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35B1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35B1
KR102300635B1 KR1020140162250A KR20140162250A KR102300635B1 KR 102300635 B1 KR102300635 B1 KR 102300635B1 KR 1020140162250 A KR1020140162250 A KR 1020140162250A KR 20140162250 A KR20140162250 A KR 20140162250A KR 102300635 B1 KR102300635 B1 KR 102300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eripheral
peripheral portion
spool
fishing line
predetermin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60A (ko
Inventor
아츠시 카와마타
히로키 오고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11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 내로부터 꺼내기 쉽게 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10)을 구비한다. 릴 본체(1)는, 내측에 개구(開口)한 제1 스풀 수용부(14a)를 가진다. 스풀(10)은,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10b)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0b)의 외주부(16)는, 제1 외주부(16a)와, 제2 외주부(16b)와, 제1 연결부(16c)를 가진다. 제1 외주부(16a)는, 제1 스풀 수용부(14a)의 내주부(18)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배치된다. 제2 외주부(16b)는, 제1 스풀 수용부(14a)의 내주부(18)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배치되고, 제1 외주부(16a)보다도 소경(小徑)이다. 제1 연결부(16c)는, 제2 외주부(16b)로부터 제1 외주부(16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擴徑)하고, 제1 외주부(16a)와 제2 외주부(16b)를 연결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스풀의 플랜지부가 수용되는 원형(圓形)의 스풀 수용부를 가진다. 스풀 수용부의 내주면과 플랜지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형성된다. 이 간극이 너무 크면, 가는 낚싯줄을 사용하였을 때, 내주면과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 낚싯줄이 릴 본체 내부에 엉킬 우려가 있다. 낚싯줄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간극을 작게 하면,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스풀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환상(環狀)으로 돌출하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스풀 수용부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통상부(筒狀部)(환상부)를 설치한 양 베어링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환상으로 돌출하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 수용부로부터 릴 본체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낚싯줄이 만일 릴 본체의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통과하여 내부에 진입하여도, 통상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의 줄 빠짐, 즉, 낚싯줄이 직경 방향 내측(스풀축)으로까지,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통상부(환상부)의 선단부(先端部)는, 내주면으로부터 선단면을 향하여 확경(擴徑)하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다. 이 테이퍼부는, 내주면 측의 단부(端部)가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선단부의 최외경부(最外徑部)보다 축 방향 내방(內方)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500599호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로부터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의 줄 빠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선단부의 최외경부보다 축 방향 내방에 테이퍼부의 내주 측 단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상부의 사이의 간극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상부의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그렇지만 낚싯줄 진입 방지부로부터 릴 본체 내에 진입한 낚싯줄을 꺼내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 내로부터 꺼내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하다.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을 구비한다. 릴 본체는, 내측에 개구(開口)한 스풀 수용부를 가진다. 스풀은,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 몸통부, 줄 감기 몸통부의 일단(一端)에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줄 감기 몸통부의 타단에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외주부는, 제1 외주부와, 제2 외주부와, 제1 연결부를 가진다. 제1 외주부는, 스풀 수용부의 내주부와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제2 외주부는, 스풀 수용부의 내주부와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제1 외주부보다도 소경(小徑)이다. 제1 연결부는, 제2 외주부로부터 제1 외주부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제1 외주부와 제2 외주부를 연결한다.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 연결부가 제2 외주부로부터 제1 외주부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만일 제1 외주부와 스풀 수용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제2 외주부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잡아당기면, 낚싯줄에 줄 감기 몸통부로 되돌아오는 힘이 작용하고, 제1 연결부를 올라, 낚싯줄이 줄 감기 몸통부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 내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스풀 수용부의 내주부는, 제1 외주부와 제1 소정 거리 두고 배치되는 제1 내주부와, 제2 외주부와 제2 소정 거리 두고 배치되고, 제1 내주부보다도 소경의 제2 내주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수용부의 제1 내주부보다도 소경의 제2 내주부가 제2 외주부와의 사이에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외주부와 제2 내주부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스풀 수용부는, 제1 내주부와 제2 내주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내주부와 제2 내주부가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외주부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진입한 낚싯줄이 제2 연결부에 접촉하여 릴 본체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제2 연결부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내주부와 제2 내주부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연결부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을 제2 외주부로 되돌리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가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제2 연결부에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제1 소정 거리와 제2 소정 거리는 같은 거리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외주부 및 제2 외주부가 스풀 수용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제2 소정 거리는,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작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제2 외주부로부터 릴 본체 내에 낚싯줄이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제1 연결부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외주부와 제2 외주부를 연결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연결부가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연결부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제1 플랜지부는, 스풀을 회전 조작하는 핸들 측에 배치되고, 외주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핸들 측에서 릴 본체 내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 내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제2 플랜지부는 외주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플랜지부로부터 릴 본체 내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꺼내기 쉬워진다.
제1 소정 거리 및 제2 소정 거리는, 0.5mm 내지 2mm의 범위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가는 낚싯줄이 제1 외주부 및 제2 외주부로부터 진입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제1 외주부 및 제2 외주부가 스풀 수용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만일 제1 외주부와 스풀 수용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제2 외주부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잡아당기면, 낚싯줄에 줄 감기 몸통부로 되돌아오는 힘이 작용하고, 제1 연결부를 올라, 낚싯줄이 줄 감기 몸통부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릴 본체 내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 내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단면 배면도.
도 3은 도 2의 III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IV부 확대도.
도 5는 변형예 1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변형예 2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변형예 3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100)은,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하여, 스풀(10)을 회전 구동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전동 릴이다.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일측(一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2)과,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10)을 구비한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은,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을 덮는 제1 측 커버(8a) 및 제2 측 커버(8b)를 가진다. 프레임(5)은, 핸들(2) 측의 제1 측판(7a)과, 제1 측판(7a)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7b)을 가진다. 제1 측판(7a)은, 스풀(10)의 후술하는 제1 플랜지부(10b)를 수용 가능한 제1 스풀 수용부(14a)를 가진다.
제2 측판(7b)은, 스풀(10)이 통과 가능한 원형의 개구(7e)를 가지는 측판 본체(7c)와, 측판 본체(7c)의 개구(7e)에 나사 부재에 의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상(圓板狀)의 스풀 지지부(7d)를 가진다. 측판 본체(7c)는, 제1 측판(7a)과 복수의 연결 부재(7f)를 통하여 일체적(一體的)으로 형성된다. 스풀 지지부(7d)는, 스풀(10)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축(12)의 일단을, 베어링(40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축(12)의 타단은, 제1 측 커버(8a)에 베어링(40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지지부(7d)는, 스풀(10)의 후술하는 제2 플랜지부(10c)를 수용하는 제2 스풀 수용부(14b)를 가진다. 제1 스풀 수용부(14a) 및 제2 스풀 수용부(14b)는, 스풀 수용부의 일례이고, 이들에 관하여는, 스풀(10)의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풀(10)은, 스풀축(1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줄 감기 몸통부(10a)와, 핸들(2) 측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10b)와, 제2 플랜지부(10c)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0b)는, 줄 감기 몸통부(10a)의 일단(도 2의 우단(右端))에 줄 감기 몸통부(10a)보다도 대경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플랜지부(10c)는, 줄 감기 몸통부(10a)의 타단(도 2의 좌단(左端))에 줄 감기 몸통부(10a)보다도 대경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플랜지부(10b)는 외주부 16을 가지고, 제2 플랜지부(10c)는 외주부 20을 가진다.
제1 플랜지부(10b)의 외주부(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외주부(16a)와, 제2 외주부(16b)와, 제1 연결부(16c)를 가진다. 제1 외주부(16a)는, 제1 스풀 수용부(14a)의 후술하는 내주부(18)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배치된다. 제1 외주부(16a)는, 스풀축(12)과 대략 평행한 외주면이다. 제2 외주부(16b)는, 제1 스풀 수용부(14a)의 내주부(18)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배치되고, 제1 외주부(16a)보다도 소경이다. 제2 외주부(16b)는, 스풀축(12)과 대략 평행한 외주면이다. 제1 연결부(16c)는, 제2 외주부(16b)로부터 제1 외주부(16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여 제1 외주부(16a)와 제2 외주부(16b)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16c)는, 직선적으로 경사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된다.
제1 스풀 수용부(14a)는 내주부(18)를 가진다. 내주부(18)는, 제1 내주부(18a)와, 제2 내주부(18b)와, 제2 연결부(18c)와, 줄 빠짐 방지부(18d)와, 제3 연결부(18e)를 가진다.
제1 내주부(18a)는, 제1 외주부(16a)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제1 외주부(16a)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내주부(18b)는, 제1 내주부(18a)보다도 소경이고, 제2 외주부(16b)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제2 외주부(16b)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연결부(18c)는, 제1 내주부(18a)와 제2 내주부(18b)를 연결한다. 제2 연결부(18c)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축(12)과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제1 내주부(18a)와 제2 내주부(18b)를 연결한다. 줄 빠짐 방지부(18d)는, 사이에 제2 외주부(16b)가 배치되도록 제2 내주부(18b)의 내주 측에 통상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줄 빠짐 방지부(18d)는, 만일 낚싯줄이 제2 외주부(16b)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도, 그것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낚싯줄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3 연결부(18e)는, 제2 내주부(18b)와 줄 빠짐 방지부(18d)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3 연결부(18e)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축(12)과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제2 내주부(18b)와 줄 빠짐 방지부(18d)를 연결한다. 또한, 제1 소정 거리(L1)와 제2 소정 거리(L2)는 같은 크기이고, 예를 들어, 0.5mm 내지 2mm의 범위이다.
제2 플랜지부(10c)의 외주부(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10b)와 마찬가지인 형태의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20b)와, 제1 연결부(20c)를 가진다. 제1 외주부(20a)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후술하는 내주부(22)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배치된다. 제2 외주부(20b)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내주부(22)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배치되고, 제1 외주부(20a)보다도 소경이다. 제1 연결부(20c)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제1 외주부(20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20b)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20c)는, 직선적으로 경사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된다.
제2 스풀 수용부(14b)는 내주부(22)를 가진다. 내주부(22)는, 제1 스풀 수용부(14a)와 마찬가지인 형태의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22b)와, 제2 연결부(22c)와, 줄 빠짐 방지부(22d)와, 제3 연결부(22e)를 가진다. 제1 내주부(22a)는, 제1 외주부(20a)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제1 외주부(20a)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내주부(22b)는, 제1 내주부(22a)보다도 소경이고, 제2 외주부(20b)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제2 외주부(20b)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연결부(22c)는,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22b)를 연결한다. 제2 연결부(22c)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축(12)과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22b)를 연결한다. 줄 빠짐 방지부(22d)는, 사이에 제2 외주부(20b)가 배치되도록 제2 내주부(22b)의 내주 측에 통상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줄 빠짐 방지부(22d)는, 만일 낚싯줄이 제2 외주부(20b)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도 그것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낚싯줄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3 연결부(22e)는, 제2 내주부(22b)와 줄 빠짐 방지부(22d)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3 연결부(22e)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축(12)과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제2 내주부(22b)와 줄 빠짐 방지부(22d)를 연결한다. 또한, 제1 소정 거리(L1)와 제2 소정 거리(L2)는 같은 크기이고, 예를 들어, 0.5mm 내지 2mm의 범위이다.
다음으로, 양 베어링 릴(100)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스팅(casting) 또는 채비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할 때, 낚싯줄이 스풀(10) 상(上)에서 낚싯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어,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에 진입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되는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을 잡아당기면, 줄 감기 몸통부(10a) 상으로 되돌아오는 힘이 낚싯줄에 작용하고,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를 올라, 낚싯줄이 줄 감기 몸통부(10a) 상으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릴 본체(1)의 내부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1) 내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변형예 1>
도 5에 도시하는, 변형예 1에서는, 제2 연결부(118c)의 형상 및 제2 소정 거리(L2)가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제2 연결부(118c)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내주부(18a)와 제2 내주부(18b)를 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연결부(118c)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소정 거리(L2)는, 제1 소정 거리(L1)보다도 작다. 이들의 점을 제외하고, 변형예 1의 릴 본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변형예 1에서는, 제2 연결부(118c)가 연속하여 만곡하여 제1 내주부(18a)와 제2 내주부(18b)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연결부(118c)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소정 거리(L2)가 제1 소정 거리(L1)보다도 작기 때문에, 낚싯줄이 제2 외주부(16b)까지 진입하여도, 제2 외주부(16b)로부터 줄 빠짐하기 어렵다. 덧붙여, 제2 소정 거리(L2)는, 예를 들어, 0.3mm 내지 1.8mm의 범위이다.
<변형예 2>
도 6에 도시하는 변형예 2에서는, 제2 연결부(218c)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변형예 2에서는, 제2 연결부(218c)의 제2 내주부(18b)와 연결하는 축 방향 위치가 제1 내주부(18a)와 연결하는 위치보다도 제1 연결부(16c) 측에 배치된다. 이 점을 제외하고, 변형예 2의 릴 본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외주부(16b) 측에 진입한 낚싯줄이 제2 연결부(218c)에 접촉하면, 제1 연결부(16c) 측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한층 더 줄 빠짐하기 어려워진다.
<변형예 3>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 3에서는, 스풀의 제1 연결부(316c)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변형예 3에서는, 제1 연결부(316c)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외주부(16a)와 제2 외주부(16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 점을 제외하고, 변형예 3의 스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여기에서는, 제1 연결부(316c)가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낚싯줄을 꺼낼 때에 제1 연결부(316c)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양 베어링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하다.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10)을 구비한다. 릴 본체(1)는, 내측에 개구한 제1 스풀 수용부(14a)를 가진다. 스풀(10)은,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 몸통부(10a), 줄 감기 몸통부(10a)의 일단에 줄 감기 몸통부(10a)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10b), 및 줄 감기 몸통부(10a)의 타단에 줄 감기 몸통부(10a)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10c)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0b) 및 제2 플랜지부(10c)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외주부(16)(또는 외주부(20))는,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와,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를 가진다.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는,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내주부(18)(또는 내주부(22))와 제1 소정 거리(L1)를 두고 배치된다.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는,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내주부(18)(또는 내주부(22))와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배치되고,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보다도 소경이다.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는,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를 연결한다.
본 양 베어링 릴(100)에서는,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만일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잡아당기면, 낚싯줄에 줄 감기 몸통부(10a)로 되돌아오는 힘이 작용하고,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를 올라, 낚싯줄이 줄 감기 몸통부(10a)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릴 본체(1)의 내부에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릴 본체(1)의 내부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B)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내주부(18)(또는 내주부(22))는,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1 소정 거리(L1) 두고 배치되는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와 제2 소정 거리(L2) 두고 배치되고,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보다도 소경의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의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보다도 소경의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와의 사이에 제2 소정 거리(L2)를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와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와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릴 본체(1)의 내부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C)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는,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가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진입한 낚싯줄이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에 접촉하여 릴 본체(1)의 내부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D)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내주부(18a)(또는 제1 내주부(22a))와 제2 내주부(18b)(또는 제2 내주부(22b))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을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 되돌리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가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제2 연결부(18c)(또는 제2 연결부(22c))에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E) 제1 소정 거리(L1)와 제2 소정 거리(L2)는 같은 거리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 및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가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F) 제2 소정 거리(L2)는, 제1 소정 거리(L1)보다도 작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릴 본체(1)의 내부에 낚싯줄이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G)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와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를 연결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가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연결부(16c)(또는 제1 연결부(20c))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H) 제1 플랜지부(10b)는, 스풀(10)을 회전 조작하는 핸들(2) 측에 배치되고, 외주부(16)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핸들(2) 측에서 릴 본체(1)의 내부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꺼내기 쉬워진다.
(I) 제2 플랜지부(10c)는 외주부(20)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플랜지부(10c)로부터 릴 본체(1)의 내부에 낚싯줄이 진입하여도, 낚싯줄을 꺼내기 쉬워진다.
(J) 제1 소정 거리(L1) 및 제2 소정 거리(L2)는, 0.5mm 내지 2mm의 범위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가는 낚싯줄이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 및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로부터 진입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 및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가 제1 스풀 수용부(14a)(또는 제2 스풀 수용부(14b))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 및 3개의 변형예에서는, 제2 내주부를 설치하였지만, 제2 내주부는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 베어링 릴로서 전동 릴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 카운터(수심 표시 장치)붙이의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 등의 모든 양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의 제1 플랜지부(10b)(또는 제2 플랜지부(10c))에 제1 외주부(16a)(또는 제1 외주부(20a)) 및 제2 외주부(16b)(또는 제2 외주부(20b))를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외주부 및 제2 외주부는,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1 내주부 및 제2 내주부를 가지는 스풀 수용부도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방을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가 스풀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모터가 스풀 내에 배치되는 전동의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핸들
10: 스풀
10a: 줄 감기 몸통부
10b: 제1 플랜지부
10c: 제2 플랜지부
14a: 제1 스풀 수용부(스풀 수용부의 일례)
14b: 제2 스풀 수용부(스풀 수용부의 일례)
16, 20: 외주부
16a, 20a: 제1 외주부
16b, 20b: 제2 외주부
16c, 20c: 제1 연결부
18, 22: 내주부
18a, 22a: 제1 내주부
18b, 22b: 제2 내주부
18c, 22c: 제2 연결부
100: 양 베어링 릴
L1: 제1 소정 거리
L2: 제2 소정 거리

Claims (10)

  1.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양 베어링 릴이고,
    내측에 개구(開口)한 스풀 수용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 몸통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일단(一端)에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타단에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풀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외주부는,
    상기 스풀 수용부의 내주부와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1 외주부와,
    상기 스풀 수용부의 내주부와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외주부보다도 소경(小徑)의 제2 외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1 외주부를 향하여 서서히 확경(擴徑)하고, 상기 제1 외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를 가지고,
    상기 스풀 수용부의 상기 내주부는,
    상기 제1 외주부와 상기 제1 소정 거리 두고 배치되는 제1 내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와 상기 제2 소정 거리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주부보다도 소경의 제2 내주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수용부는, 상기 제1 내주부와 상기 제2 내주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1 내주부와 상기 제2 내주부를 연결하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거리와 상기 제2 소정 거리는 같은 거리인,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거리는, 상기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작은, 양 베어링 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연속적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1 외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를 연결하는, 양 베어링 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스풀을 회전 조작하는 핸들 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주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외주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거리 및 상기 제2 소정 거리는, 0.5mm 내지 2mm의 범위인, 양 베어링 릴.
  10. 삭제
KR1020140162250A 2014-03-25 2014-11-20 양 베어링 릴 KR102300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2651 2014-03-25
JP2014062651A JP6368515B2 (ja) 2014-03-25 2014-03-25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60A KR20150111260A (ko) 2015-10-05
KR102300635B1 true KR102300635B1 (ko) 2021-09-09

Family

ID=5415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250A KR102300635B1 (ko) 2014-03-25 2014-11-20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61834B2 (ko)
JP (1) JP6368515B2 (ko)
KR (1) KR102300635B1 (ko)
CN (1) CN104938450B (ko)
MY (1) MY177810A (ko)
TW (1) TWI634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1977B2 (en) * 2016-06-23 2018-10-09 Ams, Llc Fishing line reel with in-line payout control
JP6872882B2 (ja) * 2016-11-08 2021-05-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931210B1 (ko) * 2017-05-24 2018-12-2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유니버설 낚시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192A (ja) 2004-06-25 2006-01-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6223212A (ja) 2005-02-18 2006-08-3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7006710A (ja) * 2005-06-28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599B1 (ko) 1965-09-14 1970-01-09
US3659808A (en) * 1969-10-27 1972-05-02 Oscar Fleischer One way drive for fishing reels
JPS55151179U (ko) * 1979-04-17 1980-10-31
JPS6081775U (ja) * 1983-11-10 1985-06-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4681276A (en) * 1984-03-28 1987-07-2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JPS60156967U (ja) * 1984-03-28 1985-10-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4805849A (en) * 1986-11-08 1989-02-21 Daiwa Seiko Inc. Spool in a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JP2572094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855332A (en) * 1996-11-21 1999-01-05 Zebco Corporation Rotatable line spool for a fishing reel
US5810274A (en) * 1997-04-25 1998-09-22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fishing reel
US6412720B1 (en) * 1999-03-19 2002-07-02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brake device and drag cover attachment structured therefor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384936B2 (ja) * 2004-05-11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4901500B2 (ja) * 2007-01-23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JP5047889B2 (ja) * 2008-06-19 2012-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590986B2 (ja) * 2010-06-23 2014-09-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5507374B2 (ja) * 2010-07-26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421B2 (ja) * 2013-03-15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爪歯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192A (ja) 2004-06-25 2006-01-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6223212A (ja) 2005-02-18 2006-08-3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7006710A (ja) * 2005-06-28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6173A (zh) 2015-10-01
TWI634839B (zh) 2018-09-11
KR20150111260A (ko) 2015-10-05
JP6368515B2 (ja) 2018-08-01
US9661834B2 (en) 2017-05-30
JP2015181436A (ja) 2015-10-22
CN104938450B (zh) 2019-07-26
US20150272101A1 (en) 2015-10-01
MY177810A (en) 2020-09-23
CN104938450A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635B1 (ko) 양 베어링 릴
JP2015181436A5 (ko)
KR102442023B1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및 양 베어링 릴
JP2018050587A5 (ko)
JP201017229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21277A5 (ko)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JP2005218334A (ja) 糸巻
KR102422192B1 (ko) 양 베어링 릴
JP7355522B2 (ja) 両軸受リール
JP71137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11147253B2 (en) Automatic media integrated fishing reel
JP683560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218446A (ja) 糸巻
KR102654888B1 (ko) 양 베어링 릴
JP69768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91932B1 (ja) 釣竿
JP3176699U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5139392A (ja)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KR102275977B1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06223213A (ja) 魚釣用リ−ル
JP2017093379A (ja) 釣竿
JP3960541B2 (ja) トップガイド
KR20210028472A (ko)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