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111B1 -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111B1
KR102031111B1 KR1020190028095A KR20190028095A KR102031111B1 KR 102031111 B1 KR102031111 B1 KR 102031111B1 KR 1020190028095 A KR1020190028095 A KR 1020190028095A KR 20190028095 A KR20190028095 A KR 20190028095A KR 102031111 B1 KR102031111 B1 KR 10203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ered
locker
seat
user
un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보시스
Priority to KR102019002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7C9/00007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는,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구분 분류부; 등록된 좌석 또는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하는 항목 구분부;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및 관리자의 접속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항목 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항목구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KIOSK CAPABLE OF SEPARATING USER AND ADMINISTRATOR AND DISPLAYING SCREE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해당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에 대한 화면 구성을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영업상의 비밀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관리자에게는 특정 서비스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무인 정보제공 단말기로서, 전시장, 은행, 쇼핑몰, 이벤트 행사장 등에 설치되어 대중에게 무인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키오스크가 프린터, 터치스크린, 팩스, 출입문 개폐장치 등과 같은 주변의 다양한 외부 전자기기들과 연결됨으로써, 단순히 정보의 제공만이 아니라 주변의 외부 전자기기들을 제어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키오스크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study cafe) 등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게 바코드(bar code), QR(Quick Release) 코드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하고, 고유의 식별코드의 인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에 설치된 키오스크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이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키오스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세부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 환경에서는 각각의 좌석에 대한 사용자 지정 여부, 사용자가 지정된 각각의 좌석에 대한 정기권 또는 비정기권 여부 등을 관리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인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화면구성으로는 이와 같은 파악을 위하여 관리자가 별도의 조사 및 분석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0893호 (공개일자: 2014.05.2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키오스크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해당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에 대한 화면 구성을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영업상의 비밀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관리자에게는 특정 서비스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는,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상기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상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구분 분류부;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하는 항목 구분부;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및 관리자의 접속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상기 항목 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항목구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키오스크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상기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상기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배치도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키오스크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배치도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상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관리자의 접속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상기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상기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상기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오스크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해당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에 대한 화면 구성을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영업상의 비밀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관리자에게는 특정 서비스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이용되는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를 위해 표시되는 좌석 배치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관리자를 위해 표시되는 좌석 배치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이용되는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100)는 등록된 사용자(10)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통하여 사용자(10)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와 직접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를 통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10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방식의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40)와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네트워크(30)는 인터넷,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40)와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100)는 배치도 표시부(110), 구분 분류부(120), 항목 구분부(130), 구분배치도 표시부(140), 항목구분 표시부(150), 네트워크 통신부(160) 및 배치도 전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도 표시부(110)는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여기서, 좌석 배치도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 환경에서 실내에 배치된 좌석의 개수, 좌석의 배열방향, 좌석의 배열위치 등을 표시한 것으로서, 실내의 내부 구조, 사물함의 위치, 출입문의 위치 등이 표시된 실내의 구조도와 결합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물함 배치도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의 사물을 보관하는 사물함의 개수, 배열방향, 배열위치 등을 표시한 것이다. 이때, 배치도 표시부(110)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 이외에, 실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련된 시설물 예를 들면, 자판기, 프린터, 컴퓨터 등의 위치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구분 분류부(120)는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한다. 여기서, 등록된 좌석 또는 등록된 사물함은 사용자가 키오스크(100)에 관련된 서비스에 등록할 때에 해당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하며, 미 등록된 좌석 또는 미 등록된 사물함은 아직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한다. 이때, 구분 분류부(120)는 배치도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되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 중 미 등록된 좌석 또는 미 등록된 사물함을 고정용 및 자유이동용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용은 설정된 기간 이상 키오스크(100) 관련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에게 배정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으로서 이동이 불가능하며, 타인의 사용이 금지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한다. 또한, 자유이동용은 관련 서비스에 등록한 기간이 설정된 기간 이내인 특정 사용자에게 배정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으로서, 자유이동용으로 설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 간에 이동이 가능하다.
항목 구분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한다. 이때, 항목 구분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이 설정된 기간 이상의 정기권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것인지 또는 설정된 기간 이내의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항목 구분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사용자가 정식으로 등록만료의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경우, 설정된 기간 또는 시간 동안 해당 좌석 또는 사물함을 대기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사물함의 경우, 사용자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사용자가 해당 사물함 내의 사물을 수거해가지 않을 수 있으며, 항목 구분부(130)는 이와 같이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사용자의 등록만료의 의사가 없는 경우에 해당 좌석 또는 사물함을 대기상태로 구분함으로써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권익이 지속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구분배치도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한다. 즉, 구분배치도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신규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를 표시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규 등록 시에 미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좌석 또는 사물함을 선택하여 배정받을 수 있다. 이때, 구분배치도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이 완료되면,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에 신규 등록한 사용자의 좌석을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사용자의 좌석이 표시된 좌석 배치도를 키오스크(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분배치도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이 완료되면,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신규 등록한 사용자의 사물함을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사용자의 사물함이 표시된 사물함 배치도를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항목구분 표시부(150)는 관리자의 접속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항목 구분부(130)에 의해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한다. 즉, 항목구분 표시부(150)는 관리자가 키오스크(100)에 접속하면, 현재까지 사용자가 등록된 좌석 및 사용자가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현재까지 사용자가 등록된 사물함 및 사용자가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이 정기권으로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대기상태의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등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항목구분 표시부(150)는 관리자에게 발급된 관리자용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관리자의 접속을 식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의 ID(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접속을 식별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40)와 통신한다. 즉,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인터넷이나 CDMA, WCDMA, LTE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단말기(4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키오스크(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30) 상으로 접속하면,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접속한 사용자단말기(2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20)에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에 자동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의 시작을 요청하고, 사용자단말기(20)로부터의 응답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배치도 전송부(17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 관리자단말기(40)에, 항목 구분부(130)에 의해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한다. 또한, 배치도 전송부(17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단말기(20)에,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한다. 이때, 배치도 전송부(170)는 사용자의 접속 시, 키오스크(100)와 사용자단말기(20) 사이의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20)에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치도 전송부(170)는 해당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에, 해당 사용자의 좌석 또는 사물함이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 및 관리자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와,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관리자가 독서실, 도서관, 스터디 카페 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는 서비스 상의 상세한 비밀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에 신규 등록 또는 접속 시에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로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를 수신 받아 편리하게 좌석 또는 사물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치도 전송부(170)는 사용자단말기(20)에 좌석 배치도, 사물함 배치도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련된 시설물 예를 들면, 자판기, 프린터, 복사기 등의 배치도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를 통하여 배치도 전송부(170)로부터 수신한 시설물의 배치도 중 특정 시설물을 선택하면, 배치도 전송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시설물에 대한 이용 가이드, 이용 비용, 사용자의 충전 금액 중의 잔액 등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를 통해 수신한 이용 가이드에 따라 기 충전한 금액의 범위 안에서 키오스크(100)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기 충전된 금액에 대한 정산을 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용정보 및 정산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단말기(40)는 원격지에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상황을 파악하며,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내역을 손쉽게 집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및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키오스크(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여기서, 좌석 배치도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 환경에서 실내에 배치된 좌석의 개수, 좌석의 배열방향, 좌석의 배열위치 등을 표시한 것으로서, 실내의 내부 구조, 사물함의 위치, 출입문의 위치 등이 표시된 실내의 구조도와 결합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물함 배치도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의 사물을 보관하는 사물함의 개수, 배열방향, 배열위치 등을 표시한 것이다.
키오스크(100)는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한다. 여기서, 등록된 좌석 또는 등록된 사물함은 사용자가 키오스크(100)에 관련된 서비스에 등록할 때에 해당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하며, 미 등록된 좌석 또는 미 등록된 사물함은 아직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표시되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 중 미 등록된 좌석 또는 미 등록된 사물함을 고정용 및 자유이동용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용은 설정된 기간 이상 키오스크(100) 관련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에게 배정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으로서 이동이 불가능하며, 타인의 사용이 금지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을 말한다. 또한, 자유이동용은 관련 서비스에 등록한 기간이 설정된 기간 이내인 특정 사용자에게 배정되는 좌석 또는 사물함으로서, 자유이동용으로 설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 간에 이동이 가능하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이 설정된 기간 이상의 정기권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것인지 또는 설정된 기간 이내의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사용자가 정식으로 등록만료의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경우, 설정된 기간 또는 시간 동안 해당 좌석 또는 사물함을 대기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사물함의 경우, 사용자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사용자가 해당 사물함 내의 사물을 수거해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사용자의 등록만료의 의사가 없는 경우, 키오스크(100)는 해당 좌석 또는 사물함을 대기상태로 구분함으로써, 등록기간이 만료되더라도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권익이 지속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한다. 즉,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신규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를 표시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규 등록 시에 미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좌석 또는 사물함을 선택하여 배정받을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이 완료되면,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에 신규 등록한 사용자의 좌석을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사용자의 좌석이 구분되어 표시된 좌석 배치도를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신규 등록이 완료되면, 이전까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신규 등록한 사용자의 사물함을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사용자의 사물함이 구분되어 표시된 사물함 배치도를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에 신규 등록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신받는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를 이용하여 자신의 좌석 또는 사물함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키오스크(100)는 관리자의 접속 시,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정기권으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의 여부, 비정기권으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의 여부, 대기상태에 있는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의 여부 등의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한다. 즉, 키오스크(100)는 관리자가 키오스크(100)에 접속하면, 현재까지 사용자가 등록된 좌석 및 사용자가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현재까지 사용자가 등록된 사물함 및 사용자가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각각의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이 정기권으로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대기상태의 좌석 또는 사물함인지 등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100)는 관리자에게 발급된 관리자용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관리자의 접속을 식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의 ID(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접속을 식별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40)와 통신한다. 즉, 키오스크(100)는 인터넷이나 CDMA, WCDMA, LTE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단말기(4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키오스크(10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30) 상으로 접속하면, 키오스크(100)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접속한 사용자단말기(2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20)에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 관리자단말기(40)에,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한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단말기(20)에,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접속 시, 키오스크(100)와 사용자단말기(20) 사이의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20)에 등록된 좌석 및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등록된 사물함 및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키오스크(100)는 해당 좌석 배치도 또는 사물함 배치도에, 해당 사용자의 좌석 또는 사물함이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 사용자단말기 30: 네트워크
40: 관리자단말기 100: 키오스크
110: 배치도 표시부 120: 구분 분류부
130: 항목 구분부 140: 구분배치도 표시부
150: 항목구분 표시부 160: 네트워크 통신부
170: 배치도 전송부

Claims (6)

  1.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상기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상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구분 분류부;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하는 항목 구분부;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하는 배치도 표시부; 및
    관리자의 접속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상기 항목 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항목구분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항목 구분부는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이 설정된 기간 이상의 정기권으로 등록된 것인지 또는 상기 설정된 기간 이내의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것인지에 따라 상기 정기권용 또는 상기 비정기권용으로 구분하고,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등록만료의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을 일정한 기간 동안 상기 대기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항목구분 표시부는 상기 관리자의 접속 시에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상기 정기권용, 상기 비정기권용 또는 상기 대기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상기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상기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배치도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배치도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4. 좌석 배치도 및 사물함 배치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좌석 배치도 중 등록된 좌석과 미 등록된 좌석을 구분하여 분류하며, 상기 사물함 배치도 중 등록된 사물함과 미 등록된 사물함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정기권용, 비정기권용, 대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구분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규 등록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관리자의 접속 시,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에, 상기 구분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항목 구분단계는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이 설정된 기간 이상의 정기권으로 등록된 것인지 또는 상기 설정된 기간 이내의 비정기권으로 등록된 것인지에 따라 상기 정기권용 또는 상기 비정기권용으로 구분하고,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의 등록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등록만료의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을 일정한 기간 동안 상기 대기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항목의 표시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접속 시에 상기 등록된 좌석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에 대하여 상기 정기권용, 상기 비정기권용 또는 상기 대기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상기 구분된 항목이 표시된 상기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등록된 좌석 및 상기 미 등록된 좌석이 구분된 좌석 배치도, 또는 상기 등록된 사물함 및 상기 미 등록된 사물함이 구분된 사물함 배치도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KR1020190028095A 2019-03-12 2019-03-12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10203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95A KR102031111B1 (ko) 2019-03-12 2019-03-12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95A KR102031111B1 (ko) 2019-03-12 2019-03-12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111B1 true KR102031111B1 (ko) 2019-10-11

Family

ID=6821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095A KR102031111B1 (ko) 2019-03-12 2019-03-12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446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아이콘랩 좌석을 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이동식 단말 장치
KR20140060893A (ko) 2012-11-13 2014-05-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관 출입관리 겸용 좌석배정관리 방법
KR101933212B1 (ko) * 2018-03-15 2018-12-27 김경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656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446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아이콘랩 좌석을 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이동식 단말 장치
KR20140060893A (ko) 2012-11-13 2014-05-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관 출입관리 겸용 좌석배정관리 방법
KR20190023656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33212B1 (ko) * 2018-03-15 2018-12-27 김경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596B (zh) 信息处理装置、通信系统和通信方法
EP2674853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7045428B (zh) 图像形成系统
JP6585783B2 (ja) 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システム、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機能を含む移動端末、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CN102547031A (zh) 移动印刷系统
CA2910276C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11153709B2 (en) Method of adjusting bluetooth connectivity for expediting access controls
JP20161552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031111B1 (ko)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102045348B1 (ko) 출입문 개폐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방법
JP2018151934A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349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806681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148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s to communicate with shipping peripheral devices using distributed instances of custom hardware
KR20180095404A (ko) 무인 숙박시설 시스템 제어 방법
WO2021054146A1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61362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KR101609833B1 (ko)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
JP2018151935A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8899A (ko)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03348356A (zh) 用于在移动阅读设备上限制地点地显示可读内容的方法
KR20180043529A (ko) 보안 토큰을 이용한 지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현금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현금 입출력 장치
JP2018206280A (ja) クレジットカード、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56432A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64903B2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