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167B1 -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167B1
KR101567167B1 KR1020130159828A KR20130159828A KR101567167B1 KR 101567167 B1 KR101567167 B1 KR 101567167B1 KR 1020130159828 A KR1020130159828 A KR 1020130159828A KR 20130159828 A KR20130159828 A KR 20130159828A KR 101567167 B1 KR101567167 B1 KR 10156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material
layer
resin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564A (ko
Inventor
김민수
김영인
양기욱
강규석
이봉직
김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익성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성을 가지는 수지가 차음층을 이루고 그 차음층 상하에 각각 흡음재가 일체로 적층되어 있으면서 절단면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상태로 절단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Noise absorption and insulation materials of multi-layer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성을 가지는 수지가 차음층을 이루고 그 차음층 상하에 각각 흡음재가 일체로 적층되어 있으면서 절단면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상태로 절단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소음을 차단, 제진, 흡음하는 기능과 주행 중 발생하는 저주파, 고주파의 복합에너지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량의 실내에 흡차음재를 설치하여 왔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재의 경우 흡차음재를 이루는 표피재층 및 흡음층에 별도의 차음재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직접 코팅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므로, 전반적으로 흡차음재의 중량이 증가하여 차량의 연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흡차음재의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흡음성 향상을 위해 흡음구조를 많이 사용하면서 부가적으로 환경 및 작업편의성 등의 불만 요인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흡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들 펀칭 소재나 견면 PET(LOW MELTING FIBER와 PET FIBER를 열적 결합한 것), 펠트(Felt) 및 부직포의 경우 그 흡음성을 가지는 구조적 특성 등으로 인해 조직력이 약하여 내마모성이 약하고 침수에 의한 손상이 쉽게 발생하며, 저온에서의 취화성이 약하고, 표피층이 쉽게 오염 및 파손될 뿐만 아니라, 특히 제품 절단면에 펠트의 벌키(Bulky)성으로 인하여 분진이 발생하고 외관이 불량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하게 제안된 바는 없으나, 일반적인 소재의 절단에 관한 기술을 보면, 일본특허공개 제2007-203919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점착필름을 중앙에 제공하고 양측에는 부직포와 표피재를 롤러를 통하여 점착하도록 하는 자동차 차음 카펫이 제안되어 있으나, 흠차음 소재의 구성도 그다지 우수하다고 볼 수 없고 특히 절단부에서의 분진 발생 등의 문제에 관해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일본특허공개 제2011-93149호에서는 발포층과 표피재 사이에 수지층과 접착제층을 구성시켜 가압 롤로 가압성형하는 자동차 내장재가 기재되어 있으나 역시 절단 기술이나 분진 발생에 대한 인식이 없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1996-9013호에서는 통기성 부재와 비통기성 부재 사이에 수지층을 구비하고 가열된 나이프로 열융착 절단하여 실링이 되도록 구성하는 나이프로 열융착 컷팅하여 밀봉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컷팅 후 밀봉시키는 공정을 열융착 컷팅을 통해 한 공정으로 시행 가능한 기술이 제안된 것일 뿐이지 부직포 등이 포함된 소재의 절단면에서 발생하는 분진 발생 등에 관해서는 역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한국특허공개 제2013-12735호에서는 모재 적층단계와 피딩롤러로 공급하는 피딩단계, 컷팅단계, 가열 성형단계 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역시 분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컷팅 기술에 대한 인식이 없어서 환경적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흠차음성 개선과 동시에 분진 발생 등 유해성 없이 제조가 가능한 형태의 고품질의 흡차음재에 제조기술에 관하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1. 일본특허공개 제2007-203919호 2. 일본특허공개 제2011-93149호 3. 일본특허공개 제1996-9013호 4. 한국특허공개 제2013-12735호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 검토한 결과,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 상하에 부직포를 접착시킨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시트를 구성하고 이를 하부가 좁아진 형상의 컷터날로 절단하는 경우 FRP 구조의 절단면을 가지므로 흡차음성도 우수하고 휠가드 작업시 분진 발생 등이 생기지 않고 친환경적인 흡차음재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차음성이 우수한 다층구조를 가지면서 친환경적인 구조의 흡차음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차음성이 우수한 흡차음재의 제조 가공시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친환경적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 상하에 부직포가 접착되어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차음재의 절단부가 FRP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흡음층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 가열조건에서 접착성 수지를 차음층으로 하여 상기 제1 흡음층 시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차음층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 흡음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흡음층, 접착성 수지로 된 차음층 및 제2 흡음층이 합지된 상태로 압착하여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흠차음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흡차음재를 하부가 좁아진 컷터날를 이용하여 수직 절단하여 FRP 절단부를 가지는 흡차음재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는 그 흡차음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차음재의 절단부에서 FRP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차음재를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분진 발생이 없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새로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적용 제품의 제작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친환경적 조건으로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성형 후 문제점 발생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거나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외관의 형태를 미려하게 하여 품질개선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에 대한 주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흡차음재가 이송 가열돠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절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절단기로 절단하여 FRP 절단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 상하에 부직포가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흡차음재의 절단부가 FRP 구조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란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로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내열성, 내용제성은 열경화성 수지에 비해 약한 편이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하면 소성변형을 일으키지만 냉각하면 가역적으로 단단해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보통 고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선 모양의 구조를 가진 고분자화합물을 가열하면 가소성을 드러내어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냉각하면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굳는다. 또한, 이를 다시 열을 가하면 물렁물렁해지며, 계속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유동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는 결정성과 비결정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유백색이다. 또한, 비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한 것이 많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음층은 바람직하게는 기체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흡차음 성능 면에서 바람직하고, 그 두께가 좋기로는 0.05 ~ 1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은 통기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차음층은 상기 열 가소성 수지에, 무기물 파우더, 열경화성 수지 파우더, 천연섬유 단섬유, 천연 목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형성물질을 더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물 파우더로서는 탄산칼슘, 황산 바륨, 이산화규소, 산화알류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질석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터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천연섬유로서는 식물성 섬유, 동물성 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면화, 아마, 황마, 모, 모헤어, 견, 유리섬유, 석면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천연 섬유로서 약 10~100 mm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단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천연 목분으로서는 소나무, 대나무, 참나무 중에서 선택된 목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기성 형성물질은 그 입도가 1 ~ 1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전체 접착성 수지 중에 40~7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체투과도는 0.1 ~ 150(㎤/㎠·초)인 차음층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 형태의 접착성 수지를 차음층으로 사용할 경우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과 합지된 상태에서 압착시킨 후에 가압되었던 열가소성 수지가 복원되면서, 상기 통기성 형성물질 근처에 기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흡음층 또는 제2 흡음층을 이루는 부직포(non woven fabrics)란 넓은 뜻으로는 기계 조작에 의하거나 열접착 혹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을 가리킨다. 직물로 하는 과정에서 실의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것으로 펠트, 수지접착의 부직포, 니들 펀치, 스펀본드, 스펀 레이스, 엠보스 필름, 습식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니들 펀치(Needle Punch)란 적층된 섬유층을 복수개의 니들이 수직으로 펀치하여 상하의 섬유층을 일체화시키는 공지된 기계적인 섬유 일체화 방법을 말한다. 한편 각종 섬유로 만든 웹에 니들(needle)이 수직으로 펀치하여 플레이트를 만드는 니들펀치법 같은 기계적 방법이 알려져 있다. 공지된 니들펀치 부직포는 피혁모포, 차의 방음포, 카페트의 바닥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부직포로서는 상기 접착성 수지에 적용 가능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면, 마 또는 양모의 천연섬유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부직포는 상기 사용되는 접착성 수지에 비해 융점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직포는 제1 흡음층과 제2 흡음층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 1흡음층 또는 제2 흡음층은 그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제1 흡음층 또는 제2 흡음층은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것이 단층 또는 다층의 부직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차음층와 그 상하에 위치한 제1 흡음층 및 제2흡음층으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흡차음재는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 절단되는데, 이때 흡차음재의 절단부 형상은 바람직하게도 FRP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FRP 구조는 절단과정에서 절단력 또는 가열 용융이 이루어지면서 매끄러운 FRP 구조를 가지므로 분진 발생 등 환경적 위해 요소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재의 절단부에 형성된 FRP 구조는 절단부가 잘 정돈되고 매끄러운 면으로 마무리되어 있어서 절단부 주변에 대한 내구성도 좋게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에 대한 한 구현예로서, 제1 흡음층(11a), 차음층(12) 및 제1 흡음층(11b)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단부(13)은 FRP 구조를 가지는 바람직한 흡차음재(10) 구조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제1 흡음층(11a)은 바람직하게는 표피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1 흡음층(11a)으로서 외표면에 표피층(도시되지 않음)이 추가로 합지되어 있거나 제1 흡음층(11a)의 외 표면에 표피층을 가지는 부직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의 전체 두께는 1 ~ 30 mm 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차음재 두께 방향의 기체투과도는 0.1 ~ 150 (㎤/㎠·초) 이고, 상기 흡차음재의 중량은 10 ~ 3000g/m²인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전형적인 방법의 일예로서는 제1 흡음층(11a)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 가열조건에서 차음층(12)을 공급하는 단계; 제2 흡음층(11b)을 공급하는 단계; 압착하여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흠차음재를 형성하는 단계; 컷터날(14)로 절단하여 흡차음재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흡음층(11a)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흡음층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제1 롤러(15)를 통해 상기 차음층(12)와 합지되도록 공급하는 공정이다.
상기 가열조건에서 차음층(12)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가열조건에서 접착성 수지를 차음층(12)으로 하여 상기 제1 흡음층(11a) 시트에 공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는 가열조건에서 공급되는 접착성 수지가 압출기(16)을 통해 압출 된 후 T-다이(17)를 통해 필름형태로 차음층(12)이 공급되면서 제1 흡음층(11a)와 차음층(12)이 서로 합지된다. 이때 가열 조건은 상기 차음층(12)의 접착성 수지가 접착성을 가지면서 용융되고 제1 또는 제2 흡음층의 부직포는 용융되지 않는 상태를 가지면서 합지 가능한 상태의 조건으로서 좋기로는 흡음층이 예컨대 10~50 중량% 의 저융점(LM) 섬유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제2 흡음층(11b)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음층(12) 위에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 흡음층(11b)을 공급하는 단계로서, 다른 쪽에서 제1 흡음층(11b)이 준비되어 공급되면서 상기 차음층(12)위에 제2 흡음층(11b)이 제2 롤러(18)을 통해 합지된다.
또한, 압착하여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흠차음재(1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흡음층(11a), 접착성 수지로 된 차음층(12) 및 제2 흡음층(11b)이 합지된 상태로 압착하여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흠차음재(10)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는 상기 제2 롤러(18)에서 합지된 다음에 제2 롤러(18)와 냉각롤러(19) 사이에서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냉각 과정을 거쳐서 가압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흡차음재(10)가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렇게 제조된 흡차음재(10)는 컷터날(14)로 절단하여 흡차음재로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차음재(10)를 하부가 좁아진 컷터날(14)를 이용하여 수직 절단하여 FRP 절단부(13)를 가지는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로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본 발명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상기 흡차음재(10)는 도 3에 하나의 구현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러(20a, 20b)로 구동되는 이송수단(21)을 통과하면서 예컨대 컷팅이 용이하도록 오븐(22)에서 접착층이 용융되고 제1 흡음층과 제2 흡음층이 성형 가능하도록 Flexible한 조건으로 가열 된 후, 컷팅기(23)를 통과하면서 컷터날(14)에 의해 절단된다. 이때 절단기(23)는 도 4에서 하나의 구현예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금형(24a, 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된 컷터날(14)에 의해 상하부 금형(24a, 24b) 사이를 통과하는 흡차음재(10)를 절단하여 FRP 절단부(13)를 가지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컷터날(14)은 바람직하게도 하부가 좁아진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하단부 단면이 V형, W형 또는 U형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구현예로서 V형 단면의 컷터날(14)가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컷터날(14)은 상하부 금형(24a, 24b)에서 각기 동일하거나 다른 형태인 것이 절단 상태가 FRP 형태로 최적화되도록 맞닿은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예컨대 하단부 단면이 V형인 컷터날(14)를 이용하여 흡차음재(10)를 절단하는 형태를 단면 개략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V형인 컷터날(14)가 흡차음재(10)를 절단하면서 FRP 절단부(13)를 가지도록 절단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트리밍 작업 중 컷터날(14)의 전단력 또는 가열되어 있는 차음층(12)에 제1 흡음층(11a))과 제2 흡음층(11b)에 포함되어 있거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섬유 및 분진이 침투하게 되어 FRP 절단부(13)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컷터날(14)은 가열된 상태로 절단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는 각종 내외장재용 흡차음재로 적용하는 경우, 그 구성이 제1 흡음층, 차음층 및 제2 흡음층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 절단면의 분진 발생 등 오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킴으로서 작업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성형 후 문제점 발생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거나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외관의 형태를 미려하게 하여 품질개선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재의 경우 저주파 영역(250~500 KHz) 및 중주파 대역(500~1000KHz) 영역에서의 흡차음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통기도 및 설계 인자 조절에 의하여 흡차음재의 소음 저감영역 대역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는 특히 자동차용 부품으로 적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품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차용 부품으로서는 예컨대 자동차용 휠 가드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구조의 흡자음재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흠차음 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절단부 구조로 인해 작업 환경 개선과 품질을 개선할 수 있어서 자동차나 각종 소음발생 산업용 기계에 흡차음재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용 휠 가드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 - 흡차음재
11a - 제1 흡음층
11b - 제2 흡음층
12 - 차음층
13 - FRP 절단부
14- 컷터날
15 - 제1 롤러
16 - 압출기
17 - T-다이
18 - 제2 롤러
19 - 냉각롤러
20a, 20b - 이송롤러
21- 이송수단
22 - 오븐
23 - 절단기
24a, 24b - 상하부 금형

Claims (11)

  1.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에서 선택된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05 ~ 1 mm인 차음층 상하에는, 상기 접착성 수지에 비해 융점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이 접착되어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차음재의 절단부가 가열 용융 상태에서 하부가 좁아진 커터날로 수직 절단되어 그 절단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마무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FRP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기체투과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차음재의 전체 두께는 1 ~ 30 mm 이고, 두께 방향의 기체투과도는 0.1 ~ 150(㎤/㎠·초)이며, 중량은 10 ~ 3000g/m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7. 열가소성 수지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흡음층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
    가열조건에서 접착성 수지를 차음층으로 하여 상기 제1 흡음층 시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차음층에 열가소성 수지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 흡음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흡음층, 접착성 수지로된 차음층 및 제2 흡음층이 합지된 상태로 압착하여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흡차음재를 하부가 좁아진 컷터날을 이용하여 수직 절단하되 가열 용융 상태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마무리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FRP 절단부를 가지는 흡차음재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음층은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에서 선택된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05 ~ 1 mm이며,
    상기 제1 흡음층 또는 제2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기 접착성 수지에 비해 융점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냉각 과정을 거쳐서 가압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흡차음재가 제조되는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컷터날은 하단부 단면이 V형, W형 또는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른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휠 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

KR1020130159828A 2013-12-20 2013-12-20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KR10156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828A KR101567167B1 (ko) 2013-12-20 2013-12-20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828A KR101567167B1 (ko) 2013-12-20 2013-12-20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564A KR20150072564A (ko) 2015-06-30
KR101567167B1 true KR101567167B1 (ko) 2015-11-06

Family

ID=5351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828A KR101567167B1 (ko) 2013-12-20 2013-12-20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334A (zh) * 2015-03-14 2015-07-01 芜湖众力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用麦饭石-苯丙复合乳液包覆聚丙烯基非织造吸音材料
KR101666422B1 (ko) * 2015-10-07 2016-10-17 현대다이모스(주)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KR102308469B1 (ko) * 2019-11-22 2021-10-06 (주)부성텍스텍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660A (ja) * 2001-11-02 2003-05-16 Osamu Watanabe 擁壁や法面、遮音壁等の吸音構造物
JP2004107605A (ja) * 2002-09-20 2004-04-08 Jfe Chemical Corp 吸音材用粉末接着剤、これを含む接着性表皮、吸音材および自動車内装材
KR100802677B1 (ko) * 2006-10-12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진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660A (ja) * 2001-11-02 2003-05-16 Osamu Watanabe 擁壁や法面、遮音壁等の吸音構造物
JP2004107605A (ja) * 2002-09-20 2004-04-08 Jfe Chemical Corp 吸音材用粉末接着剤、これを含む接着性表皮、吸音材および自動車内装材
KR100802677B1 (ko) * 2006-10-12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진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564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141B2 (en) Multilayered perforated sound absorber
CA2728367C (en) Molded laying interior material for vehicle
WO2012164977A1 (ja) 自動車用ボディーアンダーカバー
CN105383135A (zh) 具有透气性的多层吸音隔音材料
US5298319A (en) Moldable automotive trunk liner
KR101515148B1 (ko) 복수의 흡음 구조로 구성된 기체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흡차음재
JP7175690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US20190061311A1 (en) Multi-layer acoustic and/or reinforcing non-woven fabric
KR20080027656A (ko) 자동차용 내장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7167B1 (ko)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US20040234744A1 (en)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of basalt fibers and thermoplastic bin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21073B1 (ko) 자동차용 플로워카페트 및 이의 성형방법
JP2019521039A (ja) 自動車用保護サウンド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567772B1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KR101901235B1 (ko) 폐섬유를 이용한 자동차용 경량 흡음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KR101697699B1 (ko) 자동차용 2중 엔진 커버 노이즈 방지재와 그 제조방법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00207A (ko) 자동차 내장용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53960B1 (ko) 강도 및 흡음/단열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178B1 (ko) 단일니들펀칭기를 이용한 상, 하 방향 동시 니들펀칭에 의한 3층 복합부직포 제조방법
KR20190037024A (ko) 타공필름과 합성수지 파우더를 갖는 다층구조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35377A1 (en)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of basalt fibers and polypropylene bin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98964A (ja) 車両用成形天井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