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078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078B1
KR102312078B1 KR1020150065167A KR20150065167A KR102312078B1 KR 102312078 B1 KR102312078 B1 KR 102312078B1 KR 1020150065167 A KR1020150065167 A KR 1020150065167A KR 20150065167 A KR20150065167 A KR 20150065167A KR 102312078 B1 KR102312078 B1 KR 10231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vehicle
control unit
blower mo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027A (ko
Inventor
맹찬주
이정은
임연우
정홍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078B1/ko
Priority to US15/150,605 priority patent/US10316852B2/en
Priority to CN201610308485.XA priority patent/CN106143047B/zh
Priority to DE102016208081.4A priority patent/DE102016208081A1/de
Priority to CN201910521092.0A priority patent/CN110254166A/zh
Publication of KR2016013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027A/ko
Priority to US16/394,511 priority patent/US201902496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Abstract

블로어 모터와 블로어 제어부를 일체화함과 아울러, 블로어 제어부의 형성 위치 및 발열을 위한 수단의 위치를 최적화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모터 및 상기 블로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을 구비한 블로어 유닛과, 상기 블로어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회전 단수를 제어하는 블로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모터를 커버하는 블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어 커버의 내부에 블로어 제어부가 내장 구성되어, 블로어 모터 및 블로어 제어부가 블로어 유닛에 일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기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송풍장치(10) 및 공조 유닛(40)으로 구성된다. 송풍장치(10)는 송풍기 케이스(12)와, 내,외기 전환도어(15) 및 블로어 휠(16)을 구비한다. 송풍기 케이스(12)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11)(12)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15)는 내,외기 유입구(1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휠(16)은 내,외기 유입구(11)(1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상기 송풍장치(1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1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송풍장치(10)는 송풍기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11) 또는 외기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모터(17)와, 상기 블로어 모터(17)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16)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블로어 모터(17)의 상류 측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18)가 설치된다.
공조 유닛(40)은 공조 케이스(49)와,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49)는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다.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는 공조 케이스(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장치(10)는 블로어 모터(17)의 회전축에 결합된 블로어 휠(16)이 회전되어 공조기 내부로 공급하며, 송풍기 케이스(12)에는 블로어의 단수를 조절하는 블로어 제어부(50)가 구비된다. 블로어 제어부(50)는 사용자의 공조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또는 오토 설정에 의해 블로어 모터(17)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블로어의 단수를 조절한다.
즉, 블로어 모터(17)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블로어 휠의 회전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블로어 제어부(50)는 레지스터(Register), 실내외의 냉난방 부하를 각종 센서로 종합 판단하여 최적 블로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이용하여 전체 평균전압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한정된 공간에 이오나이저, 모터, 제어부 등이 장착되어야 함에 따라, 블로어 유닛의 공간 협소 문제로 부품 레이아웃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블로어 제어부는 송풍기 케이스의 일 측에 블로어 유닛과는 별도로 장착됨에 따라, 와이어링(Wiring) 및 커넥터 연결부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하며, 각각의 부품을 블로어 유닛에 조립하기 위한 공수 및 와이어링 커넥터를 연결하는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로어 모터와 블로어 제어부를 일체화함과 아울러, 블로어 제어부의 형성 위치 및 발열을 위한 수단의 위치를 최적화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모터 및 상기 블로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을 구비한 블로어 유닛과, 상기 블로어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회전 단수를 제어하는 블로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모터를 커버하는 블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어 커버의 내부에 블로어 제어부가 내장 구성되어, 블로어 모터 및 블로어 제어부가 블로어 유닛에 일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 공수를 더욱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조수석 측 발공간의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고, 커넥터에 와이어링을 삽입하기 용이해질 뿐 아니라, 히트씽크를 식히기 위한 충분한 공기량의 확보가 가능하여 블로어 제어부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제어부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 유닛(110) 및 송풍 유닛(150)을 포함한다.
공조 유닛(110)은 공조케이스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구성된다. 공조 유닛(110)은 송풍 유닛(15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유입받아 다수의 공기토출구로 선택적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증발기 및 히터코어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송풍 유닛(150)은 송풍기 케이스(151)와, 블로어 유닛(120)을 구비한다. 송풍기 케이스(151)의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가 형성된다. 블로어 유닛(120)은 블로어 모터(122) 및 블로어 휠(121)을 구비한다.
블로어 모터(122)는 직류전원의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브러쉬타입의 모터로 구성된다.
블로어 휠(121)은 블로어 모터(122)의 회전축(1221)에 결합되어 블로어 모터(122)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것으로서, 송풍기 케이스(151)의 상부에 형성된 내기유입구 또는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여 공조 유닛(110)의 공조케이스 내부로 공급한다.
또한, 송풍 유닛(150)은 블로어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12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블로어 회전 단수를 제어한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공조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또는 오토 설정에 의해 블로어 모터(12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블로어의 단수를 조절한다.
즉, 블로어 모터(122)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블로어 휠의 회전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블로어 제어부(200)는 레지스터(Register), 실내외의 냉난방 부하를 각종 센서로 종합 판단하여 최적 블로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이용하여 전체 평균전압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블로어 모터(122) 및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유닛(12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즉, 블로어 유닛(120)은 블로어 모터(122)를 커버하는 블로어 커버(240)를 구비한다. 블로어 커버(240)의 내부에는 블로어 제어부(200)가 내장 구성되어, 블로어 모터(122) 및 블로어 제어부(200)가 블로어 유닛(120)에 일체로 구성된다.
블로어 휠(121)을 회전시키는 목적을 가진 블로어 모터(122) 및 블로어 제어부(200)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제품 하우징을 최소화하고 부품의 집약화를 통해 전체적인 공조장치의 축소시키고 조립 방식을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블로어 커버(240)는 블로어 모터(122)를 지지 고정 및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블로어 제어부(200)를 단일의 블로어 커버(240)에 블로어 모터(122)와 일체로 내장 구성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 공수를 더욱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122)를 케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기준으로 블로어 휠(12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블로어 휠(121)의 반대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122)의 측면에 배치된다. 블로어 모터(122)는 대략 원판 형상의 플랜지 부재에 고정되며, 회전축(1221)은 블로어 휠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블로어 휠(121)의 체결공(1211)에 회전축(1221)이 삽입되어 블로어 모터(122)와 블로어 휠(121)이 결합된다.
블로어 휠(121)이 결합된 플랜지 부재의 반대측에는 블로어 모터(122)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휠(121)이 결합된 플랜지 부재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이 돌출된 블로어 모터(122)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도록 블로어 커버(240)가 플랜지 부재에 체결되며, 블로어 커버(240)는 블로어 모터(122)와 함께 블로어 제어부(200)를 커버한다.
블로어 모터(122)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블로어 휠의 반대측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플랜지 부재보다 돌출되는데,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의 돌출 길이보다 작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공조장치의 전체 패키지를 고려할 때, 블로어 모터의 최하단부보다 블로어 제어부의 최하단부는 높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블로어 제어부(200)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블로어 휠(121)의 반대측에 배치됨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돌출된 부위로 인한 사공간(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하게 되며, 블로어 제어부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지 않아 협소한 공간 내에서 부품의 레이아웃 구성의 어려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발열 작용을 하는 히트씽크(210)를 구비한다. 히트씽크(210)는 블로어 모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블로어 휠(121)과 같은 방향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히트씽크(210)는 방열 수단으로서, 일면이 블로어 제어부(200)의 PCB에 접촉하고 타면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PCB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즉, 히트씽크(210)가 노출된 면은 송풍기 케이스(151)의 내부에서 노출된 것을 의미한다. 히트씽크(210)는 송풍기 케이스(151) 내부의 송풍 공기에 의해 방열한다.
히트씽크(210)는 적어도 일부가 블로어 휠(121)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다. 블로어 휠(121)의 회전에 의해 그 주변으로 나선형의 공기 유동이 발생하며, 이 공기 유동 내에 히트씽크(210)가 위치하여 방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히트씽크(210)는 블로어 휠(121)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여 반경 방향으로의 장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히트씽크(210)는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핀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즉, 원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유선형으로 형성된 방열핀을 따라 블로어 휠의 회전시 발생하는 강한 공기 흐름이 방열핀들 사이를 지남에 따라 방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제, 블로어 제어부의 최적화된 설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제어부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블로어 제어부(200)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의 후방 및 차량의 좌우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공조케이스의 반대 측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좌측 운전석 타입(LHD)으로서 운전석이 차량 좌측에 있고 조수석이 차량 우측에 있는 형태를 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모든 방향은 LHD 타입의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 RHD 타입의 차량에 적용될 경우, 블로어 제어부의 설치 위치는 LHD 타입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반대일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칵핏모듈 내측에 위치하며, 블로어 모터(122)가 장착되는 송풍 유닛(150)은 조수석측(191) 발 위치에 있다. 운전석 측은 스티어링 휠, 브레이크 및 각종 엑셀레이터 등의 장치들로 구성되어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조수석의 발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블로어 모터(122)의 하측 방향 돌출부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차량 좌우 폭 방향에서 차량 외부측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됨과 아울러, 차량 전후 방향에서 탑승자와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다.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의 후방 및 차량의 좌우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공조케이스의 반대 측 영역은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대략 후방 및 우측 영역으로서, 이 영역에 배치된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122)에 대해 사선으로 위치하게 된다.
결국, 블로어 모터에 블로어 제어부를 일체로 통합하면서 송풍 유닛(150)의 하부 측에 불가피하게 체적이 증가하게 되는데, 블로어 제어부(200)를 사선 영역에 배치시켜 조수석의 발공간을 회피할 수 있으며, 승객석 측(차량 후방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와이어링에 연결되는 커넥터(270)를 구비한다. 커넥터(270)는 와이어링을 삽입시켜 전기적을 연결을 행하는 단자이다. 커넥터(270)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블로어 제어부(200)의 중심부는 블로어 모터의 회전축에 대해 우측 및 후방에 배치되어 사선을 이루며, 커넥터(270)는 상기 사선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와이어링은 상기 사선 방향으로 커넥터(270)에 삽입된다. 따라서, 와이어링을 커넥터(270)에 삽입하기 용이하므로 조립 및 유지 보수 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블로어 모터(122)의 회전 작동시 정류자(Commutator)와 브러쉬(Brush) 간의 마찰에 의한 열이 발생한다. 송풍 유닛(150)은 송풍 공기 중 일부를 유입받아 블로어 모터(122)를 순환시키기 위한 쿨링홀(250)을 포함한다. 쿨링홀(250)은 블로어 모터(122)를 쿨링하기 위한 것이다.
블로어 휠(121)에서 발생한 공기 흐름은 압력차에 의해 쿨링홀(250)을 통하여 블로어 커버(240)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블로어 모터(122)로 진입되고 배출홀(260)을 통해 다시 송풍 유닛(150) 내부를 순환한다. 이 순환 과정에서 블로어 모터(122)는 송풍 공기와 열교환하여 열을 방출한다.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기준으로 쿨링홀(250)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쿨링홀(250)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의 전방 및 차량의 좌우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공조케이스와 마주하는 측 영역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 제어부(200)와 쿨링홀(250)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위치에 배치된다.
LHD 타입의 차량의 경우, 블로어 모터(122)는 공조 유닛(110)의 우측에 위치하며, 블로어 모터(122)의 회전 방향은 반 시계 방향이다. 도 9의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쿨링홀(250)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략 10시 방향에 위치한다.
쿨링홀(250)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의 전방 및 차량의 좌우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공조케이스와 마주하는 측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쿨링홀(250)로의 공기 유입량이 최대로 확보되며, 공조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만약, 쿨링홀이 다른 위치에 배치될 경우, 쿨링홀로의 공기 유입량은 줄어들고 공조장치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도 10은 블로어 제어부가 쿨링홀에 대해 180°위상차가 아닌 적절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로어 제어부(200)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유동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 범위에 있는 경우, 즉, (a)위치의 경우, 송풍 유닛의 스크롤에서 발생되는 공기량이 부족하여 히트씽크(210)의 냉각 효율이 떨어진다. 아울러, 커넥터(270)의 방향이 조수석을 향하게 되어 조수석 발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블로어 제어부(200)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유동 방향으로 180°보다 큰 각도 범위에 있는 경우, 즉, (b)위치의 경우, 커넥터(270)의 방향이 차량내의 외벽 측(우 도어 측)으로 향하게 되어 커넥터에 와이어링을 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블로어 제어부(200)와 쿨링홀(250)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히트씽크(210)를 식히기 위한 충분한 공기량의 확보가 가능하고, 조수석 측 발공간의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며, 커넥터에 와이어링을 삽입하기 용이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 유닛 150 : 송풍 유닛
120 : 블로어 유닛 121 : 블로어 휠
122 : 블로어 모터 200 : 블로어 제어부
210 : 히트씽크 240 : 블로어 커버
250 : 쿨링홀 270 : 커넥터

Claims (10)

  1. 블로어 모터(122) 및 상기 블로어 모터(122)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121)을 구비한 블로어 유닛(120)과, 상기 블로어 모터(12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회전 단수를 제어하는 블로어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22)를 커버하는 블로어 커버(240)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어 커버(240)의 내부에 블로어 제어부(200)가 내장 구성되어, 블로어 모터(122) 및 블로어 제어부(200)가 블로어 유닛(120)에 일체로 구성되며,
    송풍 공기 중 일부를 유입받아 블로어 모터(122)를 순환시키기 위한 쿨링홀(25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쿨링홀(250)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되,
    블로어 휠(121)에 발생한 공기 흐름은 압력차에 의해 쿨링홀(250)을 통하여 블로어 커버(240)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블로어 모터(122)로 진입되고 배출홀(260)을 통해 다시 송풍 유닛(150) 내부를 순환하며,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블로어 모터(122)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블로어 모터(122)를 케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기준으로 블로어 휠(12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발열 작용을 하는 히트씽크(210)를 구비하되,
    상기 히트씽크(210)는 블로어 모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블로어 휠(121)과 같은 방향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씽크(210)는 적어도 일부가 블로어 휠(121)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차량 좌우 폭 방향에서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차량 외부측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탑승자와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제어부(200)와 쿨링홀(250)은 블로어 모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홀(250)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의 전방 및 차량의 좌우 방향에 대해 블로어 모터(122)를 기준으로 공조케이스와 마주하는 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씽크(210)는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열핀은 공기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065167A 2015-05-11 2015-05-1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1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67A KR102312078B1 (ko) 2015-05-11 2015-05-11 차량용 공조장치
US15/150,605 US10316852B2 (en) 2015-05-11 2016-05-10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1610308485.XA CN106143047B (zh) 2015-05-11 2016-05-11 车用空调
DE102016208081.4A DE102016208081A1 (de) 2015-05-11 2016-05-11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CN201910521092.0A CN110254166A (zh) 2015-05-11 2016-05-11 车用空调
US16/394,511 US20190249679A1 (en) 2015-05-11 2019-04-25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67A KR102312078B1 (ko) 2015-05-11 2015-05-1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27A KR20160133027A (ko) 2016-11-22
KR102312078B1 true KR102312078B1 (ko) 2021-10-14

Family

ID=5754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67A KR102312078B1 (ko) 2015-05-11 2015-05-1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0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413A (ja) * 2003-06-12 2005-01-06 Keihin Corp 空調用ブロアモータ制御ユニット
JP2008172861A (ja) * 2007-01-09 2008-07-24 Asmo Co Ltd 車両用電動ファ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6151B2 (ja) * 1998-03-16 2003-07-14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413A (ja) * 2003-06-12 2005-01-06 Keihin Corp 空調用ブロアモータ制御ユニット
JP2008172861A (ja) * 2007-01-09 2008-07-24 Asmo Co Ltd 車両用電動ファ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27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816B2 (en) Centrifugal pump
US20110061400A1 (en) Heat exchanger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
US2019024967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100300644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eat of vehicles
US20080205001A1 (en) Blower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0754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보조 냉난방장치
KR102512365B1 (ko) 차량용 피티씨 히터
KR101193898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보조 냉난방장치
US20170030250A1 (en) Compact cooling module
KR1023120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392213B2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その冷却装置
CN110758061B (zh) Ptc加热器
KR2012008458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697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블로어 유닛 제조방법
KR1016385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133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82260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JP2004106614A (ja) 車両用空調機および空調機用パワーモジュール
HUE029218T2 (hu) Ventilátorszerkezet
JP202202087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8016Y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터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JP202202115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16912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716912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2224112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