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694A -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694A
KR20130125694A KR1020120059079A KR20120059079A KR20130125694A KR 20130125694 A KR20130125694 A KR 20130125694A KR 1020120059079 A KR1020120059079 A KR 1020120059079A KR 20120059079 A KR20120059079 A KR 20120059079A KR 20130125694 A KR20130125694 A KR 2013012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lid
beverage container
beverag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필동
Original Assignee
전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필동 filed Critical 전필동
Publication of KR2013012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뚜껑 중앙 소정부에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가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발효 가스는 외부로 유출시키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킴으로써 발효가 진행되어도 용기가 터지지 않고 냉장상태에서 발효음료를 유통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높고 생존 유산균의 숫자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발효가스는 자동으로 배출하고 강한 외력작용시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유산균과 같은 발효음료를 냉장상태가 아닌 상온상태에서 보관이나 유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매우 높고, 상온상태의 보관으로 인해 유산균의 사멸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FERMENTATIVE VESSEL COVER OF AUTO CONTROL OF GAS PRESSURE}
본 발명은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용기의 뚜껑 중앙 소정부에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가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발효 가스는 외부로 유출시키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음료 용기는 용기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뚜껑을 돌려서 용기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면 용기 몸체의 내용물을 소비자가 마실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는 상온에서 내용물의 부피 변화가 없는 음료의 경우에는 좀더 간편하게 보관이나 유통이 가능하지만, 발효 음료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르게 상온에서 내용물의 부피 변화가 생긴다.
즉, 유산균과 같은 발효 음료의 경우에는 음료 용기 내에서 유산균이 생식하면서 발효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부피의 변화가 생기게 되고, 그로인해 발효가 억제되는 냉동탑차 등에 보관되어 유통되고, 진열시에도 냉장상태에서의 보관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효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산균의 발효를 억제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유산균이 상당비율 사멸되어 실제 유산균으로써의 기능적인 면을 포기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이러한 발효 음료를 상온에 방치하게 된다면 유산균의 생식이 진행되어 음료가 부피 팽창함으로써 용기가 터지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의 뚜껑 중앙 소정부에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가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발효 가스는 외부로 유출시키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킴으로써 발효가 진행되어도 용기가 터지지 않고 냉장상태에서 발효음료를 유통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높고 생존 유산균의 숫자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 음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음료용기의 출구부(8)에 결합되어 그 출구부(8)를 폐쇄시키는 뚜껑몸체(12)와; 내부의 발효음료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뚜껑몸체(12)의 중앙에 배출공(14)이 형성되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뚜껑몸체(12)의 중앙 소정부에 구비된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와; 상기 뚜껑몸체(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보조커버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몸체(12)와 보조 커버판(50)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몸체(12)는 그 상단 가장자리 소정부에 복수개의 가스배출홈(13a)이 형성되고, 그 가스배출홈(13a)은 상기 배출공(14)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몸체(12)는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하방으로부터 요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 결합리브(16)가 원통형으로 하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리브(16)는 그 외주연 소정부에 외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결합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자동밸브(40)를 내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하부 중앙에 유출공(24)이 형성되고, 내주연 소정부에 결합홈(26)이 형성된 밸브캡(22)과; 상기 밸브캡(22)에 의해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상시 폐쇄되며 내부 압력으로 개방되는 개폐구(48)가 그 상단의 출구부(46)에 형성되고, 그 하단 외주연에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된 자동밸브(40)와; 상기 밸브캡(22)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용물의 유동 압력으로 자동밸브(40)의 하단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어 자동밸브(40)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재(32)의 직경은 상기 밸브캡(22)의 유출공(24) 내경보다 크고, 상기 자동밸브(4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밸브캡(22)의 내경보다 작아서 자동밸브(4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밸브(40)는 그 하면에 상기 차단부재(32)와 대응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재(32)는 구형 또는 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구(48)는 상시 밀착된 상태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은 발효가스는 자동으로 배출하고 강한 외력작용시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유산균과 같은 발효음료를 냉장상태가 아닌 상온상태에서 보관이나 유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매우 높고, 상온상태의 보관으로 인해 유산균의 사멸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10)은 용기의 뚜껑 중앙 소정부에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가 장착되어 용기 내부의 발효 가스는 외부로 유출시키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킴으로써 발효가 진행되어도 용기가 터지지 않고 냉장상태에서 발효음료를 유통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높고 생존 유산균의 숫자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 수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10)은 그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로 인해 음료용기(2)를 뒤집거나 흔들어 마시는 경우에도 음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2)는 그 외형을 살펴보면 일반 음료용기와 유사하게 발효 음료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부에 내용물을 유출하도록 출구부(8)가 형성된 용기몸체(4)와, 그 용기몸체(4)에 결합되는 뚜껑(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10)은 상기 음료용기의 출구부(8)에 뚜껑몸체(12)가 결합되어 출구부(8)를 폐쇄시키며, 내부의 발효음료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는 외부로 유출시키는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뚜껑(10)에 결합되는 바, 뚜껑몸체(12)는 그 중앙부가 하방으로 인입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인입된 부분에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요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뚜껑몸체(12)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관시 음료용기의 적층이 용이하다.
상기 용기몸체(4)와 뚜껑(10)은 일반 용기와 동일하게 뚜껑몸체(12)의 내주연에 형성된 수나사(9)와, 용기몸체(4)의 출구부 외주연에 형성된 암나사(6)의 체결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뚜껑(10)은 그 중앙 소정부에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내부의 발효음료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뚜껑몸체(12)의 중앙에 배출공(14)이 형성되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2)는 상기 뚜껑몸체(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보조커버판(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뚜껑몸체(12)와 보조 커버판(50)은 나사결합된 바, 상기 뚜껑몸체(12)는 상면 중앙 소정부에 배출공(14)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배출공(14)을 통해 내부의 발효 가스가 용이하게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몸체(1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턱(19)이 형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배출공(14)을 통해 내부의 발효 가스가 용이하게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공(14)의 주변에는 복수의 이격돌기(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커버판(50)이 눌리더라도 상기 이격돌기(15)에 의해 보조커버판(50)이 배출공(14)을 임의로 막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몸체(12)는 그 상단 가장자리 소정부 즉, 상기 가장자리턱(19)과 수나사(13)를 통해 배출 가스가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장자리턱(19)과 수나사(13)에는 복수개의 가스배출홈(13a)이 형성되고, 그 가스배출홈(13a)은 상기 배출공(14)과 연통된다.
미설명부호 52는 보조커버판(50)의 몸체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은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하방으로부터 요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 결합리브(16)가 형성되는 바, 그 결합리브(16)는 상기 뚜껑몸체(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상의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결합리브(16)의 내부로 요입될 수 있게 그 결합리브(16)도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뚜껑몸체(12)의 중앙부에는 배출공(14)이 천공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를 결합리브(16)에 결합하기 전에는 상기 결합리브(16)와 배출공(14)이 연통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16)는 그 외주연 소정부에 외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결합돌기(18)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8)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은 발효 음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음료용기의 출구부(8)에 뚜껑몸체(12)가 결합되어 출구부(8)를 폐쇄시키며, 내부의 발효음료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뚜껑몸체(12)의 중앙 소정부에 구성된 바,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상시 용기몸체(4)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임계압력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 압력이 임계압력 이상인 경우에는 내부의 압력요소인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방되고, 그로인해 내부 압력이 임계압력 이하로 유지되면 다시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폐쇄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자동밸브(40)를 내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하부 중앙에 유출공(24)이 형성되고, 내주연 소정부에 결합홈(26)이 형성된 밸브캡(22)과; 상기 밸브캡(22)에 의해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상시 폐쇄되며 내부 압력으로 개방되는 개폐구(48)가 그 상단의 출구부(46)에 형성되고, 그 하단 외주연에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된 자동밸브(40)와; 상기 밸브캡(22)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용물의 유동 압력으로 자동밸브(40)의 하단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어 자동밸브(40)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32)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4)의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가스는 압력으로 나타나게 되고 상기 자동밸브(40)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바, 사용자가 그 용기몸체(4)를 손으로 강하게 파지한다거나 용기몸체(4)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 용기몸체(4)에는 강한 외부 압력이 작용된다.
즉, 용기몸체(4)의 내부에는 발효가스보다 월등히 큰 압력이 작용되는 바, 그 압력은 발효가스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밸브(40)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되면 용기몸체(4)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어 해당 음료는 판매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을 구성하는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에는 용기몸체(4)에 가해지는 강한 압력에 대응하여 유통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차단부재(32)가 구성된다.
이를 통해, 용기몸체(4)에 가해지는 강한 압력은 내용물을 외부로 빠른 속도로 토출시키는 힘으로도 작용하지만, 상기 유통로 상에 구성된 차단부재(32)를 배출공(14)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32)는 상기 배출공(14)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상기 자동밸브(40)의 내경보다 차단부재(32)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차단부재(32)는 자동밸브(40)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고, 더불어 자동밸브(40)의 하단에 차단부재(32)에 대응되는 라운드면(45)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차단부재(32)는 자동밸브 몸체(42)의 하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내용물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부재(32)가 구형인 상태의 예를 설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을 구성하는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를 이루는 자동밸브(40)는 상기 결합리브(16)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 자동밸브(40)가 결합리브(16)의 내측으로 계속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밸브(40)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되고 그 걸림돌기(44)는 결합리브(16)의 하면인 진입방지턱(17)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16)의 내부에 상기 자동밸브(40)가 요입된 상태에서 자동밸브(40)가 뚜껑몸체(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리브(16)의 하단에는 밸브캡(22)이 결합되는 바, 밸브캡(22)의 내부에는 차단부재(32)를 안착한 상태에서 결합을 시도한다.
상기 밸브캡(22)의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리브(16)의 결합돌기(18)에 결합되는 결합홈(26)이 형성되는 바, 그 결합홈(26)은 상기 결합돌기(18)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캡(22)을 결합리브(16)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올리면서 결합시키면 상기 밸브캡(22)은 상단 내경이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리브(16)의 하단이 밸브캡(22)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결합되는 바, 이때 결합홈(26)은 상기 결합돌기(18)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밸브캡(22)의 해체는 상기 결합리브(16)에 대한 결합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밸브캡(22)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밸브캡(22)의 상단 내경이 벌어지면서 결합홈(26)이 상기 결합돌기(18)로부터 이탈되어 해체된다.
이는 조립시 편의성이 매우 높은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캡(22)과 결합리브(16)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자동밸브(40)와 차단부재(32)는 상기 밸브캡(22)과 결합리브(16)가 해체되지 않는 한, 뚜껑몸체(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자동밸브(4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밸브캡(22)의 내경보다 작아서 자동밸브(4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32)의 직경은 상기 밸브캡(22)의 유출공(24) 내경보다 크고, 상기 자동밸브(4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밸브캡(22)의 내경보다 작아서 자동밸브(4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에 대한 동작상태 및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시 발효음료의 용기뚜껑에 구성된 자동밸브(4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온에서 발효음료가 유통이나 보관될 경우, 그 발효음료를 구성하는 유산균은 지속적으로 증식하면서 발효 가스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발효가스는 상기 용기몸체(4)의 출구부(8)를 거쳐 상기 뚜껑(10)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 뚜껑(10)은 용기몸체(4)에 강력하게 체결된 상태이므로 발효가스는 외부방향으로 팽창하는 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발효음료의 용기내에서 형성된 압력은 대기압보다 큰 압력이 된다.
따라서, 내부 압력은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 즉, 밸브캡(22)에 형성된 유출공(24)을 통과하여 자동밸브(40)에도 가해지는 바, 더욱 정확하게는 자동밸브(40)의 개폐구(48) 내부에도 용기 내부의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내부압력은 유출공(24)을 동시에 통과하게 되고 자동밸브(40)의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를 통해, 그 압력이 상기 개폐구(48)의 밀착면을 양측으로 벌어지게 한다. 상기 개폐구(48)가 개방되면 용기 내부의 발효 가스가 뚜껑몸체(12)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공(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그로인해 용기몸체(4)가 터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4)을 통해 뚜껑(10)의 외부로 배출된 가스는 뚜껑(10)의 상단에 결합된 보조커버판(50)과 뚜껑(10)의 이격공간에 채워지는 바, 보조커버판(50)과 뚜껑(10)의 이격공간 내부의 압력이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스배출홈(13a)을 따라 가스는 보조커버판(50)과 뚜껑(10)의 이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발효 가스는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만, 보조커버판(50)이 상단에 덮혀져 있으므로 발효 가스의 배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도 어렵고,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14)을 통해 용기 내부로 역류하지도 않게 된다.
또한, 발효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하는 임계압력 이하로 내부 압력이 감소하면, 상기 개폐구(48)는 원형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은 유통이나 보관시 효과적으로 내부의 발효가스(ⓐ 유통방향)만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부 압력을 강하되게 조절하며 개폐구(48)는 순간적으로 벌어졌다가 닫히게 되므로 발효 음료의 내용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2)를 강하게 파지한다거나 용기몸체(4)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 용기몸체(4)에는 강한 외부 압력이 작용된다.
즉, 용기몸체(4)의 내부에는 발효가스보다 월등히 큰 압력이 작용되는 바, 그 압력은 발효가스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밸브(40)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개폐구(48)가 벌어지게 되면 강한 압력은 내용물을 외부로 빠른 속도로 토출시키는 힘으로도 작용하지만, 동시에 상기 유통로 상에 구성된 차단부재(32)를 배출공(14)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방향).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32)는 상기 배출공(14)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상기 자동밸브(40)의 내경보다 차단부재(32)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차단부재(32)는 자동밸브(40)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고, 더불어 자동밸브(40)의 하단에 차단부재(32)에 대응되는 라운드면(45)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차단부재(32)는 자동밸브 몸체(42)의 하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내용물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용기를 더 이상 누르지 않는다거나 하여 용기몸체(4)에 가해진 외력이 소진되면 상기 차단부재(32)에 가해진 압력도 소진되어 차단부재(32)는 다시 상기 자동밸브(40)와 밸브캡(22)의 내부의 제한된 범위내에서 자유 유동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의 뚜껑(10)은 유산균과 같은 발효음료를 냉장상태가 아닌 상온상태에서 보관이나 유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매우 높고, 상온상태의 보관으로 인해 유산균의 사멸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6. 7을 통해서는 차단부재(32)가 원판형인 구조를 예시하는 바, 상온에서 발효음료가 상기 용기몸체(4)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유통이나 보관될 경우, 그 발효음료를 구성하는 유산균은 지속적으로 증식하면서 발효 가스가 발생된다.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내부에 차단부재(3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 보다 상세하게 그 수용공간은 밸브캡(22)의 내부이다. 즉, 밸브캡(22)의 내부에서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차단부재(32)가 유동되는 바, 바람직하게, 자동밸브(40)의 하단은 편평한 면을 갖게 되어 상기 원판형상의 차단부재(32)가 강한 압력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상기 자동밸브(40)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 자동 조절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용기, 4:용기몸체,
10:뚜껑, 13a:가스배출홈,
15:이격돌기, 20:자동가스압력조절부,
22:밸브캡, 24:유출공,
32:차단부재, 40:자동밸브,
48:개폐구.

Claims (10)

  1. 발효 음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음료용기의 출구부(8)에 결합되어 그 출구부(8)를 폐쇄시키는 뚜껑몸체(12)와;
    내부의 발효음료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뚜껑몸체(12)의 중앙에 배출공(14)이 형성되고 강한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뚜껑몸체(12)의 중앙 소정부에 구비된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와;
    상기 뚜껑몸체(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보조커버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몸체(12)와 보조 커버판(50)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몸체(12)는 그 상단 가장자리 소정부에 복수개의 가스배출홈(13a)이 형성되고, 그 가스배출홈(13a)은 상기 배출공(14)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몸체(12)는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가 하방으로부터 요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 결합리브(16)가 원통형으로 하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16)는 그 외주연 소정부에 외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결합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20)는 자동밸브(40)를 내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하부 중앙에 유출공(24)이 형성되고, 내주연 소정부에 결합홈(26)이 형성된 밸브캡(22)과;
    상기 밸브캡(22)에 의해 뚜껑몸체(12)에 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상시 폐쇄되며 내부 압력으로 개방되는 개폐구(48)가 그 상단의 출구부(46)에 형성되고, 그 하단 외주연에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된 자동밸브(40)와;
    상기 밸브캡(22)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용물의 유동 압력으로 자동밸브(40)의 하단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어 자동밸브(40)의 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2)의 직경은 상기 밸브캡(22)의 유출공(24) 내경보다 크고, 상기 자동밸브(4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밸브캡(22)의 내경보다 작아서 자동밸브(4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밸브(40)는 그 하면에 상기 차단부재(32)와 대응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2)는 구형 또는 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48)는 상시 밀착된 상태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KR1020120059079A 2012-05-09 2012-06-01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KR20130125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34 2012-05-09
KR20120049334 201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94A true KR20130125694A (ko) 2013-11-19

Family

ID=4985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79A KR20130125694A (ko) 2012-05-09 2012-06-01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65A1 (ko) * 2014-10-31 2016-05-06 김무철 발효 음료 용기의 뚜껑
KR20210053547A (ko) * 2019-11-04 2021-05-12 정재국 컵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65A1 (ko) * 2014-10-31 2016-05-06 김무철 발효 음료 용기의 뚜껑
KR20210053547A (ko) * 2019-11-04 2021-05-12 정재국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147B2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adjustable flow rate
US10232987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AU2008321472B2 (en) Vacuum container having air release valve cover
US8573431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US8727151B2 (en) Assembly of a container and a closure
US20100212351A1 (en) Cooler chest for dispensing beverages
US20150230651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built-in infuser and passive cooling element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WO2011090249A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US20130277326A1 (en) Drinks bottle
US6843062B2 (en)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US20120205384A1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s
KR20130125694A (ko) 내부 가스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음료용기 뚜껑
KR20160149413A (ko)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음료 공급 방법
CA2827436A1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KR20210049667A (ko) 쿨러 박스
KR20170020126A (ko)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CN116142629A (zh) 将内容物从分开的杯子同时送入使用者口中的杯子系统
KR20130006629U (ko) 자동 가스압력 조절부가 구비된 견고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CN221036313U (zh) 一种冰箱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210000985U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MX2013009729A (es) Filtro portatil de agua, apli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