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49B1 -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 Google Patents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49B1
KR102299049B1 KR1020150095223A KR20150095223A KR102299049B1 KR 102299049 B1 KR102299049 B1 KR 102299049B1 KR 1020150095223 A KR1020150095223 A KR 1020150095223A KR 20150095223 A KR20150095223 A KR 20150095223A KR 102299049 B1 KR102299049 B1 KR 10229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v
hood
cover
power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620A (ko
Inventor
임효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5009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동력실의 후드와 동력실 내부에 구비된 메인 콘트롤 밸브에 연결된 조종부 사이를 밀폐시켜, 우천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실이 구비된 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장비 차량에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있어서, 동력실을 형성하도록 차체(60)에 설치된 브래킷(51)과, 동력실에 설치된 MCV의 상측에서 MCV를 보호하며 상기 브래킷(51)의 상측에 안착되는 MCV 커버(52)와, 동력실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53)와, 상기 MCV 커버(52)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드(53)가 결합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54)와,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MCV 커버(52)를 덮어주도록 상기 후드(5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부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Power Room Sealing Structure of Heavy Equipment Vehicle}
본 발명은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한 동력실의 후드와 동력실 내부에 구비된 메인 콘트롤밸브(MCV)에 연결된 조종부 사이를 밀폐시켜, 우천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 차량 중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과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동력실(1a)이 내부에 설치되고 전방구동륜(2) 및 후방조향륜(3)이 구비된 차체(1)와; 화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오크(8)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지(7) 및 상기 캐리지(7)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마스트 레일(6)로 이루어져 상기 차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 조립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실이 구비되고 상기 운전실의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버헤드 가드(9) 대신에 밀폐식의 캐빈(Cabin)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지게차의 동력실 구조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에 구비된 동력실(1a)의 점검 등을 위하여 상기 동력실(1a)의 상부면은 개폐 가능한 후드(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실(1a)에는 유압장치의 유로를 결정하는 메인 콘트롤 밸브(Main Control Valve, 이하 간단히 'MCV'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MCV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조종 레버(12a)와 MCV 커버(12b)로 이루어진 조종부(12)가 상기 후드(11)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상기 MCV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드(11)를 개폐하더라도 상기 조종부(12)는 동력실(1a)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후드(1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MCV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MCV 커버(12b)에 완충부재(13)를 설치하여 상기 후드(11)가 결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즉, 종래의 지게차의 동력실 구조는, 동력실(1a)을 형성하도록 차체(11)에 설치된 브래킷(14)과, 동력실(1a)에 설치된 MCV의 상측에서 MCV를 보호하며 상기 브래킷(14)의 상측에 안착되는 MCV 커버(12b)와, 동력실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11)와, 상기 MCV 커버(12b)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드(11)가 결합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지게차의 동력실 구조에서는 후드와 MCV 커버 사이에 완충부재만 설치되어 있어, 캐빈이 없는 지게차에서는 우천시 후드와 MCV 커버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빗물이 동력실 내부의 엔진이나 유압장치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그로 인해 우천시의 작업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지게차의 후드와 관련한 선행 기술을 조사해 본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허문헌 1은, 지게차의 주 몸체를 이루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엔진을 포함하는 엔진실과, 상기 엔진실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판넬형의 커버부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커버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하단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커버부에 개폐가능 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여, 엔진 후드의 파트별 부품들을 별도로 고안된 베이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차체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조립에 대한 조정 작업이 필요 없고, 조립공정이 간단한 지게차의 엔진 후드 조립구조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박스형 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후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바디에 고정된 지지축에 대하여 후드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이 지지축에 형성된 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이 두 고정편의 하단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1 평면부와, 이 제1 평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 및 이 수직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후드의 내측단부에 장착되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브래킷과 바디에 장착된 지지축의 개선된 결합구조만으로 별도의 스토퍼와 같은 개방된 상태의 유지를 위한 수단 없이도 안정되게 90°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저가의 취부구조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후드를 90°로 개방할 수 있어 대용량의 배터리의 교체 또는 보수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한 전동지게차의 후드 장착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2008-0060583 A KR 10-2009-0071056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빈이 없는 중장비 차량에서 개폐 가능한 동력실의 후드와 동력실 내부에 구비된 MCV에 연결된 조종부 사이를 밀폐시켜, 우천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빈이 없는 중장비 차량에서 우천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동력실 부품의 고장을 방지하고 우천시에도 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후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중의 밀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실이 구비된 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장비 차량에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있어서,
동력실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설치된 브래킷과, 동력실에 설치된 MCV의 상측에서 MCV를 보호하며 상기 브래킷의 상측에 안착되는 MCV 커버와, 동력실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와, 상기 MCV 커버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드가 결합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와,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MCV 커버를 덮어주도록 상기 후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후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MCV 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면까지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부면도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과 후드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MCV 커버는 PC 수지 또는 ABS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NBR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의하면, 개폐 가능한 동력실의 후드 가장자리에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실링부재의 덮개부가 MCV 커버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어주게 되므로, 캐빈이 없는 중장비 차량에서 우천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천시에도 중장비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MCV 커버의 일부를 덮어주는 실링부재의 덮개부 저면에 요철부가 형성됨에 따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후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의 장착부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배수 성능이 향상되고, 장착부 저면 역시 볼록하게 형성되어 완충부재를 가압하게 되므로 이중 밀폐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캐빈이 없는 종래 지게차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지게차에서 조종부 주변을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지게차에서 조종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의 동력실 실링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실 실링 구조가 적용된 조종부 주변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실링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지게차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실 실링 구조는, 동력실이 구비된 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장비 차량에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실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설치된 브래킷(51)과, 동력실에 설치된 MCV의 상측에서 MCV를 보호하며 상기 브래킷(51)의 상측에 안착되는 MCV 커버(52)와, 동력실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53)와, 상기 MCV 커버(52)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드(53)가 결합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54)와,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MCV 커버(52)를 덮어주도록 상기 후드(5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후드(53)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55)가 설치되어 MCV 커버와의 틈새를 막아주게 되므로, 캐빈이 없는 중장비 차량에서 우천시 빗물이 동력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우천시에 동력실 내부 부품이 빗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55)는, 상기 후드(53)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도록 장착홈(55')이 형성되는 장착부(55a)와, 상기 MCV 커버(52)의 상면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부(55b)와, 상기 덮개부(55b)의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부(55c)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55a)는 장착홈(55')을 이용하여 후드(53)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부(55b)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MCV 커버(52)의 상면 일부를 덮어줌으로써, 후드(53)와 MCV 커버(52)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55c)는 덮개부(55b)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55)가 MCV 커버(52)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드(53)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55a)는 상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55b)의 상면까지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부(55a)의 하부면 역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54)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55)의 상면에 내린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후드(53) 또는 MCV 커버(52)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장착부(55a)의 볼록한 하부면이 완충부재(54)를 가압함에 따라 이중 밀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51)과 후드(53)는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MCV 커버(52)는 PC 수지 또는 ABS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54)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5)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실 실링 구조에 의하면, 캐빈이 없는 중장비 차량에서 동력실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동력실의 내부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천시에도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지게차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동력실 실링 구조는, 굴삭기, 크레인, 스키드 로더와 같은 다른 중장비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51: 브래킷(Bracket)
52: 메인 콘트롤 밸브 커버(Main Control Valve Cover)
53: 후드(Hood)
54: 완충부재
55: 실링(Sealing)부재
55': 장착홈
55a: 장착부
55b: 덮개부
55c: 요철부

Claims (5)

  1. 동력실이 구비된 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장비 차량에서 동력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에 있어서,
    동력실을 형성하도록 차체(60)에 설치된 브래킷(51)과;
    동력실에 설치된 MCV의 상측에서 MCV를 보호하며 상기 브래킷(51)의 상측에 안착되는 MCV 커버(52)와;
    동력실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53)와;
    상기 MCV 커버(52)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드(53)가 결합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54)와;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MCV 커버(52)를 덮어주도록 상기 후드(5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부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55)는,
    상기 후드(53)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도록 장착홈(55')이 형성되는 장착부(55a)와,
    상기 MCV 커버(52)의 상면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부(5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55b)의 저면에는 요철부(55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55a)는, 상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55b)의 상면까지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부면도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54)를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1)과 후드(53)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MCV 커버(52)는 PC 수지 또는 ABS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54)는 NBR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5)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KR1020150095223A 2015-07-03 2015-07-03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KR10229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23A KR102299049B1 (ko) 2015-07-03 2015-07-03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23A KR102299049B1 (ko) 2015-07-03 2015-07-03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20A KR20170004620A (ko) 2017-01-11
KR102299049B1 true KR102299049B1 (ko) 2021-09-06

Family

ID=5783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223A KR102299049B1 (ko) 2015-07-03 2015-07-03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575B2 (ja) 1988-03-11 1997-01-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エンジンフード装置
JP2535174Y2 (ja) 1991-07-19 1997-05-07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シール装置
JP2005298103A (ja) 2004-04-08 2005-10-27 Nippon Yusoki Co Ltd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JP2008094515A (ja) 2006-10-06 2008-04-24 Komatsu Utility Co Ltd 作業車両の開閉蓋の防水構造
CN204298019U (zh) 2014-11-24 2015-04-29 重庆丙丁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叉车换挡装置的挡位限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465B2 (ja) * 1994-09-26 2000-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輛におけ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948457A (ja) * 1995-08-04 1997-02-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オイルタンクキャップカバー
KR101343842B1 (ko) 2006-12-27 2013-12-20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엔진 후드 조립구조
KR101415422B1 (ko) 2007-12-27 2014-07-07 주식회사 두산 전동지게차의 후드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575B2 (ja) 1988-03-11 1997-01-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エンジンフード装置
JP2535174Y2 (ja) 1991-07-19 1997-05-07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シール装置
JP2005298103A (ja) 2004-04-08 2005-10-27 Nippon Yusoki Co Ltd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JP2008094515A (ja) 2006-10-06 2008-04-24 Komatsu Utility Co Ltd 作業車両の開閉蓋の防水構造
CN204298019U (zh) 2014-11-24 2015-04-29 重庆丙丁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叉车换挡装置的挡位限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20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479B1 (ko)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US20160153171A1 (en) Catwalk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18883A (ko) 건설 기계
JP2019182593A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のバッテリー式フォークリフト
KR102299049B1 (ko)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CN102530104B (zh) 工程机械用驾驶室
US9181680B2 (en) Motor grader
US6135223A (en) Guard cover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5923391B2 (ja) 作業機
KR20120000564U (ko)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지게차 캐빈
WO2016076045A1 (ja) 車両用リヤゲート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US10583866B2 (en) Work vehicle
KR101615110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JP2011148471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JP2006306514A (ja) 産業車輌のルーフキャップ取付け構造
US20170107689A1 (en) Support structure for frame of a machine
CN204355173U (zh) 一种工程机械驾驶室前面板翻转机构
CN203854603U (zh) 汽车发动机保护板
JP7452365B2 (ja) 産業車両
KR20190138111A (ko) 지게차의 틸트 캐빈용 록킹장치
JP6444470B1 (ja) 荷役車両および荷役車両用止水部材
JP2014094693A (ja) 産業用車両
KR102208415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