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81B1 - 다목적 암롤 운반차 - Google Patents

다목적 암롤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81B1
KR102247581B1 KR1020200115842A KR20200115842A KR102247581B1 KR 102247581 B1 KR102247581 B1 KR 102247581B1 KR 1020200115842 A KR1020200115842 A KR 1020200115842A KR 20200115842 A KR20200115842 A KR 20200115842A KR 102247581 B1 KR102247581 B1 KR 10224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ember
lift arm
front side
body fram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8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pivoted arms shift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in a fore or aft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암롤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에 대해 작업자 단독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과 작업기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기 교체시 차량과 작업기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기 교체과정 중 작업기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암롤 운반차{Multi-purpose arm roll carrier}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에 대해 작업자 단독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과 작업기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기 교체시 차량과 작업기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기 교체과정 중 작업기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가에서 사용하는 방제기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광역방제기, 붐스프레이어, 트랙터 견인형 스피드 스프레이어 및 동력분무기 등이 있다.
현재 시판되는 다목적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경우, 주행용 엔진 및 방제기용 엔진으로 이루어진 2개의 엔진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대부분 전용 방제기로, 다양한 작업을 하는 농가에서는 장비의 활용률 문제로 다기능을 가지는 장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농업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작업 효율 및 편의성 증대를 위해 자동화 기계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다목적용 작업차량(스피드 스프레이어 및 적재장치) 기반으로 일부 출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다목적용 작업차량의 경우,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광역방제기, 적재함 등의 작업기의 교체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2명이서 교체할 경우, 평균 5분 ~ 10분 정도 소요되며, 장비의 무게로 인해 단독으로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리프트 실린더를 통해 리프트암, 후크암 및 적재프레임을 보다 용이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암롤차량용 덤핑 및 하역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0472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04722호의 경우, 후크부재의 내측에 수용된 적재프레임의 고정축이 상기 후크부재의 승강운동과정 중 상기 후크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이탈 및 이로 인해 상기 적재프레임이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방향의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047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에 대해 작업자 단독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과 작업기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기 교체시 차량과 작업기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기 교체과정 중 작업기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과; 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축결합되고,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상부 전측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 전측방향에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되는 만곡부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와;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 축결합되고, 후측부가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결합시키는 축의 전측방향의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부위에 축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은 상기 후크부재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 상부에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상기 삽입홈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 전측부와 하부 후측부를 지지하는 전측지지턱 및 후측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 상부 일측과 전측부 상부 타측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프트암의 관통공과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후크부재의 만곡부재의 하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만곡부재의 전측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만곡부재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는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타측에 하부가 삽입되는 타측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후크부재의 만곡부재의 하부 일측부와 하부 타측부는 각각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만곡부재의 전측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만곡부재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를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후측판과, 상기 후측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각각 상기 후측판의 전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체결판 및 타측체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체결판 및 상기 타측체결판 사이에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후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보조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체결판,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후측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후측부 및 상기 타측체결판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체결부재의 일측체결판과 타측체결판은 상기 수용홈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외면 및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외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체결판의 전측부와 상기 타측체결판의 전측부에 상기 수용홈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리프트 실린더 및 상기 회전실린더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이루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회전실린더를 이루는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파워팩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차체프레임과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작업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차체프레임과 상기 작업기의 충돌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차체프레임이 구비된 차량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기의 일측과 타측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작업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자계세기를 가지는 자석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의 자계세기를 판별하면서 상기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석 위치센서부재와; 상기 자석 위치센서부재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과 상기 자석간의 이탈거리와 방향각도를 산출하는 주행안내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안내인식부에서 산출된 주행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조향각과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자석을 추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후측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 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내측에 작업기의 고정축이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가 상승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축에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과 기준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중감지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후측부 내면 일측과 후측부 내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축에 발생되는 하중을 각각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 및 타측하중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 및 상기 타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저상 작업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지원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광역방제기, 적재함 등의 작업기에 대해 작업자 단독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과 작업기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기 교체시 차량과 작업기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부재의 승강과정 중 상기 후크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작업기의 고정축이 이탈될 우려가 없어 상기 후크부재의 승강과정 중 상기 작업기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암롤 운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작업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리프트암 및 일예의 후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리프트암 및 다른예의 후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만곡부재와 회전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후크부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보조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평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5는 하중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하중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후크부재의 걸림홈내에 작업기의 고정축이 걸림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A - A 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차체프레임에 작업기가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암롤 운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작업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암롤 운반차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체프레임(10), 리프트암(20), 후크부재(30) 및 리프트 실린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차체프레임(10)은 저상 작업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3)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리프트암 및 일예의 후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트암(20)은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리프트암부재(210)와 전측리프트암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후측부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측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리프트암부재(220)는 상기 후측리프트암부재(2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전측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리프트암부재(220)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크부재(30)는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전측부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전측리프트암부재(220)의 상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0)의 내측에는 걸림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10)의 상부 전측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걸림홈(310)의 하부 전측방향의 상기 후크부재(30) 부위에 상기 걸림홈(3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되는 만곡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광역방제기, 적재함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기(5)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후크부재(310)의 걸림홈(310)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10)의 걸림홈(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일예로, 상기 후크부재(310)의 걸림홈(310)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고정축이 상기 후크부재(310)의 승강과정 중에 상기 후크부재(310)의 걸림홈(3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홈(310)은 상기 후크부재(310)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트 실린더(40)의 전측부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측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40)의 후측부는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측부에 결합시키는 축(201)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후측부부위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40)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암(20)의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도 18, 도 19 및 도 21 내지 도 23 참조.)
도 4는 리프트암 및 다른예의 후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일예로, 상기 후크부재(30)는 상기 리프트암(20)의 전측리프트암부재(220)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후크부재(30)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서, 상기 후크부재(30)의 하부는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전측부에 형성되는 전측리프트암부재(220)의 상부 중앙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트암(20)의 전측리프트암부재(220)의 상부 중앙에 일측판(411)과 타측판(412)이 상기 리프트암(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411)과 타측판(412) 사이에 상기 후크부재(3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암(20)의 삽입홈(410)의 전측부와 후측부에는 상기 삽입홈(4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후크부재(30)의 하부 전측부와 하부 후측부를 지지하는 전측지지턱(420) 및 후측지지턱(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30)의 하부를 상기 삽입홈(41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전측부에 형성되는 전측리프트암부재(220) 상부 중앙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일측판(411)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판(412)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관통공(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일예로, 고정볼트(510)와 너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0)는 상기 리프트암(20)의 관통공(401)과 상기 후크부재(3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20)는 상기 고정볼트(51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판(411)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예의 만곡부재와 회전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후크부재(30)의 만곡부재(320)는 상기 후크부재(30)의 전측부 하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걸림홈(310)으로부터 작업기(5)의 고정축을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위해, 다른예로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30)의 만곡부재(320)의 하부가 상기 후크부재(30)의 전측부 하부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후크부재(30)의 만곡부재(320)의 하부는 상기 후크부재(30)의 전측부 하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재(320)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31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걸림홈(3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길이가 신축되는 회전실린더(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실린더(60)의 상부는 상기 만곡부재(320)의 전측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실린더(60)의 하부는 상기 리프트암(20)의 후측리프트암부재(210)의 전측부에 형성되는 전측리프트암부재(220)의 전면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후크부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후크부재(30)가 파손된 경우, 상기 후크부재(30) 전체를 교체보수하지 않고 파손된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후크부재(30) 부위만을 용이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30)는 또 다른예로서, 일측 후크부재(301)와 타측 후크부재(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하부는 상기 리프트암(20)의 삽입홈(410)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는 상기 리프트암(20)의 삽입홈(410)의 타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재(320)의 하부 일측부와 하부 타측부는 각각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전측부 하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전측부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재(320)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310)의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기 회전실린더(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0)는 체결볼트(810)과 너트(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810)는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후측부 상부와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후측부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820)는 상기 체결볼트(81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보조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체결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체결부재(70)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판(710), 일측체결판(720) 및 타측체결판(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710)은 상기 후크부재(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체결판(720)과 상기 타측체결판(730)은 상기 후측판(71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각각 상기 후측판(710)의 전측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체결판(720) 및 상기 타측체결판(730) 사이에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후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7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0)의 체결볼트(810)는 상기 타측체결판(730),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후측부 상부,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후측부 상부 및 상기 일측체결판(720)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820)는 상기 체결볼트(81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체결판(720)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보조체결부재(70)의 일측체결판(720)과 타측체결판(730)은 상기 수용홈(701)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70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일측부 외면 및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 외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체결부재(70)의 수용홈(701)에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302)의 후측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체결판(720)의 전측부와 상기 타측체결판(730)의 전측부에 상기 수용홈(701)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701)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7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리프트 실린더(40) 및 상기 회전실린더(60)는 각각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40) 및 상기 회전실린더(60)를 이룰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유압호스 등의 공급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상기 유압탱크 및 상기 유압펌프의 설치의 번거로움을 해소 및 이에 따른 설치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실린더(40) 및 상기 회전실린더(60)를 이룰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파워팩(9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3)에는 상기 차체프레임(10)과,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후크부재(30)의 걸림홈(310)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작업기(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리측정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3)에는 상기 차체프레임(10)과 더불어 상기 후크부재(30)와 상기 작업기(5)의 충돌여부를 알리는 알림부(200)와; 상기 거리측정부(100)의 거리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알림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알림부(200)는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경보음출력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경보음출력부재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에는 기준거리값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값은 상기 차량(3)이 상기 차량(3)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작업기(5)로 후진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30)가 상기 작업기(5)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후크부재(30)의 걸림홈(310)에 원활하게 상기 작업기(5)의 고정축이 걸림고정 및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값이면 족하다.
상기 거리측정부(100)가 측정한 거리측정값이 기준거리값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300a)의 전원이 상기 알림부(200)로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200)의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재가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부(100)가 측정한 거리측정값이 기준거리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300a)에서 상기 알림부(2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200)의 발광부재 및 경보음출력부재가 작동 정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차체프레임(10)이 구비된 차량(3)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차량(3)의 후방에 위치한 다양한 크기와 부피를 갖는 상기 작업기(5)의 일측과 타측에 용이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400)는 자석(400a), 자석 위치센서부재(400b) 및 주행안내인식부(40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계세기를 가지는 상기 자석(400a)은 상기 작업기(5)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석 위치센서부재(400b)는 상기 차량(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석(400a)의 자계세기를 판별파면서 상기 자석(400a)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주행안내인식부(400c)는 상기 제어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 위치센서부재(400b)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3)과 상기 자석(400a)간의 이탈거리와 방향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주행안내인식부(400c)에서 산출된 주행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3)의 조향각과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3)이 상기 자석(400a)을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하중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하중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30)의 걸림홈(310)의 후측부 내면에 로드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중감지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후크부재의 걸림홈내에 작업기의 고정축이 걸림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A - A 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 하중감지부(500)는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20)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30)가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측부 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후크부재(30)의 걸림홈(310)의 내측에 상기 작업기(5)의 고정축(51)이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20)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30)가 상승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축(51)에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하중감지부(500)가 감지한 하중값과 상기 제어부(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중감지부(500)가 감지한 하중값이 기준하중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00a)에서 상기 알림부(2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200)가 작동 중지될 수 있다.
상기 하중감지부(500)가 감지한 하중값이 기준하중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00)에서 상기 알림부(200)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200)의 발광부재가 점멸 및 상기 알림부(200)의 경보음 출력부재가 '과하중 입니다.'와 같은 경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예로서, 상기 하중감지부(50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후크부재(30)의 걸림홈(310)의 후측부 내면 일측과 후측부 내면 타측에 각각 구비 또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후크부재(301)의 걸림홈(310)의 후측부 내면 과 상기 타측 후크부재(301)의 걸림홈(310)의 후측부 내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축(51)에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500a) 및 타측하중감지부(5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00a)가 감지한 하중값 및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00b)가 감지한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0)의 발광부재는 빛을 발광하여 작업기(5)의 고정축(51)의 일측이 기울어졌음을 알리기 위한 제 1발광부재와; 빛을 발광하여 작업기(5)의 고정축(51)의 타측이 기울어졌음을 알리기 위한 제 2발광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00a)가 감지한 하중값이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00b)가 감지한 하중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00a)에서 상기 알림부(2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200)가 작동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00a)가 감지한 하중값이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00b)가 감지한 하중값 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작업기(5)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기(5)의 고정축(51)의 일측이 상기 고정축(51)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진 것(도 20의 α1)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200)의 제 1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및 상기 알림부(200)의 경보음 출력부재가 '고정축의 일측이 기울어졌습니다.'와 같은 경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00b)가 감지한 하중값이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00a)가 감지한 하중값 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작업기(5)의 무게중심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기(5)의 고정축(51)의 타측이 상기 고정축(51)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진 것(도 20의 α2)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200)의 제 2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및 상기 알림부(200)의 경보음 출력부재가 '고정축의 타측이 기울어졌습니다.'와 같은 경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차체프레임에 작업기가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 도 19, 도 21 내지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암(20), 상기 후크부재(30) 및 상기 리프트 실린더(40)를 통해 상기 차량(3)에 구비된 차체프레임(10)에 작업기(5)를 보다 용이하게 적재 및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상 작업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3)이 지원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광역방제기, 적재함 등의 작업기(5)에 대해 작업자 단독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3)과 작업기(5)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기(5) 교체시 차량(3)과 작업기(5)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후크부재(30)의 승강과정 중 상기 후크부재(30)의 내측으로부터 작업기(5)의 고정축(51)이 이탈될 우려가 없어 상기 후크부재(30)의 승강과정 중 상기 작업기(5)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차체프레임, 20; 리프트암,
30; 후크부재, 40; 리프트 실린더.

Claims (18)

  1. 차체프레임과;
    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축결합되고,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전측부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상부 전측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 전측방향에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되는 만곡부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 축결합되고, 후측부가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결합시키는 축의 전측방향의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부위에 축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2. 차체프레임과;
    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축결합되고,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상부 전측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 전측방향에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되는 만곡부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와;
    전측부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측부에 축결합되고, 후측부가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에 결합시키는 축의 전측방향의 상기 리프트암의 후측부부위에 축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를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리프트 실린더와;
    상기 차체프레임과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작업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차체프레임과 상기 작업기의 충돌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은 상기 후크부재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상기 삽입홈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 전측부와 하부 후측부를 지지하는 전측지지턱 및 후측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 상부 일측과 전측부 상부 타측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프트암의 관통공과 상기 후크부재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의 만곡부재의 하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만곡부재의 전측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만곡부재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는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리프트암의 삽입홈의 타측에 하부가 삽입되는 타측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의 만곡부재의 하부 일측부와 하부 타측부는 각각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전측부 하부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만곡부재의 전측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만곡부재의 상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 후크부재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를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0. 제 7항에 있어서,
    후측판과, 상기 후측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각각 상기 후측판의 전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체결판 및 타측체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체결판 및 상기 타측체결판 사이에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후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보조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체결판,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후측부,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후측부 및 상기 타측체결판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결부재의 일측체결판과 타측체결판은 상기 수용홈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후크부재의 외면 및 상기 타측 후크부재의 외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체결판의 전측부와 상기 타측체결판의 전측부에 상기 수용홈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3.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 및 상기 회전실린더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이루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회전실린더를 이루는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파워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이 구비된 차량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기의 일측과 타측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작업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자계세기를 가지는 자석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의 자계세기를 판별하면서 상기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석 위치센서부재와;
    상기 자석 위치센서부재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과 상기 자석간의 이탈거리와 방향각도를 산출하는 주행안내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안내인식부에서 산출된 주행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조향각과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자석을 추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후측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측부 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내측에 작업기의 고정축이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의 전측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재가 상승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축에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과 기준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홈의 후측부 내면 일측과 후측부 내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축에 발생되는 하중을 각각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 및 타측하중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 및 상기 타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하중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암롤 운반차.
  18. 삭제
KR1020200115842A 2020-09-10 2020-09-10 다목적 암롤 운반차 KR10224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42A KR102247581B1 (ko) 2020-09-10 2020-09-10 다목적 암롤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42A KR102247581B1 (ko) 2020-09-10 2020-09-10 다목적 암롤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581B1 true KR102247581B1 (ko) 2021-05-03

Family

ID=7591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42A KR102247581B1 (ko) 2020-09-10 2020-09-10 다목적 암롤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14U (ko) * 1998-06-05 1998-10-07 박영걸 암롤트럭의 콘테이너 상하차장치
KR200385927Y1 (ko) *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KR20190028224A (ko) * 2017-09-08 2019-03-18 바우컴퍼니주식회사 암롤차량용 덤핑 및 하역장치
KR101965424B1 (ko) * 2018-07-30 2019-04-03 김민정 암롤차량의 컨테이너 안전고정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14U (ko) * 1998-06-05 1998-10-07 박영걸 암롤트럭의 콘테이너 상하차장치
KR200385927Y1 (ko) *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KR20190028224A (ko) * 2017-09-08 2019-03-18 바우컴퍼니주식회사 암롤차량용 덤핑 및 하역장치
KR102004722B1 (ko) 2017-09-08 2019-07-29 바우컴퍼니주식회사 암롤차량용 덤핑 및 하역장치
KR101965424B1 (ko) * 2018-07-30 2019-04-03 김민정 암롤차량의 컨테이너 안전고정구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239B1 (ko) 자재 취급 차량용 모노마스트
EP2753568B1 (en) Crane control
US20220063970A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agv)
KR102247581B1 (ko) 다목적 암롤 운반차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US11994238B2 (en) Pipelayer machine with operator cabin having narrow front view
KR20080099749A (ko) 굴삭기의 작업장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0229786A (ja) 走行式建設機械の転倒防止装置とそれに用いる安全装置ユニット
CN111819150B (zh) 履带式起重机
US11970375B2 (en) Pipelayer machine with forward towing winch configuration
US20230105579A1 (en) Pipelayer machine with rear engine configuration
JP2021156049A (ja) 建設機械
JP4131654B2 (ja) エアパレットを用いたキャスク搬送システム
CN218841534U (zh) 牵引绳防出槽保护装置
CN214527796U (zh) 轮式起重机
CN108609411B (zh) 港口生产装卸汽车的防侧漏保护装置
CN220811672U (zh) 配重模组、配重臂架及工程机械
AU2021100246A4 (en) An Underground Mine Safety Arrangement For Monitoring Ground Support at an Unloading Location For a Vehicle at an Edge Of a Vertical Void.
CN218465261U (zh) 防超载装置及升降设备
ES2738108T3 (es) Máquina automóvil con instalación de carga
JP2010150029A (ja) 車体支持装置の異常検出装置
KR100765003B1 (ko) 사행 감지기능을 갖춘 크레인 차륜 비상제동장치
KR200377475Y1 (ko) 밧데리카 크레인
CN207877156U (zh) 一种吊钩固定组件及随车起重运输车
CN114684729A (zh) 轮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