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212B1 -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212B1
KR101933212B1 KR1020180030450A KR20180030450A KR101933212B1 KR 101933212 B1 KR101933212 B1 KR 101933212B1 KR 1020180030450 A KR1020180030450 A KR 1020180030450A KR 20180030450 A KR20180030450 A KR 20180030450A KR 101933212 B1 KR101933212 B1 KR 101933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om
study
time
c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8003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활체육시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은, 스터디 카페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여, 설정된 영역에 스캔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하는, 키오스크; 스터디 카페에 설치된 CCTV,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고,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키오스크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MANLESS STUDY CAFE}
본 발명은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들에게 스터디 카페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관리자 없이도 스터디 카페를 운영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서실 및 도서관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종류의 책을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업 및 취업 등을 위해 주변 환경에 방해받지 않고, 학습서 등을 열람하기에도 적합한 장소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기존의 폐쇄적 형태의 독서실에서 탈피하여, 카페와 같은 개방적이면서도 아늑한 분위기에서 다과를 즐기면서 책을 열람할 수 있는 스터디 카페를 찾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스터디 카페는 현대적인 인테리어와 함께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책을 열람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스터디 카페를 관리하기 위해 시간대 별로 관리자를 고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인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야 시간에 이용하고 싶은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은 대부분의 스터디 카페가 심야 시간에는 운영하지 않아 다양한 시간대에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4시간 동안 스터디 카페를 운영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연중 무휴로 스터디 카페를 운영하더라도 관리자의 인권비가 들지 않는 무인 스터디 카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무인독서실 관리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2573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이용자들의 이용시간, 이용 요일 및 최초 선택한 시간의 길이 등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지불한 이용 금액 득실을 계산한 후,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요금제를 제시할 수 있어, 이용자의 경제성을 향상시켜 주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키오스크에서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가 좌석을 선택할 때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의 이용 목적 및 개인 취향에 따라 룸 선택을 제안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를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가 관리자의 안내가 없더라도 손쉽게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용자 단말기에서 스터디 카페를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에게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세부적으로 추천해주기 때문에 이용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환경에서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가 특정 정보를 공유하기 원할 때에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동일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과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용자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유롭게 대화가 허용되지 않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의 좌석번호를 입력하여 신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에서도 면학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관리자는 설정된 횟수 이상 신고가 접수된 회원을 특별 관리하거나 강제 퇴실 시킬 수 있어 소음 발생으로 인한 다른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로부터 다양한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의 상항을 접수한 관리자는 즉각적으로 이용자들의 건의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무인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은, 스터디 카페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여, 설정된 영역에 스캔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하는, 키오스크; 스터디 카페에 설치된 CCTV,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고,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키오스크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키오스크는,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제어부; 복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스터디 형태의 룸, 음료와 스낵을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카페 형태의 룸 및 학용품과 서적만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선택할 수 있는 스터디형 룸 선택 버튼, 카페형 룸 선택 버튼 및 독서실형 룸 선택 버튼을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룸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룸 선택 버튼을 선택받을 경우, 선택받은 룸에 위치한 좌석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디스플레이된 룸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룸 선택 버튼 및 디스플레이된 좌석표에 포함된 좌석 중 어느 하나의 좌석을 선택받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회원번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받는 입력부; 수신한 회원번호를 입력받은 후, 회원번호의 이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로 확인될 경우,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형태의 룸, 카페 형태의 룸 및 독서실 형태의 룸 중 이용자가 가장 긴 시간 동안 이용하였던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검색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기는, 이용자의 이용 시간, 이용 요일, 이용 시 최초 선택한 이용 시간 및 퇴실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이용자가 지불한 이용 금액의 득실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용 금액의 득실을 기반으로, 각각의 이용자에게 이용 금액을 제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은, 키오스크에서, 스터디 카페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키오스크에서,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키오스크에서, 설정된 영역에 스캔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기에서, 스터디 카페에 설치된 CCTV,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키오스크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기에서 이용자들의 이용시간, 이용 요일 및 최초 선택한 시간의 길이 등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지불한 이용 금액 득실을 계산한 후,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요금제를 제시할 수 있어, 이용자의 경제성을 향상시켜 주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서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가 좌석을 선택할 때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의 이용 목적 및 개인 취향에 따라 룸 선택을 제안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를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가 관리자의 안내가 없더라도 손쉽게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기에서 스터디 카페를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에게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세부적으로 추천해주기 때문에 이용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환경에서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가 특정 정보를 공유하기 원할 때에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동일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과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유롭게 대화가 허용되지 않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의 좌석번호를 입력하여 신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에서도 면학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는 설정된 횟수 이상 신고가 접수된 회원을 특별 관리하거나 강제 퇴실 시킬 수 있어 소음 발생으로 인한 다른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로부터 다양한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의 상항을 접수한 관리자는 즉각적으로 이용자들의 건의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무인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 및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로부터 좌석을 선택받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에게 좌석을 추천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과 필요에 따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를 관리자에게 신고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운영 방법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 (firm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또는 하드웨어 (hardware) 로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은 키오스크(kiosk, 110), 이용자 단말기(120), 서버(130) 및 관리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110)는 스터디 카페(study cafe)를 이용하는 이용자로부터 룸(room)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등을 선택받고,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여, 입장권을 출력한다.
여기서, 룸의 형태란 스터디 카페에 구비된 복수의 룸 중 어느 하나의 룸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복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스터디 형태의 룸, 음료와 스낵(snack)을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카페 형태의 룸 및 학용품과 서적만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터디 형태의 룸은 복수의 이용자가 스터디를 할 수 있도록 시청각 장비가 구비된 폐쇄된 형태의 룸이고, 카페 형태의 룸이란 이용자가 다과를 즐기면서 노트북이나 서적을 열람할 수 있는 개방된 형태의 룸이며, 독서실 형태의 룸이란 이용자가 학용품과 서적만을 소지한 상태에서 이용자끼리 서로 대화가 금지된 개방된 또는 폐쇄된 형태의 룸이다.
또한, 입장권이란 스터디 카페를 출입할 수 있는 바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출입문의 설정된 영역에 바코드를 스캔(scan)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및 이용 시간(입실시간, 퇴실시간) 등이 인쇄된 것을 지칭한다.
이용자 단말기(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단말기(120)는 서버(130)와 연동되어, 스터디 카페의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여,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130)는 키오스크(110), 이용자 단말기(120) 및 관리자 단말기(14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정보를 처리 및 저장한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스터디 카페에 설치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 등을 제어하고,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2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출력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이용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210)는 표시부(220)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이용자로부터 스터디 카페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등을 선택받는다. 또한,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된 룸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룸 선택 버튼 및 디스플레이된 좌석표에 포함된 좌석 중 어느 하나의 좌석을 선택받는다.
표시부(220)는 입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220)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20)는 복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스터디 형태의 룸, 음료와 스낵을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카페 형태의 룸 및 학용품과 서적만 소지하고 입장할 수 있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선택할 수 있는 스터디형 룸 선택 버튼, 카페형 룸 선택 버튼 및 독서실형 룸 선택 버튼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디스플레이된 룸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룸 선택 버튼을 선택받을 경우, 선택받은 룸에 위치한 좌석표를 디스플레이한다.
출력부(230)는 이용자에게 음향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30)는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한다.
통신부(240()는 컴퓨터,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250)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키오스크(2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이용자부터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고,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여기서, 좌석 선택 알고리즘이란 무인 스터디 카페에 구비된 복수의 룸 형태 중 이용자의 무인 스터디 카페의 이용 목적에 가장 부합하도록 이용자에게 좌석 선택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300)는 입력부(310), 표시부(320), 통신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이용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310)는 표시부(320)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1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받는다.
표시부(320)는 입력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20)는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320)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20)는 검색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330)는 컴퓨터,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30)는 서버로부터 회원번호를 수신한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용자 단말기(3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수신한 회원번호를 입력받은 후, 회원번호의 이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로 확인될 경우,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형태의 룸, 카페 형태의 룸 및 독서실 형태의 룸 중 이용자가 가장 긴 시간 동안 이용하였던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검색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 및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400)는 입력부(410), 표시부(420), 통신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관리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410)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이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410)는 표시부(420)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420)는 입력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20)는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420)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이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430)는 컴퓨터,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저장부(440)는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제어한다.
제어부(450)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50)는 이용자의 이용 시간, 이용 요일, 이용 시 최초 선택한 이용 시간 및 퇴실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이용자가 지불한 이용 금액의 득실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용 금액의 득실을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이용자에게 이용 금액을 제안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450)는 이용 시간 검출부(451), 이용 요일 검출부(452), 선택 시간 검출부(453), 이용 금액 득실 계산부(454) 및 이용 금액 제안부(455)를 포함한다.
이용 시간 검출부(451) 이용자들의 개개인의 이용 시간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이용 시간 검출부(451)는 이용자들의 개개인이 이용한 시간이 오전 시간인지, 오후 시간인지 아님 심야 시간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오전, 오후 및 심야 시간 중 구체적인 이용 시간을 검출한다.
이용 요일 검출부(452)는 이용자들의 개개인의 이용 요일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이용 요일 검출부(452)는 이용자들의 개개인이 이용한 요일이 평일인지, 주말인지 아님 평일이나 주말이라도 공휴일이나 임시 공휴일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선택 시간 검출부(453)는 이용자들의 개개인이 스터디 카페에 입장할 때 최초 선택한 시간의 길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선택 시간 검출부(453)는 이용자들의 개개인이 최초 스터디 카페에 입장할 때 선택한 시간의 길이가 3시간을 선택하여 3시간 정액권을 발급받았는지 12시간을 선택하여 12시간 정액권을 발급받았는지 아님 총 6시간을 이용하였지만 2시간씩 총 3번의 입장권을 발급받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454)는 이용 시간 검출부(451), 이용 요일 검출부(452) 및 선택 시간 검출부(453)에서 각각 검출한 이용 시간, 이용 요일 및 최초 선택한 시간의 길이 등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개개인이 지불한 이용 금액 득실을 계산한다.
이용 금액 제안부(455)는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454)에서 계산된 금액 득실을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요금제를 제시한다.
예를 들면,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이용자들 중 A 이용자는 스터디 카페를 총 3회 이용하였는데, 3회 모두 평일 오전에 12시간 정액권을 발급받아 각각 3시간씩 총 12시간을 이용하였으며, 평일 12시간 정액권의 금액은 1만원이고, 1시간당 이용 금액은 1천원인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상술한 예에서,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454)는 이용 시간 검출부(451), 이용 요일 검출부(452) 및 선택 시간 검출부(453)로부터 상술한 정보를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A 이용자는 1회 이용할 때마다 1시간당 입장권을 발급 받았다면 7천원의 손실을 면할 수 있었고, 이러한 손실이 총 3번 있었던 바, 총 2만 1천원의 손실이 있었다고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금액 제안부(455)는 다음 번에 A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때 1시간당 이용에 대한 이용 요금을 지불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이용자들 중 B 이용자는 스터디 카페를 총 2회 이용하였는데, 2회 모두 평일 오전에 2시간의 길이로 5번의 입장권을 발급받아 각각 12시간씩 총 24시간을 이용하였으며, 평일 12시간 정액권의 금액은 1만원이고, 1시간당 이용 금액은 1천원인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상술한 예에서,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454)는 이용 시간 검출부(451), 이용 요일 검출부(452) 및 선택 시간 검출부(453)로부터 상술한 정보를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B 이용자는 1회 이용할 때마다 12시간 정액권을 발급 받았다면 2천원의 손실을 면할 수 있었고, 이러한 손실이 총 2번 있었던 바, 총 4천원의 손실이 있었다고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금액 제안부(455)는 다음 번에 B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때 12시간 정액권에 대한 이용 요금을 지불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기에서 이용자들의 이용시간, 이용 요일 및 최초 선택한 시간의 길이 등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지불한 이용 금액 득실을 계산한 후,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요금제를 제시할 수 있어, 이용자의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로부터 좌석을 선택받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룸 선택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내용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이용자로부터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등을 선택받고,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여, 입장권을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의 좌석을 선택할 때 이용자의 이용 목적 및 개인 취향 등에 가장 부합하도록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에게 룸 선택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키오스크의 제어부는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에 입장하기 위해 좌석을 선택할 때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키오스크의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자가 스터디를 할 수 있도록 시청각 장비가 구비된 폐쇄된 형태의 룸인 스터디 형태의 룸, 이용자가 다과를 즐기면서 노트북이나 서적을 열람할 수 있는 개방된 형태의 룸인 카페 형태의 룸 및 이용자가 학용품과 서적만을 소지한 상태에서 이용자끼리 서로 대화가 금지된 개방된 또는 폐쇄된 형태의 룸인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좌선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이후, 키오스크의 표시부는 스터디 형태의 룸을 선택할 수 있는 스터디형 룸 선택 버튼(510), 카페 형태의 룸을 선택할 수 있는 카페형 룸 선택 버튼(520) 및 독서실 형태의 룸을 선택할 수 있는 독서실형 룸 선택 버튼(530)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룸 형태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좌석을 선택받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룸 형태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좌석을 선택받는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가 이용자로부터 스터디 형태의 룸을 선택받은 경우, 키오스크의 표시부는 각각의 스터디 룸의 총 인원수, 스터디 룸에 구비된 시청각 장비 및 스터디 룸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키오스크가 이용자로부터 카페 형태의 룸을 선택받은 경우, 키오스크의 표시부는 카페 형태의 룸의 좌석의 위치 및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조명의 색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키오스크가 이용자로부터 독서실 형태의 룸을 선택받은 경우, 키오스크의 표시부는 독서실 형태의 룸의 좌석의 위치,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책상의 넓이, 칸막이의 유무 및 조명의 색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가 좌석을 선택할 때 좌석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카페의 이용자의 이용 목적 및 개인 취향에 따라 룸 선택을 제안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를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가 관리자의 안내가 없더라도 손쉽게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에게 좌석을 추천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의 통신부는 서버로부터 회원번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에 입실하기 위해 좌석을 선택하고 결제 과정을 수행할 때 키오스크에 이용자의 휴대 전화번호 또는 기존 회원번호를 입력하는데, 서버는 이렇게 입력된 이용자의 휴대 전화번호 또는 기존 회원번호로 이용자를 특정한 후, 이용자 단말기로 회원번호를 전송한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이용자로부터 회원번호 입력창(610)에 회원번호를 입력받는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용자에게 좌석을 추천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회원번호를 소지한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에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1234번의 회원번호를 소지한 이용자가 스터디 카페에서 100시간 이상 이용하였고, 스터디 형태의 룸은 10시간, 카페 형태의 룸은 10시간, 독서실 형태의 룸은 80시간 이용(1번 좌석은 10시간, 2번 좌석은 20시간 및 77번 좌석은 50시간 이용)하였으며, 설정된 시간은 50시간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상술한 예에서, 이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받은 1234번의 회원번호는 A 이용자가 소지한 회원번호이고, A 이용자는 스터디 카페에 설정된 50시간 이상을 이용하였으며, 독서실 형태의 룸의 77번 좌석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음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A 이용자님에 최적화된 룸은 독서실 형태의 룸이며, 좌석번호는 77번 입니다”와 같은 좌석 추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는 스터디 카페를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에게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세부적으로 추천해주기 때문에 이용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환경에서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과 필요에 따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과 정보 공개 여부를 설정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보 공유 여부를 설정받는다. 예를 들면,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자가 준비하는 시험 종류를 입력받는 시험 종류 입력창(710) 및 시험 과목을 입력받는 시험 과목 입력창(7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는 공개 및 비공개 선택 버튼(711, 7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자로부터 구체적인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입력받은 정보를 공개하도록 또는 비공개하도록 설정받을 수도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들이 다른 이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는 다른 이용자 단말기의 다른 이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에서 이용자로부터 구체적인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입력받은 정보를 공개하도록 입력받았을 경우, 이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이용자 중 공통되는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공부하는 이용자들의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검색된 다른 이용자들의 아이디와 함께 각각의 아이디를 소지한 이용자들과 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채팅 버튼(7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A 시험에 준비 중이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에 입력하였으며, 입력한 정보는 공개하도록 설정받았고, 이용자의 단말기에서 동일 시험을 준비 중인 스터디 카페의 회원으로 a, b 및 c 3명을 검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해 보겠다.
상술한 예에서,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A 시험 준비 중 이용자 3명”이라는 메시지를 a, b 및 c의 아이디 및 각각의 채팅 시작 버튼(730)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는 이용자가 특정 정보를 공유하기 원할 때에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동일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과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를 관리자에게 신고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를 관리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서실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의 좌석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좌석 번호 입력창(810) 및 신고 버튼(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이용자로부터 좌석 번호 입력창(810)에 소정의 좌석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좌석 번호를 입력받은 후 신고 버튼(820)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가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좌석 번호 및 신고 버튼(820)을 입력받은 경우, 이용자 단말기의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서버로 입력받은 좌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 관리자가 관리하는 독서실의 경우에는 독서실에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이용자에게 구두로 주의로 줄 수 있어 면학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무인 스터디 카페에는 관리자가 스터디 카페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독서실 형태의 룸의 경우에는 모든 이용자가 소음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공부에 집중하기를 원하지만 무인 스터디 카페에서는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발자국 소음, 책장 넘기는 소음 및 다른 이용자끼리의 대화 등을 통해서 면학 분위기를 해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유롭게 대화가 허용되지 않는 독서실 형태의 룸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의 좌석번호를 입력하여 신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무인 스터디 카페에서도 면학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는 설정된 횟수 이상 신고가 접수된 회원을 특별 관리하거나 강제 퇴실 시킬 수 있어 소음 발생으로 인한 다른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건의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건의 사항 입력창(9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이용자로부터 건의 사항 입력창(900)에 소정의 건의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의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용자들이 관리자에게 건의 사항이 있는 경우, 오프 라인 상의 게시판에 직접 수기로 개시하였기 때문에 관리자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는 이용자로부터 다양한 건의 사항을 관리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의 상항을 접수한 관리자는 즉각적으로 이용자들의 건의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스터디 운영 방법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는 스터디 카페의 룸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S1010).
이후, 키오스크는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한다(S1020).
이후, 키오스크는 설정된 영역에 스캔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한다(S103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용자가 바코드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받아 출입문 근처의 설정된 영역에 바코드를 스캔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전자 입장권을 수신하여, 수신된 전자 입장권 내에 포함된 바코드로 출입문을 개폐할 수도 있다.
이후, 관리자 단말기는 스터디 카페에서 설치된 CCTV,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를 제어한다(S1040).
이후, 관리자 단말기는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한다(S1050).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기에서는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스터디 현재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S1050).
이후, 서버는 키오스크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S1060).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키오스크
120 이용자 단말기
130 서버
140 관리자 단말기
200 키오스크
210 입력부
220 표시부
230 출력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이용자 단말기
310 입력부
320 표시부
330 통신부
340 저장부
350 제어부
400 관리자 단말기
410 입력부
420 표시부
430 통신부
440 저장부
450 제어부
451 이용 시간 검출부
452 이용 요일 검출부
453 선택 시간 검출부
454 이용 금액 득실 계산부
455 이용 금액 제안부
510 스터디형 룸 선택 버튼
520 카페형 룸 선택 버튼
530 독서실형 룸 선택 버튼
610 회원번호 입력창
710 시험 종류 입력창
711 공개 및 비공개 선택 버튼
720 시험 과목 입력창
721 공개 및 비공개 선택 버튼
730 채팅 선택 버튼
810 좌석번호 입력창
820 신고 선택 버튼
900 건의 사항 입력창

Claims (5)

  1. 스터디 카페(study cafe)의 룸(room)의 형태, 좌석 번호, 이용 시간 및 결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결제 방법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여, 설정된 영역에 스캔(scan)할 경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바코드(barcode)가 포함된 입장권을 출력하는, 키오스크(kiosk);
    상기 스터디 카페에 설치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에어컨,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고, 설정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스터디 카페의 좌석 현황, 회원 등록 현황 및 매출 현황을 조회하고, 제1 이용자의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이용자가 기존에 이용한 요금제의 득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득실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이용자에게 요금제를 제안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회원번호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받고, 상기 수신한 회원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회원번호의 제2 이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한 이용자로 확인될 경우, 좌석 추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터디 형태의 룸, 카페 형태의 룸 및 독서실 형태의 룸 중 상기 제2 이용자가 가장 긴 시간 동안 이용하였던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룸의 형태 및 좌석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이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이용자가 기존에 이용한 요금제 및 상기 제1 이용자가 기존에 이용한 요금제에 따른 상기 제1 이용자의 실제 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실제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이용자가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요금제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이용자에게 상기 다른 요금제를 제안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 이용자가 준비하는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공개 또는 비공개하도록 설정받고,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들 중 상기 제2 이용자와 공통되는 시험 종류 및 시험 과목을 공부하는 이용자들 중 정보를 공개하도록 설정한 이용자들의 아이디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아이디를 소지한 이용자들과 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채팅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소음을 발생하는 이용자의 좌석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좌석 번호 입력창 및 신고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좌석 번호 및 신고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 입력받은 상기 소정의 좌석 번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건의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건의 사항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건의 사항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건의 사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룸의 형태는 스터디 룸, 카페형 룸 및 독서실형 룸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이용자의 이용 시간을 검출하되,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시간이 오전 시간인지, 오후 시간인지 또는 심야 시간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오전 시간, 오후 시간 및 심야 시간 중 구체적인 이용 시간을 검출하는, 이용 시간 검출부;
    상기 제1 이용자의 이용 요일을 검출하되,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요일이 평일인지 또는 주말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날짜가 공휴일 또는 임시 공휴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이용 요일 검출부;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스터디 카페에 입장할 때 선택한 시간의 길이를 검출하되, 상기 제1 이용자가 발급받은 정액권의 수 및 정액권 각각의 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선택 시간 검출부;
    상기 이용 시간 검출부, 이용 요일 검출부 및 선택 시간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이용자가 지불한 이용 금액의 득실을 계산하는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 및
    상기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에서 계산된 금액 득실을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요금제를 제시하는 이용 금액 제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시간 금액 득실 계산부는, 비교대상 요금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용 시간 검출부 및 상기 이용 요일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대상 요금제 대신 상기 제1 이용자가 선택한 요금제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한 총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스터디 룸, 카페형 룸 및 독서실형 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터디 룸 선택 버튼, 카페형 룸 선택 버튼 및 독서실형 룸 선택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룸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경우, 선택받은 룸에 대응하는 좌석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터디 룸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각각의 스터디 룸의 총 인원수, 스터디 룸에 구비된 시청각 장비 및 스터디 룸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페형 룸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카페형 룸의 좌석의 위치 및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조명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독서실형 룸 버튼이 선택된 경우, 독서실형 룸의 좌석의 위치,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책상의 넓이, 칸막이의 유무 및 조명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0450A 2018-03-15 2018-03-15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0A KR101933212B1 (ko) 2018-03-15 2018-03-15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0A KR101933212B1 (ko) 2018-03-15 2018-03-15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71A Division KR102089592B1 (ko) 2018-12-19 2018-12-19 입장권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212B1 true KR101933212B1 (ko) 2018-12-27

Family

ID=6495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50A KR101933212B1 (ko) 2018-03-15 2018-03-15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21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11B1 (ko) * 2019-03-12 2019-10-11 주식회사 코보시스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102045348B1 (ko) * 2019-03-12 2019-12-04 주식회사 코보시스 출입문 개폐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20200126077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CN112146241A (zh) * 2020-08-31 2020-12-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共享空调器的数据处理装置和数据处理方法
KR20210001609A (ko)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라미미 뇌파 감지기를 이용한 독서실 운영 시스템
KR20210003703A (ko) * 2019-04-29 2021-01-12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102254834B1 (ko) * 2020-09-16 2021-05-24 오명원 스터디카페 운영 관리 시스템
KR20210108278A (ko) * 2020-02-25 2021-09-02 샘랩 주식회사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KR102460294B1 (ko) * 2022-03-08 2022-10-27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집합건물 공간 정보 알림서비스 처리시스템
KR102473512B1 (ko) 2021-12-31 2022-12-02 주식회사 빛나는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11B1 (ko) * 2019-03-12 2019-10-11 주식회사 코보시스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102045348B1 (ko) * 2019-03-12 2019-12-04 주식회사 코보시스 출입문 개폐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20200126077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102509511B1 (ko) * 2019-04-29 2023-03-14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102197768B1 (ko) * 2019-04-29 2021-01-04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20210003703A (ko) * 2019-04-29 2021-01-12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20210001609A (ko)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라미미 뇌파 감지기를 이용한 독서실 운영 시스템
KR102247059B1 (ko) * 2019-06-28 2021-04-30 주식회사 라미미 뇌파 감지기를 이용한 독서실 운영 시스템
KR20210108278A (ko) * 2020-02-25 2021-09-02 샘랩 주식회사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KR102312918B1 (ko) * 2020-02-25 2021-10-15 샘랩 주식회사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CN112146241A (zh) * 2020-08-31 2020-12-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共享空调器的数据处理装置和数据处理方法
KR102254834B1 (ko) * 2020-09-16 2021-05-24 오명원 스터디카페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473512B1 (ko) 2021-12-31 2022-12-02 주식회사 빛나는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0294B1 (ko) * 2022-03-08 2022-10-27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집합건물 공간 정보 알림서비스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212B1 (ko)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89592B1 (ko) 입장권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US20200311635A1 (en) Providing physical spaces, resources, and information to users and managers within a workspace, such as via a member app
US8799220B2 (en)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interaction, and monitoring system
WO2019187482A1 (ja) 空席予約システム及び空席予約装置
CN109937427A (zh) 任务管理应用中的效率改善
KR101745740B1 (ko) 모바일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000963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building resources
US20220172135A1 (en) Managing hotel guest departures within an automated guest satisfaction and services scheduling system
EP3271902A1 (en) Centralized access system and method
CN112101599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及存储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JP202006437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11536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94742B2 (en) Dynamic workplace set-up using participant preferences
JP2023156442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施設管理プログラム
US108854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sentation, and recording medium
JP2012083985A (ja) 共有施設予約管理システム
JP709432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787509B1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施設利用管理プログラム
JP748745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81816A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施設利用管理プログラム
JP73023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361356B2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2083907A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リソース管理方法、リソース管理装置、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3052343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以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