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58B1 -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 Google Patents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58B1
KR102303558B1 KR1020197035034A KR20197035034A KR102303558B1 KR 102303558 B1 KR102303558 B1 KR 102303558B1 KR 1020197035034 A KR1020197035034 A KR 1020197035034A KR 20197035034 A KR20197035034 A KR 20197035034A KR 102303558 B1 KR102303558 B1 KR 10230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portable device
range
uni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749A (ko
Inventor
히로아키 마에하라
류스케 이시카와
다카유키 핫토리
데츠야 미와
다츠히토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352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20987A1/ja
Publication of KR2019014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07C2009/0033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100, 300)가 송신하는 신호를 휴대기(1, 201)가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이며,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중 한쪽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하고, 다른 쪽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3)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8)를 구비한다.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에 있는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4, 209)와, 휴대기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에 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본 출원은, 2017년 6월 2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7-110302호와 2017년 7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7-143911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또는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기능을 실시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열거된 선행 기술문헌의 기재 내용은,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기술적 요소의 설명으로서,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04823호 공보
차량 제어 장치에서는, 웰컴 제어가 고려되어 있다. 웰컴 제어는, 휴대기를 소지한 유저를 차량으로 맞이하기 위한 차량 제어이다. 웰컴 제어는, 예를 들어 룸 램프의 점등 또는 차량의 발판에 마련된 라이트를 점등시키는 제어이다.
차량 제어 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전파로 송신한다. 휴대기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기는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 휴대기는, 판정한 수신 강도의 정보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차량 제어 장치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인 실시 범위 내에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실시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웰컴 제어를 실시한다.
특허문헌 1과 같이, 휴대기가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에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휴대기는, 적어도 실시 범위보다도 넓은 범위에서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추가로,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는 경우, 휴대기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는, 가장 넓은 실시 범위보다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신 범위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실시 범위 외에 존재하는 경우, 휴대기로부터의 송신에 대하여 웰컴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기는, 수신 범위 내이기는 하지만 실시 범위 외에 존재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를 송신해도, 불필요하게 전지의 수명을 저하시켜 버리게 된다. 편리성이라는 하나의 관점에서, 전지의 수명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관점에 있어서, 또는 언급되어 있지 않은 다른 관점에 있어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는 가일층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목적은,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가일층의 목적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면서,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차량 제어 장치와 휴대기를 구비하고,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휴대기가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이며,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의 한쪽인 송신측 장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의 다른 쪽인 수신측 장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를 구비한다.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가,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 양태에 관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에 의하면, 판단부는,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 설정부는,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한다.
이로써, 휴대기가 수신 범위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수신 범위 설정부에 의해, 휴대기가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신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수신 범위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휴대기로 송신하는 변경 요구부와,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는 수신 강도 확인부를 구비한다. 판단부는,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수신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인 실시 범위를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 외에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를 갖는다. 변경 요구부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 외에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기가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를 좁게 하기 위해,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저하 요구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휴대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이며, 응답 요구 신호 및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휴대기 수신부와,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 따라,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는 수신 감도 가변부와,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와, 수신 강도 판정부에서 판정한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휴대기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휴대기는,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가,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4는 수신 범위 및 실시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5는 수신 범위 및 실시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6은 차량 제어 장치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휴대기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워크 어웨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및/또는 구조적으로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관련지어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100 이상의 위치가 다른 참조 부호가 붙는 경우가 있다.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관련지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휴대기)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1)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는 수신측 장치이다. 휴대기(1)는 휴대기 MCU(Micro Control Unit)(2)와, LF 수신부(3)와, LF 수신 안테나(4)와, UHF 송신부(5)와, 송신 안테나(6)를 갖는다.
휴대기 MCU(2)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MCU(2)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기 MCU(2)가 제공하는 수단 및/또는 기능은, 실체적인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및 그것을 실행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만, 하드웨어만, 혹은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기 MCU(2)가 하드웨어인 전자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그것은 다수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디지털 회로, 또는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가변부(7)와 수신 강도 판정부(8)를 갖는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LF 수신부(3)는, 수신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증폭기를 갖는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증폭기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수신 감도는, 증폭기에 흐르게 하는 전류량을 크게 하면 높아진다. 수신 감도는, 증폭기에 흐르게 하는 전류량을 작게 하면 낮아진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가 높을수록,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이 동일해도, 그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진다. 즉, 수신 범위(30)(도 3 참조)가 넓어진다. 이와 같이, 수신 감도 가변부(7)가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면, 수신 범위(30)가 변화된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 범위 설정부에 상당한다.
수신 강도 판정부(8)는 RSSI 회로를 사용하여, LF 수신부(3)에서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 LF 수신부(3)에서 수신하는 전파의 일례는 응답 요구 신호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응답 요구 신호는 강도 판정용 신호에 상당하고, LF 수신부(3)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에 상당한다. RSSI 회로는, 수신 감도 가변부(7)가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는 회로와는 독립되어 있고, 수신 강도는 수신 감도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LF 수신 안테나(4)는,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LF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LF대란, 예를 들어 30㎑ 내지 300㎑의 주파수대이다. LF 수신부(3)는, LF 수신 안테나(4)가 수신한 전파를, 수신 강도 판정부(8)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LF 수신부(3)는, 변환한 신호를 수신 강도 판정부(8)로 출력한다.
휴대기 MCU(2)는, LF 수신 안테나(4)에서 LF대의 전파를 수신한 경우, 응답 신호를 UHF 송신부(5)로 출력한다. 응답 신호는, 수신 강도 판정부(8)에서 판정한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와, 차량(22)과 대응하는 휴대기(1)인 것을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갖는다. 수신 강도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응답 신호는 측정 결과 신호에 상당한다. UHF 송신부(5)는, UHF대의 전파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6)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UHF대란, 예를 들어 300㎒ 내지 3㎓의 주파수대이다. LF 수신부(3)는 휴대기 수신부에 상당한다. UHF 송신부(5)는 휴대기 송신부에 상당한다.
(차량 제어 장치)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는 송신측 장치이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MCU(9)와, LF 송신부(10)와, LF 안테나(11)와, UHF 수신부(12)와, UHF 수신 안테나(13)를 갖는다. 휴대기(1)와 차량 제어 장치(100)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을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으로 한다. 휴대기(1)는, 차량 제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로 한다. 단, 휴대기(1)는,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MCU(9)는,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LF 송신부(10)에 출력한다. LF 안테나(11)는, LF대의 전파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LF 송신부(10)는, LF 안테나(11)를 통해 응답 요구 신호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 송신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이기도 하다.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는, 대조를 행하기 위한 신호의 일부이고, 대조 실시부(19)는, 이들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대조를 행한다. 따라서, 응답 요구 신호는 대조 신호에 상당한다. 또한, LF 송신부(10)는 송신부에 상당한다.
LF 안테나(11)는 차량(22)의 복수의 위치에 분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보닛 내 등 전방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트렁크 하부의 리어 범퍼 내 등 후방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우측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노브 등의 우측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좌측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노브 등의 좌측면에 마련된다. 또한, LF 안테나(11)는, 차량(22)의 차 실내에도 마련된다. 또한, 이들 복수의 위치 모두에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차량(22)의 전방면에 LF 안테나(11)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UHF 수신 안테나(13)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UHF 수신부(12)는, 수신한 응답 신호를 MCU(9)로 출력한다. UHF 수신부(12)는 수신부에 상당한다.
MCU(9)는, 판단부(14)와, 변경 요구부(15)와, 이탈 동작 검출부(16)와, 탑승 동작 검출부(17)와, 수신 강도 확인부(18)와, 대조 실시부(19)와, 이그니션 SW(스위치) 검출부(20)와, 도어록 SW 검출부(21)를 갖는다.
이그니션 SW 검출부(20)는, 차량(22)의 이그니션의 온오프를 검출한다. 도어록 SW 검출부(21)는, 차량(22)의 도어록 장치의 시정 또는 해정을 검출한다. 수신 강도 확인부(18)는, 수신한 응답 신호로부터 휴대기(1)가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확인한다. 수신 강도 확인부(18)는, 확인한 수신 강도를 판단부(14)로 출력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어 간다고 추측할 수 있는 이탈 동작을 검출한다. 이탈 동작이란, 예를 들어 유저가 도어록 장치를 자물쇠를 채운 동작 또는 이그니션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한 동작이다. 또한, 이그니션 오프 후의 도어 개방 동작, 혹은 그 도어 개방 동작에 이어지는 도어 폐쇄 동작을 이탈 동작으로 해도 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이그니션 SW 검출부(20)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탈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이그니션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된 경우,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도어록 SW 검출부(21)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탈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도어록 장치의 시정이 행해진 경우,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유저가 차량(22)의 내부에 탑승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탑승 동작을 검출한다. 탑승 동작이란, 예를 들어 유저가 도어록 기능을 해정한 동작이다. 또한, 도어록 기능의 해정, 즉 도어록의 해제 후의 도어 개방 동작, 혹은 그 도어 개방 동작에 이어지는 도어 폐쇄 동작을 탑승 동작으로 해도 된다.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도어록 SW 검출부(21)의 검출 결과로부터 탑승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도어록 기능이 해정된 경우, 탑승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판단부(14)는,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판단부(14)는, 범위 내 판단부(14a)와,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와, 차량 내부 판단부(14d)를 갖는다.
범위 내 판단부(14a)는, UHF 수신부(12)에 의해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수신 범위(30)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LF 안테나(11)는, 각 LF 안테나(11)를 기점으로 차량(22)의 외부를 향해, 수평면 내의 지향성이 원형으로 되는 전파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22)의 차 실내에도,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차 실내에 하나의 LF 안테나(11)를 도시하고 있지만, 차 실내에 둘 이상의 LF 안테나(11)를 배치해도 된다.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는, LF 안테나(11)를 기점으로 차량의 내부를 향해 전파를 송신한다. 이로써, UHF 수신부(12)는,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도,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차량(22)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신 범위(30)가,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와,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는, 어느 쪽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와,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는, 어느 쪽이 선택적으로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판단은, 차량(22)의 외부를 향해 전파를 송신하는 LF 안테나(11)가 전파를 축차 송신하고 있을 때에 행하는 판단이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 확인부(18)에서 확인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판단 결과는 긍정적으로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범위(31)는, 수신 범위(30)보다도 좁은 범위이다.
실시 범위(31)는,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를 차량(22)에 맞이하기 위한 차량 제어인 웰컴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범위이다. 웰컴 제어한, 예를 들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또는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차량(22)의 도어의 개폐이다. 웰컴 제어란, 예를 들어 룸 램프의 점등 또는 차량의 발판에 마련된 라이트를 점등시키는 제어이다.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 휴대기(1)의 대조를 행한다. 따라서, 실시 범위(31)는, 대조를 행하는 범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웰컴 제어를 실행한다. 실시 범위(31)가 넓을수록 웰컴 제어를 먼 곳으로부터 실시 가능해진다. 실시 범위(31)는, 도난 방지를 위해, 차량(2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범위(31)는, 예를 들어 차량의 주변 1m 이내로 설정된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클수록 차량(22)의 근처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1 역치는, 설정된 실시 범위(31)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에 의해 설정된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판단 결과는 부정적으로 된다.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란,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차량(22)의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로부터 전파가 축차 송신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수신 강도가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2 역치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로부터 전파를 송신하고, 차실의 코너, 혹은 차량(22)의 코너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차실의 코너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그대로 제2 역치로 한다.
변경 요구부(15)는, 수신 범위(30)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LF 송신부(10)로 출력한다. LF 송신부(10)는, LF 안테나(11)로부터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 따라,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수신 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경할 수 있다. 수신 범위(30)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가 낮아질수록 좁아진다.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는, 후술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 및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있다.
변경 요구부(15)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와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갖는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저하 요구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를 좁게 하는 요구이다. 수신 감도 저하 요구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요구이다. 예를 들어,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범위(30)를 소정의 범위씩 좁게 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한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범위(30)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좁혀진다. 또한, 실시 범위(31)는 수신 강도로 정해지고, 또한 수신 강도는 수신 감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신 감도가 저하된 것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좁아져도, 실시 범위(31)의 크기는 변화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가 좁혀짐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점에 존재하고 있다. 휴대기(1)는, 도 5에서의 지점에 있어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는 없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한다.
소정의 범위는,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범위(30)는, 소정의 범위를 크게 설정한 경우,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극단적으로 좁아진다. 수신 범위(30)가 미리 설정된 실시 범위(31)보다도 좁아지는 경우, 실시 범위(31)도 수신 범위(30)와 동일한 범위로 된다. 실시 범위(31)가 극단적으로 좁은 범위로 된 경우, 예를 들어 휴대기(1)를 LF 송신부(10)에 인접하는 지점까지 갖고 가지 않으면 차량(22)의 도어록을 해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가 극단적으로 좁은 범위로 됨으로써, 본래는 웰컴 제어를 실시해야 할 위치임에도, 웰컴 제어를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소정의 범위를 작게 설정한 경우,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를 조금씩 좁게 하게 된다. 조금씩 수신 범위(30)를 좁게 함으로써, 소정의 범위를 크게 설정한 경우에 비해, 휴대기(1)가 존재하는 지점을 포함하지 않도록 좁혀진 수신 범위(30)를 큰 범위로 할 수 있다. 다른 표현을 사용하면, 조금씩 수신 범위(30)를 좁게 함으로써,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휴대기(1)가 존재하는 지점을 겨우 포함하지 않는 범위로 할 수 있다. 동등이란, 조금이라면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보다도 좁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의 95%의 크기라면 동등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퍼센트는 95%에 한정되지 않고, 90% 등 다른 수치여도 된다. 또한, 겨우 포함하지 않는 범위란, 예를 들어 휴대기(1)와 휴대기(1)에 가장 가까운 수신 범위(30)의 가장자리와의 거리가 50㎝인 범위를 나타낸다. 이로써, 수신 범위(30)를 가능한 한 넓게 남길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수신 범위(30)를 휴대기(1)의 위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도록 수신 범위(30)를 좁히는 것이, 휴대기(1)의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휴대기(1)의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우선하는 경우,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외로 되도록,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는, 예를 들어 현재의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유지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는, 예를 들어 수신 범위(30)를 0m 좁게 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웰컴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해 버리면, 실시 범위(31)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실시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수신 범위(30)를 넓게 하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는, 후술하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 및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있다.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탑승 동작 검출부(17)에 의해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범위(30)를 넓게 하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여기서의 수신 범위(30)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이다. 전술한 실시 범위(31)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보다도 좁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차량(22)의 외부에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그 수신 범위(30)에 근접하도록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에 탑승해도, 휴대기(1)의 수신 감도가 저하된 상태에서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는, 차량(22)의 전체를 커버하는 범위로 되지 않는다.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적어도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적어도 차량(22)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어진다.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히는 이유는,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의 어느 것에 존재했다고 해도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휴대기(1)는,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보다도 수신 범위(30)가 좁은 경우, 차량(22)의 내부에 존재했다고 해도,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와 차 실내 대조할 수 없음으로써, 차내 대조를 조건으로 하는 차량 제어, 예를 들어 이그니션 SW를 온으로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 어디에 존재했다고 해도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 범위(30)를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기(1)가 차 실내 혹은 차량(22)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행한다. 따라서,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가 차량(22)의 외측까지 넓어져 있어도, 잘못된 차량 제어를 해 버리는 것은 억제되어 있다.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이탈 동작 검출부(16)에 의해 이탈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보다도 넓게 하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범위(30)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까지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가,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실시 범위(31), 및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하는 범위보다도 넓은 경우에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최대의 수신 범위(30)까지 넓어지게 된다. 유저의 이탈 동작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수신 범위(30)를 넓게 함으로써,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범위를, 본래,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까지 넓게 할 수 있다. 워크 어웨이 제어란,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된 때에 실시하는 차량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는, 예를 들어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면, 개방되어 있는 트렁크 룸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는, 예를 들어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면, 도어록이 실시되는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에서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수신 범위(30)를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조 실시부(19)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갖는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한다. 즉, 휴대기(1)의 정당성 및 유효성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확인한다.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대조라고도 한다. 대조 실시부(19)는, 차량 외측에 수신 범위(30)를 형성하는 LF 안테나(11)를 사용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던 경우, 웰컴 제어 및 워크 어웨이 제어의 실행을 허가한다. 또한, 대조 실시부(19)는, 휴대기(1)가 차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를 사용하여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한다.
(차량 제어 장치의 처리)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22)의 이그니션이 온 및 오프로 되어 있는 동안,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를 항상 행한다. 단, 휴대기(1)가 차량(22) 중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이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대신에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한다.
스텝 S1에서는, MCU(9)는, LF 송신부(10)에 응답 요구 신호를 출력하고,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는, MCU(9)는, UHF 수신부(12)에 의해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MCU(9)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던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2를 실행함으로써 범위 내 판단부(14a)를 제공한다.
스텝 S3에서는, MCU(9)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갖는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스텝 S4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3을 실행함으로써 대조 실시부(19)를 제공한다.
스텝 S4에서는, MCU(9)는, 수신한 응답 신호로부터 휴대기(1)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고,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서는, MCU(9)는,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7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5를 실행함으로써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제공한다. 스텝 S6에서는, MCU(9)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6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제공한다.
스텝 S7에서는,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8로 이행한다.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7을 실행함으로써 탑승 동작 검출부(17)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텝 S7이 긍정 판단된 상태에서는,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
스텝 S8에서는, MCU(9)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스텝 S9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8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제공한다.
스텝 S9에서는,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9를 실행함으로써 이탈 동작 검출부(16)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텝 S9가 긍정 판단된 상태도,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
스텝 S10에서는, MCU(9)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스텝 S11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10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제공한다. 스텝 S11에서는, MCU(9)는, 후술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를 행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휴대기의 처리)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
스텝 S20에서는, 휴대기 MCU(2)는, LF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스텝 S21로 이행한다. 스텝 S21에서는, 휴대기 MCU(2)는, LF 수신부(3)에서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고, 스텝 S22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스텝 S21을 실행함으로써 수신 강도 판정부(8)를 제공한다. 스텝 S22에서는, 휴대기 MCU(2)는, 송신 안테나(6)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4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스텝 S25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스텝 S26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탑승 감도 향상 요구의 어느 것에 의해,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다. 이것 대신에,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탑승 감도 향상 요구의 어느 것이었다고 해도, 동일한 비율만큼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최대의 수신 범위(30)까지 넓어지도록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휴대기 MCU(2)는, 적어도 스텝 S23으로부터 스텝 S26의 어느 것을 실행함으로써 수신 감도 가변부(7)를 제공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와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 이로써,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의 수신 범위(30)를 좁게 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의 수신 범위(30)가 좁아졌다고 해도,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는 경우, 다시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이들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될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유저의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를 넓힐 수 있다. 이로써,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워크 어웨이 처리)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크 어웨이 처리는, 유저의 이탈 동작이 검출된 후,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범위로 넓어진 수신 범위(30)를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스텝 S30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31로 이행한다. MCU(2)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30을 실행함으로써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제공한다.
스텝 S31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스텝 S32로 이행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 아닌 경우, 스텝 S33으로 이행한다. 소정의 시간은, 휴대기(1)가 선반 또는 책상 등의 두는 곳에 놓였다고 추측할 수 있는 시간이면 되고, 예를 들어 30초로 한다. 동일한 값이란, 엄밀하게 동치일 필요는 없고, 휴대기(1)가 이동하지 않는다고 추측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스텝 S32에서는, MCU(9)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스텝 S33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스텝 S33으로 이행하고,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소정의 상승은, 유저가 차량(22)으로 가까워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적어도 스텝 S31 내지 스텝 S33의 어느 것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제공한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감도 저하 요구부(15a)에 의해,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가 좁혀진다.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회신하는 횟수가 적어진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또한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소정의 시간, 두는 곳에 놓여진 경우,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 이로써,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가 조정된다.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외에 존재함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을 반복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수신 범위(30)를 넓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수신 범위(30)의 광역화가 가능해진다.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1)가 수신 가능한 범위의 광역화와,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개시는, 예시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는, 예시된 실시 형태와, 그것들에 기초하는 당업자에 의한 변형 양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시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난 부품 및/또는 요소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는, 다양한 조합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개시는, 실시 형태에 추가 가능한 추가적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개시는, 실시 형태의 부품 및/또는 요소가 생략된 것을 포함한다. 개시는, 하나의 실시 형태와 다른 실시 형태 사이에 있어서의 부품 및/또는 요소의 치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는, 실시 형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되는 몇 가지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범위(30)를 소정의 범위 좁게 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이것 대신에,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범위 내 판단부(14a)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휴대기(1)의 회신이 없어질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회신하는 횟수가 적어진다.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감도 저하 요구부(15a)에 의해,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를 좁힌다.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외에 존재함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이것 대신에, LF 송신부(10)는, 송신 출력을 변화시키면서 복수회, 응답 요구 신호를 휴대기(1)로 송신해도 된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송신 출력마다의 휴대기(1)로부터의 회신의 유무에 의해,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탑승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한 때(S7: 예), 이탈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한 때(S9: 예)에,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 S7, S9가 긍정 판단된 상태에서는,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대조를 행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수신 강도로 판단한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하여, 대조가 성립된 시점에서,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이 감도 향상 요구가 지시하는 감도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와 동일해도 되고,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동일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감도 향상 요구는 1종류이다.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 있으면, 감도를 저하시키고 있어도, 휴대기(1)는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한다. 따라서,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한 후라면,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켜 둘 필요는 없다. 즉,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간 후라면, 휴대기(1)의 감도를 향상시켜도 문제 없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한 후에 실행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되고, 또한 소정의 시간 동일한 수신 강도이거나, 혹은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때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된 것만을 갖고,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이탈 감도 향상 요구 이외의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에, 수신 강도의 판단을 행해도 된다. 또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된 것은,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것을 의미한다.
즉,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를 갖고 있는 응답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100)로 송신하고 있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그 수신 감도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강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201)가 스스로 수신 감도의 저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도 9에 제6 실시 형태의 휴대기(20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 제6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201)는, MCU(2)가 판단부(209)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209)는, 수신 강도 판정부(8)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인지를 판단한다. 수신 강도와 전파 발신원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관이 있고, 거리와 수신 강도는 상관이 있다. 따라서, 수신 강도로부터,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기(201)는, 실시 범위(31)의 경계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기억하고 있다. 실시 범위(31)의 경계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는, 전술한 제1 역치이다.
즉, 판단부(209)는, 수신 강도 판정부(8)가 판정한 수신 강도와 제1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209)는,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지시하여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낸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정도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도 된다.
단,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라고 판단해도, 차량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커맨드로 지시된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동안은,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출력한다.
또한,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라고 판단한 경우이며, 수신 감도가 저하되어 있을 때에는,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지시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정도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도 된다.
도 10에 제6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차량 제어 장치(300)의 MCU(9)는, 저하 억제 지시부(315)를 구비하고 있다. 저하 억제 지시부(315)는, 이탈 동작 검출부(16)가 이탈 동작을 검출한 경우, 응답 요구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시켜 송신한다.
이 커맨드에 의해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감도 저하 억제의 내용은,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감도 저하를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보다도 넓은 범위로 설정된 역치 저하 범위를 나올 때까지 수신 감도 저하를 금지한다는 지시여도 된다. 또한, 휴대기(201)는, 역치 저하 범위를 나왔는지 여부를, 수신 강도로 판단하게 된다.
이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실시 범위(31)보다도 외측에서도, 일시적으로, 휴대기(201)와의 통신이 필요한 차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커맨드로 지시한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면, 휴대기(201)는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므로, 전지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제7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 혹은 향상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키고 있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전파의 강도는 변화시키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전파의 강도는 변화시켜도, 수신 범위(30)는 변화된다.
그래서,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가,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LF 송신부(10)로부터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저하시킨다. 송신 전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한다.
(제8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측 장치이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강도 판정용 신호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휴대기(1)를 수신측 장치로 하고 있고, 휴대기(1)가 수신 강도를 판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를 송신측 장치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를 수신측 장치로 한다. 따라서, 휴대기(1)가 송신하는 신호(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강도 판정용 신호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송신하는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 강도 확인부(18)가 수신 강도를 확인한 후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킨다.
(제9 실시 형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기(1)를 송신측 장치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를 수신측 장치로 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의 처리는, 제7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LF 송신부(10)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킨다.
(제10 실시 형태)
차량 제어 장치(100, 300)가 송신에 사용하는 전파, 즉, 휴대기(1, 201)가 수신에도 사용하는 전파는 LF대 이외의 주파수대, 예를 들어 VLF대, UHF대로 해도 된다. 이 UHF대는, UHF 수신부(12)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일한 주파수대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기가 회신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와,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하는 판단부(14)와,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가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수신 범위(30)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변경 요구부(15)와,
    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는 수신 강도 확인부(18)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상기 수신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인 실시 범위(31)를 설정하고,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갖고,
    상기 변경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상기 수신 범위를 좁게 하기 위해,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갖고,
    상기 변경 요구부는,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상기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갖고,
    상기 휴대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는 대조 실시부(19)를 구비하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대조 실시부가 상기 휴대기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신 강도가, 상기 휴대기가 상기 실시 범위 또는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 범위를 소정의 범위씩 좁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는, 판단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실시 범위 내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실시 범위 내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탑승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탑승 동작을 검출하는 탑승 동작 검출부(17)를 더 갖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탑승 동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휴대기가 상기 차량 내부에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인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 간다고 추측할 수 있는 이탈 동작을 검출하는 이탈 동작 검출부(16)를 더 갖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이탈 동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탈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인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97035034A 2017-06-02 2018-03-30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KR102303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0302 2017-06-02
JP2017110302 2017-06-02
JP2017143911A JP6822340B2 (ja) 2017-06-02 2017-07-25 車両制御装置
JPJP-P-2017-143911 2017-07-25
PCT/JP2018/013521 WO2018220987A1 (ja) 2017-06-02 2018-03-30 受信範囲可変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および携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49A KR20190141749A (ko) 2019-12-24
KR102303558B1 true KR102303558B1 (ko) 2021-09-17

Family

ID=649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34A KR102303558B1 (ko) 2017-06-02 2018-03-30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22340B2 (ko)
KR (1) KR102303558B1 (ko)
DE (1) DE112018002777T5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946A (ja) * 2004-09-21 2006-04-06 Tokai Rika Co Ltd 携帯機
JP2011223499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5113644A (ja) * 2013-12-12 2015-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15137502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904B2 (ja) * 2005-08-01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3224566A (ja) * 2012-04-23 2013-10-31 Aisin Seiki Co Ltd 解錠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解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7762B2 (ja) 2015-04-15 2018-06-2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946A (ja) * 2004-09-21 2006-04-06 Tokai Rika Co Ltd 携帯機
JP2011223499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5113644A (ja) * 2013-12-12 2015-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15137502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2777T5 (de) 2020-03-05
JP2018207464A (ja) 2018-12-27
KR20190141749A (ko) 2019-12-24
JP6822340B2 (ja)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025B2 (en)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5966350B (zh) 车辆无线通信系统、车辆控制装置、以及便携式机器
US9965912B2 (en) On-vehicle apparatus control system, on-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machine
JP7009328B2 (ja) 距離測定システム
KR101320832B1 (ko) 전파 송수체의 검출 장치,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JP4534921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両側ユニット及び携帯機
US9396597B2 (en) Smart entry system
US10431027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and portable device
JP6241299B2 (ja) 車両電子キーシステム
US1044239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9384610B2 (en) On-board apparatus control system
JP5918101B2 (ja) キー位置判定装置
JP2014206495A (ja) 携帯端末の位置検出装置
CN110603176B (zh) 接收范围可变系统、车辆控制装置及便携设备
US20220058899A1 (en) Smart key storage case for vehicle
KR102303558B1 (ko)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JP201212222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533428B1 (ko) 스마트키의 이동경로를 이용한 릴레이 스테이션 어택 방지방법
JP2019126010A (ja) 車載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150011032A (ko) 도어 및 트렁크 개방 기능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17135560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載機及び携帯機
JP7159652B2 (ja) 車両用報知装置
KR102303232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76374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方法
JP6048185B2 (ja) 扉施錠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