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147A - 줄감기용 장치 - Google Patents
줄감기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5147A KR20180065147A KR1020160165586A KR20160165586A KR20180065147A KR 20180065147 A KR20180065147 A KR 20180065147A KR 1020160165586 A KR1020160165586 A KR 1020160165586A KR 20160165586 A KR20160165586 A KR 20160165586A KR 20180065147 A KR20180065147 A KR 20180065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coupled
- support
- elastic member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mechan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 B65H2402/51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롤에 감긴 줄을 다른 권취롤로 옮겨 감을 때, 줄의 텐션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권취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줄감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권취롤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감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롤에 감긴 줄을 다른 권취롤로 옮겨 감을 때, 줄의 텐션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권취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줄감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낚시용 릴(스피닝릴)은 줄의 낙하시의 중량과 풀림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이 릴뭉치내 소정의 기어장치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장치 측면의 손잡이를 회전함에 의해 베벨기어 상의 기어축에 고정된 스풀이 회전하여 낚시줄을 감게 되며, 낚싯대에 릴을 장착시킨 후 소정의 중량추를 투척함에 의해 감긴 줄이 풀려나가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낚시용 릴은 사용전 반드시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두어야 한다. 낚싯줄을 스풀에 감는 권취작업은 그동안 릴을 판매하는 낚시가게에서 줄이 감긴 권취롤의 가운데 구멍을 수평바에 끼우고, 줄의 일단을 릴에 묶은 후 직접 작업자가 릴 손잡이를 회전시켜 스풀에 줄을 감아왔다.
그런데, 이처럼 스풀에 줄을 권취할 때에는, 스풀에 줄이 촘촘히 감길 수 있도록 줄의 텐션을 계속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팽팽하게 텐션이 주어지지 않고, 느슨하게 늘어진 상태로 줄을 감게 되면, 줄이 꼬불꼬불하게 변형되는 파마(perm) 현상(메모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줄의 일측을 손으로 잡아서 적절한 텐션을 주었는데, 길이가 긴 낚시줄을 오랫동안 감게 되는 경우에는 줄과의 마찰에 의해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고, 사람이 직접 텐션을 주다보니 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낚싯줄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낚시릴의 스풀에 감겨있던 기존의 줄을 다시 권취롤에 되감아서 보관하거나 폐기해야 하는데, 낚시릴과는 달리 권취롤에는 별도의 회전용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낚싯줄을 권취롤에 되감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권취롤에 감긴 줄을 다른 권취롤이나 스풀에 용이하게 옮겨 감을 수 있는 줄감기용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줄을 감을 때 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줄감기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의 텐션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줄감기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대나 자동차 또는 보트 등 운송수단의 일측에 쉽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줄감기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권취롤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줄감기용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재는 하단의 폭보다 상단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단의 폭보다 하단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 하단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지지되는 텐션조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권취롤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벨트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권취롤의 중공 일측에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에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다리는 저면에 자성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와셔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텐션조정너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을 작업대에 고정시키는 클램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장치는,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에 의하면, 권취롤에 감긴 줄을 다른 권취롤이나 스풀에 용이하게 옮겨 감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에 의하면, 탄성부재로 권취롤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권취롤로부터 풀려나오는 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줄이 꼬불꼬불하게 변형되는 파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에 의하면, 텐션조정너트를 사용하여 권취롤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줄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에 의하면, 클램프를 이용하여 작업대나 자동차 또는 보트 등 운송수단의 일측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10)는, 회전 샤프트(100)와, 회전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200)와, 받침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310)와, 제1 지지부재(310)와 대향하도록 제1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320)와, 제2 지지부재(320)의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400)와, 탄성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토퍼(500)를 포함하며, 스토퍼(500) 하단의 나사부(510)에 나사 결합되는 텐션조정너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100)는 제1 지지부재(310)와 제2 지지부재(320), 탄성부재(400), 스토퍼(500) 및 텐션조정너트(600)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지지부재(310)와 제2 지지부재(320), 탄성부재(400), 스토퍼(500) 및 텐션조정너트(600)는 회전 샤프트(1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회전 샤프트(100)는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폭보다 길이가 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받침부재(200)는 회전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 플레이트(210)와, 받침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다리(220)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받침 플레이트(21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100)의 하단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받침다리(220)는 원형의 받침판(221)과, 받침판(221)을 관통하여 받침 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받침다리(220)가 받침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서로 이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3개의 받침다리(220)가 받침 플레이트(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받침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다리(22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받침판(221)의 저면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따라서 스틸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작업대(20, 도 4 참조) 상에 받침부재(200)의 받침판(221)을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제1 지지부재(310)가 결합된다. 제1 지지부재(310)는 원통형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권취롤(700)의 중공 하단 테두리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권취롤(700)이 결합된다. 권취롤(700)은 외주면에 낚싯줄이 권취된 롤(roll)로서, 권취롤(700)의 중공을 관통하여 회전 샤프트(100)가 삽입·결합된다.
권취롤(700)의 상부에 제2 지지부재(320)가 결합된다. 제2 지지부재(320)는 권취롤(700)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부재(310)와 대향하며, 제1 지지부재(310)와 대칭인 형상이다. 즉, 제2 지지부재(320)는 원통형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권취롤(700)의 중공 상단 테두리에 지지된다.
제2 지지부재(320)의 상단에 탄성부재(400)가 개재된다. 예컨대, 탄성부재(400)는 회전 샤프트(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00)의 설치를 위해, 제2 지지부재(320)의 상단에 제1 와셔(321)가 제2 지지부재(320)와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 와셔(321)는 중공의 외주면을 따라 요홈이 함몰 형성된 형태이며, 이 요홈에 탄성부재(400)의 하단이 삽입 지지된다.
탄성부재(400)의 상단은 제2 와셔(330)에 탄성 지지되는데, 제2 와셔(330)는 제1 와셔(321)와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와셔(330)의 상부에 스토퍼(500)가 결합된다. 스토퍼(500)의 일측에는 체결구가 관통 결합되는데, 이 체결구는 스토퍼(50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100)에 대한 스토퍼(50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500)는 제2 지지부재(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제2 지지부재(320)로 하여금 권취롤(700)을 가압하게끔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스토퍼(500)를 아래로 내려서 고정하면 탄성부재(400)가 압축되고,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밀린 제2 지지부재(320)가 권취롤(700)을 가압하여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권취롤(700)로부터 풀리는 줄의 텐션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스토퍼(500)를 위로 올려서 고정하면 탄성부재(400)로부터 제2 지지부재(320)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줄어들고 권취롤(7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줄어들어 권취롤(700)의 회전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줄의 텐션이 감소하게 된다.
권취롤(700)로부터 풀리는 줄에 팽팽하게 텐션이 주어지지 않고 느슨하게 늘어진 상태로 스풀에 줄을 감게 되면, 줄이 꼬불꼬불하게 변형되는 파마(perm) 현상(메모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파마 현상의 발생 방지를 위해 권취롤(7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줄의 텐션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퍼(500)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510)가 하향 연장 형성되며, 이 나사부(510)에 텐션조정너트(600)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텐션조정너트(600)의 하단은 탄성부재(400)의 상단에 지지되는데, 예컨대 전술한 제2 와셔(330)가 탄성부재(400)와 텐션조정너트(600)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와셔(330)의 상단이 텐션조정너트(600)의 하단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텐션조정너트(600)가 스토퍼(500)의 나사부(510)를 따라 승강하면, 제2 와셔(330)가 탄성부재(400)를 신축시킴으로써 권취롤(700)의 회전을 제어하며, 권취롤(700)로부터 풀리는 줄의 텐션이 조절된다. 예컨대, 텐션조정너트(600)를 회전시켜 나사부(510)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텐션조정너트(600)가 제2 와셔(330)를 밀어서 탄성부재(400)를 압축시키며, 이 탄성부재(400)는 다시 제2 지지부재(320)를 권취롤(7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권취롤(700)의 회전을 억제하고, 권취롤(700)로부터 풀리는 줄의 텐션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10)는, 스토퍼(500)를 고정시킨 후에, 줄의 텐션 조절을 위해 다시 스토퍼(500)를 풀거나 이동시켜 다시 조일 필요없이, 텐션조정너트(600)를 이용하여 줄의 텐션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낚시릴에 감긴 낚싯줄의 교체나 폐기 등 필요에 따라서는 낚시릴에 감긴 낚싯줄을 다시 권취롤(700)에 옮겨 감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빠른 시간 내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권취롤(7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권취롤(70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800)가 회전 샤프트(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장치(800)는, 받침부재(200)와 제1 지지부재(310)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바(810)와, 지지바(810)의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지지부재(310)와 벨트(830) 연결되는 풀리(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풀리(840)의 상측면 일측에는 수직하게 손잡이(850)가 결합되며, 사용자가 이 손잡이(850)를 잡고 풀리(840)를 회전시키면, 풀리(840)와 벨트(830) 연결된 제1 지지부재(31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지지부재(310)의 회전과 함께 권취롤(7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권취롤(700)의 중공 일측에 키홈(710)이 형성되고, 이 키홈(710)에 대응 결합하도록 제1 지지부재(310)의 일측에 키부재(31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벨트(830) 연결을 통한 회전력 전달을 위해 제1 지지부재(310) 하단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치형(312)이 형성되고, 벨트(830)의 내측에는 제1 지지부재(310)의 치형(312)과 대응 결합하는 치형(8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 형성된다.
풀리(8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지바(810)의 타단 상측에 중간블록(820)이 결합되고, 중간블록(820)의 상측에 풀리(840)가 결합되며, 회전축이 중간블록(820)과 풀리(840)를 관통하여 결합된 후, 회전축의 상단과 하단에 나비 너트 등의 체결구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8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잡이(850)를 잡고 풀리(8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벨트(830)로 연결된 제1 지지부재(310)가 회전하고, 제1 지지부재(310)의 키부재(311)가 중공 일측의 키홈(710)에 끼움 결합된 권취롤(700)이 제1 지지부재(310)와 함께 회전하면서 권취롤(700)에 줄이 감기게 된다.
이때, 지지바(810)의 일단에는 결합홈(811)이 절개 형성되고, 이 결합홈(811)에 회전 샤프트(100)가 수직하게 끼워지며, 지지바(810)의 결합홈(811) 상단에는 제1 지지부재(310)의 설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용 너트(860)가 게재된다. 아울러, 높이조절용 너트(860)와 제1 지지부재(310)의 사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중간너트(870)가 결합되는데, 이 중간너트(870)는 제1 지지부재(310)의 회전시 마찰력을 완화시키는 윤활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10)는, 받침부재(200)를 작업대(20)에 안착시키고 회전 샤프트(10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받침부재(200)에 구비되는 자성체에 의해 작업대(20)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작업대(20)가 목재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900)를 사용하여 받침부재(200)의 일측을 작업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단에 삽입홈(911)이 절개 형성되는 브라켓(910)과, 브라켓(910)의 하단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920)를 포함하는 클램프 장치(9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브라켓(910) 상단의 삽입홈(911)에 받침다리(220)를 끼우거나, 또는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100)를 끼우고, 고정볼트(920)로 클램프 장치(900)를 작업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틸 등 자성체 재질로 브라켓(9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먼저 브라켓(910)을 고정볼트(920)로 작업대(20)에 고정한 후, 브라켓(910)의 상단에 받침부재(200)를 자력으로 결합하거나, 'ㄷ'자로 절곡된 브라켓(910)의 측면에 받침부재(200)를 자력으로 결합함으로써 회전 샤프트(100)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감기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9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910) 상단에 삽입홈(911, 도 3 참조)이 형성되지 않는 대신, 복수 개의 받침다리(220)가 모두 자력에 의해 브라켓(910)의 상단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브라켓(910) 상단의 폭을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900')에 의해 회전 샤프트(100)가 작업대(20)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줄감기용 장치 20 : 작업대
100 : 회전 샤프트 200 : 받침부재
210 : 받침 플레이트 220 : 받침다리
221 : 받침판 310 : 제1 지지부재
311 : 키부재 312 : 치형
320 : 제2 지지부재 400 : 탄성부재
500 : 스토퍼 600 : 텐션조정너트
700 : 권취롤 710 : 키홈
800 : 회전장치 810 : 지지바
830 : 벨트 840 : 풀리
900,900' : 클램프 장치
100 : 회전 샤프트 200 : 받침부재
210 : 받침 플레이트 220 : 받침다리
221 : 받침판 310 : 제1 지지부재
311 : 키부재 312 : 치형
320 : 제2 지지부재 400 : 탄성부재
500 : 스토퍼 600 : 텐션조정너트
700 : 권취롤 710 : 키홈
800 : 회전장치 810 : 지지바
830 : 벨트 840 : 풀리
900,900' : 클램프 장치
Claims (13)
-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권취롤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하단의 폭보다 상단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단의 폭보다 하단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하단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지지되는 텐션조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벨트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권취롤의 중공 일측에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에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저면에 자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와셔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텐션조정너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을 작업대에 고정시키는 클램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는,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감기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586A KR101901494B1 (ko) | 2016-12-07 | 2016-12-07 | 줄감기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586A KR101901494B1 (ko) | 2016-12-07 | 2016-12-07 | 줄감기용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758A Division KR20180102535A (ko) | 2018-09-10 | 2018-09-10 | 줄감기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5147A true KR20180065147A (ko) | 2018-06-18 |
KR101901494B1 KR101901494B1 (ko) | 2018-09-27 |
Family
ID=6276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586A KR101901494B1 (ko) | 2016-12-07 | 2016-12-07 | 줄감기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149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170U (ko) * | 2019-07-12 | 2021-01-20 | 권용훈 | 피싱 모터 라인 텐션기 |
KR20210028472A (ko) * | 2019-09-04 | 2021-03-12 | 정철인 |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
-
2016
- 2016-12-07 KR KR1020160165586A patent/KR10190149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170U (ko) * | 2019-07-12 | 2021-01-20 | 권용훈 | 피싱 모터 라인 텐션기 |
KR20210028472A (ko) * | 2019-09-04 | 2021-03-12 | 정철인 | 낚시줄 감기 보조기용 보빈 지지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1494B1 (ko) | 2018-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3033A (en) | Rowing apparatus | |
US8973859B2 (en) | Thread guide for sewing and embroidery machines | |
KR101901494B1 (ko) | 줄감기용 장치 | |
KR200490207Y1 (ko) | 낚싯줄 감는 기구 | |
US2728534A (en) | Spinning reel attachment | |
US20140345097A1 (en) | Ratcheting tie-down with strap quick release feature | |
US20150223438A1 (en) | Line tension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 |
US2643075A (en) | Wire unreeling device | |
KR20180007168A (ko) | 줄감기용 장치 | |
US3295787A (en) | Auxiliary fish line spool holder | |
US6162139A (en) | String tensioning device | |
KR20180102535A (ko) | 줄감기용 장치 | |
US3032914A (en) | Leader rack | |
US9918457B2 (en) | Reel line spooler | |
CN109509633A (zh) | 一种环形绕线机 | |
US1752029A (en) | Wire stretcher | |
US10399814B2 (en) | Running-end spool containment device and system | |
JPH08308434A (ja) | 漁網用結束機 | |
US3053003A (en) | Audible signal device for fishing poles | |
US3275264A (en) | Wire unreeling and tensioning device | |
JP2691331B2 (ja) | 下げ振り | |
US1294291A (en) | Yarn-winder. | |
KR101115963B1 (ko) | 스피닝릴 낚싯대용 낚싯줄 교환장치 | |
CN218988425U (zh) | 一种绕线装置 | |
KR200186150Y1 (ko) | 실패해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