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472A -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 Google Patents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472A
KR20210028472A KR1020190109616A KR20190109616A KR20210028472A KR 20210028472 A KR20210028472 A KR 20210028472A KR 1020190109616 A KR1020190109616 A KR 1020190109616A KR 20190109616 A KR20190109616 A KR 20190109616A KR 20210028472 A KR20210028472 A KR 20210028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bobbin support
fishing line
line win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201B1 (ko
Inventor
정철인
Original Assignee
정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인 filed Critical 정철인
Priority to KR102019010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8Pole-less fishing apparatus, i.e. hand-held reels

Abstract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1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1 보빈 지지구; 및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2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2 보빈 지지구로 구성되고, 제1 보빈 지지구 및 제2 보빈 지지구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 경사부의 끝단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 및 단턱부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 을 포함하며, 제1 보빈 지지구는 관통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Bobbin support used for fishing line winding orthosis}
본 발명은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에 감긴 낚시줄이 스풀에 일정한 장력으로 권취되도록 한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릴은 낚싯대 밑부분에 달아서 낚싯줄을 쉽게 감거나 풀을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이러한 낚시릴에는 낚싯줄을 감아두었다가 원하는 길이만큼 풀어 사용할 수 있도록 스풀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풀은 초기 구입 시 낚시줄이 감겨있지 않다. 이로 인해, 낚시꾼은 보빈에 감겨진 별도의 낚시줄을 구입하여 수작업으로 낚시줄을 스풀에 권취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스풀에 수작업으로 낚시줄을 권취하는 경우, 스풀에 권취된 낚시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낚시줄이 꼬이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권취상태가 수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낚시줄의 탄력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빈에 감겨진 낚시줄을 일정한 장력으로 스풀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줄 감기 보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U3182302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에 따른 낚시줄 감기 보조기는 보빈에 권취된 낚시줄을 스풀에 권취하는 경우, 헝클어지거나 느슨하게 감기지 않게 일정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즉, 종래와 같은 낚시줄 감기 보조기는 작은 내경을 갖는 보빈에만 사용 가능할 뿐, 큰 내경을 갖는 보빈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U318230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빈에 감긴 낚시줄이 스풀에 일정한 장력으로 권취되도록 한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는 상기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1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1 보빈 지지구; 및 상기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2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2 보빈 지지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보빈 지지구 및 상기 제2 보빈 지지구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빈 지지구는 상기 관통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에 의하면, 기존의 낚시 감기 보조기에 간단히 장착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1)는 보빈(미도시)에 감긴 낚시줄이 일정한 장력으로 스풀(미도시)에 감기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 수용부(20), 회전부(30), 회전축(40), 장력 조절부(50), 지지부(60) 및 조임구(7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하부에 고정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11)은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에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책상과 같은 곳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1)은 일반적인 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20)는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20)는 대략 원반 형상을 갖고, 본체(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짐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회전부(30)가 결합되는데, 여기서 회전부(30)는 제1 기어(31) 및 제2 기어(3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기어(31)와 제2 기어(32)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일반적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31)와 제2 기어(32)는 일반적인 기어 맞물림 방식에 의해 구동된다. 또, 제1 기어(31)의 일측에는 손잡이(31a)가 구비된다.
회전축(40)은 제2 기어(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40)은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적인 샤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기어(32)는 회전축(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조절부(50)는 회전축(40)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보빈(미도시)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력 조절부(50)는 제2 기어(32)의 일측과 맞닿도록, 수용부(2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한다. 이러한 장력 조절부(50)는 조임과 풀림 작동에 의해 보빈(미도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부(60)는 회전축(40) 상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사이에 결합된 보빈(미도시)을 지지하는 제1 보빈 클램프(61)와 제2 보빈 클램프(62)로 구성된다. 제1 보빈 클램프(61)와 제2 보빈 클램프(62)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40)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며, 회전축(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조임구(70)는 회전축(40)의 일측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조임 작동에 의해 회전축(40)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보빈(미도시)에 작용하는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낚시줄 감기 보조기의 작용 및 작동과정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1)는 보빈(미도시)에 권취된 낚시줄을 릴에 구비된 스풀(미도시)에 권취하는 경우, 헝클어지거나 느슨하게 감기지 않게 일정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양한 규격을 갖는 보빈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은 낚시줄 감기 보조기(1)는 작은 내경을 갖는 보빈(미도시)에만 사용 가능할 뿐, 큰 내경을 갖는 보빈(미도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지지구는 상술한 종래의 낚시줄 감기 보조기(1)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지지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보빈 지지구(110)의 우측을 하부로 정의하고, 좌측을 상부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 제2 보빈 지지구(120)의 우측을 상부로 정의하고, 좌측을 하부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100)는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를 포함한다.
제1 보빈 지지구(110)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1)에 구비된 제1 보빈 클램프(61)에 장착되고, 제2 보빈 지지구(120)는 제2 보빈 클램프(62)에 장착 된다.
이러한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는 경사부(112), 단턱부(114) 및 관통공(116)을 포함한다.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는 하부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서 일방향 즉, 상부로 올라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경사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112)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0)이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 사이에 장착된 경우, 경사부(112)에는 보빈(200)의 내경 양측이 접촉된다.
이러한 보빈(200)은 제1 보빈 지지구(110)와 제2 보빈 지지구(120)의 경사부(112)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경사부(112)가 매끄럽게 형성되면 보빈(200)이 미끄러짐에 따라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에는 경사부(112)를 형성하되, 그 경사부(112)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보빈(200)이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에는 경사부(112)의 끝단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14)가 형성된다.
단턱부(114)는 보빈(2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빈(2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턱부(114)는 장착된 보빈(20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보빈(200)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2 보빈 지지구(120)의 중앙에는 관통공(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16)은 제1 보빈 클램프(61) 및 제2 보빈 클램프(62)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1 보빈 클램프(61) 및 제2 보빈 클램프(62)의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내경이 크게 형성된 보빈(2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보빈 지지구(120)를 회전축(40) 상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보빈 클램프(62)와 결합하고, 제1 보빈 지지구(110)를 회전축(40) 상에 결합한 후, 그 제1 보빈 지지구(110)의 우측에 제1 보빈 클램프(61)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2 보빈클램프(62), 제2 보빈지지구(120), 제1 보빈 지지구(110) 및 제1 보빈클램프(61)가 순서대로 결합된 경우, 제1 보빈 지지구(110)를 풀어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보빈 클램프(61)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제1 보빈 클램프(61)를 회전축(40) 상에서 분리하고 나서 제1 보빈 지지구(11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제1 보빈 지지구(110)만을 회전축(40)에서 따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제1 보빈 지지구(110)에는 절개부(118)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절개부(118)는 관통공(11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절개된다. 이러한 절개부(118)의 크기는 제1 보빈 지지구(110)가 회전축(40)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빈 지지구(110)는 절개부(118)가 형성되어, 회전축(40)에 간단히 삽입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이때, 제1 보빈 지지구(110)에 단지 절개부(118)만 형성되어 있게 되면, 제1 보빈 지지구(110)는 회전축(40) 상에 삽입 장착될 시, 회전하여 이탈됨에 따라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개부(118)의 내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118a)를 돌출 형성하여 제1 보빈 지지구(110)가 회전축(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제1 보빈 지지구(110)는 절개부(118)를 통해 회전축(40)에 일 방향으로 억지끼움 되어 장착되고, 걸림돌기(118a)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지지구가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보빈 지지구(110)에 절개부(118)가 형성된 바와 같이, 제2 보빈 지지구(120)에도 절개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빈 지지구(120)에 형성된 절개부(128)는 제1 보빈 지지구(110)에 형성된 절개부(118)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보빈 지지구(120)에 형성된 절개부(128) 또한 걸림돌기(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118a)는 절개부(128)의 내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걸림돌기(118a)는 제2 보빈 지지구(120)가 회전축(4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보빈 클램프(62)에 제2 보빈 지지구(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2 보빈 지지구(120)를 회전축(40)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제2 보빈 클램프(62)가 제2 보빈 지지구(12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알맞게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보빈 클램프(61)를 제2 보빈 클램프(62)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축(40)에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내경이 큰 보빈(200)을 제2 보빈 지지구(120)와 제1 보빈 클램프(61) 사이에 위치시킨 후, 회전축(40)에 제1 보빈 지지구(11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눌러 제1 보빈 클램프(61)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 조임구(70)를 회전축(40)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보빈(200)에 가해지는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보빈 지지구
110: 제1 보빈 지지구
120: 제2 보빈 지지구
112: 경사부
114: 단턱부
116: 관통공
118: 절개부
118a: 걸림돌기

Claims (3)

  1. 보빈에 감긴 낚시줄이 일정한 장력으로 스풀에 감기도록 한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장착되는 보빈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보빈 지지구는
    상기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1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1 보빈 지지구; 및
    상기 낚시줄 감기 보조기에 구비된 제2 보빈 클램프에 장착되는 제2 보빈 지지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보빈 지지구 및 상기 제2 보빈 지지구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빈 지지구는
    상기 관통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절개되는 절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보빈 지지구 및 상기 제2 보빈 지지구는
    상기 경사부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보빈 지지구는
    상기 절개부의 내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KR1020190109616A 2019-09-04 2019-09-04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KR10229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16A KR102295201B1 (ko) 2019-09-04 2019-09-04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16A KR102295201B1 (ko) 2019-09-04 2019-09-04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72A true KR20210028472A (ko) 2021-03-12
KR102295201B1 KR102295201B1 (ko) 2021-08-30

Family

ID=7517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16A KR102295201B1 (ko) 2019-09-04 2019-09-04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81Y1 (ko) * 2001-12-04 2002-03-15 안중건 나이프 조립체
KR20130026175A (ko) * 2011-09-05 2013-03-13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권양기의 로프 이탈장치
JP3182302U (ja) 2012-12-25 2013-03-21 Art in Tokyo株式会社 釣糸巻き補助器
KR20170069367A (ko) * 2015-12-10 2017-06-21 배위홍 통발 인양장치
KR20180007168A (ko) * 2016-07-12 2018-01-22 장성진 줄감기용 장치
KR20180065147A (ko) * 2016-12-07 2018-06-18 조혁상 줄감기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81Y1 (ko) * 2001-12-04 2002-03-15 안중건 나이프 조립체
KR20130026175A (ko) * 2011-09-05 2013-03-13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권양기의 로프 이탈장치
JP3182302U (ja) 2012-12-25 2013-03-21 Art in Tokyo株式会社 釣糸巻き補助器
KR20170069367A (ko) * 2015-12-10 2017-06-21 배위홍 통발 인양장치
KR20180007168A (ko) * 2016-07-12 2018-01-22 장성진 줄감기용 장치
KR20180065147A (ko) * 2016-12-07 2018-06-18 조혁상 줄감기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201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295A (en) Knot tying device
US6817634B2 (en) Knot tying device
US4076185A (en) Duplex spool for an open face spinning reel
US20080244956A1 (en) Fishing rod including a hook receptacle
WO2005074679A1 (ja) 糸巻
US8919690B1 (en) Fishing line management system
US20040113006A1 (en) Fishing reel spool
US6536697B2 (en) Structure of automatic suspender reeling device
US20120085855A1 (en) Compact Weed Trimmer Mounted Line Spooling Device
US5339558A (en) Ice fishing devices
KR20210028472A (ko)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US6792712B1 (en) Fishing line leader holder system
US4023299A (en) Fishing line cutter
US6629658B2 (en) Fishing line winding device
US3506213A (en) Re-reeling device
US2424419A (en) Accessory for fishing rods
JP2005218446A (ja) 糸巻
GB2352953A (en) Angling pole bung
US6938847B1 (en) Spool for a fishing reel
US20180160666A1 (en) Apparatus for removing twist from fishing line
US20070170302A1 (en) Spool assembly for locating a spooled material end
US4195434A (en) Fishing line reel
JP2005000151A (ja) 釣糸用スプール
KR200367180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US4103843A (en) Fishing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