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65B1 -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 Google Patents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65B1
KR102309265B1 KR1020190124979A KR20190124979A KR102309265B1 KR 102309265 B1 KR102309265 B1 KR 102309265B1 KR 1020190124979 A KR1020190124979 A KR 1020190124979A KR 20190124979 A KR20190124979 A KR 20190124979A KR 102309265 B1 KR102309265 B1 KR 10230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unit
helmet
illumin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43A (ko
Inventor
유승조
Original Assignee
유승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조 filed Critical 유승조
Priority to KR102019012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2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62J6/045Rear lights indicating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의 조명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오토바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발광부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낮, 밤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 조작의 번거로움이 방지되고, 주행중 발광부의 조작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Helmet equipped with optical sensor control-based indicators}
본 발명은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의 조명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오토바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다. 이러한 헬멧의 주요 기능은 대상물의 낙하 또는 주행중의 충돌 등에 의한 사고로 야기되는 충격에 대해 헬멧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데 있다. 헬멧은 주로 오토바이나 자전거 승차시에 착용하며,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최근에는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헬멧에 블루투스 헤드셋이나 라디오 등을 장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주행 환경에서 안정성의 문제는 중요시되는데,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주행특성상 차량에 비해서 방향의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도로 주행환경에 따라 후방이나 측방에서 차량운전자가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식별하고 경각심을 가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후방측 운전자가 전방의 오토바이와 함께 주행할 때 거리감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전방의 오토바이가 속도를 갑작스럽게 줄이거나 또는 제동하는 경우 바로 후방 차량운전자에게 식별여부가 안전운행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
종래의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경우 생산단계 또는 사후 사용자가 후방측에 브레이크등이나 방향지시등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보통 차량운전자의 시각은 머리보다 상측을 지향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종래의 브레이크등이나 방향지시등은 그 부피와 발광량이 작기 때문에 시안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방향지시등을 의류 등부위나 헬멧에 착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고,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경우 양손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안전운전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전력과 신호라인을 위한 배선의 연결이 복잡하고 이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내구성과 유지보수성 또한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0238호는 본 발명은 다양한 주행환경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외장을 이루며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제동상태를 표시하는 제동발광수단과 상기 제동발광수단의 양측에 배치되며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방향발광수단을 구비하는 발광부 및 제동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감지부와 방향전환상태를 감지하는 방향전환감지부를 구비하고 제동상태와 방향전환상태를 판단하여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을 제공한다. 따라서, 외부 조작부와의 연결 없이 본체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주행상태의 표시가 가능한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0238호는 방향발광수단이 자체적으로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발광부를 작동시키지만, 조도센서로 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으로 낮, 밤을 구분하여 발광부를 작동시킬 수 없어 전력이 낭비되고,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경사센서 또는 가속도센서가 각도를 측정하여 방향발광수단이 작동하므로, 기울어짐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방향발광수단이 작동 하지 않을 수 있어 방향전환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023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헬멧은 조도센서로 지시등 내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감지신호로 낮, 밤을 구분하여 발광부를 작동시킬 수 없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의 조명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오토바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의 조명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오토바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전방에 스위치가 구비되고,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여서 밤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낮으로 확정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를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 밤으로 확정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를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명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후방에 구비된 브레이크등과 상기 브레이크등의 좌측에 구비된 좌측방향지시등 및 상기 브레이크등의 우측에 구비된 우측방향지시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좌측방향지시등의 조도를 측정하는 좌측조도센서와 상기 우측방향지시등의 조도를 측정하는 우측조도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등의 조도를 측정하는 브레이크등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구비되되, 내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연 후방에 구비되어 제동상태를 표시하는 헬멧브레이크등과 상기 헬멧브레이크등의 좌측에 구비되어 좌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좌측방향지시등 및 상기 헬멧브레이크등의 우측에 구비되어 우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우측방향지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헬멧브레이크등, 헬멧좌측방향지시등, 헬멧우측방향지시등 각각에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는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발광부의 전면과 끼움결합 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접속부와 결합되는 접속소켓 및 상기 접속소켓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는 원, 사각, 삼각, 화살표, 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발광부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메인전원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의 조명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오토바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직접 발광부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낮, 밤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 낭비되는 전력이 방지되고, 또한 조작의 번거로움이 방지되고, 주행중 발광부의 조작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와 오토바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와 오토바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도센서와 반사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발광부와 수신부를 나타낸 (a)정면도 및 (b)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발광부가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간경과에 따라 감지되는 조도량의 평균값그래프와 기준값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낮, 밤시간 평균값에 따라 발광부가 제어되는 상태를 A,B,C,D로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와 발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와 발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전원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오토바이, 자전거 등 차량 이외의 기타 이동수단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헬멧에 보조적으로 설치하여 밤시간에 후속 이동수단의 운전자 눈 높이 위치에서 좌측방향지시등, 우측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이 자동으로 점등되어 특히, 운전자가 급브레이크 또는 급 방향전환 시 후방에서 진입해 오는 차량 또는 기타 이동수단과 2차 추돌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500)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100)의 조명부(300)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300)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400)와 상기 오토바이(1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본체(10)를 머리에 착용한 경우, 상기 본체(10)의 시야가 보이는 위치를 전방으로, 헬멧브레이크등(13)이 구비된 위치를 후방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을 기준으로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이 구비된 위치를 좌측으로,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이 구비된 위치를 우측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한 도면 1 내지 도면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오토바이(100)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100)의 조명부(300)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300)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400)와 상기 오토바이(1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오토바이(100)는 후방에 구비된 브레이크등(160)과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좌측에 구비된 좌측방향지시등(140) 및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우측에 구비된 우측방향지시등(120)을 포함하는 조명부(300)로 구성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조명부(300)는 LED(ight emitting diode) 즉,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커버(310)를 포함하며, 오토바이 주행중에 사용자가 방향전환할 때, 좌측방향지시등(140) 또는 우측방향지시등(120)을 점등하고, 정지시 브레이크등(160)을 점등하여 즉, 방향전환 또는 정지시 점등함에 따라, 밤시간(야간)에 이동물체(일예로, 차량)와의 접촉 또는 충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커버(310)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이 높은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400)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300)의 온(On) 또는 오프(Off)시 상기 우측방향지시등(120)의 조도를 측정하는 우측조도센서(122)와 상기 좌측방향지시등(140)의 조도를 측정하는 좌측조도센서(142) 및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조도를 측정하는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방향지시등(120), 좌측방향지시등(140), 브레이크등(160), 우측조도센서(122), 좌측방향지시등(140),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를 이용하여 발광부(5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감지부(400)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300)의 외측에 구비되되, 내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환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오작동을 줄임에 따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어 정확하게 작동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지부(400)는 조도센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변 빛의 양에 따라 밝은 곳에서는 조명을 어둡게 조절하며, 어두운 곳에서는 조명을 밝게 조절하여 배터리의 전력을 아낄 수 있는 센서로, 상기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 대응되는 각각의 반사커버(310) 외측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본체(10)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며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착용 가능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가볍고, 성형성, 강도, 내식성이 좋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섬유와 열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진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모양과 재질로 형성된 외관을 이루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의 쉘(sheel)과 가볍고, 충격흡수율, 성형성은 높은 스티로폼인 발포폴리스티렌(EPS)으로 이루어진 내장재와 필요에 따라 전방측에 사용자의 시야 확보 및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 투명성, 강도, 탄력성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광투과성 쉴드(Shield)를 포함할 수 있고,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발광부(500)는 효율이 좋고 전력을 적게 사용하며 수명이 길고, 전류를 가하면 빛을 내는 발광다이오드, 즉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며,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 다양한 색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500)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주연 후방에 구비되어 제동상태를 표시하는 헬멧브레이크등(13)과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의 좌측에 구비되어 좌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및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의 우측에 구비되어 우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을 포함하고,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 각각에 수신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수신부(530)는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의 내측 각각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20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에서 각각 수신받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어부(200)는
도면 5 내지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여, 즉, 낮, 밤을 구별하여 자동으로 발광부(500)가 작동될 수 있어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서 시간별로 각각 감지된 감지신호를 모두 합산하여 평균을 구한값으로서,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낮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는 밤으로 판단한다.
즉,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균값은 상기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서 시간별로 감지된 감지신호의 값이고, 상기 평균값을 모두 합산하여 구한 중간값이 기준값으로,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부(200)에서 제어하고, 상기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부(200)에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부(400)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좌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42), 우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2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의 감지부(400)에 오류가 발생되어 오작동되더라도 상기 좌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42), 우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2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중 정상 작동하는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제어부(200)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에 오류가 발생되더라도 발광부(50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좌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42), 우측방향지시등조도센서(12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오토바이(100)의 전방에 스위치(180)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여서 밤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위치(180)가 오프(off)되면 낮으로 확정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를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180)가 온(on)되면 밤으로 확정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를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180)는 상기 오토바이(100)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온(On), 오프(Off)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반사커버(310)의 외표면에 이물질로 인한 오염 또는 시간경과에 따른 마모, 기스 등의 발생으로 투명도가 저하되어 상기 감지부(400)가 감지한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여서 밤으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80)를 강제로 오프(Off)로 작동하면 낮으로 확정 판단되어 상기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180)를 사용자사 강제로 온(On)으로 작동하면 밤으로 확정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여 오작동을 방지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면 8을 참조하여 예를들면, A는 낮시간에 기 설정된 평균값을 초과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는 상태, B는 낮시간에 기 설정된 평균값 이하여서 발광부(500)가 점등되는 상태, C는 밤시간에 기 설정된 평균값을 초과하여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는 상태, D는 밤시간에 기설정된 평균값 이하여서 발광부(500)가 점등되는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즉, 낮 또는 밤시간에 발광부(500)가 점등, 미점등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발광부(500)는 도면 8 내지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주면과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또는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또는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 각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500)는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접속부(510)와 상기 접속부(510)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자석(520)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510)는 접속단자가 접속소켓(15)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즉, 상기 발광부(500)와 본체(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부(5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발광부(500)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520)은 가볍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강한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인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발광부(500)의 내측 전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면 8 내지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500)의 전면과 끼움결합되는 끼움홈(14)과 상기 끼움홈(14)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접속부(510)와 결합되는 접속소켓(15) 및 상기 접속소켓(15)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자석(52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홈(14)은 상기 발광부(500) 각각의 접속부(5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의 끼움홈(14)은 상기 본체(10)의 후방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의 끼움홈(14)은 상기 본체(10)의 좌측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의 끼움홈(14)는 상기 본체(10)의 우측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510)와 결합된다.
상기 접속소켓(15)은 전원공급소켓으로서, 상기 접속부(510)의 연결단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접속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500)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2자석(16)은 가볍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강한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인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끼움홈(14)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속소켓(15)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520)과 제2자석(16)은 서로 반대극으로 구성되어 발생되는 자성에 의해 한번 더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끼움홈(14) 외측면과 발광부(500)의 전면이 밀접되어 부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500)가 상기 본체(10)의 후면과 끼움결합될 때, 상기 발광부(500)의 접속부(510)와 상기 본체(10)의 접속소켓(15)이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제1자석(520)과 제2자석(16)에 발생되는 자성에 의해 한번 더 결합되어, 주행중 바람의 양력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더욱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500)는 원, 사각, 삼각, 화살표, 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교체가능하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500) 후방면이 원 또는 사각 형태일 경우, 면적이 넓은 형태임에 따라, 다른 운전자의 시야에 더 잘 보일 수 있고, 삼각 또는 화살표 형태일 경우, 다른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상기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 또는 헬멧좌측지시등(11)의 방향전환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별형태일 경우, 중요도에 대한 표시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호임에 따라, 다른 운전자의 시야에 더 잘 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부(500)는 다양한 방식의 발광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외부에 연결되지 않고,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발광부(500)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메인전원부(17)와 본체(1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전원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메인전원부(17)는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간편하게 충전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용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을 직접 충전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19b)과 상기 태양광패널(19b)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9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전원부(19)는 상기 발광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전원부(17)의 배터리가 전부 소모되었을 경우 또는 고장으로 인한 오작동으로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부(50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메인전원부(17)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보조전원부(19)의 전기에너지는 공급되지 않게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1 : 헬멧좌측방향지시등
12 : 헬멧우측방향지시등 13 : 헬멧브레이크등
14 : 끼움홈 15 : 접속소켓
16 : 제2자석 17 : 메인전원부
19 : 보조전원부 19a : 축전지
19b : 태양광패널 100 : 오토바이
120 : 우측방향지시등 122 : 우측지시등 조도센서
140 : 좌측방향지시등 142 : 좌측지시등 조도센서
160 : 브레이크등 162 : 브레이크등 조도센서
180 : 스위치 200 : 제어부
300 : 조명부 400 : 감지부
500 : 발광부 510 : 접속부
520 : 제1자석 530 : 수신부

Claims (10)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광부(500);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오토바이(100)의 조명부(300)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300)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 미점등을 확인하는 감지부(400);와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오토바이(100)의 후방에 구비된 브레이크등(160);과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좌측에 구비된 좌측방향지시등(140); 및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우측에 구비된 우측방향지시등(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좌측방향지시등(140)의 조도를 측정하는 좌측조도센서(142);와
    상기 우측방향지시등(120)의 조도를 측정하는 우측조도센서(122); 및
    상기 브레이크등(160)의 조도를 측정하는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조명부(300)의 외측에 구비되되, 내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토바이(1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서 시간별로 각각 감지된 감지신호를 모두 합산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모두 합산하여 구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낮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가 미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우측조도센서(122), 좌측조도센서(142), 브레이크등조도센서(162)에서 시간별로 각각 감지된 감지신호를 모두 합산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모두 합산하여 구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밤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500)가 점등되도록 제어를 조절하며,
    상기 발광부(50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과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연 후방에 구비되어 제동상태를 표시하는 헬멧브레이크등(13);과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의 좌측에 구비되어 좌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및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의 우측에 구비되어 우측방향으로 방향전환상태를 표시하는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을 포함하고,
    상기 헬멧브레이크등(13), 헬멧좌측방향지시등(11), 헬멧우측방향지시등(12) 각각에 수신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발광부(500)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메인전원부(17);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전원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전원부(19)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19b);과
    상기 태양광패널(19b)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9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24979A 2019-10-10 2019-10-10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KR10230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79A KR102309265B1 (ko) 2019-10-10 2019-10-10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79A KR102309265B1 (ko) 2019-10-10 2019-10-10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43A KR20210042443A (ko) 2021-04-20
KR102309265B1 true KR102309265B1 (ko) 2021-10-05

Family

ID=7574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79A KR102309265B1 (ko) 2019-10-10 2019-10-10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2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531B2 (ja) * 1997-03-24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341762A (ja) * 2005-06-09 2006-12-21 Ichikoh Ind Ltd 車両用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531U (ja) * 1994-07-11 1995-01-24 忠夫 廣川 バイク又は自動二輪車用ヘルメット
KR101470238B1 (ko) 2013-11-11 2014-12-08 류남수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KR101986568B1 (ko) * 2017-09-06 2019-06-10 박철현 모듈 조립형 자전거 헬멧
KR200489213Y1 (ko) * 2017-09-08 2019-05-16 (주)삼정물산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531B2 (ja) * 1997-03-24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341762A (ja) * 2005-06-09 2006-12-21 Ichikoh Ind Ltd 車両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43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3430B2 (en) A Safety Helmet
KR100910402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US7695156B2 (en) Omnidirectionally illuminated helmet
KR101896831B1 (ko) 자전거의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US8011797B2 (en) Boom barrier
US8550673B1 (en) Secondary lighting system for motorcycles
US9603403B2 (en) Helmet-mounted motorcycle rider visualization device
KR20080082966A (ko) 광-시그널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리스트용 안전헬멧
US11903429B2 (en) Turn direction indicator garment
KR10147023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KR10171273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헬멧용 안전표시장치
KR102309265B1 (ko)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CN117881594A (zh) 自动自行车灯系统
CN205737818U (zh) 一种带有警示灯的鞍座
JP2021507493A (ja) 移動用機械の使用者の背中に載せて運ばれる内蔵式加速度計を備えた信号装置
KR20080085591A (ko) 발광장치 및 이를 부착한 안전모
JP2020522438A (ja) 車両照明に対応するように動作可能なリモート照明システム
KR100625079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점멸 장치
KR200212476Y1 (ko) 자전거 안전 주행장치
CN220442003U (zh) 具有动态指示灯的防护头盔
US11975785B2 (en) Automated bicycle light system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101252246B1 (ko)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KR200493578Y1 (ko) 견장 착용형 경광등
JP2010262889A (ja) 車輌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