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98B1 -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 Google Patents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98B1
KR102309698B1 KR1020200005716A KR20200005716A KR102309698B1 KR 102309698 B1 KR102309698 B1 KR 102309698B1 KR 1020200005716 A KR1020200005716 A KR 1020200005716A KR 20200005716 A KR20200005716 A KR 20200005716A KR 102309698 B1 KR102309698 B1 KR 102309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resin
melt adhesive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402A (ko
Inventor
정춘식
김종완
전용진
전영상
소순영
정지은
심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A.T (에이티)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A.T (에이티),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A.T (에이티)
Priority to KR102020000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7/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1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모든 종류의 노즐, 슬롯 어플리케이터에 사용 가능하도록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접착 특성을 향상시킨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내구성과 안정성 및 접착성을 보완하여 형태 변화나 흘러내림 현상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15000~25000 cps, 100 ℃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도 도포성능이 우수한 강한 내구성과 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adhesion}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모든 종류의 노즐, 슬롯 어플리케이터에 사용 가능하도록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접착 특성을 향상시킨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내구성과 안정성 및 접착성을 보완하여 형태 변화나 흘러내림 현상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15000~25000 cps, 100 ℃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도 도포성능이 우수한 고 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가 주성분인 100% 고형분의 접착제로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피착제에 도포되어 압착된 후 냉각에 의해 고체화되어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제로서 접착속도가 빠르며 접착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핫멜트 접착제는 용제 등의 증발에 의해 접착이 달성되는 다른 종류의 접착제와는 달리 피착제와의 화학적 친화성과 표면과의 메카니컬 키잉(mechanical keying) 효과에 의해 접착이 달성된다. 핫멜트 접착제는 순간 접착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각종 재료에의 접착이 가능하며 "무용제형" 로 중독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다.
이와 같은 핫멜트 접착제와 관련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82189(공개일자 1999.11.25) '내열성, 내한성에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6229(공개일자 2005.01.15)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9324(등록일자 2005.03.18) '에틸렌 아크릴산-무정형 폴리알파올레핀-이소부틸렌계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편향 요크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9110(등록일자 2011.11.28) '핫멜트 접착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5374(등록일자 2012.05.04) '전분계 핫멜트 접착제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2705(등록일자 2014.04.30)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2324(등록일자 2016.05.12)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1451(공개일자 2017.11.29)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09068(공개일자 2018.10.05) '가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핫멜트 접착제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그 성형체'; 를 포함하여 다수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핫멜트 접착제 대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노즐(Nozzle), 슬롯 어플리케이터(Slot Applicator) 등에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1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의 내열 특성 및 접착성과 내구성 및 점도가 떨어져 실질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1451(공개일자 2017.11.2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09068(공개일자 2018.10.0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82189(공개일자 1999.11.2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6229(공개일자 2005.01.1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9324(등록일자 2005.03.1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9110(등록일자 2011.11.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5374(등록일자 2012.05.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2705(등록일자 2014.04.3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2324(등록일자 2016.05.12)
본 발명은 기재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도 가열안정성을 확보하고 내열성과 접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여 180℃에서 15000~25000 cps의 점도를 가져 도포성능이 뛰어나고 100℃ 이상이 온도에서 오래 방치하여도 형태의 변화 또는 흘러내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과 접착성을 강화한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스티렌계 합성고무, EVA 또는 폴리올레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 30~60중량%와,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중량%, 쿠마론인덴수지 5~8중량% 및 로진계수지 3~15중량%로 구성된 점착부여수지 30~65중량%와,
방향족오일, 폴리브덴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4~30중량%와,
페놀계, 인계 또는 유황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정제 0.1~1.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190℃ 이상의 온도의 핫멜트 접착제 0.5~1.0g을 EGI 강판 또는 Al 판에 도포한 후, 케이블을 부착한 상태에서 100℃에서 24시간 보관했을 때 핫멜트 접착제의 형태변화 또는 흘러내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핫멜트 접착제 0.5~1.0g을 EGI 강판 또는 Al 판에 도포한 후, 케이블을 부착시켜 상온에서 접착강도를 측정했을 때 3Kgf 이상이 측정되며,
핫멜트 접착제 0.5~1.0g을 EGI 강판 또는 Al 판에 도포한 후, 케이블을 부착시켜 -20~60℃ 사이클 테스트에서 케이블에서 탈착되지 않고 또한 강판에서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180℃에서 15,000~25,000 cps의 점도 성능을 갖고, 동일 온도 조건에서 양호한 도포성능을 가지며, 연화점 성능이 125~135℃ 이상인 효과를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스티렌계 합성고무, EVA 또는 폴리올레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 30~60중량%와,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 중량%, 쿠마론인덴수지 5~8중량% 및 로진계수지 3~15중량%로 구성된 점착부여수지 30~65중량%와,
방향족오일, 폴리브덴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4~30중량%와,
페놀계, 인계 또는 유황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정제 0.1~1.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별 주요 기술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베이스 폴리머 ]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최적의 스티렌 함량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SIS(Styrene-Isoprene-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PS(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의 스티렌계 합성고무; EVA(Ethylene-Vinyl Acetate); 및 폴리올레핀(PE,P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와 폴리올레핀, EVA 및 스티렌계 합성고무를 혼합 조성하면, 각 성분이 갖고 있는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흐름 및 젖음 특성이 우수하면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핫멜트 접착제의 응집력, 접착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스티렌 함량에 따라 응집력과 내열성 및 내구성의 차이를 보이고 베이스 폴리머는 스티렌계 합성고무와 EVA, 폴리올레핀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6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30중량% 미만에 경우 고온에서의 응집력 및 내열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60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피착제와의 젖음 특성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 폴리머의 사용량은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60중량%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10~40중량%, 스티렌계 합성고무 2~78중량%, EVA 5~70중량% 및 폴리올레핀 5~60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으로 조성된 베이스 폴리머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분 배합예 1 배합예 2 베합예 3 배합예4
스티렌계 합성고무 40중량% 50중량% 60중량% 70중량%
EVA 10중량% 5중량% 5중량% 10중량%
폴리올레핀 40중량% 30중량% 15중량% 10중량%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10중량% 15중량% 20중량% 10중량%
합계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상기 물리화학적 특성이 뛰어난 범위 내의 단독으로 스티렌계 합성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인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향상되는 반면 젖음 및 흐름의 특성이 떨어지고, 폴리올레핀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흐름 특성 및 피착제와의 젖음 특성이 우수한 반면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또한 EVA를 스틸렌계고무 및 폴리올레핀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EVA 자체로도 접착력을 가져 혼합하여 사용하면 베이스 폴리머 접착력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와 EVA, 폴리올레핀 및 스티렌계 합성고무를 모두 같이 혼합하여 사용하면 베이스 폴리머의 접착력과 내구성 내열성과 가열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와 폴리올레핀, 스티렌계 합성고무 및 EVA를 포함하여 4성분으로 조성된 베이스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각 성분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시켜, 흐름 및 젖음 특성이 우수하면서 강한 내구성과 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 점착부여 수지 ]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점착성능의 부여 및 향상과, 고온점착성 부여와 작업성 향상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C9(방향족)계 석유수지, 테르펜수지, 쿠마론인덴수지 또는 로진계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3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석유수지는 C9(방향족)계 중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음 표 2의 특성을 갖는 C9(방향족)계 석유수지를 사용한다.
항목 수치

링 및 볼 연화점(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140 ℃
운점(Cloud point)

DACP(Diacetone Alcohol Cloud Point)
MMAP(Mixed Methylcyclohexane Aniline Point)
OMS

-44 ℃
8 ℃
>180 ℃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Mn)
중량평균 분자량(Mw)
수평균/중량평균 분자량(Mw/Mn)
Z평균 분자량(Mz)

1350
5200
3.3
10900
용융점도
230 ℃
190 ℃
165 ℃

10 poise
100 poise
1000 poise

연화점
84 ℃
그리고 상기 테르펜 수지는 테르펜-페놀수지(Terpene-Phenolic Resin)이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제는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세 가지 형태로 제시되는 각 성분간의 배합구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중량%, 쿠마론인덴수지 5~8중량% 및 로진계수지 3~15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첫번째 실시형태의 점착부여제의 구체적인 배합 예는 다음에 표 3과 같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C9(방향족계)석유수지 30중량% 70중량% 50중량% 60중량%
테르펜수지 50중량% 20중량% 40중량% 30중량%
쿠마론인덴 수지 5중량% 5중량% 7중량% 6중량%
로진계수지 15중량% 5중량% 3중량% 4중량%
합계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둘째.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중량% 및 로진계 수지 8~23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두번째 실시형태의 점착부여제의 구체적인 배합 예는 다음에 표 4와 같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C9(방향족)계 석유 수지 50중량% 50중량% 60중량% 70중량%
테르펜수지 42중량% 30중량% 30중량% 20중량%
로진계수지 8중량% 20중량% 10중량% 10중량%
합계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셋째.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중량% 및 쿠마론인덴수지 8~23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세번째 실시형태의 점착부여제의 구체적인 배합 예는 다음에 표 5와 같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C9(방향족)계 석유 수지 50중량% 50중량% 60중량% 70중량%
테르펜수지 42중량% 30중량% 30중량% 20중량%
쿠마론인덴수지 8중량% 20중량% 10중량% 10중량%
합계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100중량%
상기 점착부여제는 상기 C9(방향족)계 석유수지, 테르펜수지, 로진계수지 및 쿠마론인덴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을 사용하는 것보다, 상기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3종 이상의 성분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여 접착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65중량%의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온 접착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65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점착부여제의 사용량은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65중량%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가소제 ]
상기 가소제는 방향족오일, 폴리브덴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유리전이온도를 낮추어 피착제에 대한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이 4중량% 미만인 경우에 핫멜트 접착제의 적정 유동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여 응집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4~30중량%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안정제 ]
상기 안정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화방지제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방지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페놀계, 인계 또는 유황계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로써. 산화되기 쉬운 유기질 소재에 이용되며 효과가 매우 좋아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제이고 또한 이 산화방지제는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서 사용되며 최종단계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계 산화방지제는 2차 산화방지제라고도 하며, 가공 중간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산화물 분해제 역할을 하여 폴리머를 보호하고 산화되기 쉬운 유기 폴리머의 색상 변색을 방지해준다.
이하 고분자의 분해과정을 살펴본다.
고분자의 분해과정은 고분자 주쇄 또는 측쇄기에서 열이나, 광, 기계적 응력에 의해 자유라디칼이 생성되고 이것이 산소와 즉각 반응하여, 과산화물 라디칼을 형성하고, 그 과산화물이 자체 분해하여 다른 고분자와 반응하는 이른바 자기산화반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산화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단계는 고분자의 분자내에서 열, 빛, 미반응 촉매, 물리적 작용, 기타 분순물과의 반응에 의해 탄소가 주성분인 C-라디칼이 생성된다. 이 C-라디칼은 반응속도가 매우 빠른데 산소와 순간적으로 반응하여 퍼옥상드 라디칼을 형성한다.
속 이온의 촉매, 빛 또는 높은 온도조건하에서는 분해가 된다. 그 결과로 매우 반응성이 큰 하이드록시와 알콕시 라디칼이 생성되고 이것들은 고분자물질로부터 하이드록시를 탈취하여 스스로 안정화한다. 이때 다시 C-라디칼이 생성된다. 전체적인 산화과정을 살펴보면 하나의 C-라디칼이 생성되면 3개의 새로운 라디칼이 만들어져 또 다른 고분자 사슬을 공격하는 순환을 계속하게 되며 결국에는 라디칼 중합에 의한 크로스-링킹 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베이스 폴리머 30~60중량%, 점착부여수지 30~65중량%, 가소제 4~30중량% 및 안정제 0.1~1.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베이스
폴리머
39 중량% 30 중량% 50 중량% 50 중량% 50 중량%
점착부여수지 50 중량% 58 중량% 39 중량% 30 중량% 30 중량%
가소제 10 중량% 11.5 중량% 10 중량% 20 중량% 19.6 중량%
안정제 1 중량% 0.5 중량% 1 중량% 1중량% 0.4 중량%
합 계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성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성능의 실험 측정방법은 다음의 표 7와 같다.
성능지표 사료정의 측정시료 수
(n≥5개)
측정방법 ( 규격 ,환경 , 결과치 계산 )
접착력 접착 시료 5 핫멜트 Gun을 이용해 접착제를0.5~ 1g 도포 후, 케이블을 부착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인장기를 이용하여 접착력 측정 (인장기 속도 200mm /min)
내열성 접착 시료 5 핫멜트 Gun를 이용해 접착제를 0.5~1g 도포 후 , 케이블을 부착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 100℃ 오븐에서 24시간 보관해 형태변화 또는 흘러내림 현상 을 관촬하였다 .
점도 HMA 5 ASTM D3236 , Brookfield , viscomter 사용하였다
연화점 HMA 5 ASTM E28 , 연화점 측정기구(RING & BALL) 사용
내구성 접착 시료 5 -20~60℃ 사이클 테스트 (5사이클)
중금속 및 VOCCs 분석 HMA 5 5대 중금속 , VOCs 측정방법에 준하였다.
시료수 5개 미만 (n≥5개) 지표 사유
상기 표 6에 대한 핫멜트 접착배합예 1 ~ 5 중, 배합예 3에 따라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의 성능은 다음의 표 8과 같다. 상기 표 8의 결과는 상기 표 7에 제시된 실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된 결과이다.
주요성능지표 단위 결과 측정기관
접착력 kg/25mm 5.0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내열성 100 ℃x 24hrs
형태유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점도 cps 25000@180C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연화점 125~135C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내구성 - -20~60C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중금속 및 VOCs 분석 없음 없음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본 발명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이 향상된 핫멜트 접착제는 높은 점착특성, 기계적 특성 및 내열, 내한 특성 높은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종래의 핫멜트 접착제 보다 많은 면에서 한층 강화되어 산업성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Claims (4)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스티렌계 합성고무, EVA 또는 폴리올레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 30~60중량%와,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 중량%, 쿠마론인덴수지 5~8중량% 및 로진계수지 3~15중량%로 구성된 점착부여수지 30~65중량%와,
    방향족오일, 폴리브덴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4~30중량%와,
    페놀계, 인계 또는 유황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정제 0.1~1.0중량%로 구성되는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SBS) 10~40중량%, 스티렌계 합성고무 2~78중량%, EVA 5~70 중량% 및 폴리올레핀 5~6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부여수지는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 중량%, 테르펜수지 10~50 중량% 및 로진계수지 8~23중량%로 구성되는 점착부여수지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부여수지는
    C9(방향족)계 석유수지 30~70중량%, 테르펜수지 10~50 중량% 및 쿠마론인덴수지 8~23중량%로 구성되는 점착부여수지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KR1020200005716A 2020-01-16 2020-01-16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KR10230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16A KR102309698B1 (ko) 2020-01-16 2020-01-16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16A KR102309698B1 (ko) 2020-01-16 2020-01-16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02A KR20210092402A (ko) 2021-07-26
KR102309698B1 true KR102309698B1 (ko) 2021-10-07

Family

ID=7712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716A KR102309698B1 (ko) 2020-01-16 2020-01-16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820A (ja) * 1998-09-30 2000-04-11 Arakawa Chem Ind Co Ltd 水素化c9系石油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水素化c9系石油樹脂
JP2006241444A (ja) * 2005-02-02 2006-09-14 Sanyo Chem Ind Ltd ホットメルト粘接着剤
WO2008042645A1 (en) 2006-10-02 2008-04-10 Bostik, Inc. High styrene sbs hot melt adhesive
CN102559112A (zh) 2011-12-27 2012-07-11 上海康达化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sbs胶黏剂及其制备方法
EP2586841A1 (en) 2010-06-23 2013-05-01 Forest Chemical Group S.L. Hot adhesive formulation for adhering plastic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626A (ja) 1996-12-02 1998-06-16 Daicel Chem Ind Ltd 耐熱性・耐寒性に優れた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0479324B1 (ko) 2001-12-26 2005-03-25 주식회사 오공 에틸렌 아크릴산-무정형 폴리알파올레핀-이소부틸렌계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편향 요크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US7199204B2 (en) 2002-05-07 2007-04-0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US7208541B2 (en) 2003-08-22 2007-04-24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KR101145374B1 (ko) 2010-11-02 2012-05-15 대상 주식회사 전분계 핫멜트 접착제용 조성물
KR101392705B1 (ko) 2011-08-18 2014-05-12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JP5578249B1 (ja) 2013-03-08 2014-08-27 横浜ゴム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WO2016157614A1 (ja) 2015-03-30 2016-10-06 日立化成株式会社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6855820B2 (ja) 2016-02-12 2021-04-07 東ソー株式会社 架橋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ホットメルト接着剤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820A (ja) * 1998-09-30 2000-04-11 Arakawa Chem Ind Co Ltd 水素化c9系石油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水素化c9系石油樹脂
JP2006241444A (ja) * 2005-02-02 2006-09-14 Sanyo Chem Ind Ltd ホットメルト粘接着剤
WO2008042645A1 (en) 2006-10-02 2008-04-10 Bostik, Inc. High styrene sbs hot melt adhesive
EP2586841A1 (en) 2010-06-23 2013-05-01 Forest Chemical Group S.L. Hot adhesive formulation for adhering plastic materials
CN102559112A (zh) 2011-12-27 2012-07-11 上海康达化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sbs胶黏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02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84170B (zh) 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以及粘合片
US7595365B2 (en) Combinations of tackifier and polyalphaolefin oil
EP1214386B1 (en) Hot melt adhesive based on blends of epr and/or epdm and semicrystalline olefinic polymers
US3954692A (en) Adhesive composition
US7268178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0367569B1 (ko) 선형블록공중합체,그의제조방법및그를함유하는접착제조성물
CN109054688B (zh) 热老化不失粘热熔型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6373458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200024337A (ko)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US20200017731A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309698B1 (ko) 고내구성 및 고접착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EP0772657B1 (en) Hot melt adhesive based on eva and styrene block polymers
KR100874488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JPH01141969A (ja) 紫外線架橋性ホットメルト型接着剤組成物
CN110546225B (zh) 具有改善的流变性能的热熔压敏粘合剂组合物
KR101008231B1 (ko)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100906168B1 (ko) 점착부여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점착제 조성물
EP3360942A1 (en) Adhesive composition
JP2006342329A (ja) 難接着基材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12680151A (zh) 一种地板静音垫用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H04202581A (ja) 紫外線架橋性ホットメルト型接着剤組成物
JPS63172782A (ja) ホツトメルト組成物
JPH04216890A (ja) 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組成物
JPS5818399B2 (ja) ホツトメルトソセイブ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