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69B1 -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Google Patents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8469B1 KR102308469B1 KR1020190151001A KR20190151001A KR102308469B1 KR 102308469 B1 KR102308469 B1 KR 102308469B1 KR 1020190151001 A KR1020190151001 A KR 1020190151001A KR 20190151001 A KR20190151001 A KR 20190151001A KR 102308469 B1 KR102308469 B1 KR 1023084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
- fibers
- layer
- nonwoven fabric
- sound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기반으로 한 다층구조의 흡차음성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웹이 흡음성을 갖고, 부직포 웹에 적층·결합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차음성을 갖도록 구성된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섬유를 기반으로 하여 용제형 접착제등의 합성수지의 사용을 제한하고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락트산 섬유를 적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통기도 및 흡차음성이 매우 우수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섬유를 기반으로 하여 용제형 접착제등의 합성수지의 사용을 제한하고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락트산 섬유를 적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통기도 및 흡차음성이 매우 우수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기반으로 한 다층구조의 흡차음성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웹이 흡음성을 갖고, 부직포 웹에 적층·결합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차음성을 갖도록 구성된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에게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됨으로써 소음으로 인한 피해의 정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소음방지 대책의 일환으로서 방음, 흡음 또는 차음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소재의 흡차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흡음성이란 어떠한 물체에 들어온 소리를 흡수하는 성질로서, 유리섬유나 암면 등 내부에 작은 구멍이 많이 있는 다공성 물질은 흡음성이 풍부하다. 또한, 차음성(遮音性)이란 어떠한 물체에 들어온 소리를 차단하여 투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말하며, 내부에 구멍이 없는 물체가 차음성이 풍부하다.
흡차음재가 요구되는 산업분야로는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잔디깎기 등의 전기제품 분야,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기기 분야, 또는 벽재, 바닥재 등의 건축자재 분야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여러 산업분야에서 흡차음재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산업분야에서 적용되는 흡차음재의 경우, 흡음성 이외에도 적용용도에 따라 경량화, 난연성, 내열성, 단열성이 추가로 요구되기도 한다.
종래의 흡음재는 다수층의 부직포를 접착하여 제조하였는데, 접착에 사용되는 라텍스, 접착제 등은 접착력이 약하여 기모가 빠지기 쉽고, 라텍스나 접착제와 부직포를 구성하는 화학섬유소재에 포함된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가 공기 중에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직포는 층별 소재에 따라 재활용하기가 까다로우며, 폐기물 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흡음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도 작업장 공기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흡차음 기능이 우수하면서도, 분진 발생 등의 문제없이 제조가 가능하며, 유해성분이 배출되지 않고, 폐기물 처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천연섬유를 기반으로 하여 용제형 접착제 등의 합성수지의 사용을 제한하면서, 친환경적이고 통기도 및 흡차음성이 매우 우수한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에 적층·결합된 열가소성 수지층; 을 포함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층은 아밀라제 효소 존재하에 70~90℃로 가열하여 정제함으로써, 섬도(fineness, 纖度) 3~5.5데니어로 세섬화시킨 식물성 섬유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에는 젖산(Polylactic acid, PLA) 섬유를 혼입시키거나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섬유로는 아바카 섬유, 케냐프 섬유, 쥬트 섬유, 코코넛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동물성 섬유로는 양모 섬유 또는 폐 양모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은 천연 염료 또는 셀룰로오스계 반응성 염료로 염색을 한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무기물 파우더, 열경화성 수지 파우더, 천연섬유 단섬유, 천연 목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기성 형성물질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는 상기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2회 이상 반복하여 적층 결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는 천연섬유를 기반으로 하여 라텍스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층이 결합되기 때문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발생하지 않고, 친환경적이면서 통기도 및 흡차음성이 매우 우수하며, 천연섬유의 염색을 통해 미감있는 실내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착 가공 전 부직포(케냐프 섬유, 아바카 섬유, 울 낙모)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압착 가공 후 부직포(케냐프 섬유, 아바카 섬유, 울 낙모)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천연 섬유를 천연 염료로 염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염색된 천연 섬유로 제조한 부직포의 예들을 일반 부직포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압착 가공 전 부직포(케냐프 섬유, 아바카 섬유, 울 낙모)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압착 가공 후 부직포(케냐프 섬유, 아바카 섬유, 울 낙모)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천연 섬유를 천연 염료로 염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염색된 천연 섬유로 제조한 부직포의 예들을 일반 부직포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에 적층·결합된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를 제공한다.
부직포(Non Woven Fabrics)란 넓은 의미로는 기계 조작에 의하거나 열 접착에 의해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웹상의 패브릭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층은 다양한 기공에 의해 흡음성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섬유(이하 '천연 섬유')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섬유로는 줄기 섬유 또는 잎 섬유를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바카 섬유, 케냐프 섬유, 쥬트 섬유, 코코넛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성 섬유는 흡차음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상기 식물성 섬유는 50~80mm(바람직하게는 60~70mm 범위) 내의 섬유장을 갖고, 굵기가 1~8데니어(denier), 바람직하게는 3~5데니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장이 너무 짧으면 후술할 니들 펀칭 시 원사의 교락이 어려워져 부직포의 결속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원사의 길이가 너무 길면 부직포의 결속력은 우수하나 카딩(carding)시 원사 이송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섬유로는 양모 섬유 또는 폐 양모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방적 공장에서 생산과정에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인 폐 양모 섬유(페기용 양모울 낙모)를 활용하는 경우, 제작과정에서 원가절감 및 폐기시 자연순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 부직포를 제작할 때에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니들 펀칭 공정이란 섬유 혼합체를 복수개의 니들이 수직으로 펀치하여 일체화된 섬유조직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서, 니들 펀치 공정을 사용하여 부직포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니들 펀칭 공정은 Line speed가 3~6m/min(바람직하게는 1.5~4.5m/min), 타밀도는 80~250회/cm2 이고, Fork 또는 Crown type의 니들을 사용하고, 침심은 7~12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 섬유 중 식물성 섬유는 아밀라제 효소 존재하에, 70~90℃로 가열하여 정제함으로써, 섬도(fineness, 纖度)가 3~5.5데니어(바람직하게는 3~4.5데니어)로 세섬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치(batch)형 원형 드럼 욕조에 천연 섬유 100중량% 대비 아밀라제 효소를 0.1~1중량%(바람직하게는 0.3~0.6중량%) 투입한 후, 70~90℃가 되도록 상온 가열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식물성 섬유에 함유되어 있는 리그린, 세미셀룰로오스, 지질(왁스) 등의 불순물이 정제되어 상기 식물성 섬유의 고유섬도가 10~15데니어급에서 3~5.5데니어급으로 세섬화하는 것으로, 부직포 제조시의 단위밀도당의 섬유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천연 섬유에는 생분해성의 젖산(Polylactic acid, PLA) 섬유를 혼입하고, 열 프레스 압착 가공(150~180℃)을 함으로서 상기 젖산 섬유가 용융되면서, 상기 천연 섬유를 결속시키고, 기공을 치밀하게 결집시킨 상태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제형 접착제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흡차음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견고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젖산 섬유는 부직포층 내 함량이 40~70중량%이고, 섬도는 1~5데니어일 수 있다. 상기 젖산 섬유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흡차음재의 생분해성이 저하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부직포층의 내열성, 내마모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섬유에는 폴리에스터 섬유와 같은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 LMF)를 혼입시키고 전술한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서터 섬유는 길이가 60~70mm이고, 섬도가 6~8데니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젖산 섬유 및 폴리에스터 섬유는 혼용 가능하다. 또한, 1차적으로 상기 니들 펀칭 공정을 거쳐 부직포를 제조하되, 2차적으로 상기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을 추가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흡차음성 및 생분해성 측면에서 상기 천연 섬유와 젖산 섬유를 중량비 40~60:60~40으로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전술한 공정으로 세섬화한 식물성 섬유룰 젖산 섬유와 혼련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및 젖산 섬유를 중량비 40~60:20~40:10~30 비율로 혼련하여 상기 부직포층을 제조할 수 있다. 혼련 섬유의 종류와 비율을 달리하는 여러 장의 부직포층을 합지된 상태로 압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압착 가공은 캘린더를 통해 연속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압착 가공 전·후의 부직포(케냐프 섬유, 아바카 섬유, 울 낙모)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상기 천연 섬유는 천연 염료 또는 셀룰로오스계 반응성 염료로 염색을 하여 특정 색상이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를 건축물이나 자동차의 내부 인테리어 요소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천연 염료를 이용한 염색은 감, 쪽, 먹, 치자, 메리골드, 강황, 오배자, 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염료로 이용하여 타래염색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천연 섬유를 염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옥살산 또는 탄산칼륨 수용액을 발염제로 적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반응성 염료로 염색을 하는 것은 천연 섬유를 정련하여 리그린, 세미셀룰로오스, 지질(왁스)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상기 셀룰로오스계 반응성 염료 수용액 10~15중량% 및 물 85~90wt%가 혼합하여 40~60분간 끓인 용액에 정련된 천연 섬유를 침지시키고 다시 40~60분간 끓인 다음, 냉수로 천연 섬유의 잔류 알칼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세척수인 냉수가 맑은 물이 될 때까지) 세척하여 자연건조 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연 섬유의 염색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천연 섬유를 천연 염료로 염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염색된 천연 섬유로 제조한 부직포의 예들을 일반 부직포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로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에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차음성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아크릴수지 등의 수용성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부직포층에 도포 및 함침을 통해 일체화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형태로 적층시거나 펠릿 또는 파우더의 형태로 도포한 후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을 통해 상기 부직포층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제조를 위해 젖산 섬유 또는 저융점 섬유를 용융시키기 위한 열 프레스 압착 가공과,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결합시키기 위한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은 일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1차적으로 상기 니들 펀칭 공정을 거쳐 부직포를 제조하되, 2차적으로 상기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젖산 섬유 또는 저융점 섬유의 용융 및 상기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의 열융착이 일시에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부직포층과 열 융착시키기 위해서는 두께가 80~120미크론(바람직하게는 90~110미크론)이면서, 중량이 230~260g/m2(바람직하게는 240~260 g/m2)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차음효과, 통기성 및 경량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량이 230g/㎡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강도를 나타내지 못하고, 26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중량이 문제되며 또한 통기성이 떨어져서 흡음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차음성 및 통기성 측면에서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경도(ASTM D2240 측정방법에 의거하여 Shore A 경도)가 70~90도이고, 융점이 100~130℃이면서 신율이 250~350%인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할 때 상기 부직포층과의 접착성 및 차음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무기물 파우더, 열경화성 수지 파우더, 천연섬유 단섬유, 천연 목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기성 형성물질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열 융착 및 가압에 의해 일체화된 후 열가소성 수지가 경화되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상기 통기성 형성물질 주변에 기공이 형성된 구조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는 상기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2회 이상 반복 적층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직포층(1a), 제1 열가소성 수지층(1b), 제2 부직포층(2a), 제2 열가소성 수지층(2b), 제3 부직포층(3a), 제3 열가소성 수지층(3b)이 적층 결합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적층 결합된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의 최외면에 해당하는 제1 부직포층의 상면은 발수코팅층(4a)을 형성시켜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1a) 내지 제3 부직포층(3a)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천연 섬유의 종류와 두께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기밀도의 크기 순서대로 적층하여 저주파에서 고주파 영역으로 단계적 흡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저주파음을 흡수하는 기공도가 큰 부직포층을 제일 앞면에 배치하고 점차적으로 기공도가 작은 부직포를 뒷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의 표면에는 수분 저항성을 갖도록 발수처리를 한 발수코팅층(4a)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난연제, 내열향상제, 발수제 등의 기능성 소재를 상기 부직포층, 열가소성 수지층에 혼입시키거나 외표면에 적층된 코팅층에 혼입시킬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멜라민류(멜라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포스파젠,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금속하이드록사이드 등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멜라민류는 난연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열향상제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탈크, 크레이, 유리분말, 유리섬유, 금속분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로는 플루오루계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는 두께 40~50mm, 두께 방향의 기체투과도 0.1~100㎤/㎠·sec, 전체 중량 2,000~3,000g/㎡ 가 되도록 제작하여 경량화 및 흡차음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주파 영역(250~500 KHz) 및 중주파 대역(500~1000KHz) 영역에서의 흡차음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통기도 및 설계 인자 조절에 의하여 흡차음재의 소음 저감영역 대역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길이 방향으로 2미터 이상인 식물 섬유를 준비하여, 이를 Batch형 원형 드럼 욕조에 정렬하여 아밀리라제 효소를 상기 줄기 섬유 대비 0.5중량% 첨가 후 80℃로 가열하고 정제하여 상기 줄기 섬유의 섬도가 10~15데니어급에서 3~5.5데니어로 세섬화 과정을 거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율로 젖산 섬유를 혼합하여 니들펀칭공정을 수행한 후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흡음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후, 제조된 부직포 시트를 60cm 이상의 직경을 갖는 부직포 가압용 카렌더 머신을 이용하여 상하부 스틸로러로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135~160℃ 온도 조건 및 2~3kg/cm2의 압력 조건으로 10~15m/min의 속도로 천천히 가압하면서 4mm 두께의 부직포를 2mm 두께로 조정하여 열가소성 수지층과 합지되도록 공급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으로는 경도 85도, 융점 120℃, 신율 300%, 두께 100미크론, 중량 250g/m2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흡차음재의 흡차음성의 특성을 위한 공기 기공도를 ASTM F 316-03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부직포층 | 공기 기공도 |
실시예 1 | 아바카 + 케냐프 40% PLA fiber 60% |
9.1726 미크론 |
실시예 2 | 아바카 + 케냐프 60% PLA fiber 40% |
9.1726 미크론 |
실시예 3 | 아바카 + 케냐프 70% PLA fiber 30% |
40.1724 미크론 |
실시예 4 | 아바카 + 케냐프 80% PLA fiber 20% |
66.8552 미크론 |
실시예 5 | 아바카 + 케냐프 90% PLA fiber 10% |
77.1259 미크론 |
상기 표 1과 같이, 젖산 섬유가 40~60중량% 포함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부직포층의 공기 기공도가 약 9 미크론으로 가장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살펴보면, 흡음재의 구성비의 비율과 젖산 섬유의 혼련 배합은 공기 기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1a : 제1 부직포층
1b : 제1 열가소성 수지층
2a : 제2 부직포층
2b : 제2 열가소성 수지층
3a : 제3 부직포층
3b : 제3 열가소성 수지층
4a : 발수코팅층
1b : 제1 열가소성 수지층
2a : 제2 부직포층
2b : 제2 열가소성 수지층
3a : 제3 부직포층
3b : 제3 열가소성 수지층
4a : 발수코팅층
Claims (10)
-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되고, 젖산(Polylactic acid, PLA) 섬유가 혼입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에 열 프레스 압착 가공을 통해 적층·결합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무기물 파우더, 열경화성 수지 파우더, 천연섬유 단섬유, 천연 목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기성 형성물질이 포함되고, 두께가 80~120미크론이면서, 단위면적당 중량이 230~260g/m2인 열가소성 수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 내 상기 젖산 섬유 함량은 40~70중량%이며,
상기 부직포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2회 이상 반복 적층 결합되되,
앞면에서 뒷면 방향으로 기공도가 큰 부직포층에서 기공도가 작은 부직포층의 순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제1항에서,
상기 부직포층은 아밀라제 효소 존재하에 70~90℃로 가열하여 정제함으로써, 섬도(fineness, 纖度) 3~5.5데니어로 세섬화시킨 식물성 섬유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부직포층에는 폴리에스터 섬유가 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제1항에서,
상기 식물성 섬유는 아바카 섬유, 케냐프 섬유, 쥬트 섬유, 코코넛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제1항에서,
상기 동물성 섬유는 양모 섬유 또는 폐 양모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제1항에서,
상기 부직포층은 천연 염료 또는 셀룰로오스계 반응성 염료로 염색을 한 식물성 섬유 또는 동물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제1항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001A KR102308469B1 (ko) | 2019-11-22 | 2019-11-22 |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001A KR102308469B1 (ko) | 2019-11-22 | 2019-11-22 |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500A KR20210063500A (ko) | 2021-06-02 |
KR102308469B1 true KR102308469B1 (ko) | 2021-10-06 |
Family
ID=7637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001A KR102308469B1 (ko) | 2019-11-22 | 2019-11-22 |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4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2821A (ko) | 2023-02-27 | 2024-09-04 | 주식회사 엘티에스 | 생분해성 물질을 이용한 흡음재 및 흡음재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0868B1 (ko) * | 2021-08-26 | 2022-07-14 | 실드 주식회사 | 가요성 흡음벽 |
CN114789587B (zh) * | 2021-12-31 | 2024-08-27 | 齐齐哈尔大学 | 一种短切麻纤维复合材料吸音板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2752A (ja) | 2003-05-27 | 2004-12-16 | Toray Ind Inc | 自動車用天井材 |
JP2009190226A (ja) | 2008-02-13 | 2009-08-27 |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 膜材料 |
JP2012026053A (ja) * | 2010-07-23 | 2012-02-09 | Kb Tsuzuki Kk | 繊維の処理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54826B2 (ja) | 2003-08-25 | 2008-03-05 | 高安株式会社 | 吸音材 |
KR20120058347A (ko) | 2010-11-29 | 2012-06-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충격에너지 흡수 보강재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371811B1 (ko) * | 2012-06-25 | 2014-03-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1567167B1 (ko) * | 2013-12-20 | 2015-11-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001A patent/KR1023084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2752A (ja) | 2003-05-27 | 2004-12-16 | Toray Ind Inc | 自動車用天井材 |
JP2009190226A (ja) | 2008-02-13 | 2009-08-27 |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 膜材料 |
JP2012026053A (ja) * | 2010-07-23 | 2012-02-09 | Kb Tsuzuki Kk | 繊維の処理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2821A (ko) | 2023-02-27 | 2024-09-04 | 주식회사 엘티에스 | 생분해성 물질을 이용한 흡음재 및 흡음재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500A (ko) | 202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8469B1 (ko) |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 |
KR102619932B1 (ko) | 향상된 성형성을 제공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복합 물품 | |
CN109618554A (zh) | 模制体及制造该模制体的方法 | |
KR101513780B1 (ko) | 보푸라기 방지용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우븐 바닥장식재 | |
JP4924945B2 (ja) | 積層不織布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難燃吸音シートの製造方法 | |
US20150298441A1 (en) | Sandwich material | |
KR101113545B1 (ko) |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JP6498454B2 (ja) | 多層成形用シート及びシート成形体 | |
KR101038192B1 (ko) | 열차폐성 및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818289B2 (ja) | 繊維−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462748B2 (ja) | 複合吸音材 | |
JP5080185B2 (ja) | 表皮材用基材、表皮材及び成形体 | |
KR102256522B1 (ko) |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20276B1 (ko) |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 |
JP2015034355A (ja) | パーフォレーション皮革様シート | |
KR20170123814A (ko) | 다층구조에서 투습방수 성능제어를 위한 복합방사형 부직포 | |
KR102317518B1 (ko) |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13966274A (zh) | 层叠吸音材料 | |
JP7377644B2 (ja) | 積層体 | |
JP2020181047A (ja) | 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505632B1 (ko) | 인공피혁용 기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89605B1 (ko) | 파열강도가 우수한 신발 측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JP4410887B2 (ja) | 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 |
JP5819650B2 (ja) | 吸音材用表皮 | |
JP6602221B2 (ja) | 積層用難燃不織布及び難燃積層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