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929B1 - 유모차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929B1
KR102306929B1 KR1020177018921A KR20177018921A KR102306929B1 KR 102306929 B1 KR102306929 B1 KR 102306929B1 KR 1020177018921 A KR1020177018921 A KR 1020177018921A KR 20177018921 A KR20177018921 A KR 20177018921A KR 102306929 B1 KR102306929 B1 KR 10230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stroller
link
stroller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293A (ko
Inventor
다케시 데라우치
마사시 다니자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0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 B60B9/1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of rubber or the like
    • B60B9/1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of rubber or the like in the form of sleeves or rings concentric with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장치는, 2대의 유모차의 전각들을 연결하는 전부 연결 부재와, 2대의 유모차의 후각들을 연결하는 후부 연결 부재와, 2대의 유모차의 핸드푸시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 부재와, 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을 갖는 제1 링크 부재와, 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 및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2 링크 부재와,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의 각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링크 부재와, 제3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타단을 갖는 제4 링크 부재를 구비한다. 유모차 2대를 견고하게 연결 가능하고, 전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모차 연결 장치{STROLLER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2대의 유모차를 가로로 연결하기 위한 유모차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쌍둥이용 유모차로서, 유유아(乳幼兒) 두 명이 옆으로 나란히 타는 타입이나, 유유아 두 명이 앞뒤로 나란히 타는 타입 등이 있다. 쌍둥이용 유모차는, 일체 구조의 차체에 유유아 두 명분의 시트를 설치하는 설계이다. 그 때문에, 유유아 한 명을 태우는 경우에도, 한 명분만을 분리해 사용할 수는 없다.
또, 예를 들면 연년생의 유유아인 경우, 첫째 유유아용으로 구입한 유모차와, 둘째 유유아용으로 나중에 구입한 유모차를, 필요에 따라서 연결하여 쌍둥이용 유모차처럼 사용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러나, 1인용 유모차 2대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연결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1인용 유모차 2대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미사용시에는 전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하여, 수납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모차 2대를 견고하게 연결 가능하고, 또, 연결 상태에 있는 2대의 유모차를 전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유모차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는, 2대의 유모차를 가로로 연결하기 위한 유모차 연결 장치로서,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전각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부(前部) 연결 부재와, 상기 2대의 유모차의 후각들을 연결하기 위한 후부 연결 부재와, 상기 2대의 유모차의 핸드푸시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을 갖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각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타단을 갖는 제4 링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는, 제1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 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각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중앙 관절부가, 상기 유모차의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의 각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는, 제1 또는 제2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3 링크 부재 및 상기 제4 링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상부 관절부가, 상기 유모차의 암 레스트를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3 링크 부재, 및 상기 제4 링크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물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전각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후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후각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후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부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양태는, 제5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상기 전각, 상기 후각, 및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 중 적어도 1개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전부 고정구, 상기 후부 고정구, 및 상기 상부 고정부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비원형의 단면 형상에 합치하는 고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양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3 링크 부재를 상기 제2 링크 부재측으로 끌어당긴 장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에 있는 상기 유모차에 장착했을 때의 장치 전개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가 상기 장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한되도록 회전 제한 수단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 2대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 연결 상태에 있는 2대의 유모차를 전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유모차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일부만 표시)에 장착한 상태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일부만 표시)에 장착한 상태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에 의해서 2대의 유모차를 가로로 연결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의 링크 구조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의 링크 구조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의 링크 구조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의 링크 구조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의 링크 구조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측방에서 본 도면.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일부만 표시)에 장착한 상태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일부만 표시)에 장착한 상태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를 이용해 연결되는 유모차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유모차의 차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유모차의 링크 구조를 전개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19는 도 16에 나타낸 유모차의 링크 구조를 접힘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유모차 연결 장치의 고정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연결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2대가 가로로 연결되는 유모차의 일례에 대해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유모차는, 도 18에 링크 구조로 나타낸 전개 상태(사용시)와, 도 19에 링크 구조로 나타낸 접힘 상태(수납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개 상태를 중심으로 하여 유모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50)는, 차체(51)와, 차체(51)에 지지된 시트(52)와, 시트(52)의 상방에 배치되는 후드(53)와, 시트(52)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스켓(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51)는, 프레임부(55)와, 그 프레임부(55)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륜(56) 및 후륜(57)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55)는, 차체(51)의 프레임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즉, 프레임부(55)는, 유모차(50)(차체(51))의 좌우 방향(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58), 한 쌍의 후각(59) 및 한 쌍의 암 레스트(60)와, 좌우의 암 레스트(60)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단일의 핸드푸시 프레임(61)과, 좌우 전각(58)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부 횡단 부재로서의 단계 62, 좌우의 후각(59)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부 횡단 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전륜(56)은 전각(58)의 하단에 설치되고, 후륜(57)은 후각(59)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차체(51)의 좌우 방향 일방측에 있어서, 전각(58) 및 후각(59)의 각각의 상단부와, 암 레스트(60)의 하단의 다리 부착부(64)는 지점 핀(65)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차체(51)의 타방측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핸드푸시 프레임(61)은, 좌우 한 쌍의 핸들 바(66)와, 그들 핸들 바(66)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그립 바(67)를 구비하고 있다. 각 핸들 바(66)는, 그 도중의 굴곡부(66a)를 경계로 하여 상측 바(66b) 및 하측 바(66c)의 두 개의 부위로 구분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 상측 바(66b) 및 하측 바(66c)는, 단일의 금속제의 파이프재를 굼힙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바(66c)에는 상부 브래킷(68)이 리벳을 통해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부 브래킷(68)에는, 암 레스트(60)의 상단부가 상부 핀(69)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그에 의해, 암 레스트(60)와 핸드푸시 프레임(61)의 핸들 바(66)는, 상부 핀(69)을 지점으로 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다.
또, 핸들 바(66)의 하측 바(66c)의 하단에는, 전부 연동 바(전부 연동 부재)(70)의 후단부, 및 후부 연동 바(후부 연동 부재)(71)의 전단부가 하부 핀(7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부 연동 바(70)의 전단부는 전각(58)과 전부 연결 핀(7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부 연동 바(71)의 후단부는 후각(59)과 후부 연결 핀(7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각(59)에는 하부 브래킷(75)이 고정되어 있다. 유모차(50)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핸들 바(66)의 하단은 하부 브래킷(75)에 맞닿아 후각(5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받쳐진다. 하부 핀(72)의 주위에는, 유모차(50)를 전개 상태 및 접힘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개폐 로크 기구(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브래킷(75)은 후각(59)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전각(58), 후각(59), 암 레스트(60), 핸들 바(66), 전부 연동 바(70) 및 후부 연동 바(71)는, 차체(51)의 프레임부(55)의 좌우에 있어서 링크 기구를 각각 형성한다. 좌우의 링크 기구의 구성은 동일하다. 개폐 로크 기구(76)에 의한 차체(51)의 구속을 해제해, 링크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각각의 연결점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유모차(50)를 전개 상태와 접힘 상태 사이에 변형시킬 수 있다.
전개 상태의 유모차(50)를 차체(51)의 좌우 방향에서 봤을 때, 핸드푸시 프레임(66)의 상측 바(66b)와, 암 레스트(60)와 전각(58)은 직선적으로 놓여져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2대의 유모차(50)의 전각(58)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부 연결 부재(2)와, 2대의 유모차(50)의 후각(59)들을 연결하기 위한 후부 연결 부재(3)와, 2대의 유모차(50)의 핸드푸시 프레임(61)들을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부재(4)를 갖는다. 전부 연결 부재(2), 후부 연결 부재(3), 및 상부 연결 부재(4)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형상의 부재이며, 서로 공통의 길이를 갖고 있다.
유모차 연결 장치(1)는, 또한, 전부 연결 부재(2), 후부 연결 부재(3), 및 상부 연결 부재(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링크 부재(5), 제2 링크 부재(6), 제3 링크 부재(7), 및 제4 링크 부재(8)를 갖는다.
제1 링크 부재(5)의 일단이, 전부 연결 부재(2)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고정되고, 제2 링크 부재(6)의 일단이 후부 연결 부재(3)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5)의 타단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회전축선(9)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제2 링크 부재(6)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7)의 일단이, 제1 링크 부재(5) 및 제2 링크 부재(6)의 각 타단에, 중앙 회전축선(9)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7)의 타단에는, 제4 링크 부재(8)의 일단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회전축선(10)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4 링크 부재(8)의 타단은, 상부 연결 부재(4)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가로로 배치한 2대의 유모차(50)의 측면들을 연결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관절부(11) 및 상부 관절부(12)를 구비하고 있고, 양 관절부(11, 12) 둘레로 제1 내지 제4 링크 부재(5~8)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전체를 장치 전개 상태(도 6)와 장치 접힘 상태(도 7)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연결 장치(1)에는, 장치 접힘 상태에서 장치 전개 상태로 전환할 때, 제1 링크 부재(5)와 제3 링크 부재(7) 사이의 각도가 장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한되도록 회전 제한 수단(13)이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 제한 수단(13)은, 제3 링크 부재(7)의 선단부가 제1 링크 부재(5)의 전측의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도 1에 나타낸 장치 전개 상태에서, 제1 링크 부재(5)와 제3 링크 부재(7)의 것과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7)에는, 컵 홀더나 정리함으로서 기능하는 물품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부(14)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자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14)의 형성 개소는, 제3 링크 부재(7)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링크 부재(5), 제2 링크 부재(6), 혹은 제4 링크 부재(8)에 물품 수납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연결 장치(1)의 전부 연결 부재(2)의 좌우 양단에는, 2대의 유모차(50)의 전각(58)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부 고정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부 연결 부재(3)의 좌우 양단에는, 2대의 유모차(50)의 후각(59)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후부 고정구(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연결 부재(4)의 좌우 양단에는, 2대의 유모차(50)의 핸드푸시 프레임(66)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부 고정구(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50)의 전각(58), 후각(59), 및 핸드푸시 프레임(66)은, 각각,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전부 고정구(15), 후부 고정구(16), 및 상부 고정부(17)의 각각은, 유모차(50)의 전각(58), 후각(59), 및 핸드푸시 프레임(66)의 각각의 비원형의 단면 형상에 합치하는 고정면을 갖고 있다.
전부 고정구(15), 후부 고정구(16), 및 상부 고정구(17)는, 각각, 전부 연결 부재(2), 후부 연결 부재(3), 및 후부 연결 부재 4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개폐편(18)을 갖는다. 개폐편(18)의 타단에는, 걸림편(19)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걸림편(19)의 선단부 내면에는, 테이퍼면을 갖는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0)의 테이퍼면은, 연결 부재(2, 3, 4)측에 형성된 돌출부(21)의 테이퍼면과 걸어맞춰진다. 양 테이퍼면을 통해 고정구(15, 16, 17)측의 돌출부(20)와 연결 부재(2, 3, 4)측의 돌출부(21)를 슬라이딩시켜, 양 돌출부(20, 21)간을 스냅 결합으로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원형 단면의 고정면에 의해서 유모차 연결 장치(1)의 전부 고정구(15), 후부 고정구(16), 및 상부 고정구(17)를, 유모차(50)의 전각(58), 후각(59), 및 핸드푸시 프레임(66)에 고정함으로써, 전각(58), 후각(59), 및 핸드푸시 프레임(66)의 각 긴 축선 둘레에서의 유모차 연결 장치(1)의 전부 고정구(15), 후부 고정구(16), 및 상부 고정구(17)의 회전이 제한된다. 그 때문에, 유모차 연결 장치(1)에 의해서 2대의 유모차(50)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유모차(5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제1 링크 부재(5), 제2 링크 부재(6), 및 제3 링크 부재(7)의 각 외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중앙 관절부(11)가, 유모차(50)의 전각(58) 및 후각(59)의 각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유모차(50)에 장착된 상태 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제3 링크 부재(7) 및 제4 링크 부재(8)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상부 관절부(12)가, 유모차(50)의 암 레스트(60)를 핸드푸시 프레임(66)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는, 유모차(50)에 장착된 상태 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제1 링크 부재(5), 제2 링크 부재(6), 및 제3 링크 부재(7)가, 각각, 유모차의 전각(58), 후각(59), 및 암 레스트(60)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한,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링크 부재(5) 및 제3 링크 부재(7)가 전체적으로 대략 직선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모차 연결 장치(1)의 중앙 관절부(11) 및 상부 관절부(12)가, 각각,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유모차(50)의 각 관절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전개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접힘 상태로 전환할 때, 유모차 연결 장치(1)의 형상이, 유모차(50)의 형상의 변화에 추종하여 변화된다. 그로 인해, 접음 조작시에 유모차 연결 장치(1)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없어, 원활한 접음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연결 장치(1)의 각 관절부(11, 12)의 회전축선(9, 10)과, 유모차(50)의 각 관절부의 회전축선은, 반드시 완전하게 일치할 필요 없고, 양 회전축선이 다소 어긋나 있어도 접음 조작은 가능하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1)에 의하면, 복수의 부품을 일체화하여 구성한 유모차 연결 장치(1)에 의해서, 유모차 2대를 가로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유모차 연결 장치(1)를 일체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고정구(15, 16, 17)의 유모차(50)에 대한 고정 위치가 저절로 정해지므로,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모차 연결 장치(1)의 각 관절부(11, 12)를 유모차(50)의 각 관절부에 맞춤으로써, 연결 상태에 있는 2대의 유모차(50)를 전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 각 유모차(50)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모차 연결 장치(1)의 각 고정구(15, 16, 17)를 떼어냄으로써, 간단하게 개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 유모차 연결 장치(1)에 물품 수납부(14)를 설치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해 설명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5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30)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1)와 공통의 링크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데, 제3 링크 부재(7)에 물품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 및 제4 링크 부재(8)의 길이 치수가 크게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30)에 있어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7)가, 유모차(50)(도 16 참조)의 암 레스트(60)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50)의 암 레스트(60)와 유모차 연결 장치(30)의 제3 링크 부재(7) 사이에서, 디자인상의 조화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30)에 있어서는, 제4 링크 부재(8)의 길이 치수를 크게 했으므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50)의 핸들 바(66)와 유모차 연결 장치(30)의 제4 링크 부재(8) 사이에서, 디자인상의 조화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 연결 장치(30)의 다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연결 장치(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모차 연결 장치를 유모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는, 상술한 구조의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고정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6은, 그러한 고정구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크로를 구비한 고정구(3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 착탈하는 어태치먼트 구조의 고정구(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구조를 구비해 나사 고정하는 타입의 고정구(32)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멈춤쇠를 구비한 고정구(33)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 구조를 구비한 고정구(34)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넷에 의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고정구(3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고정구(36)를 사용할 수도 있다.
1, 30: 유모차 연결 장치 2: 전부 연결 부재
3: 후부 연결 부재 4: 상부 연결 부재
5: 제1 링크 부재 6: 제2 링크 부재
7: 제3 링크 부재 8: 제4 링크 부재
9: 중앙 회전축선 10: 상부 회전축선
11: 중앙 관절부 12: 상부 관절부
13: 회전 제한 수단 14: 물품 수납부
15: 전부 고정구 16: 후부 고정구
17: 상부 고정구 18: 개폐편
19: 걸림편 20: 걸림편측의 돌출부
21: 연결 부재측의 돌출부
30, 31, 32, 33, 34, 35, 36: 고정구

Claims (7)

  1. 2대의 유모차를 가로로 연결하기 위한 유모차 연결 장치로서,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전각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부(前部) 연결 부재와,
    상기 2대의 유모차의 후각들을 연결하기 위한 후부 연결 부재와,
    상기 2대의 유모차의 핸드푸시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을 갖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후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일단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각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일단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에 고정된 타단을 갖는 제4 링크 부재를 구비한, 유모차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각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중앙 관절부가, 상기 유모차의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의 각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일치하고 있는, 유모차 연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3 링크 부재 및 상기 제4 링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상부 관절부가, 상기 유모차의 암 레스트를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절부와 일치하고 있는, 유모차 연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3 링크 부재, 및 상기 제4 링크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물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 연결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전각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후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후각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후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연결 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2대의 유모차의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 해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부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연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상기 전각, 상기 후각, 및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 중 적어도 1개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전부 고정구, 상기 후부 고정구, 및 상기 상부 고정구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비원형의 단면 형상에 합치하는 고정면을 갖는, 유모차 연결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3 링크 부재를 상기 제2 링크 부재측으로 끌어당긴 장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에 있는 상기 유모차에 장착했을 때의 장치 전개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가 상기 장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한되도록 회전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연결 장치.
KR1020177018921A 2014-12-18 2015-12-09 유모차 연결 장치 KR102306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6734 2014-12-18
JP2014256734 2014-12-18
PCT/JP2015/084584 WO2016098671A1 (ja) 2014-12-18 2015-12-09 ベビーカー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93A KR20170095293A (ko) 2017-08-22
KR102306929B1 true KR102306929B1 (ko) 2021-09-29

Family

ID=5612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921A KR102306929B1 (ko) 2014-12-18 2015-12-09 유모차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684530B2 (ko)
KR (1) KR102306929B1 (ko)
CN (1) CN107107937B (ko)
HK (1) HK1243389A1 (ko)
TW (1) TWI677448B (ko)
WO (1) WO2016098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86B1 (ko)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8141U1 (de) 2010-07-23 2010-11-04 Beger, Udo Zwillings- oder Drillingswagen
JP6739618B2 (ja) 2016-04-11 2020-08-12 グッドベイビー チャイルド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人乗り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282U (ja) * 1984-02-04 1985-08-27 山田 春樹 ベビ−カ−の連結具
JPH09263247A (ja) * 1996-03-27 1997-10-07 Combi Corp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GB2334010B (en) * 1999-02-23 1999-12-22 Nina Maddocks Push chair
US7731220B2 (en) * 2006-12-19 2010-06-08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Frame assembly for double-seat baby stroller
US20090289440A1 (en) * 2008-05-23 2009-11-26 Shad Harry Besikof Dual independent side-by-side stroller
KR101902271B1 (ko) * 2011-11-01 2018-10-0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이 가능한 베이비 카
US20140265258A1 (en) * 2013-03-12 2014-09-18 Pooya Lalehzri Detachable side-by-side stroller
CN203666749U (zh) * 2013-12-13 2014-06-25 胡永千 一种婴儿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8141U1 (de) 2010-07-23 2010-11-04 Beger, Udo Zwillings- oder Drillingswagen
JP6739618B2 (ja) 2016-04-11 2020-08-12 グッドベイビー チャイルド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人乗り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43389A1 (zh) 2018-07-13
WO2016098671A1 (ja) 2016-06-23
JP6684530B2 (ja) 2020-04-22
KR20170095293A (ko) 2017-08-22
CN107107937B (zh) 2020-05-15
TWI677448B (zh) 2019-11-21
CN107107937A (zh) 2017-08-29
JPWO2016098671A1 (ja) 2017-09-28
TW201630770A (zh)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217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9610966B2 (en) Infant carrier and stroll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598353B2 (ja) ベビーカー用車体
TWI402194B (zh) Carts
US8087680B2 (en) Stroller with car seat attachment
CN102083675B (zh) 可折叠的婴儿车
US8469832B2 (en) Sw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nfant holding device
JP2006159930A (ja) ベビーカー
EP3263420A3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20160257331A1 (en) Convertible toddler platform
TW201331077A (zh) 可折疊之嬰兒車
KR102306929B1 (ko) 유모차 연결 장치
JP5913546B2 (ja) ベビーカー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5101744B2 (ja) ベビーカー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US20170158217A1 (en) Bike Stroller
WO2011087506A1 (en) Stroller basket
US20110175309A1 (en) Stroller basket
JP5128713B2 (ja) ベビーカー
PL2363334T3 (pl) Złącze przegubowe ze środkami blokującymi
TWM519105U (zh) 安裝於二輪載具上的安全座椅裝置
JP5661063B2 (ja) ベビーカー
KR200206910Y1 (ko) 다목적 유모차
EP2878512A1 (en) Child seat bag and child s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