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50B1 - 컵 뚜껑 - Google Patents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50B1
KR102303350B1 KR1020190139278A KR20190139278A KR102303350B1 KR 102303350 B1 KR102303350 B1 KR 102303350B1 KR 1020190139278 A KR1020190139278 A KR 1020190139278A KR 20190139278 A KR20190139278 A KR 20190139278A KR 102303350 B1 KR102303350 B1 KR 10230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marble
beads
gui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547A (ko
Inventor
정재국
Original Assignee
정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국 filed Critical 정재국
Priority to KR102019013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이 넘어지더라도 컵의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컵 뚜껑은,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 상기 음료 배출공에 선단부가 연통되는 안내로; 상기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슬; 및 상기 안내로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슬 이동 허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뚜껑은, 물 등의 음료가 채워진 컵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컵 뚜껑은, 음료의 보냉 기능, 음료의 넘침 방지 기능,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1은 기존의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컵 뚜껑(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21)와,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잡고 음료 배출공(22)이 입을 향하도록 컵(10)을 들어 기울이면, 컵(10)의 음료가 음료 배출공(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컵 뚜껑(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지면 컵 뚜껑(20)의 음료 배출공(22)을 통해 컵(20)의 음료가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에는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넘어질 경우에는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는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 상기 음료 배출공에 선단부가 연통되는 안내로; 상기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슬; 및 상기 안내로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슬 이동 허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해 상기 구슬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 일단이 연통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안내하는 메인 안내부; 및 상기 메인 안내부의 타단에서 각 일단이 좌우로 분지되고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의 좌우측에 각 타단이 연통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구슬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구슬이 걸리도록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구슬보다 직경이 큰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음료 배출공과 상기 뚜껑 몸체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내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 그리고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내부는, 상기 가상선의 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는, 상기 메인 안내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벌어지다가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인접할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상기 안내로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키는 음료 회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배출공은, 상기 뚜껑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뚜껑 몸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슬은, 음료 아래로 가라 앉을 수 있도록 쇠구슬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와, 음료 배출공과, 안내로와, 구슬과,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를 포함하고, 구슬은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의해 구슬이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의해 구슬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구슬이 음료 배출공을 막을 수 있어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로는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컵이 테이블 등에 서 있을 경우에는 구슬이 경사진 안내로를 따라 후퇴되어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을 테이블 등에 세우는 것으로 구슬의 위치를 초기 상태(즉, 안내로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음료 배출공을 통해 나오는 음료의 향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음료 배출공을 향해 구슬의 이동을 허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이 안내로의 말단부에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오뚝이"의 원리와 같이 음료 배출공이 항상 아래를 향하게 되고 구슬이 음료 배출공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을 막아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 구슬이 걸리도록 음료 배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을 가지는 기술구성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이 정지홈에 걸려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슬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구슬이 정지홈에서 이탈된 후 음료 배출공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을 막아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로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키는 음료 회수공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음료 배출공을 통해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가 안내로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컵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안내로에서의 구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내로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컵 뚜껑을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컵 뚜껑을 V-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컵 뚜껑을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컵 뚜껑을 V-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110)와, 음료 배출공(120)과, 안내로(130)와, 구슬(140)과,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뚜껑 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 뚜껑(100)의 몸체의 이루며 컵(10)의 상부 개방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뚜껑 몸체(110)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료 배출공(120)은,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컵의 음료를 실질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음료 배출공(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11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배출공(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로(130)는, 음료 배출공(120)을 향하거나 그 반대를 향해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에 그 선단부가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컵(10)의 음료가 안내로(130)를 거쳐 음료 배출공(120)을 배출되도록, 안내로(130)의 선단부에는 음료 배출공(120)에 대응되게 보조 음료 배출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슬(140)은, 안내로(130)를 따라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닫거나 그 반대를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열기 위한 마개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슬(14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음료 배출공(12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컵(10)을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의해 구슬(140)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도 5 참조),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의해 구슬(140)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구슬(140)이 음료 배출공(120)을 막을 수 있어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6 참조).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안내로(130)와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안내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컵(10)이 테이블 등에 서 있을 경우에는 구슬(140)이 경사진 안내로(130)를 따라 후퇴되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10)을 테이블 등에 세우는 것으로 구슬(140)의 위치를 초기 상태[즉,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배출공(120)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나오는 음료의 향을 사용자가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안내부(131)와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안내부(131)는 음료 배출공(120)에 그 일단이 연통될 수 있으며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는 이의 각 일단이 메인 안내부(131)의 타단에서 좌우로 각각 분지될 수 있고 이의 각 타단이 구슬 이동 허여부(150)의 좌우측에 각각 연통될 수 있으며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컵(10)이 넘어질 경우,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위치된 구슬(140)은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되고 메인 안내부(131)를 거쳐 음료 배출공(120)을 닫을 수 있다.
한편,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구슬(140)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의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고, 구슬(140)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구슬(14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140)이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5 참조)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10)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오뚝이"의 원리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이 항상 아래를 향하게 되고 구슬이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막아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나아가,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140)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 구슬(140)이 걸리도록 음료 배출공(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15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140)이 정지홈(151)에 걸려 안내로(130)의 말단부[즉,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구슬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도 5 참조),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10)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구슬(140)이 정지홈(151)에서 이탈된 후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막아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보다 직경이 큰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과 뚜껑 몸체(110)의 중심(C10)을 잇는 가상선(L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안내부(131),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안내부(131)는 가상선(L10)의 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는 메인 안내부(131)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벌어지다가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인접할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뚜껑 몸체(110)의 중심(C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회수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회수공(160)은 안내로(130)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로(130)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음료의 보다 원활한 회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회수공(160)은, 안내로(130)의 가장 낮은 부분을 포함하여 안내로(13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안내로(130)로 유입된 음료가 안내로(130)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컵(1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안내로(130)에서의 구슬(14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내로(130)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컵 100: 컵 뚜껑
110: 뚜껑 몸체 120: 음료 배출공
130: 안내로 131: 메인 안내부
132a: 제1 중간 안내부 132b: 제2 중간 안내부
140: 구슬 150: 구슬 이동 허여부
151: 정지홈 160: 음료 회수공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
    상기 음료 배출공에 선단부가 연통되는 안내로;
    상기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슬; 및
    상기 안내로에 구비되는 구슬 이동 허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해 상기 구슬의 이동을 허용하는
    컵 뚜껑.
KR1020190139278A 2019-11-04 2019-11-04 컵 뚜껑 KR10230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ko) 2019-11-04 2019-11-04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ko) 2019-11-04 2019-11-04 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47A KR20210053547A (ko) 2021-05-12
KR102303350B1 true KR102303350B1 (ko) 2021-09-16

Family

ID=7591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ko) 2019-11-04 2019-11-04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3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4930A (ja) 2005-07-07 2008-12-11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的に飲料容器の蓋を封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0215250A (ja) 2009-03-16 2010-09-30 Lion Corp 液体計量注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694A (ko) * 2012-05-09 2013-11-19 전필동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KR20170020126A (ko) * 2015-08-13 2017-02-22 양정필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4930A (ja) 2005-07-07 2008-12-11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的に飲料容器の蓋を封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0215250A (ja) 2009-03-16 2010-09-30 Lion Corp 液体計量注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47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JP4981674B2 (ja) 凸状の滴ランディング面を有するドリップトレイを持つ飲料供給装置
KR102303350B1 (ko) 컵 뚜껑
US6755328B1 (en) Multiple spout pitcher for pouring an iced beverage alone or with ice
US6439676B1 (en) Cabinet for storing soiled clothes preparatory to washing
US6494129B2 (en) Device for preparing coffee, tea or milk beverage
JP6639241B2 (ja) 飲料容器の蓋体
KR101232833B1 (ko) 토출수 반전구
JP6919153B2 (ja) 水洗大便器
KR200492195Y1 (ko) 컵 커버
JP2009011498A (ja) 塵取り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JP2020158120A (ja) 飲料容器
KR200433734Y1 (ko) 스트로를 갖는 음료용기의 압력 평형 밸브
KR200483188Y1 (ko) 일회용 컵 뚜껑
KR101027822B1 (ko) 배출구에 회수홈이 형성된 자기 용기
KR100437129B1 (ko) 분말용기용 뚜껑
KR20160021221A (ko) 확장가능 대걸레 버킷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JP2005068582A5 (ko)
KR101458867B1 (ko) 음료 테이크 아웃(take-out)용 컵 리드
CA2417447C (en) An easily carried eye rinsing device
CN210697378U (zh) 一种具有切菜功能的沥水篮
KR102250271B1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