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918B1 -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918B1
KR102312918B1 KR1020200023265A KR20200023265A KR102312918B1 KR 102312918 B1 KR102312918 B1 KR 102312918B1 KR 1020200023265 A KR1020200023265 A KR 1020200023265A KR 20200023265 A KR20200023265 A KR 20200023265A KR 102312918 B1 KR102312918 B1 KR 10231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kiosk
management
learning sp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278A (ko
Inventor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샘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9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kio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학습 공간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 일회 이용권,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세미나실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을 포함하는 학습 공간의 이용권을 판매하고,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와 연동되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는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권 관리 및 출입 관리, 상기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이용 정보로부터 관리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키오스크를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의 판매 시에,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하고,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특가 이용권의 무단 공유를 방지하여, 학습 공간을 운영하는 점주의 직간접적 매출 손실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은 바코드 등의 인식을 위해 휴대 단말기 등 별도의 기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지문 또는 안면으로 사용자 인증과 입장 및 퇴장 처리를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키오스크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가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리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학습 공간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원격으로 키오스크를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키오스크의 물리적 제어 및 이슈 트래킹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STUDY SPACE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 FOR TICKET SALES AND ACCESS MANAGEMENT WITH FINGERPRINT OR FAC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터디 룸(Study Room), 스터디 카페(Study Cafe), 독서실과 같은 학습 공간은 전화 또는 직접 방문을 통하여 룸(Room)이나 카페 내의 좌석을 예약하거나 즉석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좌석을 배정받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이로 인해 종래의 스터디 룸이나 스터디 카페는 운영을 위한 인력이 항상 배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24시간 운영하기는 곤란하고 특히 심야 시간의 운영은 수요가 높지 않으나 운영 인건비는 커질 수밖에 없어 특별한 수요가 있는 예외적인 기간 이외에는 운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용권 판매 및 입출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를 각각의 스터디 카페에 설치하고, 키오스크를 통해 바코드를 발권하고 발권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무인 스터디 카페가 운영되기도 한다.
그런데, 스터디 룸(Study Room), 스터디 카페(Study Cafe), 독서실과 같은 학습 공간에는, 특정한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정액권이나 기간권 등의 특가 이용권이 존재하는데, 바코드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하여, 몇몇 고객들이 이러한 특가 이용권을 무단으로 공유해 사용함으로써, 스터디 카페와 같은 학습 공간을 운영하는 점주에게 직간접적 매출 손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기존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입장 및 퇴장 처리를 할 수 있고, 점주 입장에서 스터디 카페와 같은 학습 공간의 운영 및 관리를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9-0098584호(발명의 명칭: 무인 스터디 카페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공개일자: 2019년 08월 22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특가 이용권의 무단 공유를 방지하여, 학습 공간을 운영하는 점주의 직간접적 매출 손실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은 바코드 등의 인식을 위해 휴대 단말기 등 별도의 기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지문이나 안면으로 사용자 인증과 입장 및 퇴장 처리를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오스크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가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리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학습 공간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원격으로 키오스크를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키오스크의 물리적 제어 및 이슈 트래킹을 할 수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은,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터디 카페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고 지문 또는 안면을 인식하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
일회 이용권,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세미나실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을 포함하는 스터디 카페의 이용권을 판매하고,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와 연동되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스터디 카페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스터디 카페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는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권 관리 및 출입 관리, 상기 스터디 카페의 좌석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이용 정보로부터 관리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키오스크를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의 판매 시에,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하고,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스터디 카페 출입을 관리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오스크는,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 및 관리하는 지문/안면 관리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스터디 카페의 입장 또는 퇴장이 선택되면,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또는 안면과 상기 지문/안면 관리부에 의해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및 인증된 사용자의 스터디 카페 입출을 처리하는 입출 처리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이용 가능한 좌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에 좌석 배치도에 표시된 좌석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좌석 현황 관리부; 및
선택된 이용권, 이용 시간 및 스터디 카페의 좌석을 포함하는 선택 정보에 따른 결제 금액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을 예측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출력 언어, 영상 또는 소리의 크기, 및 영상 출력 위치를 포함하는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용권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맞춤형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각각의 스터디 카페별로 기간별 매출,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며, 상기 기간별 매출, 좌석 점유율, 사물함 점유율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편집하되, 편집 내용은 좌석 이동 또는 취소, 사물함 이동 또는 취소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내용을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관리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일회권, 정액권, 기간권, 세미나 및 사물함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발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이용권의 발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관리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를 분석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예측하고, 예측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쿠폰 발행을 추천하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특가 이용권의 무단 공유를 방지하여, 스터디 카페를 운영하는 점주의 직간접적 매출 손실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은 바코드 등의 인식을 위해 휴대 단말기 등 별도의 기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지문 또는 안면으로 사용자 인증과 입장 및 퇴장 처리를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키오스크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가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리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스터디 카페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원격으로 키오스크를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키오스크의 물리적 제어 및 이슈 트래킹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키오스크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키오스크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관리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기간별 매출이 그래프로 표시된 관리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권 관리 화면이 표시된 관리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좌석 이용 현황이 출력된 관리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디바이스에서 원격 관리를 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디바이스에서 좌석 이용 현황을 편집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은,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 키오스크(200),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학습 공간은, 스터디 룸(Study Room), 스터디 카페(Study Cafe), 독서실 등 학습을 위해 디자인 된 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는, 학습 공간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고 지문 또는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는, 키오스크(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공간 외부에 설치된 키오스크(200)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용권 판매 및 입장 시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구성하고 키오스크(200)와 유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세미나실 등 특별한 좌석에 대한 출입 관리 장치로 사용하거나, 학습 공간의 내부에서 퇴장 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는, 지문 인식 장치 또는 안면 인식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문 및 안면 인식이 가능한 장치로서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지문 인식 또는 안면 인식을 처리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는, 일회 이용권,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세미나실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을 포함하는 학습 공간의 이용권을 판매하고,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와 연동되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하고,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는 스터디 카페용으로 구현된 키오스크일 수 있으며, 학습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비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오스크(200)는, 일회 이용권의 판매 시에는, 입장 바코드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제공된 입장 바코드를 이용해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200)는, 일회 이용의 경우에는 굳이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입장 바코드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장 바코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자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영수증 등에 인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회 이용권 구매 시에도 지문 또는 안면 등록을 하고 지문 또는 안면 인식에 의한 입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키오스크(200)는,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의 판매 시에,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하고,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200)는, 복수의 입장과 퇴장이 예정되어 있는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사물함 이용권 등에 대해서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와 연동해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하고,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이용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키오스크(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권 관리 및 출입 관리,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용 정보로부터 관리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개별 사용자의 학습 공간 이용, 각 학습 공간별 관리 현황 등을 저장 및 분석하고,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학습 공간에 방문하거나 각각의 키오스크(20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원격지에서 학습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를 통해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므로, 관리자는 복수의 학습 공간을 운영할 때에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키오스크(200) 및 관리자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관리 정보를 조회하고, 키오스크(200)를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41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학습 공간을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서,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해 학습 공간 및 키오스크(200)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사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머리착용형 장치(HMD, head-mounted-device),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다양한 장치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410)은, 통신망 등에서 운영되는 앱 서버에서 관리하는 설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치된 실행 프로그램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410)은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학습 공간 및 키오스크(200)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각종 관리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키오스크(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키오스크(200)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키오스크(200)는, 출력부(205), 입력부(210), 지문/안면 관리부(215), 입출 처리부(220), 좌석 현황 관리부(225) 및 결제 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35), 영상 분석부(240), 제어부(245) 및 광고 제공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05)는,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205)는, 시각적 출력을 하는 디스플레이와 청각적 출력을 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이나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버튼 조작, 터치 등 각종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05)와 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일체로 구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문/안면 관리부(215)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는, 키오스크(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문/안면 관리부(215)는, 이러한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별로 지문 정보 또는 안면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지문/안면 관리부(215)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별 지문 정보 또는 안면 정보를 저장하여 통합 관리할 수도 있다.
입출 처리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학습 공간의 입장 또는 퇴장이 선택되면,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또는 안면과 지문/안면 관리부(215)에 의해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및 인증된 사용자의 학습 공간 입출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입출 처리부(220)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 및 지문/안면 관리부(215)와 연동하여, 지문 또는 안면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이용권에 따른 잔여 기간 또는 잔여 시간 등을 확인하여, 학습 공간 입출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입출 처리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학습 공간의 입장 또는 퇴장이 선택되지 않더라도, 지문 또는 안면이 인식되었을 때 입장 상태가 아니면 입장 처리, 입장 상태이면 퇴장 처리를 할 수 있다.
좌석 현황 관리부(225)는,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고, 입력부(21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좌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05)에 좌석 배치도에 표시된 좌석 이용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좌석 배치도에 각각의 좌석별로 이용 여부, 이용 중인 좌석이면 해당 사용자의 남은 이용 시간 등을 표시하여 출력부(205)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좌석 현황 관리부(225)가 제공하는 좌석 이용 현황을 보고, 비어 있는 자리 중에서 원하는 좌석을 선택하고 이용할 시간을 입력해, 구매 또는 소유한 이용권 범위 내에서 입력한 시간 동안 선택한 좌석을 사용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30)는, 선택된 이용권, 이용 시간 및 학습 공간의 좌석을 포함하는 선택 정보에 따른 결제 금액을 처리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30)는, 신용카드, 현금, 계좌이체, 간편결제, 쿠폰 등 다양한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부(235)는, 키오스크(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는, 키오스크(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분석부(240)는, 카메라부(235)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모델은 영상 처리에 특화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CNN과 LSTM(Long short-term memory)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결합한 인공신경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영상 분석부(24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국적, 연령대, 신체 특징(휠체어 사용, 시각장애인 등)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245)는, 영상 분석부(240)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에 따라 출력부(205)의 출력 언어, 영상 또는 소리의 크기, 및 영상 출력 위치를 포함하는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5)는, 영상 분석부(240)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에 따라 출력부(205)의 출력 언어, 영상 또는 소리의 크기, 및 영상 출력 위치를 포함하는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국인이면 한국어, 외국인이면 영어로 언어를 제공할 수 있고, 노인이면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소리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며, 휠체어를 사용하면 출력 화면에서 출력 위치를 아래로 조정하여 사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250)는, 영상 분석부(240)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용권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맞춤형 광고를 출력부(205)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각각의 학습 공간별로 기간별 매출,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며, 기간별 매출, 좌석 점유율, 사물함 점유율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410)이 구동된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구동하여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고, 원격지에서 학습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관리하는 학습 공간이 복수일 경우, 개별 학습 공간별로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할 수 있으며, 좌석 점유율, 사물함 점유율 등을 바 형태의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출입문 열기” 버튼을 이용해 원격으로 학습 공간의 출입문의 개폐를 조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기간별 매출이 그래프로 표시된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구동하여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로부터 기간별 매출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회권, 정액권, 기간권, 세미나, 사물함 등 각각의 상품별로 매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각각의 학습 공간별로 기간별 매출,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며, 기간별 매출, 좌석 점유율, 사물함 점유율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권 관리 화면이 표시된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개별 이용권의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이용권의 이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잘못된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좌석 이용 현황이 출력된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학습 공간 내부의 좌석별로 이용 내역 등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디바이스(400)에서 원격 관리를 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해 원격지에서 학습 공간 운영과 관련된 세부적인 사항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일반 좌석이나 세미나실 등의 사용 요금을 설정할 수 있고, 시험기간 등 매장이 혼잡한 때에 일회권 판매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기간권 판매 개수를 제한하여, 좌석 확보가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가 애플리케이션(410)을 이용해 각종 설정을 하고, 설정 내용을 저장하면,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설정 내용이 저장되고,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관리하는 키오스크(200)에 설정 내용을 저장해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학습 공간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키오스크(200)의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등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200)를 재부팅하는 등 물리적인 제어도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일회권, 정액권, 기간권, 세미나 및 사물함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발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이용권의 발행과 관련된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여 관리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이용권을 직접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이용권의 일련번호, 바코드, QR코드 등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편집하되, 편집 내용은 좌석 이동 또는 취소, 사물함 이동 또는 취소를 포함하고, 편집 내용을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송신하여 관리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디바이스(400)에서 좌석 이용 현황을 편집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는, 관리자 디바이스(400)가 현재 좌석 사용 현황을 확인하고, 각 좌석의 번호 또는 명칭의 오른쪽에 위치한 연필 모양의 아이콘을 이용해 좌석 이동 또는 좌석 취소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키오스크(200)를 이용해 좌석을 선택하고, 좌석 이동을 하고, 퇴실 처리하면 좌석의 상태가 실제와 동일하게 변경 및 관리되지만, 사용자가 키오스크(200)의 조작에 어려움을 겪거나, 시스템 오류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퇴실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관리자가 직접 좌석 이용 현황을 편집할 수 있다. 좌석 이용 현황 외에도 사물함 이용 현황도 유사한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공간의 관리 상태가 실제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관리 정보를 분석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예측하고, 예측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쿠폰 발행을 추천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예측하여, 적절한 쿠폰을 발행하도록 관리자에게 추천함으로써, 관리자의 학습 공간 관리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측 모델은 영상 처리에 특화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CNN과 LSTM(Long short-term memory)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결합한 인공신경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의 추천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쿠폰을 발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을 촉진하고 매출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에게만 한정되는 특가 이용권의 무단 공유를 방지하여, 학습 공간을 운영하는 점주의 직간접적 매출 손실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은 바코드 등의 인식을 위해 휴대 단말기 등 별도의 기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지문 또는 안면으로 사용자 인증과 입장 및 퇴장 처리를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키오스크(200)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가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410)을 이용해 관리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학습 공간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410)을 이용해 원격으로 키오스크(200)를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키오스크의 물리적 제어 및 이슈 트래킹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문/안면 인식 장치
200: 키오스크
205: 출력부
210: 입력부
215: 지문/안면 관리부
220: 입출 처리부
225: 좌석 현황 관리부
230: 결제 처리부
235: 카메라부
240: 영상 분석부
245: 제어부
250: 광고 제공부
300: 클라우드 관리 서버
400: 관리자 디바이스
410: 애플리케이션

Claims (8)

  1.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학습 공간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고 지문 또는 안면을 인식하는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
    일회 이용권,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세미나실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을 포함하는 학습 공간의 이용권을 판매하고,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와 연동되어 지문 인식 또는 안면 인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는 키오스크(200);
    상기 키오스크(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권 관리 및 출입 관리, 상기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이용 정보로부터 관리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 및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키오스크(200)를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410)이 설치된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는,
    상기 학습 공간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키오스크(200)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용권 판매 및 입장 시에 사용되는 외부 장치와, 상기 키오스크(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학습 공간의 내부에서 세미나실에 대한 출입 관리 또는 퇴장 시에 사용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정액 이용권, 기간 이용권 및 사물함 이용권의 판매 시에,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하고,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공간 출입을 관리하며,
    상기 키오스크(200)는,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05);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10);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또는 안면을 등록 및 관리하는 지문/안면 관리부(215);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학습 공간의 입장 또는 퇴장이 선택되면, 상기 지문/안면 인식 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또는 안면과 상기 지문/안면 관리부(215)에 의해 등록된 지문 또는 안면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및 인증된 사용자의 학습 공간 입출을 처리하는 입출 처리부(220);
    상기 학습 공간의 좌석 이용 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좌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5)에 좌석 배치도에 표시된 좌석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좌석 현황 관리부(225);
    선택된 이용권, 이용 시간 및 학습 공간의 좌석을 포함하는 선택 정보에 따른 결제 금액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230);
    상기 키오스크(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5);
    상기 카메라부(235)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CNN과 LSTM(Long short-term memory)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결합한 인공신경망을 사용해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을 예측하는 영상 분석부(240); 및
    상기 영상 분석부(240)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에 따라 상기 출력부(205)의 출력 언어, 영상 또는 소리의 크기, 및 영상 출력 위치를 포함하는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45)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각각의 학습 공간별로 기간별 매출,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며, 상기 기간별 매출, 좌석 점유율, 사물함 점유율을 그래프로 제공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상기 관리 정보를 분석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예측하고, 예측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쿠폰 발행을 추천하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관리자가 관리하는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영상 분석부(240)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사용 언어, 연령대 및 신체 특징,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용권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맞춤형 광고를 상기 출력부(205)를 통해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상기 좌석 이용 현황 및 사물함 이용 현황을 편집하되, 편집 내용은 좌석 이동 또는 취소, 사물함 이동 또는 취소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내용을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송신하여 상기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일회권, 정액권, 기간권, 세미나 및 사물함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발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이용권의 발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여 관리 정보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200)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23265A 2020-02-25 2020-02-25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KR10231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65A KR102312918B1 (ko) 2020-02-25 2020-02-25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65A KR102312918B1 (ko) 2020-02-25 2020-02-25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78A KR20210108278A (ko) 2021-09-02
KR102312918B1 true KR102312918B1 (ko) 2021-10-15

Family

ID=7779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265A KR102312918B1 (ko) 2020-02-25 2020-02-25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8827A (zh) * 2021-10-29 2022-01-28 成都智元汇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人脸识别终端与闸机的信息交互方法、装置及系统
KR102440058B1 (ko) * 2021-11-16 2022-09-02 김한민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212B1 (ko) * 2018-03-15 2018-12-27 김경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478A (ko) * 2018-05-08 2019-11-18 (주)리감 키오스크 무인 출입카드 관리 방법
KR20190141410A (ko) * 2018-06-14 2019-12-24 (주)이지위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212B1 (ko) * 2018-03-15 2018-12-27 김경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78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75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dentity transmission with integrated service network and application ecosystem
US20190066001A1 (en) Universal Ticketing and Payment System
EP2709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tel reservation and for automated check-in
US10311436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credentials back-up service to mobile devices
US20110145053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3080960A (zh) 智能型钱包
US20160247145A1 (en) Wearable access and tracking system for reserved seating events
KR102312918B1 (ko)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US20170024713A1 (en) Wearable devices and systems for event administration and event related transactions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20230054343A (ko) 온라인 구매 상품의 면세 또는 세금환급을 위한 면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237896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장 주문 시스템
AU2021101733A4 (e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tel Location and Internal Status Update
US20020010650A1 (en) Data carrier-based electronic goods/services procurement/purchasing system
KR102529362B1 (ko) 키오스크로부터 얻은 목표 달성자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N107251067A (zh) 前端交易系统
JP2002056172A (ja) 顧客情報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顧客情報入出力用携帯端末
JP2021056675A (ja) 宿泊施設支払システム
KR102570769B1 (ko) Qr 코드를 연계한 자동판매기 결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결제 방법
KR102581340B1 (ko)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102626969B1 (ko) 간편 출입 인증을 지원하는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US20220094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less control of hardware
KR100494673B1 (ko) 무인 영화관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30171204A (ko) 공유 오피스의 지점별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공유 오피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