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277B1 -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277B1
KR102298277B1 KR1020210051450A KR20210051450A KR102298277B1 KR 102298277 B1 KR102298277 B1 KR 102298277B1 KR 1020210051450 A KR1020210051450 A KR 1020210051450A KR 20210051450 A KR20210051450 A KR 20210051450A KR 102298277 B1 KR102298277 B1 KR 10229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vacuum
rail
p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열
장성혁
서용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21005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7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본딩공정에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본딩작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캐리어의 경우, 캐리어 자체의 휘어짐 등에 의해 본딩작업위치에서 캐리어와 공급레일 상호간의 흡착면에서 정확한 위치고정이 되지 않거나, 캐리어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푸싱부 및 진공 고정부를 통해 캐리어의 위치고정 및 카메라 모듈의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여, 본딩공정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Carrier module fixture}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캐리어를 공급레일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 카메라 모듈의 본딩작업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CP, COF, FPC 등은 LCD 및 PCB 모듈의 배선패턴에 단자를 압착본딩함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이러한 압착본딩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압착장치로 캐리어를 이용해 정확한 압착위치로 이송시켜야만 한다.
하지만, 설비 구동 중에 사용중인 캐리어(CARRIER)가 이미 휘어짐 등의 변형으로 인해 VACUUM LEAK가 발생하여, 캐리어에 장착된 각종 모듈을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거나, 계속해서 ERROR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공급레일(FEEDER RAIL)과 캐리어의 가공면 상호간의 면 밀착 방식을 사용하여 진공흡착(VACUUM)을 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어서, 캐리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을 경우, 이러한 흡착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설비에서 ERROR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캐리어를 꺼내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했다. 이러한 조치는 작업시간을 늘리고 작업자가 위험한 환경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5896호(2014.08.25.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9537호(2010.03.18.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본딩공정을 위한 설비구동 중에, 카메라 모듈 다수를 장착하여 사용중인 캐리어가, 다양한 문제에 의해 사전에 휘어짐 등의 변형으로 인해, 공급레일과 캐리어 상호간 접촉면에서 VACUUM LEAK가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거나 계속해서 ERROR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레일부 상에서 캐리어를 일측으로 푸싱하여 고정하는 푸싱부와, 레일부 저면에서 캐리어 및 카메라 모듈을 위치고정시키는 진공 고정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레일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11)의 본딩작업위치에는 관통홀(12)이 천공형성되는 공급레일(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21)마다 카메라 모듈(M) 다수개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공급레일(10)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급레일(10)의 사전설정된 본딩작업위치(B)에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M) 각각마다 순차적으로 본딩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캐리어(20);
상기 공급레일(10)의 본딩작업위치(B) 일측에서 캐리어(2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작업 전 캐리어(20)를 레일부(11) 일측으로 푸싱하여 고정시키는 푸싱부(30);
상기 공급레일(10)의 저면에서 관통홀(12)까지 승, 하강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부(11)에 위치된 캐리어(20)의 저면까지 승강되어 캐리어(20)를 진공흡입하여, 캐리어(20)를 레일부(11)에 직접밀착시킴으로써, 본딩작업위치에서 카메라 모듈(M)이 설치된 캐리어(20)의 위치가 고정되면서, 캐리어(20)와 레일부(11) 상호간 흡착면이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흡입하는 진공 고정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본딩공정에서 카메라 모듈을 본딩작업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파손과 같은 큰 변형이 아닌 설비 구동 중에 발생하는 캐리어의 휘어짐, 마모 등의 변형에도 대응이 가능하여, 약간의 변형이 일어난 캐리어의 경우에도, 별도의 ERROR가 발생하지 않아 설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종래에 사용되는 캐리어 고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는 공급레일(10), 캐리어(20), 푸싱부(30), 진공 고정부(40), 유격조절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레일(10)은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후술될 캐리어(20)가 대응되며 배치되는 레일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11) 중에서 단일 또는 다수개의 본딩작업위치(B)에는 상, 하로 관통되는 관통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20)는 전술된 공급레일(10)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레일(10)의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착홈(21)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홈(21)마다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상면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M)이 장착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캐리어(20)는 상기 공급레일(10)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급레일(10)의 사전설정된 본딩작업위치(B)에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M) 각각마다 FPCB가 카메라 모듈(M)에 압착본딩되는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상기 캐리어(20)의 이송을 위해, 공급레일(10)의 레일부(11)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12)이 천공되고, 이러한 장홈(12)에 대응되는 끼움공(22)을 캐리어(20)에도 길이방향으로 다수 천공한 다음, 공급레일(10)의 저면에서부터 이송핀이 장홈(12)을 관통한 후 캐리어(20)의 끼움공(22)까지 끼워진 후, 이송핀(미도시)이 공급레일(10)의 일방향으로 캐리어(20)를 당겨 이송시키는 등, 캐리어(20)의 이송을 위한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푸싱부(30)는 전술된 캐리어(20)가 공급레일(10)의 본딩작업위치(B)에 위치하게 되면, 공급레일(10)의 본딩작업위치(B) 일측에서 캐리어(2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작업 전 캐리어(20)를 레일부(11) 일측으로 푸싱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푸싱부(30)는 공급레일(10) 중 본딩작업위치(B)가 두곳이라면, 공급레일(10)의 일측을 개구시킨 개구부(31)를 형성하고, 이러한 개구부(31)를 향해 캐리어(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 후진 푸싱가능토록 실린더장치(32)를 구비한 푸싱부재(33)를 구비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장치로 이루어지는 푸싱부(30)는 정확히 본딩작업위치(B) 일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작업위치(B)에서 캐리어(20)를 레일부(11) 일측으로 푸싱하여, 본딩작업위치(B)에서 유격없이 캐리어(20)가 레일부(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 고정부(40)는 공급레일(10)의 저면에서 관통홀(12)까지 승, 하강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부(11)에 위치된 캐리어(20)의 저면까지 승강되어 캐리어(20)를 진공흡입하여, 캐리어(20)를 레일부(11)에 직접밀착시킴으로써, 본딩작업위치(B)에서 카메라 모듈(M)이 설치된 캐리어(20)의 위치가 고정되면서, 캐리어(20)와 레일부(11) 상호간 흡착면이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흡입을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진공 고정부(40)는 진공패드 삽입부(41), 진공홀(42), 패드홀더(43), 진공패드(44), 승하강 실린더부(45), 진공흡입수단(46)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패드 삽입부(41)는 캐리어(20)의 장착홈(21) 저면마다 함몰형성되는 부분으로, 전술된 레일부(11) 상의 본딩작업위치(B) 부분에 천공된 관통홀(12)에 대응위치되어지는 부분이다. 본딩작업시, 캐리어(20)는 작업대상이 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M)중 하나가 관통홀(12)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홀(42)은 전술된 캐리어(20)의 장착홈(21) 중앙에서 저면의 진공패드 삽입부(41)까지 천공형성되는 홀로써, 진공흡착이 되면, 이러한 진공홀(42)을 통해 카메라 모듈(M)이 캐리어(20)에 진공흡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패드홀더(43)는 전술된 공급레일(10)의 관통홀(12) 저면에 대응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이며, 승하강 실린더부(45)가 이러한 패드홀더(43)의 하부에 장착되어, 진공패드(44)와 패드홀더(43)를 상, 하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패드(44)는 전술된 패드홀더(43)의 최상부에서 진공패드 삽입부(41)에 대응되도록 패드홀더(43) 내부와 연통연결되어, 진공흡입시, 진공패드 삽입부(41)를 통해 캐리어(20)를 진공흡입하여 위치고정시키고, 이와 동시에 진공홀(42)을 통해 캐리어(2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M)을 진공흡입하여, 카메라 모듈(M)도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진공흡착패드이다.
상기 진공흡입수단(46)은 상기 패드홀더(43)의 외주연과 일단이 수평으로 연통연결되어 상기 패드홀더(43)와 동반으로 승, 하강되는 수평연결부(47)가 구비되며, 외부로 공기를 진공흡입하도록 다양한 진공흡입장치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유격조절수단(50)은 전술된 공급레일(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1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을 향해 상, 하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설치된 수평연결부(47)의 외주연 상부에 직교되는 형태로 대응설치됨으로써, 상기 진공패드 삽입부(41)에 진공패드(44)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연결부(47)를 수직으로 밀어 하강시키거나, 수평연결부(47)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로 이격위치되어, 진공패드 삽입부(41)에 밀착된 진공패드(4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휘어진 캐리어(20) 사용으로 레일부(11)와 캐리어(20) 상호간 흡착면에서 발생되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핀 또는 볼트부재이다.
물론 이러한 유격조절수단(50)의 승, 하강을 위해, 유격조절수단(5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너트(51)가 고정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이러한 너트(51)에 핀 또는 볼트가 수직으로 나사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핀 또는 볼트가 수평연결부(47)를 하부로 밀어 진공 고정부(40) 전체가 미세하강되거나, 핀 또는 볼트가 수평연결부(47)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 진공 고정부(40) 전체가 미세하게 더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러한 유격조절수단(50)의 최하단 이상으로는 진공 고정부(40)가 상승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0) 및 캐리어(20)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M)을 고정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캐리어(20)가 공급레일(10)을 따라 이송되어 본딩작업위치(B)로 이동한다. 이로써, 본딩작업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M)의 하단에는, 레일부(11)의 관통홀(12) 및 관통홀(12)에 위치된 진공패드(44)가 위치된다.
2. 푸싱부(30)를 캐리어(20) 일측에서 전진시켜, 캐리어(20)를 레일부(11) 상에 고정시킨다. 물론, 이러한 푸싱부(30)는 본딩작업위치(B)의 일측에 각각 위치된다.
3. 진공 고정부(40)를 상승시켜, 진공패드(44)를 캐리어(20) 저면의 진공패드 삽입부(41)에 대응접촉시킨다.
4. 진공흡입장치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여, 진공압을 이용해 캐리어(20) 저면이 공급레일(10)의 레일부(11) 상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이와 동시에 진공홀(42)을 통해 카메라 모듈(M)이 캐리어(20)의 장착홈(21)에 진공흡착된다.
5. 상기 유격조절수단(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캐리어(20) 저면이 공급레일(10)의 레일부(11) 상면에 밀착고정되면서, 상호간의 흡착면에 미세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진공패드(44)의 높이를 미세하게 정밀조정한다.
(본 발명은 진공패드(44)가 캐리어(20) 저면에 직접 접촉되어 진공을 형성하면서 카메라 모듈(M)을 고정하기 때문에, 진공간극(Vacuum Leak)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공급레일 11: 레일부
12: 관통홀 13: 장홈
20: 캐리어 21: 장착홈
22: 끼움공 30: 푸싱부
31: 개구부 32: 실린더장치
33: 푸싱부재 40: 진공 고정부
41: 진공패드 삽입부 42: 진공홀
43: 패드홀더 44: 진공패드
45: 승하강 실린더부 46: 흡입수단
47: 수평연결부 50: 유격조절수단
51: 너트
B: 본딩작업위치
M: 카메라 모듈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레일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11)의 본딩작업위치(B)에는 관통홀(12)이 천공형성되는 공급레일(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21)마다,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상면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M) 다수개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공급레일(10)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급레일(10)의 사전설정된 본딩작업위치(B)에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M) 각각마다, FPCB가 카메라 모듈(M)에 압착본딩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캐리어(20);
    상기 공급레일(10)의 본딩작업위치(B) 일측에서 캐리어(2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작업 전 캐리어(20)를 레일부(11) 일측으로 푸싱하여 고정시키는 푸싱부(30);
    상기 공급레일(10)의 저면에서 관통홀(12)까지 승, 하강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부(11)에 위치된 캐리어(20)의 저면까지 승강되어 캐리어(20)를 진공흡입하여, 캐리어(20)를 레일부(11)에 직접밀착시킴으로써, 본딩작업위치(B)에서 카메라 모듈(M)이 설치된 캐리어(20)의 위치가 고정되면서, 캐리어(20)와 레일부(11) 상호간 흡착면이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흡입하는 진공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 고정부(40)는
    캐리어(20)의 장착홈(21) 저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2)에 대응위치되는 진공패드 삽입부(41);
    상기 캐리어(20)의 장착홈(21) 중앙에서 진공패드 삽입부(41)까지 천공형성되는 진공홀(42);
    상기 공급레일(10)의 관통홀(12) 저면에 대응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패드홀더(43);
    상기 패드홀더(43)의 최상부에서 진공패드 삽입부(41)에 대응되도록 패드홀더(43) 내부와 연통연결되어, 진공흡입시에는 진공패드 삽입부(41)를 통해 캐리어(20)를 진공흡입하여 위치고정시키고, 이와 동시에 진공홀(42)을 통해 캐리어(2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M)을 진공흡입하여, 카메라 모듈(M)도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패드(44);
    상기 패드홀더(43)의 하부에 장착되어, 진공패드(44)와 패드홀더(43)를 상, 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부(45);
    상기 패드홀더(43)의 외주연과 일단이 수평으로 연통연결되어 상기 패드홀더(43)와 동반으로 승, 하강되는 수평연결부(47)가 구비되며, 외부로 공기를 진공흡입하는 진공흡입수단(46);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레일(10)은
    상기 레일부(1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을 향해 상, 하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설치된 수평연결부(47)의 외주연 상부에 직교되는 형태로 대응설치됨으로써,
    상기 진공패드 삽입부(41)에 진공패드(44)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연결부(47)를 수직으로 밀어하강시키거나, 수평연결부(47)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로 이격위치되어, 진공패드 삽입부(41)에 밀착된 진공패드(4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휘어진 캐리어(20) 사용으로 레일부(11)와 캐리어(20) 상호간 흡착면에서 발생되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격조절수단(50); 이 포함되며,
    상기 유격조절수단(50)은 승, 하강을 위해, 유격조절수단(5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너트(51)가 고정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너트(51)에 핀 또는 볼트가 수직으로 나사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핀 또는 볼트가 수평연결부(47)를 하부로 밀어 진공 고정부(40) 전체가 하강되거나, 핀 또는 볼트가 수평연결부(47)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 진공 고정부(40) 전체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푸싱부(30)는 공급레일(10)의 일측을 개구시킨 개구부(3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31)를 향해 캐리어(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 후진 푸싱가능토록 실린더장치(32)를 구비한 푸싱부재(33)를 구비하여, 본딩작업위치(B)에서 유격없이 캐리어(20)가 레일부(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51450A 2021-04-21 2021-04-21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KR10229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50A KR102298277B1 (ko) 2021-04-21 2021-04-21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50A KR102298277B1 (ko) 2021-04-21 2021-04-21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277B1 true KR102298277B1 (ko) 2021-09-06

Family

ID=777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450A KR102298277B1 (ko) 2021-04-21 2021-04-21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27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397A (ja) * 1997-06-23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ークの下受装置
KR19990081927A (ko) * 1996-11-26 1999-11-15 요트.게.아. 롤페즈 캐리어상에 콤포넌트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과 배치기및, 이러한방법과 배치기에 사용되는 보정 캐리어 검출 장치
JP2003025174A (ja) * 2001-07-11 2003-01-29 Nec Yamagata Ltd 基板吸着方法および基板吸着機構
KR20080058147A (ko) * 2006-12-21 2008-06-25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본딩 장치 및 본딩 장치의 회로 기판 흡착 방법
KR100949537B1 (ko) 2008-08-06 2010-03-25 (주)에이에스티 카메라 모듈 하우징과 fpcb를 자동으로 본딩하는 장치
KR20100039022A (ko) * 2008-10-07 2010-04-15 (주)에이에스티 카메라 모듈 하우징과 fpcb를 자동으로 본딩하는 장치
KR101429014B1 (ko) * 2012-11-07 2014-08-13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pc 트레이 이송장치
KR101435896B1 (ko) 2012-08-29 2014-09-01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카메라모듈과 fpcb 본딩장치
JP2017147347A (ja) * 2016-02-18 2017-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実装基板製造システム及び実装基板製造システムにおける基板下受け部材の設置方法
KR20200095799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927A (ko) * 1996-11-26 1999-11-15 요트.게.아. 롤페즈 캐리어상에 콤포넌트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과 배치기및, 이러한방법과 배치기에 사용되는 보정 캐리어 검출 장치
JPH1117397A (ja) * 1997-06-23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ークの下受装置
JP2003025174A (ja) * 2001-07-11 2003-01-29 Nec Yamagata Ltd 基板吸着方法および基板吸着機構
KR20080058147A (ko) * 2006-12-21 2008-06-25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본딩 장치 및 본딩 장치의 회로 기판 흡착 방법
KR100949537B1 (ko) 2008-08-06 2010-03-25 (주)에이에스티 카메라 모듈 하우징과 fpcb를 자동으로 본딩하는 장치
KR20100039022A (ko) * 2008-10-07 2010-04-15 (주)에이에스티 카메라 모듈 하우징과 fpcb를 자동으로 본딩하는 장치
KR101435896B1 (ko) 2012-08-29 2014-09-01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카메라모듈과 fpcb 본딩장치
KR101429014B1 (ko) * 2012-11-07 2014-08-13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pc 트레이 이송장치
JP2017147347A (ja) * 2016-02-18 2017-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実装基板製造システム及び実装基板製造システムにおける基板下受け部材の設置方法
KR20200095799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6790B2 (en) Component mounter and mounting method
KR20130045216A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2298277B1 (ko) 캐리어 모듈 고정장치
CN214477372U (zh) 散热盖贴装设备
CN214150485U (zh) 一体化检测设备
KR100853319B1 (ko) 표면 실장 장치의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정렬 장치
KR101354690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장치
CN112083013A (zh) 一体化视觉检测设备
JP7128415B2 (ja) 半導体素子検査装置
JPH0330499A (ja) 電子部品実装方法
CN107809899B (zh) 部件搭载装置以及部件搭载方法
KR102186594B1 (ko) 인쇄회로기판의 자동정렬장치
CN211516638U (zh) 一种扩散板、面框和底壳自动组装设备
KR20060126204A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JPWO2017013807A1 (ja) 部品実装機
KR20010081967A (ko) 기판 센터링장치
KR101627853B1 (ko) 회로소자 보호용 하우징의 리드접합장치
CN217849980U (zh) 一种fpc板的安装装置
KR20100113781A (ko) 필름 자동편집 장치 및 그 편집방법
JP2853197B2 (ja) 部品装着装置
CN217147806U (zh) 一种新型pcb板上料机构
CN217195340U (zh) 一种用于取放印制电路板的机械手
KR101747205B1 (ko) Led 모듈 생산을 위한 pcb 기판의 보강판 장착 장치
CN111453399B (zh) 一种显示面板与测试治具的全自动分离方法
CN214150489U (zh) 一体化视觉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