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699B1 -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699B1
KR102296699B1 KR1020177000607A KR20177000607A KR102296699B1 KR 102296699 B1 KR102296699 B1 KR 102296699B1 KR 1020177000607 A KR1020177000607 A KR 1020177000607A KR 20177000607 A KR20177000607 A KR 20177000607A KR 102296699 B1 KR102296699 B1 KR 10229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orous
layer
waterproof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692A (ko
Inventor
마사아키 모리
노부하루 구키
가즈아키 모치다
유이치 아베
마사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방수 부재(20)는 제1 접착층(22), 제2 접착층(24) 및 다공질층(26)을 구비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은,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접착층(22), 제2 접착층(24) 및 다공질층(26)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공질층(26)의 외형은, 제1 접착층(22)의 외형 및 제2 접착층(24)의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의 외형의 외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22)이 제2 접착층(24)에 직접 접합되어 있다. 다공질층(26)의 측면은,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WATER-RESISTANT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WATER-RESISTANT MEMBER}
본 발명은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전자 수첩, 디지털 카메라, 게임 기기 등의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음성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음성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는 스피커, 버저 등의 발음부가 배치되어 있거나, 마이크로폰 등의 수음부가 배치되어 있거나 한다. 하우징에는 발음부 또는 수음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를 통하여 음성이 전해진다. 하우징의 내부에 수적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개구를 막도록 통음막이 배치되어 있다. 통음막은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이물의 통과를 저지한다. 통음막으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질막 등의 플라스틱 다공질막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2에는 통음막 및 하우징측 접착층을 구비한 방수 통음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하우징측 접착층은 방수 통음 부재를 하우징에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층이며, 통음막에 적층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통음막, 지지층 및 하우징측 접착층을 구비한 방수 통음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수 통음 부재에 있어서, 지지층의 주연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하우징측 접착층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538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53481호 공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방수 통음 부재에 사용된 통음막은, 3차원적인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다. 그로 인해, 통음막은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면 내 방향으로도 통기성을 갖고 있다. 면 내 방향의 통기가 원인으로, 수증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수증기의 유입에 의해 정밀 회로에 결로가 발생하면, 전자 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방수 시험(IPX5, IPX7 등)의 대체 시험으로서,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기밀성 시험이 행하여지고 있다. 방수 통음 부재에 사용된 통음막이 면 내 방향의 통기성을 갖고 있으면, 기밀성 시험을 정확하게 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 재료가 전체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것에 기초한 다양한 불이익을 배제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제1 접착층과,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제2 접착층과,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다공질층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다공질층의 외형이 상기 제1 접착층의 외형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다공질층의 상기 외형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이 상기 제2 접착층에 직접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층의 측면이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는, 방수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질층의 외형의 외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이 제2 접착층에 직접 접합되어 있다. 다공질층의 측면은,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전체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것에 기초한 불이익을 배제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층의 측면을 통하여, 전자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결로에 의해 전자 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의 기밀성 시험을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착층끼리 직접 접합되어 있으므로, 방수 부재로부터 박리 필름을 제거할 때, 또는 방수 부재를 마운트로부터 박리시킬 때 다공질층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방수 부재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방수 부재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방수 부재에 사용될 수 있는 다공질막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방수 부재가 사용된 전자 기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5는 기밀성 시험의 실시 방법의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방수 통음 부재의 다공질층에 있어서 발생하는 일이 있는 응집 파괴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방수 부재(10)는 방수 부재(20) 및 박리 필름(30)(탭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박리 필름(30)은 방수 부재(20)에 설치되어 있다.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방수 부재(10)가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 후, 박리 필름(30)이 방수 부재(20)로부터 제거된다.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방수 부재(10)는 마운트(도시 생략)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부재(20)는 제1 접착층(22), 제2 접착층(24) 및 다공질층(26)을 구비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은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공질층(26)의 한쪽 주면(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 면)이 제1 접착층(22)에 접하고, 다공질층(26)의 다른 쪽 주면이 제2 접착층(24)에 접하고 있다. 단, 제1 접착층(22)과 다공질층(26) 사이에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접착층(24)과 다공질층(26) 사이에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방수 부재(20)는 전체적으로 막의 형상을 갖는 방수 통음 부재이다. 방수 부재(20)의 용도는 방수 통음 부재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방수 통음 부재에 적용하면, 후술하는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통음 부재로서의 방수 부재(20)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된다. 하우징에는, 스피커, 버저, 마이크 등의 음향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방수 부재(20)는 개구를 막도록 하우징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수 부재(20)는 원판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원환의 형상을 갖는다. 다공질층(26)은 접착층(22 및 24)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판의 형상을 갖는다. 방수 부재(2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접착층(22), 제2 접착층(24) 및 다공질층(26)의 중심은 일치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의 한쪽 주면의 중심 영역은, 제1 접착층(22)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 외기에 접촉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공질층(26)의 다른 쪽 주면의 중심 영역은, 제2 접착층(24)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 외기에 접촉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방수 부재(2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수 부재(20)의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일 때, 다공질층(26)의 형상도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다.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접착층(22), 제2 접착층(24) 및 다공질층(26)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공질층(26)의 외형은, 제1 접착층(22)의 외형 및 제2 접착층(24)의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의 외형의 외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22)이 제2 접착층(24)에 직접 접합되어 있다. 다공질층(26)의 측면은,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즉,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착층(22)의 외주부가 제2 접착층(24)의 외주부에 접하고 있다. 방수 부재(20)가 원판의 형상을 가질 때, 제1 접착층(22)의 외경 D1(제2 접착층(24)의 외경 D1)은, 다공질층(26)의 외경 D2보다도 크고, 다공질층(26)의 외경 D2는, 제1 접착층(22)의 내경 D3(제2 접착층(24)의 내경 D3)보다도 크다.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의 직접 접합면(28)은 원환의 형상을 갖는다. 접합면(28)의 폭((D1-D2)/2)은, 예를 들어 0.1㎜ 이상이다. 접합면(28)의 폭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방수 부재(20)에 의하면, 다공질층(26)의 측면을 통하여, 전자 기기의 내부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결로에 의해 전자 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20)의 기밀성 시험을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이 직접 접합되어 있으므로, 방수 부재(20)로부터 박리 필름(30)을 제거할 때, 또는 방수 부재(20)를 마운트로부터 박리시킬 때 다공질층(26)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 부재(100)(방수 통음 부재)에 있어서, 제1 접착층(102), 제2 접착층(103) 및 다공질층(104)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방수 부재(10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접착층(102)의 외형, 다공질층(104)의 외형 및 제2 접착층(103)의 외형은 서로 일치하고 있다. 방수 부재(100)를 하우징(105)에 설치하고, 박리 필름(101)을 방수 부재(100)로부터 제거할 때, 박리 필름(101)이 접착층(102)으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지 않고, 그 대신에, 다공질층(104)이 두께 방향으로 인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응집 파괴」라고 칭해지고 있다. 방수 부재(100)의 경우, 다공질층(104)의 재료(다공질 재료)의 강도 부족에 기인하여 응집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이 직접 접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의 접합 상태가 유지되는 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응집 파괴가 다공질층(26)에서 일어날 수 없다.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의 접합 상태는 견고하여, 간단하게 파괴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 부재(2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공질층(26)의 외형 전체가 제1 접착층(22)의 외형 및 제2 접착층(24)의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공질층(26)의 측면은, 전체 주위(360°)에 걸쳐,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방수 부재(2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상기한 복수의 효과가 얻어진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한 복수의 효과는, 다공질층(26)의 측면의 일부만이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는 경우에도 얻어진다.
제1 접착층(22)은 상면 및 하면의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층이다. 제2 접착층(24)도 상면 및 하면의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층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각각 양면 테이프이다. 양면 테이프는 방수 부재(2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므로, 접착층(22 및 24)으로서 권장된다. 양면 테이프는, 전형적으로는 기재와, 2개의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점착제층은,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기재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기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각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로 만들어져 있다. 양면 테이프는, 기재를 갖지 않는 양면 테이프여도 된다.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양면 테이프 대신에, 열 경화형 수지 시트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열 경화형 수지 시트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 경화형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동일한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갖는다. 제1 접착층(22)의 두께 및 제2 접착층(24)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005 내지 1.0㎜의 범위에 있다. 단, 제1 접착층(22)의 재료가 제2 접착층(24)의 재료와 상이해도 된다. 제1 접착층(22)의 치수(예를 들어 두께)가 제2 접착층(24)의 치수와 상이해도 된다.
다공질층(26)은 다공질 재료로 구성된 층이다. 다공질층(26)은 수증기, 공기 등의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물, 먼지 등의 이물의 통과를 저지하는 성질을 갖는다. 다공질 재료로서는, 불소 수지 다공체, 폴리올레핀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수지 다공체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다공체로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다공질 재료는, 통상 3차원의 다공질 구조를 갖는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주성분」은, 질량비로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을 의미한다.
일례에 있어서, 다공질층(26)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다공질막일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은, 두께 방향 및 면 내 방향의 양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다. 따라서, 다공질층(26)이 수지 다공질막일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유용하다.
다공질층(26)의 기공률(공극률)은, 예를 들어 30% 이상이다. 다공질층(26)의 기공률이 적절한 범위에 있으면, 방수 부재(20)의 통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공질층(26)의 기공률의 상한은, 예를 들어 98%이다. 다공질층(26)에 있어서의 기공의 대부분은, 다공질층(26)에 통기성을 초래하는 연속 기공일 수 있다. 다공질층(2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05 내지 0.2㎜의 범위에 있다.
다공질층(26)은 PTFE 다공질막 등의 수지 다공질막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보강재로서의 통기성 지지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질층(26)은 수지 다공질막(26a) 및 통기성 지지체(26b)로 구성될 수 있다. 통기성 지지체(26b)가 수지 다공질막(26a)에 적층되어 있다. 통기성 지지체(26b)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아라미드 등의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통기성 지지체(26b)의 구조는, 예를 들어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또는 다공체이다.
박리 필름(3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도 되고, 종이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박리 필름(30)은 제1 접착층(2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접착층(24)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방수 부재(20)의 면 밀도는, 음향 특성, 취급의 용이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100g/㎡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g/㎡의 범위에 있다. 방수 부재(20)의 용도가 방수 통음 부재일 때, 음향 특성의 관점에서, 방수 부재(20)의 면 밀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면 밀도가 증가하면, 음향투과 손실도 증가한다. 한편, 면 밀도가 작아지면 질수록, 방수 부재(20)의 취급의 난이도는 증가하고, 강도는 내려간다. 예를 들어, 방수 부재(20)의 중간품인 띠 형상의 원단을 롤에 권취할 때, 원단이 장력을 못이겨,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방수 부재(20)의 제조 수율이 저하된다. 방수 부재(20)의 면 밀도가 적절하게 조정되어 있으면, 우수한 음향 특성을 얻으면서, 상기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20)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작은 면 밀도를 갖는 다공질 재료의 기공률은 높다. 환언하면, 높은 기공률을 갖는 다공질 재료에 있어서, 수지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작다. 그러한 다공질 재료의 강도는 낮다. 또한, 그러한 다공질 재료의 펀칭 가공품을 핸들링할 때에는 박리 필름을 사용할 기회가 많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박리 필름(101)을 방수 부재(100)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울 때, 다공질층(104)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접착층(22)과 제2 접착층(24)이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 필름(30)과 접착층(24) 사이의 점착력이 어느 정도 강한 경우에도 다공질층(26)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40)는 하우징(42) 및 음향 장치(44)를 구비하고 있다. 음향 장치(44)는 하우징(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음향 장치(44)로서는, 발음부 및 수음부를 들 수 있다. 발음부로서, 스피커, 버저 등을 들 수 있다. 수음부로서, 마이크로폰 등을 들 수 있다. 하우징(42)에는 음향 장치(4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42h)가 형성되어 있다. 방수 부재(20)는 개구(42h)를 막도록 하우징(42)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방수 부재(20)는 하우징(42)의 내부측으로부터 개구(42h)를 막고 있다. 제1 접착층(22)이 하우징(42)의 내면에 접하고, 제2 접착층(24)이 음향 장치(44)에 접하고 있다. 즉, 방수 부재(20)는 하우징(42)과 음향 장치(44) 사이에 끼워져 있다. 다공질층(26)의 측면이 하우징(42)의 내부의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음향 장치(44)를 통하여 하우징(42)의 내부 공기가 다공질층(26)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수증기, 공기 등의 기체는, 하우징(42)의 외부로부터 하우징(42)의 내부에 유입할 수 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공질막의 특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통기도)
다공질막의 통기도는, 일본 공업 규격(JIS) L 1096에 규정된 통기성 측정법의 A법(프래지어(Frazir)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내수압)
다공질막의 내수압은, JIS L 1092(2009)에 기재된 내수도 시험기(고수압법)에 의해 측정했다. 단, 이 규정에 나타난 시험편의 면적에서는 다공질막이 현저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메쉬(개구 직경: 2㎜)를 다공질막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하여 다공질막의 변형을 어느 정도 억제하면서, 다공질막의 내수압을 측정했다.
(면 밀도)
다공질막을 펀치로 φ47㎜의 치수로 펀칭한 후, 펀칭된 다공질막의 질량을 측정했다. 측정된 질량을 1㎡당 질량으로 환산하여, 면 밀도를 얻었다.
(기공률)
면 밀도에 두께를 곱하여 겉보기 밀도를 구했다. 겉보기 밀도 및 재료 밀도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으로부터 다공질막의 기공률을 구했다. PET의 밀도로서 1.38g/㎤, PTFE의 밀도로서 2.18g/㎤를 사용했다.
{1-(겉보기 밀도/재료 밀도)}×100
(실시예 1)
다공질막으로서, PTFE 다공질막(닛토덴코사제 NTF1026)을 준비했다. 이 PTFE 다공질막의 기본 특성은, 기공률 85%, 면 밀도 8.1g/㎡, 통기도 0.31㎤/㎠/초, 두께 0.025㎜, 내수압 250㎪이었다.
먼저, 다공질막을 φ5.4㎜의 치수로 펀칭했다. 한편, 두께 0.1㎜의 PET 필름과 양면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5603, 두께 0.03㎜)를 적층하고, 이들에 φ2.5㎜의 개구를 형성했다. PET 필름은, 방수 부재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했다. 또한, 다른 양면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57120B, 두께 0.20㎜)에도 φ2.5㎜의 개구를 형성했다. 2개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다공질막이 끼워지도록,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다공질막에 2개의 양면 테이프를 적층시켰다. 그 후, 전체를 φ5.8㎜의 치수로 펀칭했다. PET 필름 위에 박리 필름(재박리성 테이프)을 접합했다. 이에 의해, 양면 테이프와 박리 필름 사이에 PET 필름(도 5의 참조 부호 32)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의 방수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
다공질막으로서, PTFE 다공질막과 부직포의 적층품(닛토덴코사제 NTF613AP)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 부재를 제작했다. 부직포가 부착된 PTFE 다공질막의 기본 특성은, 기공률 75%(PTFE 다공질막만), 면 밀도 8.5g/㎡, 통기도 0.50㎤/㎠/초, 두께 0.025㎜, 내수압 350㎪이었다.
(실시예 3)
다공질막으로서, 폴리에틸렌 다공질막(닛토덴코사제 선맵 LC)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 부재를 제작했다. 폴리에틸렌 다공질막의 기본 특성은, 기공률 31%, 면 밀도 62.3g/㎡, 통기도 25㎤/㎠/초, 두께 0.100㎜, 내수압 1㎪이었다.
(비교예 1)
다공질막의 외경이 양면 테이프의 외경과 동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방수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2)
다공질막의 외경이 양면 테이프의 외경과 동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방수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3)
다공질막의 외경이 양면 테이프의 외경과 동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의 방수 부재를 제작했다.
(기밀성 시험)
도 5에 도시하는 시험 장치(50)를 사용하여 방수 부재의 기밀성 시험을 행했다. 시험 장치(50)는 하우징(55), O링(53) 및 가압 기구(5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5)의 덮개부(55a)에는 φ2㎜의 개구(55h)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5h)를 막도록 하우징(55)의 내면에 방수 부재를 부착했다. O링(53) 및 가압 기구(52)로 하우징(55)을 밀폐했다. 개구(55h)를 통하여 방수 부재가 물에 접하도록 하우징(55)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증류수를 넣었다. 그 후, 하우징(55)의 내부의 공기에 200㎪의 압력을 가하고, 1분 후에 기포의 유무를 확인했다. 기포가 나오는 경우에는 기밀성 없음, 기포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기밀성 있음이라고 판단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02475976-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방수 부재에는 기밀성이 있고, 비교예 1 내지 3의 방수 부재에는 기밀성이 없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전자 수첩, 디지털 카메라, 게임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 방수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적용 대상은 전자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음성 기능을 갖지 않는 제품, 예를 들어 센서, 스위치, ECU 등의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에 방수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제1 접착층과,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제2 접착층과,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다공질층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다공질층의 외형이 상기 제1 접착층의 외형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다공질층의 상기 외형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이 상기 제2 접착층에 직접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층의 측면이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는, 방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의 상기 외형의 전체가 상기 제1 접착층의 상기 외형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상기 외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다공질막인, 또는 상기 수지 다공질막과 통기성 지지체의 적층체인, 방수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의 기공률이 30% 이상인, 방수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전체적으로 막의 형상을 갖는 방수 통음 부재인, 방수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양면 테이프인, 방수 부재.
  7. 제1항에 기재된 방수 부재와,
    상기 방수 부재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에 설치된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박리 필름을 구비한 방수 부재.
  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발음부 또는 수음부와,
    상기 발음부 또는 상기 수음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5항에 기재된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177000607A 2014-07-15 2015-05-22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296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4755A JP6472182B2 (ja) 2014-07-15 2014-07-15 防水部材及びその防水部材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14-144755 2014-07-15
PCT/JP2015/002589 WO2016009583A1 (ja) 2014-07-15 2015-05-22 防水部材及びその防水部材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92A KR20170031692A (ko) 2017-03-21
KR102296699B1 true KR102296699B1 (ko) 2021-08-31

Family

ID=5507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607A KR102296699B1 (ko) 2014-07-15 2015-05-22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8934B2 (ko)
EP (1) EP3171683B1 (ko)
JP (1) JP6472182B2 (ko)
KR (1) KR102296699B1 (ko)
CN (1) CN106489307B (ko)
WO (1) WO2016009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6938B2 (ja) * 2015-07-27 2021-01-20 日東電工株式会社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タ
US10477306B2 (en) * 2015-08-21 2019-11-12 Amogreentech Co., Ltd. Sound device
ITUB20154103A1 (it) * 2015-10-05 2017-04-05 Saati Spa Procedimento per fabbricare una struttura tessile multistrato per la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procedimento per fabbricare un componente di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mediante la struttura tessile multistrato e componente di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ottenuto
JP6836844B2 (ja) * 2016-05-13 2021-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101896367B1 (ko) * 2016-07-08 2018-10-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기 시트
KR102472296B1 (ko) * 2016-07-29 202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JP2018033084A (ja) * 2016-08-26 2018-03-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90137143A (ko) * 2017-04-18 2019-12-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권회체
KR102520977B1 (ko) * 2017-04-18 2023-04-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권회체
DE112017008059B4 (de) 2017-09-19 2024-02-29 W.L. Gore & Associates, Inc. Eine härtbare trägerschicht einschliessende akustikschutzabdeckung
CN108430015A (zh) * 2018-03-28 2018-08-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扬声结构及扬声器和听筒
CN108949058A (zh) * 2018-08-01 2018-12-07 东莞蒲微防水透气膜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膜组件及其制备方法
US10782742B1 (en) * 2018-08-14 2020-09-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that uses air pressure to remove liquid
US10767927B2 (en) 2018-09-07 2020-09-08 Apple Inc. Systems for increased drying of speaker and sensor components that are exposed to moisture
KR102091112B1 (ko) * 2018-12-18 2020-03-19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폰 및 이의 패키징 방법
CN209390335U (zh) * 2018-12-28 2019-09-1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箱及移动终端设备
CN209390341U (zh) * 2018-12-28 2019-09-1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箱及移动终端设备
WO2020196211A1 (ja) * 2019-03-26 2020-10-0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孔用の部材と、通気孔用の部材を備える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部材供給用テープ
US10741160B1 (en) 2019-09-25 2020-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CN110798785B (zh) * 2019-10-10 2022-02-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US11924607B2 (en) 2019-12-25 2024-03-05 Goertek Inc. Electronic device and acoustic waterproof structure
CN111138991A (zh) * 2019-12-30 2020-05-12 苏州然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的高韧性背胶膜及其制备方法
KR102273728B1 (ko) * 2020-07-31 2021-07-06 코오롱머티리얼 주식회사 나노 멤브레인, 나노 멤브레인 조립체 및 나노 멤브레인 제조방법
US11417311B2 (en) * 2020-08-03 2022-08-16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structure
KR20230012172A (ko) * 2021-07-15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0318U (ko) * 2021-07-16 2024-02-20 니뽄 고아 고도가이샤 벤트 조립체
US20230217605A1 (en) * 2021-12-30 2023-07-06 Google Llc Component Port Fluid Dr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543A (ja) * 1999-12-09 2001-06-22 Nitto Denko Corp 通気筐体
JP2012253481A (ja) * 2011-06-01 2012-12-20 Nitto Denko Corp 防水通音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801Y1 (ko) * 1967-04-06 1975-12-15
JPH0513370Y2 (ko) * 1988-10-12 1993-04-08
US5828012A (en) * 1996-05-31 1998-10-27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cover assembly having enhanced acoustical characteristics
JP3219700B2 (ja) * 1996-09-18 2001-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ベントフィルタ部材
US6512834B1 (en) * 1999-07-07 2003-01-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JP2002143624A (ja) * 2000-11-14 2002-05-21 Saint-Gobain Norton Kk 通気フィルターおよびフィルター付き容器
JP2003053872A (ja) 2001-08-13 2003-02-26 Nitto Denko Corp 通気性通音膜
GB0319780D0 (en) * 2003-08-22 2003-09-24 Johnson Matthey Plc Membrane electrode assembly
US6932187B2 (en) * 2003-10-14 2005-08-2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rotective acoustic cover assembly
JP4879475B2 (ja) 2004-11-19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フィルタ部材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気筐体
JP2010000464A (ja) 2008-06-20 2010-01-07 Japan Gore Tex Inc 通気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6734B2 (ja) * 2008-06-20 2013-12-04 日本ゴア株式会社 音響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7565B2 (ja) * 2011-06-01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音部材担持体
CN104220141B (zh) * 2012-04-06 2016-01-20 日东电工株式会社 赋予了拒油性的带粘合层的透气过滤器
US8739926B1 (en) * 2012-11-21 2014-06-03 Nitto Denko Corporation Sound-transmitting membran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sound-transmitting membrane
JP6118131B2 (ja) * 2013-02-25 2017-04-19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通音部材、及び電気機器
JP2014175907A (ja) * 2013-03-11 2014-09-22 Nitto Denko Corp 防水通音部材
WO2016059804A1 (ja) * 2014-10-16 2016-04-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音膜とそれを備える通音膜部材、ならびに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電子機器
US9510097B1 (en) * 2015-06-03 2016-11-29 Chicony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sheet thereof
US9693134B2 (en) * 2015-07-20 2017-06-27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543A (ja) * 1999-12-09 2001-06-22 Nitto Denko Corp 通気筐体
JP2012253481A (ja) * 2011-06-01 2012-12-20 Nitto Denko Corp 防水通音部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9583A1 (ja) 2016-01-21
US10258934B2 (en) 2019-04-16
JP6472182B2 (ja) 2019-02-20
JP2016021502A (ja) 2016-02-04
EP3171683A4 (en) 2018-02-28
CN106489307B (zh) 2020-07-17
US20170157573A1 (en) 2017-06-08
EP3171683A1 (en) 2017-05-24
CN106489307A (zh) 2017-03-08
EP3171683B1 (en) 2019-08-21
KR20170031692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699B1 (ko)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6193621B2 (ja) 音響部品用保護部材及び防水ケース
JP5687566B2 (ja) 防水通音部材
TWI690212B (zh) 透音膜與具備其之透音膜構件、以及麥克風及電子機器
US10911847B2 (en) Pressure equalizing construction for nonporous acoustic membrane
KR20200130496A (ko) 방수 통기 구조 및 방수 통기 부재
KR101812790B1 (ko) 통기필터, 그 통기필터의 고정방법, 및 전기장치의 제조방법
JP7079261B2 (ja) 防水通音部材と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CN111630870B (zh) 防水构件和电子设备
US20200280781A1 (en) Acoustic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curable support layer
US20220348393A1 (en) Cover member and member supply assembly including same
KR20200044563A (ko) 통기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