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044B1 - 탈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탈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044B1
KR102304044B1 KR1020187035728A KR20187035728A KR102304044B1 KR 102304044 B1 KR102304044 B1 KR 102304044B1 KR 1020187035728 A KR1020187035728 A KR 1020187035728A KR 20187035728 A KR20187035728 A KR 20187035728A KR 102304044 B1 KR102304044 B1 KR 10230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ct
support
contact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006A (ko
Inventor
오사무 이시구로
켄지 코모리
아츠코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식자재의 양이 변화하거나 또는 용기 본체를 회전하는 회전수가 변동한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탈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 탈수 처리 장치(1)는 미리 정하는 수평한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받침대(4)와, 받침대(4)의 수직인 축선(L)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제1 회전축(6)과, 복수의 투공부(34)를 갖고, 제1 회전축(6)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용기 본체(2)와, 제1 회전축(6)을 축선(L) 주위에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5)과, 제1 회전축(6)에 배설되고, 용기 본체(2)를 지지하는 지지체(7)를 구비하고, 지지체(7)는 용기 본체(2)에 당접하는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당접부(57, 59)를 포함하는 당접편(58, 60)을 구비하고, 당접부(57, 59)는 축선(L) 상에서 상기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세정에 의해 수분이 부착된 컷야채 등의 식자재를 탈수하기 위한 탈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가공공장 등에서 양배추 등의 야채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이른바 컷야채 등의 식자재는 세정공정에서 식자재에 부착된 수분을 없애기 위해서 탈수공정에서 탈수 처리 장치에 의해 탈수된다.
종래기술의 탈수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수 처리 장치는 지지틀체와, 지지틀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탑재되고,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식자재를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본체를 갖는 뚜껑부재와,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갖는 회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틀체는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동수단을 구비한다. 회전장치는 상단에 회전부재를 갖고, 지지틀체에 배설된다. 이동부재는 상하동수단에 연결되고, 용기를 탑재하는 용기받이부를 구비한다.
용기의 측벽에는 회전시켰을 때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재는 뚜껑본체의 개폐시의 회동을 제어하는 뚜껑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탈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상승시켜 물을 포함하는 식자재를 수용한 용기를 용기받이부에 탑재하고, 이동부재를 강하시킴으로써 뚜껑본체로 용기의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용기를 회전장치상에 탑재하고, 회전장치에 의해 탑재된 용기를 회전시켜 용기내의 물을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내의 식자재의 탈수가 수행된다.
다른 종래기술의 탈수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이 탈수 처리 장치는 1개의 측벽면 및 이 측벽면에 대향하는 측벽면에 각각 개구부를 갖는 상자체와, 한쪽 개구부로부터 다른 쪽 개구부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장치와, 상자체의 내부이며, 이동장치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회전장치와,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며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뚜껑본체를 갖는 뚜껑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장치는 그 상단부에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동이 자유롭게 된다. 용기는 내부에 식자재를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탈수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용기의 측벽에는 해당 용기를 회전시켰을 때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된다. 뚜껑부재는 상자체의 내측의 상벽면에 연결되는 뚜껑지지부, 및 뚜껑본체를 회전이 자유롭게 뚜껑지지부에 연결하기 위한 뚜껑연결부에 의해 구성되고, 물을 포함하는 식자재를 수용한 용기를 이동장치에 탑재하여 상자체의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승강장치에 의해 회전장치를 상승시키고, 회전부재상에 용기를 탑재함과 함께 뚜껑본체로 용기의 개구부를 덮고, 회전장치로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내의 물을 원심력에 의해 용기의 외측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84201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842707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탈수 처리 장치에서는 식자재가 수용되는 수납용기가 회전부재에 탑재된 상태로 회전하고 있고, 수납용기에 수용하는 식자재의 양이 변화하거나 또는 수납용기를 회전하는 회전수가 변동한 경우에 수납용기에 진동이 발생하여 탈수처리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식자재의 양이 변화하거나 또는 용기 본체를 회전하는 회전수가 변동하여도 용기 본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탈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정하는 수평한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수직인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회전축과,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축선 주위에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배설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 본체에 당접하는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당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접부가 축선상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嵌合)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처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접부가 위쪽에 면하여 폐루프형의 테이퍼형상의 받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에는 식자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는 당접부가 축선상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에 수용한 식자재의 양이 변화한 경우나 용기 본체의 회전수가 변동한 경우에 탈수 처리 장치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당접부가 위쪽에 면하여 폐루프형의 테이퍼형상의 받이면을 갖기 때문에, 키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용기 본체를 당접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자재가 수용된 탈수 처리 장치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하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용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 투공부의 하나를 중심축선에 수직인 가상 일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회전축에 지지체와 풀리가 장착된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6은 용기 본체의 분해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지지체의 당접부가 용기 본체의 볼록부에 당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구동수단이 지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력과 용기 본체가 받는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의 당접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의 당접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의 당접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탈수 처리 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탈수 처리 장치(1)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와 함께 회전하는 덮개체(3)와, 받침대(4)와, 구동수단(5)과, 제1 회전축(6)과, 지지체(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어 식품 가공 공장의 수평한 바닥에 설치된다.
구동수단(5)은 받침대(4)에 설치되는 모터(9)와, 모터(9)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풀리(12)와, 제1 회전축(6)에 장착되는 풀리(13)와, 모터(9)의 구동력을 제1 회전축(6)에 전달하는 V벨트(14)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9)와, 모터(9)의 출력축과 제1 회전축(6)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커플링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용기 본체(2)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용기 본체(2)의 종단면도이다. 용기 본체(2)는 식자재를 수납하는 용기이며, 예를 들어 상부가 개구된 스테인리스제의 바구니형상이다. 개구부(16)의 주연에는 고리형의 플랜지부(17)가 배설되고, 플랜지부(17)의 아래쪽에는 식자재를 수납하는 본체부(18)가 배설된다.
본체부(18)는 원뿔대형의 주벽부(19)와, 주벽부(19)의 하부의 개구를 막도록 주벽부(19)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저부(20)를 갖는다. 저부(20)는 주벽부(19)의 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있고, 저부(20) 하단의 직경이 작은 개구(22)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3)가 배설된다. 볼록부(23)는 개구(22)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부에 배설되고, 축선(L)을 따라 위쪽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형이다. 또한, 볼록부(23)는 지지체(7)에 형성되는 당접부가 당접하는 피당접부이다. 당접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볼록부(23)는 위쪽을 향해 플랜지부(17)의 근방까지 연재되어 있고, 볼록부(23)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면(24)은 수평한 원형의 평면이다. 상단면(24)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가 당접 가능하다. 볼록부(23)의 경사각도(θ)는 지지체(7)의 당접부(57, 59)의 경사각도(θ)와 동일한 각도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3)의 경사각도(θ)와 지지체(7)의 당접부(57, 59)의 경사각도(θ)를 30°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2)의 상부의 개구는 주벽부(19)의 대경부에 의해 실현되고, 플랜지부(17)는 용기 본체(2)를 착탈할 때에 작업자 또는 클램퍼에 의한 파지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개구부(16)는 예를 들어 양배추, 양상추의 컷야채 등의 식자재를 전처리공정의 도시하지 않은 세정공정의 방출버킷 등을 통해 투입·배출 가능한 내경이 된다. 주벽부(19) 및 저부(20)에는 물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식자재의 개개의 컷조각의 통과를 저지하는 복수의 구멍부가 OPS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OPS 가공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본체(2)에 수용되어 탈수되는 식자재로서는 양배추, 양상추 등의 잎채소, 양파의 슬라이스, 파채 등의 근채류, 미역, 꼬시래기 등의 해조류, 송이버섯, 팽나무버섯 등의 버섯류, 두류, 곡류, 어패류, 과일, 면류 등을 들 수 있다.
도 4는 용기 본체(2)에 형성된 투공부(34)의 하나를 축선(L)에 수직인 가상 일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고, OPS 가공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는 주벽부(19)와 저부(20)에 펀칭가공에 의해 복수의 원형의 투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투공(3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발격자무늬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주벽부(19)와 저부(20)의 두께는 1.5mm이고, 투공(33)의 직경은 3mm이다. 축선(L)의 연재방향에 인접하는 투공(33)의 중심간거리는 9mm이다. 투공(33)의 주위에는 고리형의 투공부(34)가 형성된다. 투공부(34)는 주벽부(19)와 저부(20)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투공부(34)는 주벽부(19)와 저부(20)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쳐서 뚫은 부분이 돌출하는 이른바 다월(dowel)공 형성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월공 형성 가공은, 예를 들어 선단부가 원추형 또는 반구형으로 펀칭가공된 투공부(34)를 그 축선과 투공(33)의 축선을 일치 또는 거의 일치시킨 상태에서 주벽부(19)와 저부(20)의 내측에 배치하고, 그 선단부를 주벽부(19)와 저부(20)의 안쪽으로부터 투공부(34)에 꽉 누름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다월공 형성 가공에 의해 투공부(34)는 주벽부(19)와 저부(20)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변형하고, 이와 같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투공부(34)의 내측에는 주벽부(19)와 저부(2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공부(34)의 선단이 주벽부(19)와 저부(20)의 내주면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3mm 정도 돌출하도록 다월공 형성 가공이 수행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를 축선(L) 주위의 한쪽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2)에서 볼 때 주벽부(19) 및 저부(20)의 외측에 주벽부(19) 및 저부(20)에 대하여 축선(L) 주위의 다른 쪽을 향해 흐르는 기류(A)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다월공 형성 가공에 의해 투공부(34)의 내부에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공간(S)이 형성되기 때문에, 주벽부(19)와 저부(20)를 축선(L)의 주위의 한쪽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A)의 영향에 의한 이젝터효과에 의해 공간(S)의 공기가 주벽부(19) 및 저부(2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에 의해 공간(S)이 부압이 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를 이용하여 원심탈수를 수행한 경우에는 원심력뿐만 아니라 이젝터효과에 의한 흡인력도 이용하여 탈수대상물에 부착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세정된 식자재가 세정바구니채로 용기 본체(2)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세정바구니의 그물코를 통과한 공기가 공간(S)을 통과하게 되어 공간(S)의 공기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젝터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식자재는 용기 본체(2)에 직접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2)의 개구부(16)를 덮는 덮개체(3)는 예를 들어 수지제로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뚜껑(10)과 제2 회전축(43)을 구비하고 있고, 제2 회전축(43)의 하부에 뚜껑(10)이 고정된다. 덮개체(3)는 용기 본체(2)의 회전에 추종하여 용기 본체(2)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와 덮개체(3)를 포함하여 수납용기(11)가 구성된다.
덮개체(3)는 받침대(4)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축(3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핸들(38)에 지지된다. 핸들(38)은 대략 직선형의 제1 암(39)을 구비한다.
받침대(4)에는 용기 본체(2)의 주위를 덮는 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고, 덮개체(3)의 개폐는 작업자가 회동축(37)을 지점으로 제1 암(39)의 타단부를 끌어올려 인력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전동모터, 에어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으로 회동축(37)을 구동할 수도 있다.
제1 암(39)에는 탈수 처리 장치(1)의 운전중에 수납 용기(11)의 덮개체(3)를 덮는 상부 커버(36)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싱(40) 및 상부 커버(36)는 예를 들어 강판을 굽힘가공하여 제작 가능하다. 용기 본체(2)의 축선(L)에 일치하는 제1 회전축(6)의 축선상에 제2 암(41)이 배설된다. 제2 암(41)은 베어링하우스(42)와 제2 회전축(43)을 구비하고, 제2 암(41)의 상단은 제1 암(39)에 접속된다. 제2 회전축(43)의 상단부는 베어링하우스(4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용기 본체(2)는 덮개체(3)와 제1 암(39)과 제2 암(41)의 자중을 플랜지부(17)로 받고 있고, 이에 의해 덮개체(3)를 용기 본체(2)에 고정하는 클램퍼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용기 본체(2)의 개구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다. 또한, 핸들(38)은 배관용 파이프재를 짜맞춰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제1 회전축(6)에 지지체(7)와 풀리(13)가 장착된 상태의 상세도이다. 받침대(4)의 상면측에는 베어링 유닛(50)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회전축(6)은 베어링 유닛(50)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축(6)의 하부는 받침대(4)의 하면측에 설치된 베어링 유닛(5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다. 제1 회전축(6)의 베어링 유닛(52)의 위쪽에는 풀리(13)가 설치된다. 풀리(13)는 모터(9)에 의해 구동된다. 제1 회전축(6)의 베어링 유닛(50)의 위쪽에는 지지체(7)가 설치된다.
받침대(4)의 상면에는 상면측으로 볼록해지는 단차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 유닛(50)은 이 단차부(30)에 설치된다. 단차부(30)는 용기 본체(2)가 장착된 상태에서 볼록부(23)내에 개구(22)를 통해 상부가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한 형상이 되고, 베어링 유닛(50)의 주위는 볼록부(23)에 의해 덮여서 볼록부(23)가 존재하는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볼록부(23)에는 투공부(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베어링 유닛(50)에 탈수중에 식자재로부터 비산한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 유닛(50)을 방수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지지체(7)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키를 감합하여 회전이 멈춰진 상태에서 제1 회전축(6)에 나사고정된다. 도 5에 도시한 지지체(7)는 상부에 위치하며 직경이 작은 당접부(57)를 갖는 당접편(58)과, 하부에 위치하며 직경이 큰 당접부(59)를 갖는 당접편(60)을 갖는다. 당접부(57)와 당접부(59)는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에 당접하는 위쪽에 면하여 폐루프형의 테이퍼형상의 받이면인 원뿔대의 외주면을 갖는다. 당접편(58)과 당접편(60)은 분리되어 있고, 각각 도시하지 않은 키를 감합하여 회전이 멈춰진 상태에서 나사고정된다. 당접편(58)과 당접편(60)의 나사고정위치를 조정하여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의 상단면(24)을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에 당접시킬 수 있다.
도 6은 용기 본체(2)의 분해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탈수 처리 장치(1)는 덮개체(3)를 닫아 덮개체(3)와 핸들(38)의 자중이 용기 본체(2)에 가해진 상태로 운전할 수 있고, 또한 덮개체(3)를 열어 덮개체(3)와 핸들(38)의 자중이 용기 본체(2)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운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회동축(37)을 중심으로 핸들(38)을 회동시켜 덮개체(3)를 들어 올린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17)를 파지하여 용기 본체(2)를 위쪽으로 끌어올려 분해할 수 있다.
도 7은 당접편(58, 60)의 당접부(57, 59)가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에 당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구동수단(5)이 지지체(7)를 구동하는 구동력과 용기 본체(2)가 받는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당접편(58)의 당접부(57)와 당접편(60)의 당접부(59)는 동일 외주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용기 본체(2)측의 피당접부인 볼록부(23)를 예를 들어 당접부(57) 및 당접부(59)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외주면으로 하여 당접부(57)와 당접부(59)를 확실하게 볼록부(23)에 당접시킬 수 있다.
제1 회전축(6)의 축선(L)으로부터 당접부(57)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r1, 축선(L)으로부터 당접부(57)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r2로 하고, 축선(L)으로부터 당접부(59)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r3, 축선(L)으로부터 당접부(59)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r4로 한다. 당접부(57)가 받는 구동토크를 TR1로 하고, 당접부(59)가 받는 구동토크를 TR2로 한다.
당접부(57)에 작용하는 회전력(F1)이 당접부(57)의 폭방향 중앙부에 작용하고, 당접부(59)에 작용하는 회전력(F2)이 당접부(59)의 폭방향 중앙부에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F1=TR1×2/(r1+r2) … (1)
F2=TR2×2/(r3+r4) … (2)
가 된다.
용기 본체(2), 덮개체(3) 및 핸들(38)의 자중 중 당접부(57)에 가해지는 자중을 w1로 하고, 용기 본체(2), 덮개체(3) 및 핸들(38)의 자중 중 당접부(59)에 가해지는 자중을 w2로 하면, 당접부(57)의 마찰력(f1)과 당접부(59)의 마찰력(f2)은 각각
f1=μw1sinθ/2 … (3)
f2=μw2sinθ/2 … (4)
가 된다. 여기서 θ는 볼록부(23)의 경사각도이고, 볼록부(23)의 축선(L)을 포함한 단면에 있어서 볼록부(23)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μ는 볼록부(23)와 당접부(57, 59)의 사이의 마찰계수이다.
마찰력(f1) 및 마찰력(f2) 중 적어도 한쪽이 회전력(F1) 또는 회전력(F2) 보다 큰 경우에는 볼록부(23)는 미끄러짐을 일으키지 않고 지지체(7)와 함께 회전한다. 마찰력(f1)과 마찰력(f2)의 쌍방이 회전력(F1) 또는 회전력(F2)보다 작은 경우에는 볼록부(23)와 지지체(7)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볼록부(23)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제1 회전축(6)에 배설되는 지지체(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용기 본체(2)에 수용한 식자재의 양이 변화한 경우나 용기 본체(2)의 회전수가 변화한 경우를 포함하여 당접부(57, 59)는 축선(L)상에서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수용한 식자재의 양이 변화한 경우나 용기 본체(2)의 회전수가 변화한 경우에 탈수 처리 장치(1)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6)에 배설되는 지지체(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의 상단면(24)을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에 당접시켜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에서 용기 본체(2), 덮개체(3)의 자중의 일부를 받을 수 있다. 또는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와 볼록부(23)의 상단면(24)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에서 용기 본체(2)나 덮개체(3)의 자중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 회전축(6)의 상단부(25)에서 용기 본체(2)나 덮개체(3)의 자중을 받지 않게 하고, 용기 본체(2), 덮개체(3)의 자중 전체를 지지체(7)가 받는 구성으로 하여 당접부(57, 59)의 마찰력(f1, f2)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3)의 경사각도(θ)를 30°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각도(θ)를 크게 하여 마찰력(f1, f2)을 크게 하고, 큰 구동토크로 용기 본체(2)를 회전시킬 수 있지만, 용기 본체(2)의 식자재를 수납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진다. 경사각도(θ)를 작게 하여 용기 본체(2)의 식자재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지만, 경사각도(θ)를 작게 하면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가 지지체(7)에 말려들기 쉬워져서 용기 본체(2)를 분해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당접부(57)와 당접부(59)에 예를 들어 널링을 형성하거나 또는 숏블라스팅을 실시해서 당접부(57)와 당접부(59)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당접부(57, 59)의 마찰력(f1, f2)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당접부(57)와 당접부(59)의 상단부는 R모따기(62)가 되어 있고, 당접부(57)와 당접부(59)의 하단부에는 축선(L)과 평행한 원통면(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가 제1 회전축(6)의 축선(L)에 대하여 다소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2)의 볼록부(23)를 당접편(58) 또는 당접편(60)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장착할 수 있고, 용기 본체(2)를 당접편(58) 또는 당접편(60)에 걸리지 않고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당접부(57)와 당접부(59)의 상단부에 R모따기부(62)가 형성되어 있지만, C모따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당접부(57)와 당접부(59)의 하단부에 원통면(63)이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R모따기부나 C모따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 4에 있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를 축선(L) 주위의 한쪽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다른 쪽을 향해 흐르는 기류(A)의 영향에 의한 이젝터효과에 의해 공간(S)의 공기 및 물이 주벽부(19)와 저부(20)의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식자재가 수납된 용기 본체(2)를 도 7에 나타내는 D1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D1방향에 대하여 다른 쪽인 D2방향으로 회전하여 식자재의 틈새를 통과하여 공간(S)으로부터 인출되는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 이에 의해 한층 효과적으로 식자재의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1방향과 D2방향의 전환을 일정한 사이클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67)의 당접편(68, 7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지지체(67)는 상부에 위치하고, 축선(L)을 포함하는 가상 일평면상에서 단면이 직경이 작으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을 이루는 외주면을 갖는 당접편(68)과, 하부에 위치하고, 직경이 크며 외주의 단면이 원호형인 당접편(70)을 갖는다. 당접편(68)과 당접편(70)은 분리되어 있고, 당접편(68)이 볼록부(23)와 선접촉하는 원주형의 당접부(71)와, 당접편(70)이 볼록부(23)와 선접촉하는 원주형의 당접부(72)는 동일한 원뿔대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있다.
당접부(71)와 당접부(72)는 볼록부(23)와 선접촉하므로 당접부(71)와 당접부(72)를 볼록부(23)에 당접시키기 쉬워진다.
축선(L)과 직교하는 방향의 정면시에 있어서 당접부(71)와 당접부(72)는 용기 본체(2)의 내부에 있고, 제1 회전축(6)에 배설되는 지지체(6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당접부(71, 72)는 축선(L)상에서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수용한 식자재의 양의 변화 및 용기 본체(2)의 회전수의 변화에 관계없이 탈수 처리 장치(1)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77)의 당접편(78, 80, 82)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지지체(77)는 상부에 위치하며 직경이 작은 당접부(83)를 갖는 당접편(78)과, 하부에 위치하며 직경이 큰 당접부(84)를 갖는 당접편(80)과, 당접편(78)과 당접편(80)의 사이에 위치하여 당접부(85)를 갖는 당접편(82)을 갖는다. 당접부(83)와 당접부(84)와 당접부(85)는 분리되어 있고, 동일한 원뿔대의 외주면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당접부(83, 84, 85)를 용기 본체(2)에 당접시킴으로써 용기 본체(2)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축선(L)과 직교하는 방향의 정면시에 있어서 제1 회전축(6)에 배설되는 지지체(7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당접부(83, 84, 85)는 축선(L)상에서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87)의 당접편(91)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지지체(87)는 일체의 당접부(93)를 갖는다. 지지체(87)의 당접부(93)를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고,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축선(L)과 직교하는 방향의 정면시에 있어서 제1 회전축(6)에 배설되는 지지체(8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당접부(93)는 축선(L)상에서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수 처리 장치(1)는 미리 정하는 수평한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받침대(4)와, 받침대(4)의 수직인 축선(L)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제1 회전축(6)과, 복수의 투공부(34)를 갖고, 제1 회전축(6)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용기 본체(2)와, 제1 회전축(6)을 축선(L) 주위에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5)과, 제1 회전축(6)에 배설되고, 용기 본체(2)를 지지하는 지지체(7)를 구비하고, 지지체(7)는 용기 본체(2)에 당접하는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당접부(57, 59)를 포함하고, 당접부(57, 59)가 축선(L)상에서 상기 용기 본체(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수용한 식자재의 양이 변화한 경우나 용기 본체(2)의 회전수가 변동한 경우에 탈수 처리 장치(1)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1: 탈수 처리 장치 2: 용기 본체
3: 덮개체 4: 받침대
5: 구동수단 6: 제1 회전축
7, 67, 77, 87: 지지체 9: 모터
10: 뚜껑 11: 수납용기
12, 13: 풀리 14: V벨트
16: 개구부 17: 플랜지부
18: 본체부 19: 주벽부
20: 저부 22: 개구
23: 볼록부 24: 상단면
25: 상단부 30: 단차부
33: 투공 34: 투공부
36: 상부커버 37: 회동축
38: 핸들 39: 제1 암
40: 케이싱 41: 제2 암
42: 베어링하우스 43: 제2 회전축
50, 52: 베어링유닛
57, 59, 71, 72, 83, 84, 85, 93: 당접부
58, 60, 68, 70, 78, 80, 82, 91: 당접편
62: R모따기 63: 원통면
θ: 경사각도 L: 축선

Claims (3)

  1. 미리 정하는 수평한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수직인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회전축과,
    복수의 투공부를 갖고, 식자재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용기 본체로서, 원뿔대형의 주벽부, 상기 주벽부의 하단에서 이어지고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저부, 및 상기 저부의 하단에서 이어지고 상기 주벽부 안에 및 상기 저부 안에서 위쪽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형의 볼록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축선 주위에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배설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볼록부 안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에 당접하는 외주면을 갖는 제1 당접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볼록부 안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에 당접하는, 상기 제1 당접부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제2 당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당접부 및 제2 당접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축선이 상기 지지체와 공통된 축선이 되도록, 상기 볼록부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투공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당접부의 외주면은, 위쪽에 면하여 폐루프형의 테이퍼형상의 받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처리 장치.
  3. 삭제
KR1020187035728A 2016-08-26 2016-08-26 탈수 처리 장치 KR102304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092 WO2018037568A1 (ja) 2016-08-26 2016-08-26 脱水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06A KR20190007006A (ko) 2019-01-21
KR102304044B1 true KR102304044B1 (ko) 2021-09-23

Family

ID=6124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728A KR102304044B1 (ko) 2016-08-26 2016-08-26 탈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47117B2 (ko)
KR (1) KR102304044B1 (ko)
CN (1) CN109310137B (ko)
TW (1) TWI687635B (ko)
WO (1) WO2018037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2505B1 (ja) 2020-04-03 2020-11-11 株式会社Tbm 延伸シ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樹脂組成物、延伸シート、及び延伸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592A (ja) 1999-01-25 2000-08-02 Q P Corp 自動脱水処理装置
JP3160849B2 (ja) * 1997-04-15 2001-04-25 大西商工株式会社 用紙等の綴じ具
JP2007315674A (ja) 2006-05-25 2007-12-06 Als Co Ltd 脱水機
KR100922285B1 (ko)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탈수기
JP2014150785A (ja) * 2013-02-13 2014-08-25 Hosoda Kogyo Kk 脱水かご、それを備える食品用遠心脱水装置および食品搬送用コンベア装置
JP2015231334A (ja) 2014-06-09 2015-12-24 細田工業株式会社 脱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9233A (en) 1964-06-18 1967-12-19 Stauffer Chemical Co Poly-gamma-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n, n, n', n'-tetralkylphosphorodiamidothioic acid and esters thereof
JPS4842013B1 (ko) 1969-08-09 1973-12-10
JPS5436373Y2 (ko) * 1976-12-23 1979-11-02
JPS5993754U (ja) * 1982-12-15 1984-06-26 なにわ工産株式会社 水切り装置
JPS63152651U (ko) * 1987-03-28 1988-10-06
JP2006255223A (ja) * 2005-03-18 2006-09-28 Ono Shokuhin Kogyo Kk 調理用遠心脱水機
CN201398433Y (zh) * 2009-01-23 2010-02-10 张本照 一种连续式离心抛干机
JP3160849U (ja) * 2010-04-28 2010-07-08 オーシーエム株式会社 食品の液体分離装置
TW201603764A (zh) * 2014-07-16 2016-02-01 Hosoda Kogyo Co Ltd 食材洗淨裝置
CN204207052U (zh) * 2014-10-21 2015-03-18 永仁县壮农农业科技经贸有限公司 一种脱水蔬菜加工用甩干机
CN104998767B (zh) * 2015-07-10 2018-08-14 上海宁远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油水分离机构
CN205052804U (zh) * 2015-10-17 2016-03-02 山东瑞昌食品有限公司 一种脱水蔬菜用甩干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849B2 (ja) * 1997-04-15 2001-04-25 大西商工株式会社 用紙等の綴じ具
JP2000210592A (ja) 1999-01-25 2000-08-02 Q P Corp 自動脱水処理装置
JP2007315674A (ja) 2006-05-25 2007-12-06 Als Co Ltd 脱水機
KR100922285B1 (ko)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탈수기
JP2014150785A (ja) * 2013-02-13 2014-08-25 Hosoda Kogyo Kk 脱水かご、それを備える食品用遠心脱水装置および食品搬送用コンベア装置
JP2015231334A (ja) 2014-06-09 2015-12-24 細田工業株式会社 脱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7117B2 (ja) 2021-03-24
WO2018037568A1 (ja) 2018-03-01
TWI687635B (zh) 2020-03-11
CN109310137B (zh) 2021-12-21
JPWO2018037568A1 (ja) 2019-06-20
KR20190007006A (ko) 2019-01-21
CN109310137A (zh) 2019-02-05
TW201807369A (zh)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400B2 (en) Grinding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5237334B2 (ja) 野菜脱水機
JP4824962B2 (ja) 遠心分離脱水装置
KR102304044B1 (ko) 탈수 처리 장치
CN207325311U (zh) 一种用于水稻除尘的震动装置
JP2007029828A5 (ko)
CN206549761U (zh) 具有减震装置的刹菜机
US10631687B2 (en) Vegetable spinners
JP4704201B2 (ja) 加工装置
CN204074155U (zh) 一种煤样制粉装置
MXPA06000355A (es) Procesador vertical de alta velocidad.
CN202566215U (zh) 一种核桃青皮脱离机
CN104069919B (zh) 一种煤样制粉装置
CN103920647B (zh) 一种多因素可调的圆筒筛以及圆筒筛分清选装置
KR101571625B1 (ko) 곡물 기피장치
RU2532147C2 (ru)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с чашей для обработки
KR20200033680A (ko)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US20180192685A1 (en) Machine for peeling bulbs and tubers and peeling blade member applied to machine for peeling bulbs and tubers
KR101961484B1 (ko) 생콩 탈피장치
KR20190016313A (ko) 해산물개체자동분리기
CN112892883A (zh) 一种免除搅拌的粮食筛分设备
JP4402476B2 (ja) 粉砕機
CN211936745U (zh) 一种双孢菇培育原料用的搅拌设备
CN211993195U (zh) 一种设有滚珠减震结构的食物处理装置
CN220547377U (zh) 一种用于茶叶加工的投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