 용접기, 용접봉, 케이블, 마스크, 어스선 등의 각종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용접 장치를 모두 용접 작업 위치로 이송하여야 하는데, 한 사람이 모두 이송하기는 너무 많아 한 번에 옮기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의하여 시간 손실이 많고 작업자의 빈번한 이송 수행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20-1999-0025517호에서는 지면에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부에 하단이 고정된 수직 축을 설치하며, 수직축의 외부에 수직 원통바를 설치하고,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잇는 수직 원통바의 상단에 하단이 미끄럼 접촉되게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전 원통을 설치하며, 회전 원통에는 용접기가 장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수평바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에 의한 통행의 방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수평바의 길이 범위 내에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접장치를 이송시키는 '수동 아크 용접기 운반장치'를 개시하고 잇다.
그러나, 상술한 '수동 아크 용접기 운반장치'는 플레이트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수평바의 회전 반경 근처의 영역 이외의 다른 장소로 용접장치를 이송할 수 없게 되어, 용접 작업 영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한, 등록실용신안 20-0231381호에는 '원스톱 용접 운반구'를 개시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며 크고, 용접장치들의 보관 및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케이블풀러의 케이블 정리 잡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용접 작업을 위한 대차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과,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턱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 및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상기 적재부는 다각 형상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둘레로 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차지하고, 적재되는 물체들의 공간을 구획하는 적재턱이 형성되고, 용접기, 케이블 및 용가재 등의 용접 장치를 적재하는 적재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에 적재되는 물체의 적재 공간을 이루되, 상기 적재 영역에 적재되는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개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휠과 결합하고 고정핀과 체결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가 휠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핀이 걸리는 휠과, 상기 고정핀은 일단에 고정 고리가 형성되고 탄성력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거나 이탈하여 상기 휠을 잠금 상태 또는 풀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되, 상기 하우징과 탄성 결합되고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돌기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 고리가 상기 휠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를 향하는 초기 탄성력을 제공되도록 상기 고정핀이 장착되는 하우징에 체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핀에 제공되는 초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고리는 상기 제1 고정 돌기를 향하여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고, 상기 고정핀의 타단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고정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 고리가 상기 제1 고정 돌기로부터 이탈하지만 상기 반대 방향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일단의 상기 고정 고리가 다시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도록 동작하고, 일단이 상승하여 돌출되어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돌기가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용가재 릴과, 상기 용가재 릴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용가재 릴을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핸들과, 생기 핸들에 배치되는 바(bar)와, 상기 핸들 및 바(bar)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바(bar)로부터 아래로 현수되어 상기 휠과 상기 바(bar)의 중간 지점에서 나뉘어져 상기 휠들의 고정핀들과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기 바(bar)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고정핀의 고정 고리가 후퇴하여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바(bar)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고정 고리가 전진하여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용접 시스템은 휠을 구비하고 용접기, 케이블 및 용가재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을 구획하여 작업 중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휠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휠이 잠금 상태에 있어 이동이 불가하고 장력을 조절해 상기 휠을 잠금 상태에서 풀림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알람부를 통하여 용가재의 교체 시기뿐만 아니라 컨트롤러를 통하여 작업자의 작업시간, 작업량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관리에도 효율이 증대되는 탁원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용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용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용가재 릴의 탈착 및 이탈 방지를 위한 고정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고정핀이 고정 돌기에 고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써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써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용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적재부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0)은 용접기(10), 케이블(20) 및 용가재(30) 등의 용접장치를 적재하여 운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0)은 상기 용접기(10), 케이블(20) 등의 구격 또는 용도에 맞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적재된 용접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용접 시스템(100)은 적재부(200) 및 고정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200)는 용접장치의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200)는 상기 용접기(10) 및 케이블(20) 등의 규격 또는 용도에 맞추어 구획되는 적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200)는 용접 장치의 적재 영역을 제공하는 적재 플레이트(220),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210),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용접 장치를 고정 또는 적재시킬 수 잇는 메인 프레임(230) 및 메인 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케이블 거치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200)가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200)의 형상은 제한 없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턱(221)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의 공간을 적재 플레이트(220)에 적재되는 물체의 규격에 따라 구획하고, 구획되는 공간에 적재되는 물체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22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후술하게 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는 이와 같이 사익 적재턱(221)에 의해 복수의 적재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의 크기는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는 하나 이상의 적재턱(221)에 의해 제1 적재 영역(223) 및 제2 적재 영역(22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영역(223)에는 상기 용접기(10)의 적재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사익 용접기(10)의 규격에 따라 사익 적재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영역(223)은 사익 전재 플레이트(220)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용접기(1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223)에 상기 용접기(10)가 적재되는 경우, 상기 용접기(10)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미도시)에 연결되는 벨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영역(225)은 상기 용가재(30)의 적재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재 영역(225)은 상기 제1 적재 영역(223)과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상황에 따라 상이하거나 같게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용가재(30)은 예를 들어, 릴에 감겨있는 릴형 용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가재(30)는 상기 제2 적재 영역(225)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갈고리 형태의 용가재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되어 상기 용접기(10)의 용가재 송급기와 연결되어 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10)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10)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와 더불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220)에 적재되는 물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30)은 상기 하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30)은 사익 하부 프레임(210)은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하부 프레임(220)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수직 방향 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용가재 릴의 탈착 및 이탈 방지를 위한 고정 부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용가재(30) 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용가재(30) 릴이 장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1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용가재(30) 릴의 탈착 및 이탈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가재(30)의 탈착을 위하여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310)를 하방으로 당겨 90도 회전 시킨 후 전진하면 상기 용가재(30) 릴을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가재(30) 릴을 상기 제2 적재 영역(225) 상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용가재(30) 릴을 위한 거치대에 거치 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조작으로 상기 용가재(30) 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고정부재가 고정 돌기에 고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가재(30)의 내주면에는 제2 고정 돌기(3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용가재(30)의 길이 방향 일 측면에서 고정하는 고정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용가재(30)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용가재(30) 릴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가재(30) 릴의 내주면에 제2 고정 돌기(311)의 일단이 상승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311)의 타단은 상기 일단의 상승한 부분과 직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부재(310)가 상기 제2 고정 돌기(311)의 경사면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는 상기 용가재(30) 릴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는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걸림 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회전이 가능해야 하므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대로는 상기 용가재(30) 릴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310)의 소재는 지속적이 충격과 변형에 강한 소재지만, 유연성을가진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400)는 하우징(410), 고정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기 휠(5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420)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20)은 일단이 상기 휠(5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고정 고리(4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고리(421)는 상기 휠(5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돌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돌기(423)는 상기 휠(5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었으며, 상기 고정 고리(421)가 상기 제1 고정 돌기(423) 사이에 걸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20)은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4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 돌기(423)에 걸리는 고정 고리(4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핀(420)의 잠금과 풀림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와이어(430) 또는 상기 와이어(430)을 대신하여 걸거나 맬 수 있는 갈고리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20)은 중심부에 상기 고정핀(420)을 체결하기 위한 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20) 하우징(410) 사이에는 스프링(411)가 연결되어 상기 고정핀(420)에게 초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핀(4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 고리(421)가 상기 제1 고정 돌기(423) 사이를 향하도록 하는 초기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고정핀(420)이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410)에 상기 고정핀(420)에게 초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4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30)에 등에 의하여 상기 고정핀(420)이 후퇴되어 상기 제1 고정 돌기(423) 사이에서 상기 고정 고리(421)가 후퇴하여 상기 휠(50)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43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고정핀(420)이 전진하여 상기 고정 고리(421)이 상기 제1 고정 돌기(423) 사이로 다시 전진할 수 있는 탄성력을 상기 스프링(411)가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용접 시스템(100)은 핸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500)의 핸들(510)에는 작업자가 상기 메인프레임(230) 및 하부프레임(2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5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520)와 상기 핸들(510)사이에는 스프링부재(521)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520)는 와이어(43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430)는 상기 바(520)와 상기 휠(50)의 위치의 중앙까지 아래로 현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30)는 상기 중앙지점까지 현수되어 내려온 상기 와이어(430)는 복수 개의 갈래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로 나뉘어진 상기 와이어(430)들은 상기 휠(50)들의 고정핀(42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접기(10)를 포함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230) 및 하부 프레임(210)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바(52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와이어(430)가 상기 휠(50)의 잠금핀(420)을 후퇴시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바(5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휠(50)들의 고정핀(420)들이 전진함으로서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휠(50)들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시스템(100)은 상기 용가재(30)의 송급이 전부 소모되기 전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가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용가재(30)의 교체 시기를 미리 알림으로써 상기 용접 작업 중 작업이 갑작스럽게 중단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용가재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센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부재,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해 용가재의 잔량이나 작업 속도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계산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센서는 상기 용가재(30)의 소모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셀 등과 같은 무게 측정 센서가 사용되어 상기 용가재(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현재의 용가재(30)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남은 잔량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상기 용가재(30)마다 그 와이어의 소재나 특성에 따라 무게가 상이하므로 초기에 사용되는 용가재의 특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용가재의 잔량을 확인 하는 방법은 상술한 로드셀을 이용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드셀이 아닌 회전 모터 스피드 센서를 이용하거나 포토 센서 등을 이용한 동작 감지로 회전수를 카운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가재 소모량을 계산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작업량, 작업 속도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접 시스템
10 : 용접기 20 : 케이블
30 : 용가재 50 : 휠
200 : 적재부 210 : 하부 프레임
220 : 적재 플레이트 221 : 적재턱
230 : 메인 프레임 300 : 회전부
310 : 고정부재 311 : 제2 고정 돌기
400 : 고정부 410 : 하우징
411 : 스프링 420 : 고정핀
421 : 고정 고리 423 : 제1 고정 돌기
430 : 와이어 500 : 핸들부
510 : 핸드 520 : 바
521 : 스프링 부재

Claims (2)

  1.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턱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는,
    다각 형상의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을 둘레로 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차지하고, 적재되는 물체들의 공간을 구획하는 적재턱이 형성되고, 용접기, 케이블 및 용가재 등의 용접 장치를 적재하는 적재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에 적재되는 물체의 적재 공간을 이루되, 상기 적재 영역에 적재되는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개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휠과 결합하고 고정핀과 체결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가 휠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핀이 걸리는 휠;
    상기 고정핀은 일단에 고정 고리가 형성되고 탄성력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거나 이탈하여 상기 휠을 잠금 상태 또는 풀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되, 상기 하우징과 탄성 결합되고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돌기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 고리가 상기 휠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를 향하는 초기 탄성력을 제공되도록 상기 고정핀이 장착되는 하우징에 체결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핀에 제공되는 초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고리는 상기 제1 고정 돌기를 향하여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고, 상기 고정핀의 타단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고정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 고리가 상기 제1 고정 돌기로부터 이탈하지만 상기 반대 방향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일단의 상기 고정 고리가 다시 상기 제1 고정 돌기 사이에 걸리도록 동작하고,
    일단이 상승하여 돌출되어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돌기가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용가재 릴;
    상기 용가재 릴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용가재 릴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핸들;
    생기 핸들에 배치되는 바(bar);
    상기 핸들 및 바(bar)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바(bar)로부터 아래로 현수되어 상기 휠과 상기 바(bar)의 중간 지점에서 나뉘어져 상기 휠들의 고정핀들과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기 바(bar)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고정핀의 고정 고리가 후퇴하여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바(bar)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고정 고리가 전진하여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62703A 2021-05-14 2021-05-14 용접 시스템 KR10232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703A KR102320635B1 (ko) 2021-05-14 2021-05-14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703A KR102320635B1 (ko) 2021-05-14 2021-05-14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35B1 true KR102320635B1 (ko) 2021-11-01

Family

ID=7851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703A KR102320635B1 (ko) 2021-05-14 2021-05-14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26B1 (ko) * 2023-01-30 2023-03-29 임성학 대차가 구비된 용접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17U (ko) * 1997-12-17 1999-07-05 양재신 수동 아크 용접기 운반장치
KR20100070507A (ko) * 2008-12-18 2010-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와이어 릴 거치대
KR20160131816A (ko) * 2015-05-08 2016-11-16 (주)종합기계 와이어 용가재 송급 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티그 용접 설비
KR20160132297A (ko) * 2015-05-09 2016-11-17 (주)종합기계 턴테이블 방식 티그용접장치
JP2020044566A (ja) * 2018-09-21 2020-03-26 日立造船株式会社 管端溶接機および管端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17U (ko) * 1997-12-17 1999-07-05 양재신 수동 아크 용접기 운반장치
KR20100070507A (ko) * 2008-12-18 2010-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와이어 릴 거치대
KR20160131816A (ko) * 2015-05-08 2016-11-16 (주)종합기계 와이어 용가재 송급 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티그 용접 설비
KR20160132297A (ko) * 2015-05-09 2016-11-17 (주)종합기계 턴테이블 방식 티그용접장치
JP2020044566A (ja) * 2018-09-21 2020-03-26 日立造船株式会社 管端溶接機および管端溶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26B1 (ko) * 2023-01-30 2023-03-29 임성학 대차가 구비된 용접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635B1 (ko) 용접 시스템
EP3672695B1 (en) Case or cradle for a fall arrest device
CN107207227B (zh) 起重机以及用于监测此类起重机的过载保护的方法
KR101595282B1 (ko) 용접 와이어 교체 장치
US20240026659A1 (en) Monitoring ground engaging products for earth working equipment
KR102062695B1 (ko) 드론용 운반체
CN109030514B (zh) 水电站调压井缺陷检测装置
CN210183456U (zh) 一种管道人井探测仪
US20180230760A1 (en) Cable Guide for Drill Line Slip and Cut Operations on a Drilling Rig and Related Method for Achieving a Tensioned State of the Drill Line
WO2023061780A1 (en) Rebar installation using utility backpack
KR200457436Y1 (ko) 주상 안전 유닛
KR101635454B1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CN210118125U (zh) 连采机拖缆装置
CN215924186U (zh) 水平状态调整装置、水平状态检测装置及吊装治具
KR102247581B1 (ko) 다목적 암롤 운반차
CN212133617U (zh) 一种可快速测量边坡位移量的检测装置
KR102639574B1 (ko) 안전 시스템
KR101323758B1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JPH0711463U (ja) バッテリー交換装置
JP3143128U (ja) 簡易ドラム運搬具
CN211281673U (zh) 一种回转式水泥包装机的保护装置以及回转式水泥包装机
CN210117123U (zh) 连采机电缆收放设备
KR101611688B1 (ko) 와이어로프 마모측정장치
CN219750966U (zh) 用于检测胶带机打滑保护的装置
CN214527796U (zh) 轮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